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961B1 -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 - Google Patents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961B1
KR101339961B1 KR1020120006104A KR20120006104A KR101339961B1 KR 101339961 B1 KR101339961 B1 KR 101339961B1 KR 1020120006104 A KR1020120006104 A KR 1020120006104A KR 20120006104 A KR20120006104 A KR 20120006104A KR 101339961 B1 KR101339961 B1 KR 10133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s
nfpa
toroid
adjacent
ch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158A (ko
Inventor
김정호
조창현
김종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0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9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적층 집적회로소자의 토로이드를 개시한다. 토로이드는 2층 내지 4층의 칩들을 관통하고, 관통비아의 둘레에 근접해서 배열된 n개의 근접관통비아(NTSV)들과, 2층 내지 4층의 칩들을 관통하고, 관통비아의 둘레에 원접해서 배열된 n개의 원접관통비아(FTSV)들을 포함한다. 또한 4층의 칩 표면상에 형성되고,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들 중 서로 대응하는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 쌍(NFPA)들 각각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n개의 제1표면 배선패턴들과, 2층의 칩 표면상에 형성되고,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 쌍(NFPA)들 중 서로 인접하는 쌍들(NFPA i-1)(NFPA i)(NFPA i+1) 중 어느 한 쌍(NFPA i)의 근접관통비아와 다른 한 쌍(NFPA i-1)의 원접관통비아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어느 한 쌍(NFPA i)의 원접관통비아와 또 다른 한 쌍(NFPA i+1)의 근접관통비아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n-1 개의 제2표면 배선패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로이드는 관통비아 둘레에 작은 크기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적층 집적회로소자에서 관통비아를 통해 흐르는 전류측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Embedded Toroid and Method Manufacturing thereof, and Stack Integral Circuit Device}
본 발명은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칩들을 적층한 3차원 집적회로소자의 관통비아(TSV ; Through Silicon Via)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육과학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재)스마트 IT 융합 시스템이 주관기관인 과제고유번호: 2011-0031863, 연구사업명: 글로벌프론티어사업(스마트 IT 융합시스템 연구), 연구과제명: "실리콘기반 3차원 IC 플랫폼" 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IT 기기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 추세에 따라 대용량 메모리 및 고성능 IC가 요구되고 있으므로, 더 이상의 집적화와 고성능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어려운 기존 2D 패키지의 기술적 한계를 넘어 eWLP(Embedded Wafer Level Package), C2C/C2W 본딩을 통한 이종의 디바이스들(Memory, Analogue, Logic IC 등)을 융합하여 3D 패키지 제품의 통합화가 진행되고 있다.
3D 패키징은 수직적 연결을 통한 고집적화, 저전력화의 장점을 통한 2 차원 반도체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동종 디바이스의 수직 배열 구조의 복합 메모리모듈 적용을 넘어, 최근에는 Si-interposer 기술을 병행하여 이종 디바이스의 수직연결을 통한 고집적화, 다기능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기술인 융복합 패키지 기술의 성공적 개발을 위해서는 높은 집적도와 성능을 위한 많은 기술 및 장비가 개발되어야 하며, 대표적인 해결과제로 공정적인 측면으로 본딩, 몰딩, 검사 등의 공정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높은 생산성이 확보된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다.
