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232B1 -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232B1
KR101340232B1 KR1020110144405A KR20110144405A KR101340232B1 KR 101340232 B1 KR101340232 B1 KR 101340232B1 KR 1020110144405 A KR1020110144405 A KR 1020110144405A KR 20110144405 A KR20110144405 A KR 20110144405A KR 101340232 B1 KR101340232 B1 KR 10134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cinic acid
emulsion
extracting
concentration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017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2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4Solvent extraction of solutions which are liquid
    • B01D11/0415Solvent extraction of solutions which are liquid in combination with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50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5/00Saturated compounds hav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5/02Dicarboxylic acids
    • C07C55/10Succinic 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세트산이 제거된 배양액으로부터 별도의 전처리 공정 없이 순수한 숙신산을 추출함으로써, 공정 단순화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기존 정제공정에 비해 친환경적이므로 환경오염방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고농도, 고수율 및 고순도로 숙신산을 추출하여 비용 대비 효율 측면에서 기존의 숙신산 생산방법에 비해 제조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 추출방법 {Extraction of succinic acid by emulsion liquid membranes}
본 발명은 순수한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숙신산을 고순도, 숙신산을 고농도로 생산할 수 있는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숙신산(HOOC(CH2)2COOH, 일명 호박산)은 디카르복시산으로 호박의 건류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산으로 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피루브산이 트리카르복시산 회로에 의해 대사되는 과정에서 생긴다. 숙신산은 화학, 식품, 의약품, 화장품, 용매 제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산업적으로 중요한 많은 종류의 화학물질 전구체로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향후 급격한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매우 중요한 기초화학물질이다. 지금까지는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숙신산은 원유를 이용한 화학적 합성법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지속적인 원유가격의 상승 및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가 증가함으로 인해 석유자원으로부터 화학적으로 숙신산을 제조하는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등 생물자원을 이용한 발효과정을 통해 생리학적으로 숙신산을 생산, 분리·정제하는 방법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기반 화학물질 생산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일환으로, 친환경적이면서 고순도의 화학물질을 고수율로 분리·정제할 수 있는 공정 개발을 위한 노력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재생가능한 원료물질을 이용하여 미생물 발효를 통한 바이오기반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경우, 숙신산과 함께 아세트산 등 다양한 대사산물들이 부산물로서 동시에 과량 생산되어 최종 발효 배양액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고순도의 숙신산을 정제하는 공정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미생물 발효 공정을 이용한 유기산 생산의 경우, 전체 생산비용의 50 - 70%를 분리·정제 공정이 차지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비록 액-액 추출, 막 분리, 반응 추출 등 다양한 종류의 숙신산 분리·정제 공정들이 현재까지 개발되었지만, 이들의 대부분은 숙신산의 수율이 낮거나 또는 순도가 매우 낮아 바이오기반 숙신산 생산을 위한 최종적인 분리·정제 공정으로서 직접 적용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기반 숙신산 생산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분리·정제 공정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숙신산은 기존 미생물 등을 이용해 추출할 경우 복잡한 생산 공정을 갖춰야 해 생산 단가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에멀젼형 액막법(emulsion liquid membrane)은 원료로부터 최종생성물을 얻기 위해 추출 및 역추출의 두 단계가 단일공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최근 바이오기반 화학물질의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업적 응용을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대사부산물인 아세트산을 제거하고 숙신산 추출률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적정한 