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308B1 -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 - Google Patents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308B1
KR101339308B1 KR1020120019873A KR20120019873A KR101339308B1 KR 101339308 B1 KR101339308 B1 KR 101339308B1 KR 1020120019873 A KR1020120019873 A KR 1020120019873A KR 20120019873 A KR20120019873 A KR 20120019873A KR 101339308 B1 KR101339308 B1 KR 101339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rive shaft
power transmission
intermediate connec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756A (ko
Inventor
정혜영
Original Assignee
정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영 filed Critical 정혜영
Publication of KR2012012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은 내부가 빈 중공축(hollow shaft) 구조의 제공으로 장치의 경량화가 도모되어 장치 사용자의 작업 피로도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연결체와; 중간 연결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전단 연결체 및; 중간 연결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후단 연결체를 포함하되,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이 중공형 관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제조방법은 인발에 의해 파이프를 성형하는 파이프 성형단계와; 설정된 길이만큼 파이프를 절단하여 중간 연결체를 형성시키는 중간 연결체 형성단계와; 중간 연결체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전단 연결체와 후단 연결체를 구비하고, 중간 연결체에 전단 연결체와 후단 연결체를 결합시켜 구동축을 형성시키는 구동축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A hollow drive shaft for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내부가 빈 중공축(hollow shaft) 구조의 제공으로 구동축이 사용되는 회전기계의 경량화가 도모되어 회전기계 사용자의 작업 피로도가 절감될 수 있는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와 같은 수지식 회전기계는 구동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와 연결되는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잡초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예초기는 등에 지는 동력원으로부터 지면 상의 절단기구(커터)까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구동축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예초기의 구동축은 환봉 소재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예초기의 구동축과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22326호 " 포터블 작업기계용 구동축", 등록번호 제10-0421473-호 "예취기 구동축의 제작방법" 등이 안출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축을 이루는 환봉은 내부가 비어있지 않는 중실축 구조로서, 외경인 7~8mm, 길이가 1500mm정도 임에 따라, 무게가 453그램 이상 나가게 된다.
또한, 동력원과 절단기구(커터) 사이에서 길이가 긴 구동축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모멘트의 크기가 커져 예초기와 같은 회전기계의 사용자는 무게감을 많이 느끼게 되고, 이로써 작업 피로감을 많이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22326호 " 포터블 작업기계용 구동축"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21473-호 "예취기 구동축의 제작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중공형 관체 구조의 제공으로, 예초기와 같은 회전기계의 무게가 경감되어 회전기계 사용자의 작업 피로도가 절감되고, 소재를 절약하여 경제성도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로 분리되어 결합되는 구조의 제공으로, 액추에이터와 회전기계가 구동축과 연결되는 부위의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가 서로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되어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가 결합부위에 도포되는 혐기성 접착제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됨에 따라, 진동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면서 원활하게 동력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연결체와; 상기 중간 연결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전단 연결체 및; 상기 중간 연결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후단 연결체를 포함하되,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이 중공형 관체로 이루어지는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서 서로 결합되는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의 끝단부는 수나사형 결합단과 암나사형 결합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가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서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는 서로 대응하는 수나사형 결합단과 암나사형 결합단의 결합면에 도포되는 접착물질에 의해 일체를 이루어 진동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서 상기 접착물질은 혐기성 접착제(anaerobic adhesiv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서 상기 중간 연결체는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암나사형 결합단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전단 연결체와 후단 연결체는 상기 중간 연결체의 암나사형 결합단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 및, 액추에이터와 회전기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접속단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중간 연결체는 중실축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나사형 결합단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전단 연결체와 후단 연결체는 상기 중간 연결체의 수나사형 결합단에 결합되는 암나사형 결합단 및, 액추에이터와 회전기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접속단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서 상기 접속단은 스플라인 축 형상과 스플라인 홈이 형성된 보스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인발에 의해 파이프를 성형하는 파이프 성형단계와;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파이프를 절단하여 중간 연결체를 형성시키는 중간 연결체 형성단계와; 상기 중간 연결체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전단 연결체와 후단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연결체에 상기 전단 연결체와 후단 연결체를 결합시켜 구동축을 형성시키는 구동축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의 끝단부를 나사가공하여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의 끝단부가 수나사형 결합단과 암나사형 결합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나사산 가공단계가 상기 구동축 형성단계 이전에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축 형성단계에서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가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의 서로 대응하는 수나사형 결합단과 암나사형 결합단의 결합면에 혐기성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가 상기 나사산 가공단계와 구동축 형성단계 사이에 실행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축 형성단계 완료 이후 경화되는 상기 혐기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가 일체를 이루어 진동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 의하면, 내부가 빈 중공축(hollow shaft) 구조로 이루어지는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가 서로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되는 구성의 제공으로 회전기계의 경량화가 도모되어 회전기계 사용자의 작업 피로도가 절감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직업적인 회전기계 사용자에게 발병될 수 있는 직업병인 백랍병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구동축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소재의 절약으로 공정비용의 절감과 원가절감으로 경제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축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액추에이터와 회전기계가 구동축과 연결되는 부위의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할 수 있어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가 결합부위에 도포되는 혐기성 접착제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진동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면서 동력전달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되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이 액추에이터와 회전기계에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연결체의 단면도;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 연결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 사용되는 다종(多種)의 전단 연결체와 후단 연결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제조방법에서 접착제 도포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예초기, 수지식 회전기계, 동력전달용 축, 구동축, 중공축, 접착제, 혐기성 접착제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이 액추에이터와 회전기계에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연결체의 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 연결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에 사용되는 다종(多種)의 전단 연결체와 후단 연결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은 액추에이터(1)와 회전기계(2)를 연결하여 액추에이터(1)의 회전력을 회전기계(2)로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수지식 회전기계의 하나인 예초기에 적용되어 등에 지는 동력원과 지면 상의 절단기구(커터)를 연결하여 동력원으로부터 절단기구(커터)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은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간 연결체(20)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 전체 부위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간 연결체(20)의 일단부에 전단 연결체(40)가 결합되고, 중간 연결체(20)의 타단부에 후단 연결체(60)가 결합된다.