적층 집적회로소자는 복수의 칩들 각각의 표면과 이면을 관통하는 접속용 전극구조를 만들고 칩들을 입체적으로 적층시켜 조립하는 3차원 실장기술로 패키징된다. 따라서 와이어 본딩을 사용하지 않고 칩 사이를 최단거리로 접속하기 때문에 고밀도 고성능 반도체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3D 패키징 제품의 조립 실장과정에서 제품의 불량 테스트가 필연적이다. 즉 실리콘 관통 비아를 이용한 패키징 방법은 인터커넥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를 웨이퍼 상태에서 해당 관통 비아를 형성시키는 프론트 엔드 프로세스(Front-end Process)를 거친 이후, 수직 인터커넥션(Vertical Interconnection) 대상이 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웨이퍼 또는 칩을 본딩해야 하는 일련의 백 엔드 어셈블리 프로세스(Back-end Assembly Process)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공정 과정에서 실리콘 관통비아 자체의 불량 및 본딩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불량을 검출하고 해당 불량을 리페어 하는 기술은 상기 불량에 의한 수율 저하 및 원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중요 요소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장비들로는 액티브 커런트 프로브와 근접 센서방식 등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액티브 커런트 프로브(Active Current Probe) 경우엔 프로브가 감쌀 수 있는 선이 PCB 밖으로 인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테스트를 위한 추가적인 측정환경 변화가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측정환경 변화는 기생 인덕턴스와 저항을 야기하기 때문에 전류 패스에 영향을 주게 되어 파형을 왜곡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근접센서(near-field sensor) 경우에는 전류의 흐름을 감지할 수는 있지만 수많은 전류 패스 중 정확히 어디로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는 것이 어렵고, 정확한 전류 값을 얻어내는 것이 어렵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 집적회로소자에 형성되는 관통비아 둘레에 임베디드 타입으로 형성되어 테스트 시 관통비아에 흐르는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토로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토로이드를 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비아들 각각에 임베디드된 토로이드를 갖는 적층 집적회로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토로이드는 적층된 칩들을 관통한 관통비아(TSV)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토로이드는 복수의 근접및 원접관통비아들, 제1및 제2표면배선패턴들 및 테스트 단자를 포함한다.
n개의 근접관통비아(NTSV)들은 관통비아(TSV)에 근접해서 배열되고, n개의 원접관통비아(FTSV)들은 관통비아(TSV)의 둘레에 원접해서 배열된다. n개의 제1표면 배선패턴들은 적층된 복수의 칩들 중 어느 하나의 칩 표면상에 형성되고,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들 중 서로 대응하는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 쌍(NFPA)들 각각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n-1 개의 제2표면 배선패턴들은 적층된 복수의 칩들 중 다른 하나의 칩 표면상에 형성되고,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 쌍(NFPA)들 중 서로 인접하는 쌍들(NFPA i-1)(NFPA i)(NFPA i+1) 중 어느 한 쌍(NFPA i)의 근접관통비아와 다른 한 쌍(NFPA i-1)의 원접관통비아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어느 한 쌍(NFPA i)의 원접관통비아와 또 다른 한 쌍(NFPA i+1)의 근접관통비아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테스트 단자는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 쌍(NFPA)들 중 첫 번째 쌍(NFPA1)와 최종 번째 쌍(NFNAn)들 중 제1표면 배선패턴만 연결된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칩들 중 최상위 칩 표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 쌍(NFPA)들 중 첫 번째와 최종 번째 쌍들 중 제1표면 배선패턴만 연결된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들 중 다른 하나는 관통비아(TSV)의 일단과 공통으로 그라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토로이드 제조방법은 적층된 복수의 칩들을 관통한 관통비아와 상기 관통비아의 둘레에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들을 동시에 형성하고, 적층된 복수의 칩들 중 어느 하나의 칩 표면상에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들 중 서로 대응하는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 쌍(NFPA)들 각각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n개의 제1표면 배선패턴들을 형성한다. 이어서, 적층된 복수의 칩들 중 다른 하나의 칩 표면상에 n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 쌍들 중 서로 인접하는 쌍들 중 어느 한 쌍(NFPA i)의 근접관통비아와 다른 한 쌍(NFPA i-1)의 원접관통비아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어느 한 쌍의 원접관통비아와 또 다른 한 쌍(NFPA i+1)의 근접관통비아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n-1 개의 제2표면 배선패턴들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적층 집적회로소자는 실리콘 인터포저와, 실리콘 인터포저의 제1표면 상에 적층된 복수의 칩들과, 복수의 칩들을 관통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비아들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비아를 중심축으로 하여 그 둘레에 배치되어 관통비아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토로이드와, 토로이드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테스트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드는 적층된 칩들을 관통한 관통비아 둘레의 작은 공간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설계 디자인 변경만으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집적회로소자의 적층된 칩들 내부에서 실제 관통비아 둘레를 직접 감싸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제조과정이나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조립과정에서 제품 불량을 체크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집적회로소자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임베디드 토로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임베디드 토로이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순서도.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집적회로소자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적층 집적회로소자(10)는 실리콘 인터포저(11) 상에 4개의 칩들(12)을 적층하고, 칩들을 표면에서 이면까지 관통한 관통비아들(13)을 통하여 칩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절연물질(17)로 몰딩한 것이다. 각 칩에 형성된 관통비아(13)들은 범프전극(14)을 솔더 본딩한다. 칩과 칩 사이에는 언더 필(Under Fill) 수지로 충진된다. 관통비아(13)들 각각의 둘레에는 토로이드(100)가 형성된다. .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임베디드 토로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층의 칩들이 트로이드(100)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토로이드(100)는 4개의 근접관통비아들(NTSV1~NTSV4), 4개의 원접관통비아들(FTSV1~FTSV4), 4개의 상부배선패턴들(TWP1~TWP4), 3개의 하부배선패턴들(BWP1~BWP3), 테스트 단자(PORT2)를 포함한다.
