KR100910621B1 - 동축 스피커 - Google Patents

동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621B1
KR100910621B1 KR1020070134117A KR20070134117A KR100910621B1 KR 100910621 B1 KR100910621 B1 KR 100910621B1 KR 1020070134117 A KR1020070134117 A KR 1020070134117A KR 20070134117 A KR20070134117 A KR 20070134117A KR 100910621 B1 KR100910621 B1 KR 10091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oice coil
woofer
tweeter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538A (ko
Inventor
조성일
박순종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4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6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Abstract

동축 스피커가 개시된다. 상기 동축 스피커는 프레임에 함몰되어 일체로 형성된 단자판의 몸체의 측면 및 일단부측에 제 1 및 제 2 접속편이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 1 및 제 2 접속편에 틴셀와이어 및 코드가 각각 접속된다. 즉, 틴셀와이어 및 코드가 각각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접속편이 단자판에 별도로 연장 형성되므로, 틴셀와이어 및 코드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공정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적정 길이로 커팅된 틴셀와이어의 단부측을 제 1 접속공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틴셀와이어 단부를 제 1 스토퍼에 접촉시킨 후, 틴셀와이어를 제 1 접속공에 납땜한다. 또한, 적정 길이로 커팅된 코드의 단부측을 제 2 접속공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코드의 단부를 단자판의 제 2 스토퍼 또는 프레임의 제 2 스토퍼에 접촉시킨 후, 코드를 제 2 접속공에 납땜한다. 따라서, 폐기되는 틴셀와이어 및 코드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동축 스피커 {COAXIAL SPEAKER}
도 1은 종래의 동축 스피커의 프레임에 단자판이 설치된 것을 보인 하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스피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단자판의 사시도.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과 단자판의 하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 도 4a에 도시된 단자판이 설치된 것을 보인 하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판의 사시도.
도 6b는 도 4b에 도시된 프레임에 도 6a에 도시된 단자판이 설치된 것을 보인 하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우퍼 110 : 프레임
150 : 틴셀와이어 160 : 단자판
200 : 트위터 250 : 코드
본 발명은 동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란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다. 그리고, 동축 스피커란 저음을 발생하는 우퍼(Woofer)와 고음을 발생하는 트위터(Tweeter)가 동축상에 연결된 스피커를 말한다.
동축 스피커의 프레임에는 외부의 전원을 우퍼 및 트위터의 진동부의 보이스코일로 전달하기 위한 단자판이 결합되는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동축 스피커의 프레임에 단자판이 설치된 것을 보인 하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연결판(20)이 결합되고, 연결판(20)에는 제 1 및 제 2 돌출편(31,35)을 각각 가지면서 상호 이격된 한쌍의 단자판(30)이 설치된다.
각 단자판(30)의 제 1 돌출편(31)에는 우퍼(미도시)의 보이스코일(미도시)에 일단부측이 접속된 틴셀와이어(41)의 타단부측 및 트위터(미도시)의 보이스코일(미도시)에 일단부측에 접속된 코드(45)의 타단부측이 각각 접속되고, 제 2 돌출편(35)에는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된 플러그(미도시)가 각각 접속된다.
이때, 틴셀와이어(41) 및 코드(45)의 길이를 지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세팅한 다음, 틴셀와이어(41) 및 코드(45)를 제 1 돌출편(31)에 각각 납땜한 후, 불 필요한 틴셀와이어(41) 및 코드(45)의 부위를 커팅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축 스피커는 협소한 제 1 돌출편(31)에 틴셀와이어(41) 및 코드(45)를 각각 납땜 접속한다. 이로인해, 공정이 불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불필요한 틴셀와이어(41) 및 코드(45)의 부위를 커팅한다. 그런데, 커팅된 틴셀와이어(41) 및 코드(45)의 부위는 폐기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퍼의 보이스코일과 접속된 틴셀와이어 및 트위터의 보이스코일과 접속된 코드를 단자판에 간편하게 접속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축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축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스피커는, 프레임, 자기회로부와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진동부를 가지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우퍼(Woofer), 자기회로부와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진동부를 가지면서 상기 우퍼와 동축상에 위치된 트위터(Tweeter), 상기 우퍼와 상기 트위터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우퍼의 보이스코일과 상기 트위터의 보이스 코일이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단자판을 구비하는 동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판은 상기 프레임에 함몰된 몸체, 상기 각 몸체의 측면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우퍼의 보이스코일과 접속된 틴셀와이어가 접속되는 제 1 접속편, 상기 각 몸체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트위터의 보이스코일과 접속된 코드가 접속되는 제 2 접속편, 상기 각 몸체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의 전원측이 접속되는 제 3 접속편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축 스피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스피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스피커는 저음을 발생하는 우퍼(Woofer)(100), 고음을 발생하는 트위터(Tweeter)(200), 우퍼(100)와 트위터(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0)를 가진다.
