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873B1 -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873B1
KR101337873B1 KR1020120090248A KR20120090248A KR101337873B1 KR 101337873 B1 KR101337873 B1 KR 101337873B1 KR 1020120090248 A KR1020120090248 A KR 1020120090248A KR 20120090248 A KR20120090248 A KR 20120090248A KR 101337873 B1 KR101337873 B1 KR 10133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assage
passbook
cover
bank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만
이경태
선동훈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 B41J13/32Means for positioning sheets in two directions under one control, e.g. for format control or orthogonal sheet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ank book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행 장치는 본체하우징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장매체카세트; 상기 통장매체카세트의 통장매체를 개별적으로 픽업 및 이송하고, 구통장을 임시 보관하는 다단반송모듈; 상기 다단반송모듈에 의해 이송된 통장매체의 겉표지를 인쇄하고, 인쇄통로를 갖는 겉표지 인쇄모듈; 상기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의 겉표지를 이월하고, 이월통로를 갖는 겉표지 이월모듈; 및 상기 이월통로와 연결된 메인반송통로를 갖고,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의 속지를 이월하고, 속지를 인쇄하고, 통장바코드를 인식하는 속지인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SSUING BANKBOOK}
본 발명은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통장의 임시 저장 및 신통장의 반송을 담당하는 2단구조의 다단반송모듈을 갖는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automated teller machine)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중에서 통장류를 취급하는 기기는 통장의 거래데이터를 인자하는 기능을 갖고 있을 뿐 모든 통장의 페이지의 인자가 종료되어 통장이월이 발생한 경우에 구통장을 정리하고 신통장을 자동 발행한 후, 구통장과 신통장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없었다.
특히, 통장류는 책 형상의 피인쇄물로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겉표지와, 겉표지의 안쪽에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시트를 다수로 갖는 인쇄다발의 속지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통장과 같이 책 형상의 피인쇄물에 인쇄가 실시될 경우, 종래의 속지만을 인쇄 및 이월시키는 기술만으로는 겉표지를 인쇄 및 이월시킬 수 없고, 또한 파기한 구통장과 신규 발행한 신통장을 함께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구통장의 반송통로와 신통장의 반송통로가 요구되며, 이처럼 구통장용 반송통로와 신통장용 반송통로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 금융자동화기기의 소형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또한, 금융자동화기기에 신통장을 처리하는 모듈에 구통장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을 단순 결합 또는 부가할 경우, 비용절감상 바람직하지는 못하고, 더구나 금융자동화기기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의 통장 발행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정보가 없는 통장매체에 금융 거래내역을 정리, 인쇄, 이월하여 신통장으로 발행하고 있을 뿐, 구통장의 수납, 마감처리, 고객에게 반납과 함께 신통장을 발행할 수 없어, 고객에 대한 서비스 및 금융기관 등의 업무자동화 등의 면에서 대단히 미흡한 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2800호
본 발명은 고객이 신규 통장 발행을 위해 구통장을 임시 저장하고 신통장의 반송을 담당하는 다단반송모듈을 구비하여, 구통장과 신통장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하우징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장매체카세트; 상기 통장매체카세트의 통장매체를 개별적으로 픽업 및 이송하고, 구통장을 임시 보관하는 다단반송모듈; 상기 다단반송모듈에 의해 이송된 통장매체의 겉표지를 인쇄하고, 인쇄통로를 갖는 겉표지 인쇄모듈; 상기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의 겉표지를 이월하고, 이월통로를 갖는 겉표지 이월모듈; 및 상기 이월통로와 연결된 메인반송통로를 갖고,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의 속지를 이월하고, 속지를 인쇄하고, 통장바코드를 인식하는 속지인쇄모듈을 포함하는 통장 발행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은 상기 겉표지 인쇄모듈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은 상기 겉표지 인쇄모듈로부터 전달받은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를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월통로와 상기 메인반송통로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반송모듈은,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을 왕복 이송시키는 승하강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케이싱에 설치된 가이드블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결합된 벨트풀리; 상기 벨트풀리에 