관통비아(TSV)는 1층 내지 5층의 칩들(110, 120, 130, 140, 150)에 각각 형성된 칩 관통비아(111, 121, 131, 141, 151)들을 수직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4개의 근접관통비아들(NTSV1~NTSV4), 4개의 원접관통비아들(FTSV1~FTSV4)은 2층 내지 제4층 칩들(120, 130, 140)에 형성된다. 근접관통비아들(NTSV1~NTSV4)은 관통비아(TSV)의 둘레에 근접해서 배열되고 원접관통비아들(FTSV1~FTSV4)은 근접관통비아들(NTSV1~NTSV4) 보다 더 멀리 떨어진 둘레에 배열된다. 즉 관통비아(TSV)를 중심축으로 하여 동심원상에 배열된다. 근접관통비아들(NTSV1~NTSV4) 및 원접관통비아들(FTSV1~FTSV4)들의 직경은 관통비아(TSV)의 직경 보다 작게 대략 5 내지 50㎛ 로 형성된다. 4개의 근접관통비아들(NTSV1~NTSV4), 4개의 원접관통비아들(FTSV1~FTSV4)은 각각 대응하여 4개의 쌍(NFPA1~NFPA4)을 이룬다.
근접관통비아(NTSV2, NTSV4)는 각각 칩 근접관통비아(122, 132, 142)(123. 133. 143)를 수직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원접관통비아(FTSV2, FTSV4)는 각각 칩 원접관통비아(124, 134, 144)(125. 135. 145)를 수직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근접관통비아(NTSV1)와 원접관통비아(FTSV1)의 쌍(NFPA1)은 상단부가 상부배선패턴(TWP1)으로 상호 연결되고, 근접관통비아(NTSV2)와 원접관통비아(FTSV2)의 쌍(NFPA2)은 상단부가 상부배선패턴(TWP2)으로 상호 연결되고, 근접관통비아(NTSV3)와 원접관통비아(FTSV3)의 쌍(NFPA3)은 상단부가 상부배선패턴(TWP3)으로 상호 연결되고, 근접관통비아(NTSV4)와 원접관통비아(FTSV4)의 쌍(NFPA4)은 상단부가 상부배선패턴(TWP4)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근접관통비아(NTSV2)와 원접관통비아(FTSV1)는 하단부가 하부배선패턴(BWP1)으로 상호 연결되고, 근접관통비아(NTSV3)와 원접관통비아(FTSV2)는 하단부가 하부배선패턴(BWP2)으로 상호 연결되고, 근접관통비아(NTSV4)와 원접관통비아(FTSV3)는 하단부가 하부배선패턴(BWP3)으로 상호 연결된다.
