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978B1 -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의 검출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의 검출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978B1
KR101338978B1 KR1020070007110A KR20070007110A KR101338978B1 KR 101338978 B1 KR101338978 B1 KR 101338978B1 KR 1020070007110 A KR1020070007110 A KR 1020070007110A KR 20070007110 A KR20070007110 A KR 20070007110A KR 101338978 B1 KR101338978 B1 KR 101338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control
control value
null
section
nul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420A (ko
Inventor
한금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9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여 널 구간을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에 대해 이득제어 값을 적용하여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와,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득제어 값을 조정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적용하기 위한 상기 이득제어 값을 상기 RF부에 전달하는 자동이득 제어부와, 널 구간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에 소정의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적용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이 적용된 상기 방송신호 중 데이터가 없는 널 구간을 찾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MB, AGC, Gain, 동기, 프레임, Frame, Null, Boundary, 경계, 지상파

Description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의 검출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Null period of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자동이득제어를 적용한 단말기의 AGC동작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는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는 단말기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는 단말기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기위한 단말기의 AGC동작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가 없는 널 구간을 찾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단말기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한다.)을 수신하고, 수신된 지상파 DMB는 데이터가 있는 구간과 없는 구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데이터가 없는 구간은 널(Null) 구간으로 불리며 통상 상기 데이터가 있는 구간보다는 짧다. 상기 널 구간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지상파 DMB 신호에 섞여 있으며, 일정간격의 타이밍으로 나타난다.
단말기가 상기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이득제어(Auto Gain Control; 이하 AGC라 한다.)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AGC는 지상파 DMB 신호의 수신세기가 약한 부분은 이득을 덧붙여 증폭시키며 수신세기가 강한 부분은 이득을 줄여 감소시키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자동이득제어를 적용한 단말기의 AGC동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가 없는 구간(100)에서 먼저 단말기는 수신세기가 약해짐을 감지하고, 큰 이득제어 값으로 지상파 DMB신호를 증폭시키게 되며(110), 상기 큰 이득제어 값으로 인해 수신세기가 높아지면, 다시 이득제어 값의 감소를 실시하게 된다(120). 이와 같이 널 구간(100)에서 AGC 이득제어 값이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지상파 DMB 시스템과 신호의 위상에 대해 시작과 끝을 맞추는 동기화를 시행하고, 상기 지상파 DMB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게 초기화를 수행하지만, 상기 널 구간을 무시하고 상기 초기화를 진행하면 상기 널 구간에서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지상파 DMB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상기 단말기가 인식하지 못하여, 상기 초기화를 이루는데 시간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여 널 구간을 검출하는 방법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에 대해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신호의 널 구간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신호에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적용하고,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이 적용된 방송신호 중 데이터가 없는 널 구간을 찾는 과정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여 널 구간을 검출하는 장치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에 대해 이득제어 값을 적용하여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와,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득제어 값을 조정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적용하기 위한 상기 이득제어 값을 상기 RF부에 전달하는 자동이득 제어부와, 널 구간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에 소정의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적용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이 적용된 상기 방송신호 중 데이터가 없는 널 구간을 찾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시스템에 동기하기 위하여 데이터가 없는 구간인 널 구간을 검색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는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지상파 DMB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200), 제어명령을 각 구성품에 내리는 제어부(260),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모뎀(290)으로 나뉘어 진다. 상기 모뎀(290)은 디지털 컨버터(210), 자동이득 제어부(220), 저역통과 필터(230), 복조부(240), 채널코덱(250)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RF부(200)는 상기 제어부(260)로부터 위상제어신호를 받아 지상파 DMB 신호와의 동기화를 이루고, 상기 지상파 DMB 신호의 수신세기가 주위환경에 영향을 받아 약하거나 강하면, 자동이득 제어부(220)에서 전달하는 이득제어 값을 받아 자동이득제어(Auto Gain Control;이하 AGC라 한다.)를 수행하여 상기 지상파 DMB 신호를 일정한 세기로 조절하여 수신한다. 상기 지상파 DMB 신호는 상기 디지털 컨버 터(210)로 전달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상기 디지털 신호는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220)와 상기 저역통과 필터(230)로 전달된다.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220)는 상기 디지털 신호의 세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AGC를 수행한 이득제어 값을 RF부(200)로 제공하거나, 상기 제어부(260)에서 널 구간을 파악하고자 전달한 널 구간 검출 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RF부(200)로 전달한다.
상기 저역통과 필터(230)는 상기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여 복조부(240) 및 상기 잡음이 제거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어부(260)에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잡음이 제거된 디지털 신호에서 널 구간과 일정한 수신세기를 검출하여 인식한다. 메모리(270)는 상기 널구간에 대한 타이밍 또는 상기 수신세기를 상기 제어부(260)로부터 받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26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타이밍 또는 상기 수신세기를 제공한다.
