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356B1 -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356B1
KR101340356B1 KR1020120028262A KR20120028262A KR101340356B1 KR 101340356 B1 KR101340356 B1 KR 101340356B1 KR 1020120028262 A KR1020120028262 A KR 1020120028262A KR 20120028262 A KR20120028262 A KR 20120028262A KR 101340356 B1 KR101340356 B1 KR 10134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arbon nanotube
carbon nanotubes
silica
v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601A (ko
Inventor
홍순형
남동훈
이동주
김재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2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356B1/ko
Priority to PCT/KR2013/002241 priority patent/WO2013141570A1/ko
Publication of KR2013010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원은 금속 기지(matrix), 및 상기 금속 상에 분산된 실리카-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CARBON NANOTUBE/METAL NANOCOMPOSITE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원은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주조 공정에 의한 상기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로 이루어진 수에서 수십 nm 의 직경을 가지는 튜브 형태의 나노소재이다.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강도, 및 높은 탄성계수 등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며, 또한 낮은 밀도, 및 높은 장대비 등의 우수한 특성이 추가로 밝혀짐에 따라, 탄소나노튜브를 고분자 및 금속 기지(matrix) 복합소재의 강화재와 같은 구조용 소재분야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에 있어, 주로 탄소나노튜브와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소결하는 분말야금 공정이 주로 이용되었다. 다만, 주조 공정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는 경우, 탄소나노튜브가 산화되는 문제, 탄소나노튜브가 액상의 금속과 반응하여 탄화물을 생성하는 문제(C.F. Deng et al., MSE A, 444, pp.138, 2007), 및 탄소나노튜브의 밀도(약 2 g/cm3)가 대부분의 금속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탄소나노튜브를 금속 기지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어려운 문제 등이 존재한다.
탄소나노튜브는 400℃ 이상의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탄소나노튜브가 액상의 금속과 반응하여 탄화물이 되거나, 또는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면 기존의 탄소나노튜브가 가지고 있던 우수한 특성이 사라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기계적 특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금속 기지(matrix), 및 상기 금속 상에 분산된 실리카-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주조 공정에 의해 상기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금속 기지(matrix), 및 상기 금속 상에 분산된 실리카-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은 Al, Cu, Fe, Li, Be, Sc, V, Mn, Ga, Ge, Y, Ru, Rh, Cd, In, Sn, Sb, Pb, Co, Ni, Sn, Cr, Mg, Zn, Ti, Zr, Hf, V, Nb, Ta, Mo, W, Ag, Pt, Au, P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카-코팅된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실리카를 약 10 vol% 내지 약 90 vol%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는 상기 금속을 약 0.1 wt% 내지 약 50 wt%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탄소나노튜브를 실리카로 코팅하여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금속 용액과 혼합하여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는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키고, 상기 용매에 실리카 염을 첨가하여 졸겔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는 상기 실리카를 약 10 vol% 내지 약 90 vol%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용액은 Al, Cu, Fe, Li, Be, Sc, V, Mn, Ga, Ge, Y, Ru, Rh, Cd, In, Sn, Sb, Pb, Co, Ni, Sn, Cr, Mg, Zn, Si, Ti, Zr, Hf, V, Nb, Ta, Mo, W, Ag, Pt, Au, P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는 상기 금속을 약 0.1 wt% 내지 약 50 wt%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상기 금속 용액과 혼합 시 상기 탄소나노튜브 복합 구조체가 상기 금속 용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의하면,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제조 시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이용함으로써 종래 주조 공정에 의해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는 경우 발생하는 탄소나노튜브의 산화 문제, 탄소나노튜브와 액상 금속의 반응 문제, 탄소나노튜브와 금속 기지 사이의 밀도 차이에서 기인하는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탄소나노튜브의 손상이 없고 우수한 특성이 유지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실리카 코팅됨으로써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금속 상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고, 열에 대한 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으며,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고온에서도 탄소나노튜브의 우수한 특성, 예를 들어, 높은 강도, 및 높은 탄성계수 등의 기계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 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알루미늄 나노복합소재 내 탄소나노튜브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 는 본원의 일 비교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 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 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는 상기 금속을 기지(matrix) 금속으로 하고,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기지 금속 내에 분산되어 분포하는 나노복합소재를 의미한다. 상기 "기지 금속"이란 용어는 나노복합소재의 기지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종류의 금속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는 상기 금속을 기지 금속으로 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기지 금속 내에 분산되어 분포하는 나노 크기를 갖는 복합 소재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탄소나노튜브/알루미늄 나노복합소재" 란, 알루미늄을 기지 금속으로 하고,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기지 금속 내에 분산되어 분포하는 나노 크기를 갖는 복합 소재를 의미한다. 상기 나노 크기란 약 10 ㎛ 이하의 직경, 길이, 높이 또는 폭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 는 상기 실리카가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 구조체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 란,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실리카가 코팅되어 있는 복합 구조체를 의미한다.