4개의 상부배선패턴들(TWP1~TWP4)은 4층 칩(140)의 표면 배선층과 동시에 형성된다. 3개의 하부배선패턴들(BWP1~BWP3)은 1층 칩(110)의 표면 배선층과 동시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근접관통비아들(NTSV1~NTSV4) 및 원접관통비아들(FTSV1~FTSV4)은 상부 및 하부배선패턴들(TWP1~TWP4)(BWP1~BWP3)에 의해 지그재그형태로 직렬로 연결되어 서로 하나의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토로이드 구조를 갖추게 된다.
테스트 단자(PORT1)는 5층 칩(150)의 표면 배선층에 형성되어 관통비아(TSV)의 상단에 연결되고, 테스트 단자(PORT2)는 원접관통비아(FTSV4)에 연결된다. 관통비아(TSV)와 근접관통비아(NTSV1)의 하단부는 각각 접지되거나 공통 접지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비아(TSV)에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전류가 흐르면 관통비아(TSV) 주변에 암페어의 오른나사의 법칙에 따라 자기장이 시게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로이드(100) 내부 공간에는 반시계방향인 자기장 화살표 방향(굵은 이점쇄선으로 표시)으로 자기장이 유도되므로 토로이드(100)에는 전류 화살표 방향(가는 점선으로 표시)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토로이드(10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흐름은 접지 - NTSV1 - TWP1 - FTSV1 - BWP1 - NTSV2 - TWP2 - FTSV2 - BWP2 - NTSV3 - TWP3 - FTSV3 - BWP3 - NTSV4 - TWP4 - FTSV4 - PORT2로 이루어진다. 관통비아(TSV)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되면 토로이드(100)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도 상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생성된다.
그러므로 테스트 과정에서 피측정 관통비아(TSV)의 양측에 실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테스트단자(PORT1)는 50Ω 터미네이션 하고 테스트 단자(PORT2)에서 측정되는 전압 파형을 FFT (Fast Fourier Transform)를 통해 전압 스펙트럼을 얻은 후에 테스트단자(PORT1) 및 테스트단자(PORT2) 사이의 임피던스 스펙트럼으로 나눠주게 되면 PORT1에 흐르는 전류의 스펙트럼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를 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시킴으로써, 처음에 흘렀던 전류의 파형을 정확히 복원해낼 수 있다.
그러므로 관통비아에 토로이드가 밀결합되므로 더 많은 전자기적 커플링을 유도해 낼 수 있고 더 정확한 임피던스 스펙트럼을 얻게 해주며, 이는 곧 정확한 전류 예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피치를 줄여 코일 턴 수를 늘릴 수도 있고 단면적을 더 넓게 만들어 커플링 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임베디드 토로이드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5층의 칩들(110, 120, 130, 140, 150) 각각의 실리콘 기판에 비아 홀을 형성한다(S102). 비아 홀은 칩 관통비아 홀, 칩 근접관통비아 홀, 칩 원접관통비아 홀를 모두 포함한다. 비아 홀은 트랜지스터를 형성한 후 금속배선을 형성하기 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칩의 비아 홀 내부에 절연막인 산화실리콘라이너를 형성하고 금속 장벽층을 형성한다. 이 비아 홀 내부에 구리 전해도금법으로 관통비아(TSV), 근접관통비아(NTSV) 및 원접관통비아(FTSV)를 동시에 형성한다(S104). 제1층의 칩(110)의 표면 배선층과 동시에 하부배선패턴(BWP1~BWP3)을 형성하고(S106), 제4층의 칩(140)의 표면 배선층과 동시에 상부배선패턴(TWP1~TWP4)을 형성하고(S108), 제5층의 칩(150)의 표면 배선층과 동시에 테스트 단자(PORT1~PORT2)를 형성한다(S110). 이어서 실리콘 인터포저(11) 상에 칩들(110, 120, 130, 140, 150)을 순차적으로 범프 본딩으로 적층시켜 상호 연결한다(S112). 이 상호 연결에 의해 관통비아(TSV) 둘레에 토로이드(100)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적층된 칩들을 절연재료로 덮어서 몰딩 처리한다(S11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적층 집적회로소자의 적층 칩들에 관통비아와 함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를 동시에 형성하고 이들을 지그재그형태로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토로이드 구조를 관통비아(TSV) 주변에 밀접하게 유도 결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4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들의 수를 제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피치를 조정하여 턴수를 증가하거나 근접관통비아와 원접관통비아의 사이간격을 조정하여 토로이드의 단면적을 넓힐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토로이드를 구성하는 제1배선패턴들은 일직선으로 하고 제2배선패턴들은 사선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반대로 하거나 모두 일직선으로 하고 수평패턴으로 상호 연결하거나 크랭크 패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4개의 근접 및 원접관통비아들의 수를 제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피치를 조정하여 턴수를 증가하거나 근접관통비아와 원접관통비아의 사이간격을 조정하여 토로이드의 단면적을 넓힐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로이달 코일을 구성하는 제1금속배선패턴들은 일직선으로 하고 제2금속배선패턴들은 사선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반대로 하거나 모두 일직선으로 하고 수평패턴으로 상호 연결하거나 크랭크 패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실리콘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적층 집적회로소자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특히 3차원 패키징 제품의 테스트 장비 및 시스템 등에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표면과 제2표면을 가진 실리콘 인터포저;