이하,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수직방향 하측에 위치된 우퍼(100)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 상측에 위치된 트위터(200)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이라 한다.
우퍼(100)는 원통형상의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하면측에 설치된 자기회로부(120) 및 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부(130)를 포함한다.
자기회로부(120)는 프레임(110)의 하면측에 일체로 형성된 링형상의 플레이 트(121),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결합된 링형상의 마그네트(123), 마그네트(123)의 하면에 결합된 받침판(125a)과 받침판(125a)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마그네트(123) 및 플레이트(121)를 관통하는 폴(125b)을 가지는 요크(125)를 포함한다. 이때, 폴(125b)의 외주면과 마그네트(123) 및 플레이트(121)의 내주면에는 갭(G1)이 형성된다.
진동부(130)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부측이 프레임(110)의 상단면(上端面)측에 결합된 진동판(131), 상부측은 진동판(131)의 중앙부측에 결합되고 하부측은 자기회로부(120)의 갭(G1)에 위치된 보이스코일(133), 외주면측은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보이스코일(13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보이스코일(133)이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135)를 가진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류가 보이스코일(133)에 인가되면, 보이스코일(133)과 자기회로부(120)의 작용에 의하여 보이스코일(133)이 프레임(110)의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고, 이로인해 진동판(131)이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저음의 음향을 재생한다.
트위터(200)는 지지부재(210), 지지부재(210)의 하면측에 설치된 자기회로부(220) 및 지지부재(210)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부(230)를 포함한다.
트위터(200)의 자기회로부(220)는 지지부재(210)의 하면측에 결합된 요크(221), 요크(221)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된 마그네트(223) 및 플레이트(225)를 포함한다. 이때, 요크(221)의 내주면과 마그네트(223) 및 플레이트(225)의 외주면에는 갭(G2)이 형성된다.
트위터(200)의 진동부(230)는 테두리부측이 지지부재(210)의 상단면(上端面)측에 결합된 진동판(231), 상부측은 진동판(231)에 결합되고 하부측은 자기회로부(220)의 갭(G2)에 위치된 보이스코일(235)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류가 보이스코일(235)에 인가되면, 보이스코일(235)과 자기회로부(220)의 작용에 의하여 보이스코일(235)이 프레임(110)의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고, 이로인해 진동판(231)이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저음의 음향을 재생한다.
연결부재(300)는 우퍼(100)와 트위터(200) 사이에 마련되어 우퍼(100)와 트위터(200)를 동축상에 연결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연결부재(300)의 하부측은 우퍼(100)의 요크(125)의 폴(125b)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측에는 트위터(200)의 요크(221)의 하면이 결합된다.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외부의 전원을 보이스코일(133,235)로 전달하기 위한 한쌍의 단자판(160)이 설치된다.
단자판(160)과 보이스코일(133,235)의 접속 구조를 도 2 내지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단자판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과 단자판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단자판(160)은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어 프레임(110)에 일체로 설치된다.
각 단자판(160)은 프레임(110)에 함몰된 몸체(161), 각 몸체(161)의 측면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된 제 1 접속편(163), 각 몸 체(161)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된 제 2 접속편(165), 각 몸체(161)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외부로 노출된 제 3 접속편(167)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접속편(163,165)에는 제 1 및 제 2 접속공(163a)(165a)이 각각 형성되는데, 제 1 및 제 2 접속공(163a)(165a)에는 틴셀와이어(150) 및 코드(250)가 각각 삽입되어 납땜 접속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틴셀와이어(150)의 일측은 우퍼(100)의 보이스코일(133)에 접속되고, 타측은 제 1 접속편(163)의 제 1 접속공(163a)에 삽입되어 납땜 접속된다. 그리고, 코드(250)의 일측은 트위터(200)의 보이스코일(235)과 접속되고, 타측은 제 2 접속편(165)의 제 2 접속공(165a)에 삽입되어 납땜 접속된다.