이하, 본원의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원이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금속 기지(matrix), 및 상기 금속 상에 분산된 실리카-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탄소나노튜브를 실리카로 코팅하여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금속 용액과 혼합하여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탄소나노튜브를 실리카로 코팅하여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형성한다 (S100).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는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키고, 상기 용매에 실리카 염을 첨가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는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계열 용매, N,N-dimethylformamide (DMF), N-methylpyrrolidone(NMP) 등의 아미드 계열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예를 들어,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주입하고 초음파 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상기 실리카 염, 및 상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 내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실리카 염이 반응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실리카에 의해 코팅되어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수득하기 위하여, 상기 용액을 필터링, 세척, 건조, 및 하소하는 공정을 추가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가 공정은 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는 상기 실리카를, 예를 들어, 약 10 vol% 내지 약 90 vol%, 약 20 vol% 내지 약 80 vol%, 약 30 vol% 내지 약 70 vol%, 약 40 vol% 내지 약 60 vol%, 약 45 vol% 내지 약 55 vol%, 약 20 vol% 내지 약 90 vol%, 또는 약 10 vol% 내지 약 80 vol%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금속 용액과 혼합하여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한다 (S200).
상기 금속 용액이란, 금속을 용융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금속 용탕(molten metal)을 의미한다. 상기 금속 용액의 상기 금속은, 예를 들어, Al, Cu, Fe, Li, Be, Sc, V, Mn, Ga, Ge, Y, Ru, Rh, Cd, In, Sn, Sb, Pb, Co, Ni, Sn, Cr, Mg, Zn, Ti, Zr, Hf, V, Nb, Ta, Mo, W, Ag, Pt, Au, P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순수한 탄소나노튜브를 상기 금속 용액 상에 주입하는 경우,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금속 용액의 밀도 차이로 인해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금속 용액 상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원에서와 같이,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상기 금속 용액에 주입하는 경우,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가 상기 금속 용액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는 상기 금속을, 예를 들어, 약 0.1 wt% 내지 약 50 wt%, 약 0.5 wt% 내지 약 45 wt%, 약 1 wt% 내지 약 40 wt%, 약 5 wt% 내지 약 35 wt%, 약 10 wt% 내지 약 30 wt%, 또는 약 15 wt% 내지 약 25 wt%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는 금속 기지, 및 상기 금속 상에 분산된 실리카-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코팅된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실리카를, 예를 들어, 약 10 vol% 내지 약 90 vol%, 약 20 vol% 내지 약 80 vol%, 약 30 vol% 내지 약 70 vol%, 약 40 vol% 내지 약 60 vol%, 약 45 vol% 내지 약 55 vol%, 약 20 vol% 내지 약 90 vol%, 또는 약 10 vol% 내지 약 80 vol%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은 Al, Cu, Fe, Li, Be, Sc, V, Mn, Ga, Ge, Y, Ru, Rh, Cd, In, Sn, Sb, Pb, Co, Ni, Sn, Cr, Mg, Zn, Ti, Zr, Hf, V, Nb, Ta, Mo, W, Ag, Pt, Au, P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는 상기 금속을, 예를 들어, 약 0.1 wt% 내지 약 50 wt%, 약 0.5 wt% 내지 약 45 wt%, 약 1 wt% 내지 약 40 wt%, 약 5 wt% 내지 약 35 wt%, 약 10 wt% 내지 약 30 wt%, 또는 약 15 wt% 내지 약 25 wt%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실리카 