조건을 검토하고, 기존의 숙신산 추출방법에 비해 고농도의 순수한 숙신산을 분리·정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고순도 및 고수율의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아세트산이 제거된 혼합용액으로부터 순수한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Amberlite LA-2 농도는 30-50 mmol/dm3, Na2CO3 농도는 1.0 -2.0 mol/dm3, Span 80 대 C9232의 부피비를 1로 하여 총 계면활성제 부피값이 5-7 vol% 및 Vem ,0/Vfeed ,0 = 1/6 또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mberlite LA-2 농도는 30-70 mmol/dm3, Na2CO3 농도는 1.0 -2.0 mol/dm3, Span 80 대 C9232의 부피비를 1로 하여 총 계면활성제 부피값이 5-7 vol%, Vem ,0/Vfeed ,0 = 1/6 또는 1/5 및 1-옥타놀 5-7v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한 숙신산 추출방법에 따르면, 아세트산이 제거된 배양액으로부터 별도의 전처리 공정 없이 순수한 숙신산을 추출함으로써, 공정 단순화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기존 정제공정에 비해 친환경적이므로 환경오염방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고농도, 고수율 및 고순도로 숙신산을 추출하여 비용 대비 효율 측면에서 기존의 숙신산 생산방법에 비해 제조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의 수송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H2A: 숙신산, B: 아민 추출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숙신산 추출방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숙신산 추출방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S: Span 80, C: C9232, O: 1-옥타놀)
이하, 하기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 추출방법
1. 시료 준비
탈이온수(18.2 MΩ, Simplicity, Millipore)에 숙신산 (ACS reagent, Sigma-Aldrich Co.)을 첨가하여 숙신산 농도가 40 또는 220 mmol/dm3이 되도록 외부 수용상을 준비하였다. 숙신산 추출에 있어서 외부 수용상 타입이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는 경우에는 탈이온수 대신에 HCl (EP grade, Samchun Pure Chemical Co.) 또는 NaOH(First grade, Showa Chemical Co.) 용액을 사용하였다. 내부 수용상 용액은 탄산나트륨 (First grade, Showa Chemical Co.)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탈이온수에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유기 액막상에서 추출제로는 Amberlite LA-2 (2차 아민, Merck)을 준비하고, 계면활성제로는 C9232 (폴리아민계 계면활성제; Infineum Singapore Pte. Ltd.), Span 80 (Sorbitan monooleate, Sigm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준비하고, 액막 첨가제로는 1-옥타놀 (EP grade, Yakuri Pure Chemicals Co.)을 등유(purum, Fluka)에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2. 실험기구 및 실험과정
유기 액막상에 내부 수용상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면서 균질기(high speed generator, T25, IKA Lab.)로 교반하여 유중 수형(w/o) 타입 에멀젼을 만들었다. 외부 수용상 420 cm3에 w/o 에멀젼 일정량을 분산시켰다. 4개의 수직형 배플을 가진 회분형 반응조(batch reactor) 내에서 외부 수용상 및 에멀젼을 지름 4.5 cm의 터빈 임펠러로 교반하였고 회분형 반응조에 부착된 워터 재킷을 통해 물을 흘려줌으로써 온도를 25℃로 유지하였다. 6 Hz의 교반 속도로 모든 추출을 수행하였다. 유기 액막상에 대한 내부 수용상의 초기 부피비는 1로 하였다. 유화 속도는 200 Hz로 시간은 10분으로 수행하였다. 외부 수용상은 에멀젼상으로부터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분리하였다. 실험하는 동안 시료들은 반응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취했다. 얼림과 녹임법(freezing and thawing method)으로 에멀젼을 탈유화시켜 내부 수용상을 얻었다. 외부 수용상 및 내부 수용상에서의 숙신산 농도는 HPLC (equipped with a 7.8 mm × 300 mm Supelcogel 610-H column, Supelc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상 조성은 0.1% 인산으로 하고 유속은 Waters 515 펌프를 이용하여 0.5 ml/min 속도로 컬럼을 통과시켰다. 210 nm에서 PDA 검출기 (Waters 996)를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숙신산의 머무름 시간은 약 19분이었다.
본 발명에서 숙신산의 첫 번째 운반체로 Amberlite LA-2를 이용하였다. 폴리아민 계면활성제(C9232)는 폴리알켄, 2차 및 3차 아민으로 상업적으로 만든 비스숙시니마이드(bissuccinimide)로 ELM 시스템에서 유화제뿐만 아니라 두 번째 운반체로 기능하였다. 내부 수용상으로 Na2CO3 고농축 용액를 사용한 경우 상당량의 숙신산이 농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형 액막법(ELM)을 이용하여 아세트산이 제거된 혼합용액으로부터 효율적으로 고농도의 숙신산을 얻을 수 있었다.
< 실시예 2> 초기 숙신산 농도 40 mmol / dm 3 인 경우
40 mmol/dm3의 낮은 초기 숙신산 농도로 ELM 시스템에서 수행하였다. 이때, 30 mmol/dm3의 Amberlite LA-2, 1.0 mol/dm3의 Na2CO3, Span 80 대 C9232의 부피비는 1 , 총 계면활성제 농도 5 vol%, Vem ,0/Vfeed ,0 = 1/6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숙신산을 고농도로 농축하였다.