제 3 접속편(167)에는 외부의 전원 접속되는데, 외부의 전원은 틴셀와이어(150) 및 코드(250)를 통하여 우퍼 및 트위터(100,200)의 보이스코일(133,235)로 전달된다.
프레임(110)은 합성수지제로서 사출 성형되고, 단자판(160)은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소정의 금형속에 단자판(160)을 놓고, 상기 금속으로 수지를 주입하면, 프레임(110)에 단자판(160)의 몸체(161)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접속편(163)에는 제 1 접속공(163a)을 관통한 틴셀와이어(150)의 타단부측이 걸리는 제 1 스토퍼(163b)가 벤딩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틴셀와이어(150)의 일단부를 우퍼(100)의 보이스코일(133)에 접속하고, 틴셀와이어(150)의 타단부측을 제 1 접속공(163a)에 삽입한 다음, 틴셀와이어(150)의 타단 부를 제 1 스토퍼(163b)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틴셀와이어(150)의 타단부측을 제 1 접속공(163a)에 납땜한다. 즉, 틴셀와이어(150)를 설정된 길이로 커팅한 다음, 틴셀와이어(150)의 타단부를 제 1 스토퍼(163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 1 접속공(163a)에 납땜하므로, 틴셀와이어(150)는 항상 일정한 부위가 단자판(160)에 납땜 접속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 도 4a에 도시된 단자판이 설치된 것을 보인 하면 사시도로서, 도 4b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a)에는 단자판(160)의 제 2 접속편(165)의 제 2 접속공(165a)을 관통한 코드(250)의 타단부가 걸리는 제 2 스토퍼(110aa)가 돌출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드(250)의 일단부를 트위터(200)의 보이스코일(235)에 접속하고, 코드(250)의 타단부측을 제 2 접속공(165a)에 삽입한 다음, 코드(250)의 타단부를 제 2 스토퍼(110a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코드(250)의 타단부측을 제 2 접속공(165a)에 납땜한다. 즉, 코드(250)를 설정된 길이로 커팅한 다음, 코드(250)의 타단부를 제 2 스토퍼(110a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 2 접속공(165a)에 납땜하므로, 코드(250)는 항상 일정한 부위가 단자판(160)에 납땜 접속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판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4b에 도시된 프레임에 도 6a에 도시된 단자판이 설치된 것을 보인 하면 사시도로서, 도 4a 및 도 4b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판(160a)의 제 1 및 제 2 접속편(163,165)에는 제 1 및 제 2 스토퍼(163b,165b)가 각각 벤딩 형성된다. 제 1 스토퍼(163b)에는 전술한 틴셀와이어(150)의 타단부측이 접촉되어 걸리고, 제 2 스토퍼(165b)에는 전술한 코드(250)의 타단부측이 접촉되어 걸린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스피커는 프레임에 함몰되어 일체로 형성된 단자판의 몸체의 측면 및 일단부측에 제 1 및 제 2 접속편이 연장 형성되어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 1 및 제 2 접속편에 틴셀와이어 및 코드가 각각 접속된다. 즉, 틴셀와이어 및 코드가 각각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접속편이 단자판에 별도로 연장 형성되므로, 틴셀와이어 및 코드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공정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적정 길이로 커팅된 틴셀와이어의 단부측을 제 1 접속공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틴셀와이어 단부를 제 1 스토퍼에 접촉시킨 후, 틴셀와이어를 제 1 접속공에 납땜한다. 또한, 적정 길이로 커팅된 코드의 단부측을 제 2 접속공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코드의 단부를 단자판의 제 2 스토퍼 또는 프레임의 제 2 스토퍼에 접촉시킨 후, 코드를 제 2 접속공에 납땜한다. 따라서, 폐기되는 틴셀와이어 및 코드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5)

  1. 프레임, 자기회로부와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진동부를 가지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우퍼(Woofer), 자기회로부와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진동부를 가지면서 상기 우퍼와 동축상에 위치된 트위터(Tweeter), 상기 우퍼와 상기 트위터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우퍼의 보이스코일과 상기 트위터의 보이스코일이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단자판을 구비하는 동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상기 프레임에 함몰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우퍼의 보이스코일과 접속된 틴셀와이어가 삽입 접속되는 제 1 접속공이 형성된 제 1 접속편; 상기 제 1 접속편에서 벤딩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속공을 관통한 상기 틴셀와이어의 단부가 걸리는 제 1 스토퍼;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트위터의 보이스코일과 접속된 코드가 삽입 접속되는 제 2 접속공이 형성된 제 2 접속편; 상기 제 2 접속편에서 벤딩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속공을 관통한 상기 코드의 단부가 걸리는 제 2 스토퍼;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의 전원측이 접속되는 제 3 접속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스피커.