이 때 널 구간의 검출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지상파 DMB신호에 상기 AGC를 적용하지 않도록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220)에게 지시한다. 그러면,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200)는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RF부(200)에 전달하여 상기 RF부(200)가 수신된 상기 지상파 DMB신호에 적용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적용한 지상파 DMB 신호는 상기 디지털 컨버터(210)에서 디지털화되고 상기 저역통과 필터(230)로 전달되어 고주파 잡음이 제거된다. 상기 잡음이 제거된 디지털 신호는 상기 제어부(260)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260)는 이미 상기 디지털 신호의 세기를 모니터링하여 일정한 세기를 인식하고 있으므로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작용한 상기 디지털 신호에서 일정하지 않은 세기가 나타나는 구간인, 널 구간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널 구간은 일정한 타이밍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널 구간의 타이밍을 기억하면 상기 지상파 DMB신호에서 데이터가 없는 상기 널 구간에 대해 불필요한 복조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널 구간의 타이밍에 복조부(240), 채널코덱(250),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80)를 제어하여 상기 널 구간의 타이밍일 때 복조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널 구간이 아닌 경우에, 상기 디지털 신호를 받은 복조부(240)는 원래 방송신호를 복원시켜 채널코덱(250)으로 전달하며, 상기 채널코덱(250)은 상기 방송신호를 해당 채널에 맞는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80)로 전달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80)는 상기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압축해제 하여 디스플레이 및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단말기는 지상파 DMB신호에 대해 폐루프AGC를 수행한다. 상기 AGC는 수신되는 지상파 DMB신호의 강약에 따라 이득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일정한 세기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310)단계에서 이득제어 값이 고정되었는지를 검출한다. 상기 이득제어 값이 고정되었다면 (320)단계로 진행하고, 고정되지 못했다면 (300)단계에서 다시 시작한다. 상기 (320)단계에서 상기 널 구간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는 상기 폐루프 AGC를 중단시키고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지상파 DMB신호에 적용시키라는 명령을 RF부(200)에 전달한다.
(330)단계에서는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수신된 상기 지상파 DMB신호에 적용한다. 즉, 상기 AGC로 수신신호의 세기에 따라 보정해 가는 폐루프 구동을 하지 않고,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개루프 구동을 하는 것이다.
(340)단계에서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지상파 DMB에 일률적으로 적용시키면 널 구간에서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일정한 신호세기가 아닌 불규칙한 신호세기가 나타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불규칙한 신호세기가 나타난 시작과 끝을 기억하여 널 구간의 타이밍을 찾으며, 이것으로 상기 널 구간을 찾게 된다. (350)단계에서는 상기 널 구간을 발견하면 종료가 되며, 찾지 못했다면 상기 (300)단계에서 다시 시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는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RF부(430)는 지상파 DMB신호를 수신하며 제어부(400)는 상기 지상파 DMB신호에서 구한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자동이득 제어부(420)로부터 로딩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널 구간 검출을 하기 위해,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수신된 지상파 DMB신호에 적용하라는 널 구간 검출명령을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420)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420)는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RF부(430)에 전달하고 상기 RF부(430)는 수신된 지상파 DMB신호에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일률적으로 적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적용한 상기 지상파 DMB신호에서 널 구간을 검출한다. 널 구간이 검출되어 데 이터 구간의 타이밍이 정확히 결정되면, 제어부(400)는 모뎀(410)에 복조명령을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는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RF부(530)는 지상파 DMB신호를 수신하며 제어부(500)는 모뎀(510)에 널 구간을 찾으라는 널 구간 검출명령을 내리게 된다. 상기 모뎀(510)은 자동이득 제어부(520)에 상기 널 구간 검출명령을 전달하며,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520)는 상기 널 구간 검출명령에 따라 폐루프 모드에서 개루프 모드로 변경한 모드변경을 상기 모뎀(510)에 보고한다. 상기 개루프 모드로 동작시,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520)는 상기 폐루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지상파 DMB신호에서 구한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지상파 DMB신호에 적용시키기 위해 상기 RF부(530)로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RF부(530)는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지상파 DMB에 일률적으로 적용시키고, 상기 모뎀(510)은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적용한 상기 지상파 DMB신호로부터 널 구간을 검출하고, 상기 널 구간 검출 명령에 따른 널 구간 검출결과를 제어부(500)로 보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을 찾기위한 단말기의 AGC동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지상파 DMB신호를 수신하여 널 구간(600)을 검출하기 위해 고정된 이득제어 값(610)을 적용한다. 즉, 상기 지상파 DMB신호를 수신하면서 데이터가 있는 구간에 대해서만 AGC를 수행하며, 상기 널 구간(600)에 대 해서는 상기 AGC와 복조를 수행하지 않아 시간지연 없이 곧바로 초기화를 이룰수가 있다. 이후 제어부는 일정한 타이밍으로 발생하는 널 구간에서 AGC 및 복조를 적용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 데이터가 없는 널 구간을 찾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 널 구간을 찾고자 하는 경우, 자동이득제어를 적용하지 않음으로서 시간지연 없는 초기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여 널 구간을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에 대해 이득제어 값을 적용하여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와,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세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득제어 값을 조정하고, 상기 방송신호에 적용하기 위한 상기 이득제어 값을 상기 RF부에 전달하는 자동이득 제어부와,
    널 구간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에 소정의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적용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이 적용된 상기 방송신호 중 데이터가 없는 널 구간을 찾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는 널 구간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에서 상기 이득제어 값이 고정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득제어 값이 고정되었으면 널 구간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자동이득 제어부에게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적용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널 구간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수행하는 복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널 구간이 검출되면, 상기 널 구간에 대응하는 시구간에서 상기 복조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널 구간 검출장치.