    상기 실리콘 인터포저의 제1표면 상에 적층된 복수의 칩들;
    상기 복수의 칩들을 관통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비아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비아를 중심축으로 하여 그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비아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토로이드; 및
    상기 토로이드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테스트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집적회로소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06104A 2012-01-19 2012-01-19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 KR10133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104A KR101339961B1 (ko) 2012-01-19 2012-01-19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104A KR101339961B1 (ko) 2012-01-19 2012-01-19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158A KR20130085158A (ko) 2013-07-29
KR101339961B1 true KR101339961B1 (ko) 2013-12-10

Family

ID=4899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104A KR101339961B1 (ko) 2012-01-19 2012-01-19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9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57A (ko) * 2004-04-20 2005-10-2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적층 비아 체인 테스트 패턴 그룹
KR20110016715A (ko) * 2009-08-12 2011-02-18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의 테스트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857A (ko) * 2004-04-20 2005-10-2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적층 비아 체인 테스트 패턴 그룹
KR20110016715A (ko) * 2009-08-12 2011-02-18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의 테스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158A (ko) 201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8729B2 (en) Stacked device assembly with integrated coil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8525349B2 (en) Semiconductor device packages stacked together having a redistribution layer
CN103222050B (zh) 用于ic器件的止裂通孔
KR101127478B1 (ko) 관통 실리콘 비아를 이용한 전류 측정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류 측정 회로
CN107527882A (zh) 半导体封装和其制造方法
US7977801B2 (en) Integrated circuit chip component, multi-chip module, their integration structure, and their fabrication method
US10062668B2 (en) Semiconductor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testing features and corresponding packaging method
US855254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US20180122772A1 (en) Semiconductor packages
CN104779238B (zh) 一种晶圆接合质量的检测结构及检测方法
US20120168964A1 (en) Probe Card and Method of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11869818B2 (en) Chip-stacked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975541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tsv 구조 및 그 테스트 방법
US9502378B1 (en) Printed circuit boards having blind vias, method of testing electric current flowing through blind via there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packages including the same
KR101354635B1 (ko) 임베디드 토로이달 코일 및 그 제조방법과 다층인쇄회로기판
CN110531125B (zh) 空间转换器、探针卡及其制造方法
KR101497608B1 (ko) 반도체 테스트 소켓 및 수직형 피치 컨버터 제조방법
KR101339961B1 (ko)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적층 집적회로소자
TWI555101B (zh) 封裝結構及其製法
CN113053772A (zh) 用于封装后硅通孔叠层芯片的测试结构
US9069015B2 (en) Interface board of a testing head for a test equipment of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probe head
KR20130085156A (ko) 임베디드 토로이드 및 그 제조방법과 실리콘 인터포저
JP4699953B2 (ja)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US20130134421A1 (en) Semiconductor chip having plural penetrating electrodes that penetrate therethrough
CN104299959A (zh) 倒装芯片的测试结构、倒装芯片和倒装芯片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