  2. 프레임, 자기회로부와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진동부를 가지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우퍼(Woofer), 자기회로부와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진동부를 가지면서 상기 우퍼와 동축상에 위치된 트위터(Tweeter), 상기 우퍼와 상기 트위터를 동축상에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우퍼의 보이스코일과 상기 트위터의 보이스코일이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단자판을 구비하는 동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상기 프레임에 함몰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우퍼의 보이스코일과 접속된 틴셀와이어가 삽입 접속되는 제 1 접속공이 형성된 제 1 접속편; 상기 제 1 접속편에서 벤딩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속공을 관통한 상기 틴셀와이어의 단부가 걸리는 제 1 스토퍼;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트위터의 보이스코일과 접속된 코드가 삽입 접속되는 제 2 접속공이 형성된 제 2 접속편;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의 전원측이 접속되는 제 3 접속편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 2 접속공을 관통한 상기 코드의 단부가 걸리는 제 2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스피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출물이고,
    상기 단자판의 몸체는 사출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스피커.
  4. 삭제
  5. 삭제
KR1020070134117A 2007-12-20 2007-12-20 동축 스피커 KR10091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17A KR100910621B1 (ko) 2007-12-20 2007-12-20 동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17A KR100910621B1 (ko) 2007-12-20 2007-12-20 동축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538A KR20090066538A (ko) 2009-06-24
KR100910621B1 true KR100910621B1 (ko) 2009-08-04

Family

ID=4099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117A KR100910621B1 (ko) 2007-12-20 2007-12-20 동축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562B1 (ko) * 2010-12-30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KR101278418B1 (ko) * 2011-08-23 2013-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US8803373B2 (en) * 2011-12-05 2014-08-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CN215121172U (zh) * 2020-05-28 2021-12-10 富电电子 微型扬声器及双路式微型扬声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9497A (ja) * 1992-10-28 1994-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20020045483A (ko) 2000-12-08 2002-06-19 이형도 마이크로 스피커
KR20050043158A (ko) * 2003-11-05 2005-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피커 및 이에 사용되는 접점용 스프링의 제조방법
KR20060018439A (ko) 2004-08-24 2006-03-02 에스텍 주식회사 동축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9497A (ja) * 1992-10-28 1994-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20020045483A (ko) 2000-12-08 2002-06-19 이형도 마이크로 스피커
KR20050043158A (ko) * 2003-11-05 2005-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피커 및 이에 사용되는 접점용 스프링의 제조방법
KR20060018439A (ko) 2004-08-24 2006-03-02 에스텍 주식회사 동축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538A (ko)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0867B2 (ja) スピーカー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スピーカー
CN109495819B (zh) 发声装置和耳机
KR101116307B1 (ko) 슬림형 스피커
CN104185124A (zh) 一种具有改良焊接结构的微型扬声器
KR101381255B1 (ko) 하이브리드 마이크로스피커
KR100910621B1 (ko) 동축 스피커
CN203691624U (zh) 扬声器
KR101150508B1 (ko)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
KR20080092711A (ko) 스피커용 단자판 및 스피커용 틴셀와이어의 접속 방법
KR101222416B1 (ko) 듀얼 서스펜션 스피커
JP2015080064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1017070B1 (ko) 스피커
CN107396264B (zh) 扬声器
KR101061284B1 (ko) 슬림형 스피커
KR100987464B1 (ko) 지향성 스피커
KR101024035B1 (ko) 스피커
KR20090068737A (ko) 스피커
KR101330112B1 (ko) 다이나믹 리시버
CN203708472U (zh) 发声器件
KR101035183B1 (ko) 동축 스피커
KR101498454B1 (ko) 스피커
KR101017069B1 (ko) 스피커
KR20100126014A (ko) 스피커
KR20150075816A (ko) 마이크로스피커의 터미널 구조
KR101389664B1 (ko) 고출력 및 고음질의 전자음향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