  4. 삭제
  5.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여 널 구간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방송신호에 대해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신호의 널 구간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소정의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신호에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적용하고,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이 적용된 방송신호 중 데이터가 없는 널 구간을 찾는 과정을 포함하는 널 구간 검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득제어에 따라 상기 이득제어 값이 고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득제어 값이 고정되었으면 상기 널 구간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방송신호에 상기 고정된 이득제어 값을 적용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널 구간 검출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널 구간이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널 구간에 대응하는 시구간에서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수행하는 복조부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널 구간 검출방법.
KR1020070007110A 2007-01-23 2007-01-23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의 검출방법 및장치 KR101338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110A KR101338978B1 (ko) 2007-01-23 2007-01-23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의 검출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110A KR101338978B1 (ko) 2007-01-23 2007-01-23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의 검출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420A KR20080069420A (ko) 2008-07-28
KR101338978B1 true KR101338978B1 (ko) 2013-12-09

Family

ID=3982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110A KR101338978B1 (ko) 2007-01-23 2007-01-23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의 검출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31215B (zh) * 2009-07-31 2012-01-04 福州瑞芯微电子有限公司 移动数字多媒体广播接收机的自动增益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15A (ko) * 1992-08-27 1994-03-16 이헌조 무신호 채널 선택시 노이즈 제거회로
KR19990051264A (ko) * 1997-12-19 1999-07-05 전주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방송 채널 자동 선택 방법
KR100390666B1 (ko) * 2000-03-24 2003-07-1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에 이득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및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 출력 시스템
KR100700378B1 (ko) * 2004-02-16 2007-03-2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무선 중계 시스템, 무선 중계 장치 및 무선 중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15A (ko) * 1992-08-27 1994-03-16 이헌조 무신호 채널 선택시 노이즈 제거회로
KR19990051264A (ko) * 1997-12-19 1999-07-05 전주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방송 채널 자동 선택 방법
KR100390666B1 (ko) * 2000-03-24 2003-07-10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에 이득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및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 출력 시스템
KR100700378B1 (ko) * 2004-02-16 2007-03-2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무선 중계 시스템, 무선 중계 장치 및 무선 중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420A (ko) 200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006A (en) Receiver controller method and apparatus
US200803046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rame Bounda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32403A1 (en) Antenna switching apparatus
EP0725479B1 (en) Mobile radio unit
KR101338978B1 (ko)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 널 구간의 검출방법 및장치
US6400421B1 (en) Channel preset device
US20060099923A1 (en) Method for monitoring broadcast signals at alternative frequencies and gain control unit
EP2485481B1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JP2003069907A (ja) 地上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0232831A (ja) Rds受信機
JP2007336050A (ja) ラジオ受信機及び搬送波検出方法
JP4699274B2 (ja) 車載用放送受信装置
EP1162836A2 (en) Television receiver for receiving both analog and digital broadcast programmes
JP2010045652A (ja) 受信システム、受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受信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受信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6625431B1 (en) Tuner device
EP1139591A2 (en) Method and receiver for receiving Digital Audio Broadcast (DAB)
JP3873323B2 (ja) チューニング方法
KR940010558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자동 신호 추적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3148589B2 (ja) トーンスケルチ回路
JP2728517B2 (ja) 選局装置
KR0174144B1 (ko) 무코일 aft동조회로 및 작동방법
JPH06334939A (ja) 衛星放送受信装置
JP3019333B2 (ja) オートチューニング方式
JPH11243322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H1113614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