여기서, 전단 연결체(40)와 후단 연결체(60)는 구동축(100)이 결합되는 액추에이터(1)와 회전기계(2)와 접속되는 연결부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은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 중에서 하나 이상이 중공형 관체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중간 연결체(20)는 도 2의 (a)에서와 같이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암나사형 결합단(22)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하고, 전단 연결체(40)와 후단 연결체(60)는 도 3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중간 연결체(20)의 암나사형 결합단(22)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44)(64) 및, 액추에이터(1))나 회전기계(2)에 접속되는 접속단(46)(66)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연결체(20)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중실축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나사형 결합단(24)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하고, 전단 연결체(40)와 후단 연결체(60)는 도 3의 (d)에서와 같이 중간 연결체(20)의 수나사형 결합단(24)에 결합되는 암나사형 결합단(42)(62) 및, 액추에이터(1)나 회전기계(2)에 접속되는 접속단(46)(66)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로 결합되는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의 끝단부는 수나사형 결합단(24)(44)(64)이나 암나사형 결합단(22)(42)(62)로 이루어져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가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는 서로 용접결합되거나, 브레이징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로 결합되는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에서 서로 대응하는 수나사형 결합단(24)(44)(64)과 암나사형 결합단(22)(42)(62)의 결합면에 접착물질(80)이 도포되면서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가 내부에서 경화되는 접착물질(80)에 의해 일체를 이루어 진동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물질로는 구동축(100)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재질인 혐기성 접착제(anaerobic adhesive)(82)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단 연결체(40)와 후단 연결체(60)의 접속단(46)(66)은 도 3의 (a)에서와 같이 스플라인 축(462)(662)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3의 (b)에서와 같이 사각홈(466)(666)이 형성된 보스(464)(664)로 이루어지거나, 도 3의 (c)와 (d)에서와 같이 스플라인 홈(468)(668)이 형성된 보스(464)(664)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암나사형 결합단(22)이 양단부를 이루는 중간 연결체(20), 중간 연결체(20)의 암나사형 결합단(22)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44)과 사각홈(466)이 형성된 보스(464)로 이루어지는 접속단(46)이 양단부를 이루는 전단 연결체(40), 중간 연결체(20)의 암나사형 결합단(22)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64)과 스플라인 축(662)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단(66)이 양단부를 이루는 후단 연결체(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암나사형 결합단(22)이 양단부를 이루는 중간 연결체(20), 중간 연결체(20)의 암나사형 결합단(22)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44)(64)과 스플라인 축(462)(662)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단(46)(66)이 양단부를 이루는 전단 연결체(40)와 후단 연결체(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암나사형 결합단(22)이 양단부를 이루는 중간 연결체(20), 중간 연결체(20)의 암나사형 결합단(22)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44)과 스플라인 홈(468)이 형성된 보스(464)로 이루어지는 접속단(46)이 양단부를 이루는 전단 연결체(40), 중간 연결체(20)의 암나사형 결합단(22)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64)과 스플라인 축(662)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단(66)이 양단부를 이루는 후단 연결체(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암나사형 결합단(22)이 양단부를 이루는 중간 연결체(20), 중간 연결체(20)의 암나사형 결합단(22)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44)(64)과 스플라인 홈(468)(668)이 형성된 보스(464)(664)로 이루어지는 접속단(46)(66)이 양단부를 이루는 전단 연결체(40)과 후단 연결체(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100)은 중실축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나사형 결합단(24)이 양단부를 이루는 중간 연결체(20), 중간 연결체(20)의 수나사형 결합단(44)에 결합되는 암나사형 결합단(42)(62)과 스플라인 홈(468)(668)이 형성된 보스(464)(664)로 이루어지는 접속단(46)(66)이 양단부를 이루는 전단 연결체(40)와 후단 연결체(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제조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제조방법에서 접착제 도포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제조방법은 파이프 성형단계, 중간 연결체 형성단계, 나사산 가공단계, 접착제 도포단계, 구동축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이프 성형단계는 인발에 의해 파이프를 성형하는 단계이고, 중간 연결체 형성단계는 설정된 길이만큼 파이프를 절단하여 중간 연결체(20)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며, 나사산 가공단계는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의 끝단부를 나사가공하여 서로 결합되는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의 끝단부가 수나사형 결합단(24)(44)(64)이나 암나사형 결합단(22)(42)(62)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접착제 도포단계는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의 서로 대응하는 수나사형 결합단(24)(44)(64)과 암나사형 결합단(22)(42)(62)의 결합면에 혐기성 접착제(82)를 도포하는 단계이고, 구동축 형성단계는 중간 연결체(2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전단 연결체(40)와 후단 연결체(60)를 구비하고, 중간 연결체(20)에 전단 연결체(40)와 후단 연결체(60)를 결합시켜 구동축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구동축 형성단계에서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가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되는데, 구동축 형성단계 완료 이후 경화되는 혐기성 접착제(82)에 의해 중간 연결체(20), 전단 연결체(40), 후단 연결체(60)가 일체를 이루어 진동에 의한 구동축(100)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액추에이터 2 : 회전기계