코팅됨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금속 사이의 밀도차이를 극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금속 상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실리카 코팅됨에 따라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고온에서도 탄소나노튜브의 우수한 특성, 예를 들어 높은 강도, 및 높은 탄성계수 등의 기계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직경 20 nm 길이 10 ㎛ 내지 20 ㎛ 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순도 99.9% 의 알루미늄을 준비하였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500 mg 을 1000 ml 의 에탄올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후 50 ml 의 실리카(tetraethyl orthosilcate)염을 첨가하였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실리카염 용액에 소량의 물과 암모니아수를 첨가하고 70℃ 로 가열하고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용액을 필터링하고 건조시긴 후, 약 300℃ 에서 약 1 시간 동안 공기 중에서 가열하여 실리카가 코팅된 복합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제조된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구조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실리카가 탄소나노튜브에 균일하게 코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2 참조).
제조된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구조체 1 g 을 50 g 의 알루미늄 용액에 넣고, 이를 교반한 후 응고시켜 탄소나노튜브/알루미늄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복합소재 내의 탄소나노튜브를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탄소나노튜브가 알루미늄과 반응하지 않고 실리카가 코팅된 형태로 온전히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 참조).
[비교예]
직경 20 nm, 길이 10 ㎛ 내지 20 ㎛ 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순도 99.9%의 알루미늄을 준비하였다. 실리카가 코팅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를 알루미늄 용액에 넣고 교반한 후, 응고시켜 탄소나노튜브/알루미늄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대부분의 탄소나노튜브가 알루미늄 용액 위로 떠올라 알루미늄과 혼합되지 않았고(도 4 참조),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손상되었다. 제조된 나노복합소재의 투과전자현미경에서 탄소나노튜브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원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원은 상기 구현예 및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Claims (10)

  1. 금속 기지(matrix), 및 상기 금속 상에 분산된 실리카-코팅된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Al, Cu, Fe, Li, Be, Sc, V, Mn, Ga, Ge, Y, Ru, Rh, Cd, In, Sn, Sb, Pb, Co, Ni, Sn, Cr, Mg, Zn, Ti, Zr, Hf, V, Nb, Ta, Mo, W, Ag, Pt, Au, P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코팅된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실리카를 10 vol% 내지 90 vol%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는 상기 금속을 0.1 wt% 내지 50 wt%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5.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키고, 상기 용매에 실리카 염을 첨가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실리카로 코팅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금속 용액과 혼합하여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는 상기 실리카를 10 vol% 내지 90 vol%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용액은 상기 금속은 Al, Cu, Fe, Li, Be, Sc, V, Mn, Ga, Ge, Y, Ru, Rh, Cd, In, Sn, Sb, Pb, Co, Ni, Sn, Cr, Mg, Zn, Ti, Zr, Hf, V, Nb, Ta, Mo, W, Ag, Pt, Au, P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는 상기 금속을 0.1 wt% 내지 50 wt% 포함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실리카 복합 구조체를 상기 금속 용액과 혼합 시 상기 탄소나노튜브 복합 구조체가 상기 금속 용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인,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의 제조 방법.