< 실시예 3> 초기 숙신산 농도 220 mmol / dm 3 인 경우
30 mmol/dm3의 Amberlite LA-2, 1.5 mol/dm3의 Na2CO3, Span 80 대 C9232의 부피비는 1, 총 계면활성제 농도 5 vol%, Vem ,0/Vfeed ,0 = 1/6, 1-옥타놀 5vol%를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기 숙신산 농도가 고농도에서 ELM을 수행한 경우, 5-8 vol%의 1-옥타놀 및 50 mmol/dm3의 Amberlite LA-2, 2 mol/dm3의 Na2CO3 농도 및 1/5의 Vem ,0/Vfeed ,0 값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정 조건하에서 숙신산의 추출률은 93 ~ 99%이고, 농축률은 0.9 ~ 1.5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아세트산이 제거된 혼합용액으로부터 순수한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Amberlite LA-2 농도는 30-50 mmol/dm3, Na2CO3 농도는 1.0 -2.0 mol/dm3, Span 80 대 C9232의 부피비를 1로 하여 총 계면활성제 부피값이 5-7 vol% 및 Vem,0/Vfeed,0 = 1/6 또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
  3.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아세트산이 제거된 혼합용액으로부터 순수한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Amberlite LA-2 농도는 30-70 mmol/dm3, Na2CO3 농도는 1.0 -2.0 mol/dm3, Span 80 대 C9232의 부피비를 1로 하여 총 계면활성제 부피값이 5-7 vol%, Vem,0/Vfeed,0 = 1/6 또는 1/5 및 1-옥타놀 5-7v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형 액막법을 이용하여 숙신산을 추출하는 방법.
KR1020110144405A 2011-12-28 2011-12-28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 추출방법 KR10134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405A KR101340232B1 (ko) 2011-12-28 2011-12-28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405A KR101340232B1 (ko) 2011-12-28 2011-12-28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17A KR20130076017A (ko) 2013-07-08
KR101340232B1 true KR101340232B1 (ko) 2013-12-13

Family

ID=4898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405A KR101340232B1 (ko) 2011-12-28 2011-12-28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507A (ko) 2014-10-29 2016-05-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당을 정제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JOURNAL OF MEMBRANE SCIENCE *
논문:JOURNAL OF MEMBRANE SCIENCE*
논문: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Y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507A (ko) 2014-10-29 2016-05-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당을 정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17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xtraction of succinic acid from simulated media by emulsion liquid membranes
Jiao et al. A new separation method for phenolic compounds from low-temperature coal tar with urea by complex formation
CN102241606B (zh) 一种n-氰乙基苯胺的清洁生产方法
Lee et al. Development of an emulsion liquid membrane system for separation of acetic acid from succinic acid
Kaur et al. Reactive extraction for in-situ carboxylate recovery from mixed culture fermentation
CN106008413A (zh) D-泛酸钙中间体d,l-泛解酸内酯的环保合成方法
CN216273519U (zh) 用于akd生产的三乙胺盐酸盐废水预处理装置
CN107434769B (zh) 一种rt培司生产除盐方法
Liu et al. Extrac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amide-based deep eutectic solvents for carboxylic acid: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and a mini-pilot study
KR101340232B1 (ko) 에멀젼형 액막법에 의한 숙신산 추출방법
US9102589B2 (en) Reactive distillatio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cetaminophen
KR20130057540A (ko) 젖산의 정제 방법
CN104692566B (zh) 一种芳基三唑啉酮高盐废水的处理方法
CN103508870A (zh) 一种uv-531的清洁合成方法
CN110922417A (zh) 一种头孢氨苄结晶母液回收方法
CN103073499B (zh) 一种萃取法制备铼离子液体的方法
CN113024411B (zh) 三甲苯草酮的制备方法
CN105294428B (zh) 一种2‑金刚烷甲酸和1‑金刚烷甲醇的分离提纯方法
CN104860863B (zh) 左乙拉西坦和含其的药物组合物
CN112430182A (zh) 一种原位羰基化法直通液体苯乙酸钠的合成方法及应用
CN207775121U (zh) 一种酰胺油净化装置
CN104016884A (zh) 一种杯芳烃衍生物的合成方法
CN111733192B (zh) 一种由肉桂醛制备肉桂酸的新型酶催化方法及应用
CN103449975A (zh) 从对叔丁基卤代苯合成间叔丁基苯酚的方法
CN103373941B (zh) 瑞替加滨及其中间体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