20 : 중간 연결체 22, 42, 62 : 암나사형 결합단
24, 44, 64 : 수나사형 결합단 40 : 전단 연결체
46, 66 : 접속단 462, 662 : 스플라인 축
464, 664 : 보스 466, 666 : 사각홈
468, 668 : 스플라인 홈 80 : 접착물질
82 : 혐기성 접착제 100 :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

Claims (10)

  1.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암나사형 결합단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하고,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의 본체를 이루는 중간 연결체와;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간 연결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중간 연결체의 암나사형 결합단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 및, 액추에이터와 회전기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접속단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접속단은 스플라인 축 형상과 스플라인 홈이 형성된 보스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단 연결체 및;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간 연결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중간 연결체의 암나사형 결합단에 결합되는 수나사형 결합단 및, 액추에이터와 회전기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접속단이 양단부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접속단은 스플라인 축 형상과 스플라인 홈이 형성된 보스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단 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가 볼트-너트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는 서로 대응하는 수나사형 결합단과 암나사형 결합단의 결합면에 도포되는 혐기성 접착제(anaerobic adhesive)인 접착물질에 의해 일체를 이루어 진동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되, 상기 혐기성 접착제는 상기 중간 연결체, 전단 연결체, 후단 연결체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19873A 2011-05-18 2012-02-27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 KR101339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4250 2011-05-18
KR2020110004250 2011-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756A KR20120129756A (ko) 2012-11-28
KR101339308B1 true KR101339308B1 (ko) 2013-12-09

Family

ID=4751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873A KR101339308B1 (ko) 2011-05-18 2012-02-27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3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217A (ja) * 1996-09-09 1998-03-31 Komatsu Zenoah Co 背負式刈払機
JP2000308406A (ja) * 1999-04-16 2000-11-07 Andreas Stihl:Fa 原動機駆動の作業機械
JP2005073666A (ja) 2003-09-03 2005-03-24 Fine Steel Engineering:Kk 刈払機用伝動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7003A (ja) * 2008-05-15 2009-12-24 Husqvarna Zenoah Co Ltd 携帯型作業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217A (ja) * 1996-09-09 1998-03-31 Komatsu Zenoah Co 背負式刈払機
JP2000308406A (ja) * 1999-04-16 2000-11-07 Andreas Stihl:Fa 原動機駆動の作業機械
JP2005073666A (ja) 2003-09-03 2005-03-24 Fine Steel Engineering:Kk 刈払機用伝動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7003A (ja) * 2008-05-15 2009-12-24 Husqvarna Zenoah Co Ltd 携帯型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756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180B2 (en) Garden tool power system with automatic walking function
EP2198691A3 (de) Arbeitsgerät
JP2015188335A (ja) 芝刈機
TW200907193A (en) High torsion universal joint
CN105900542A (zh) 一种可变形的园艺工具
CN105922105A (zh) 一种柔性旋转打磨去毛刺装置
KR101339308B1 (ko) 수지식 회전기계에 사용되는 동력전달용 중공형 구동축
AU2009299098B2 (en) Drive shaft joiner system
CN205870210U (zh) 柔性旋转打磨去毛刺装置
CN201557394U (zh) 具有旋转装置的打草机
CN206525170U (zh) 一种柔性连接可转向手推式割草机
KR101327115B1 (ko) 예초기 칼날 구동 장치
CN205232897U (zh) 一种电动修枝机
JP2017013174A (ja) 往復動工具
CN103692417B (zh) 中置动力的电动工具
CN205847987U (zh) 植被切割工具
CN203884205U (zh) 新型割灌机
CN201252745Y (zh) 割草机
CN203985044U (zh) 一种植被修剪工具
CN205755282U (zh) 可变形的园艺工具
TWI389765B (zh) 多功能雕刻研磨複合工具及其工具頭
CN201393397Y (zh) 割草、浇灌二用机
CN104896065A (zh) 一种用于变速箱中的细长组合轴结构
CN220191472U (zh) 一种使用方便的割草机
CN203646141U (zh) 园林高枝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