KR1020120028262A 2012-03-20 2012-03-20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62A KR101340356B1 (ko) 2012-03-20 2012-03-20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3/002241 WO2013141570A1 (ko) 2012-03-20 2013-03-19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262A KR101340356B1 (ko) 2012-03-20 2012-03-20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601A KR20130106601A (ko) 2013-09-30
KR101340356B1 true KR101340356B1 (ko) 2013-12-10

Family

ID=4922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262A KR101340356B1 (ko) 2012-03-20 2012-03-20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0356B1 (ko)
WO (1) WO20131415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8242A1 (en) * 2022-06-23 2023-12-28 Anna University, Chennai A method for synthesis of carbon-silica-metal composite and combination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16B1 (ko) * 2014-04-14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나노카본 강화 알루미늄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CN114974911B (zh) * 2022-06-13 2024-05-28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原位氮掺杂二氧化钒纳米片核壳结构纤维电极及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9684A1 (en) * 2001-11-20 2005-04-28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Coated fullerenes, composites and dielectrics made therefrom
KR20100024230A (ko) * 2008-08-25 2010-03-05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로 강화된 합금기지 나노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15633D0 (en) * 1999-07-05 1999-09-01 Printable Field Emitters Limit Field electron emission materials and devices
KR100599404B1 (ko) * 2003-02-25 2006-07-12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로 강화된 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US7491376B2 (en) * 2006-06-12 2009-02-17 Newcyte, Inc. Chemical derivatization of silica coated fullerenes and use of derivatized silica coated fullere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9684A1 (en) * 2001-11-20 2005-04-28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Coated fullerenes, composites and dielectrics made therefrom
KR20100024230A (ko) * 2008-08-25 2010-03-05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로 강화된 합금기지 나노복합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8242A1 (en) * 2022-06-23 2023-12-28 Anna University, Chennai A method for synthesis of carbon-silica-metal composite and combin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570A1 (ko) 2013-09-26
KR20130106601A (ko)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916B1 (ko) 나노카본 강화 알루미늄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Ma et al. Platinum‐Based Nanowires as Active Catalysts toward Oxygen Reduction Reaction: In Situ Observation of Surface‐Diffusion‐Assisted, Solid‐State Oriented Attachment
Cookson The preparation of palladium nanoparticles
KR100778094B1 (ko) 탄소나노튜브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분말 제조방법
WO2016124073A1 (zh) 核壳结构微米和纳米复合金属球形粉末的制造方法
KR20120011853A (ko)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섬유 사이징
JP2004216516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ポリマーコンポジ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15017B1 (ko) 촉매 활성을 갖는 초상자성 다공성 마이크론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40356B1 (ko)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203206A1 (en) Preparation of Metal Nanowire Decorated Carbon Allotropes
JP5077660B2 (ja) 金属粉末複合材を製造するコーティング組成物と、該金属粉末複合材によって製造された金属複合材、金属積層複合材、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CN115888729A (zh) 用于大量生产多壁碳纳米管的催化剂
Fu et al. One-dimensional magnetic nanocomposites with attapulgites as templates: growth, formation mechanism and magnetic alignment
JP7044092B2 (ja) アルミニウム/窒化ホウ素ナノチューブ複合体の製造方法
JP2023078128A (ja) 繊維状炭素ナノ構造体、繊維状炭素ナノ構造体の評価方法および表面改質繊維状炭素ナノ構造体の製造方法
Tello et al. The synthesis of hybrid nanostructures of gold nanoparticles and carbon nanotubes and their transformation to solid carbon nanorods
KR101755988B1 (ko) 나노카본 강화 알루미늄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7254886A (ja) 複合材料
Azam et al. Systematic review of catalyst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solution process: towards efficient carbon nanotube growth
JP5229936B2 (ja) 金属基複合材の製造方法及び金属基複合材
JP5888821B2 (ja) 金属ナノ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68543B2 (ja) 銅粒子構造体及び銅インク
JP2019512558A (ja) インキの製造方法、インキおよびその使用
Sahu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of carbon nanotubes functionalized with magnetic nanoparticles
KR101355993B1 (ko)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