결합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케이싱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반송모듈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벨트; 및 상기 승하강벨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의 상부에는, 미발급된 통장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함이 마련되고, 상기 미발급된 통장매체는 상기 속지인쇄모듈과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을 거쳐 상기 다단반송모듈로 이동된 후,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이동 및 통장반출에 의해 상기 회수함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반송모듈은, 신통장 발행을 위해 통장매체를 픽업통로 쪽으로 픽업, 반입 또는 반출하도록, 상기 픽업통로의 주변에 결합된 픽업기구장치를 갖는 반송부; 및 상기 반송부에 적층되어 있고, 구통장을 임시 저장하는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부는, 상기 속지인쇄모듈을 경유한 구통장을 반입 또는 반출시키기 위한 출입통로; 상기 출입통로와 연결된 저장통로; 및 상기 저장통로와 상기 출입통로에서 구통장을 이송시키고, 상기 보관부의 내부로 반입 또는 외부로 반출시키는 저장기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지인쇄모듈은 MS 기록체크부를 더 포함하고, MS 기록체크를 수행하는 통장 발행 장치.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고객의 통장정리 또는 재발행 요청에 대응하여 구통장을 다단반송모듈의 보관부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다단반송모듈이 하강하여 통장매체카세트로부터 통장매체를 픽업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반송부의 픽업통로에 픽업한 통장매체를 반입시키는 단계; c) 상기 구통장을 임시 저장하고 통장매체를 픽업한 다단반송모듈이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반송부의 픽업통로가 겉표지 인쇄모듈의 인쇄통로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단계; d) 상기 통장매체가 상기 반송부로부터 겉표지 인쇄모듈의 인쇄통로로 반입되고, 통장매체의 겉표지가 프린터 유닛에 의해 인쇄되는 단계; e) 상기 인쇄가 끝난 경우, 통장매체가 상기 겉표지 인쇄모듈의 인쇄통로로부터 이송되어서 상기 반송부의 픽업통로에 재반입되는 단계; f) 상기 다단반송모듈이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반송부의 픽업통로가 겉표지 이월모듈의 이월통로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단계; g) 상기 반송부의 픽업통로에 있고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가 상기 이월통로로 반입되고, 이월 유닛에 의해 통장매체의 겉표지가 넘겨지는 단계; 및 h) 상기 겉표지가 넘겨진 통장매체가 속지인쇄모듈의 메인반송통로 쪽으로 이송되고, 속지인쇄모듈이 이송된 통장매체의 표제면을 인쇄하거나, 속지를 이월 및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장 발행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구통장이 속지인쇄모듈의 메인반송통로 쪽으로 투입되는 단계; 상기 속지인쇄모듈과 연동하는 중앙제어부가 금융기관의 메인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서, 구통장의 통장정리를 수행하고, 이월대상 통장으로서 고객이 신통장을 발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메인 서버로부터 신통장 발행거래 송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구통장의 임시 저장을 위해서 다단반송모듈이 상승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보관부의 출입통로가 겉표지 이월모듈의 이월통로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구통장이 상기 속지인쇄모듈의 메인반송통로로부터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의 이월통로 및 다단반송모듈의 보관부의 출입통로를 경유하여 저장통로에 도달한 후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통장의 임시 저장 및 신통장의 공급을 담당하는 다단반송모듈에 의해서, 회수된 구통장을 임시 저장하고, 고객의 금융정보에 대응하게 신통장을 발행하면서, 고객에게 임시 저장해둔 구통장을 반납할 수 있음에 따라, 고객에 대한 서비스 및 금융기관 등의 업무자동화 서비스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구통장용 반송통로와 신통장용 반송통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신통장과 구통장을 메인반송통로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할 경우, 금융자동화기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장 발행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단반송모듈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통장 발행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통장매체는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은행 로고,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을 뿐, 통장명, 고객 정보, 기장 내역이 없는 금융거래 전 통장을 의미할 수 있고, 여러 페이지의 속지를 겉표지로 감싸도록 접힌 상태로 통장매체카세트에 다수로 적재 및 보관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구통장은 교체가 요구되는 고객의 사용통장(예: 구형통장 또는 기존통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폐통장은 구통장의 MS에 기록된 금융거래용 고객정보를 자기적 수단으로 소거하거나, MS 자체를 물리적 수단에 의해 파쇄(예: 펀칭 등)하여 MS에 기록된 금융거래용 고객정보를 사용할 수 없도록 폐기한 통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신통장은 구통장을 대체하도록, 통장매체의 겉표지와 속지에 각종 정보(예: QR코드, 통장바코드, 통장명, 계좌번호, 고객정보, 거래내역, 은행 지점명 등)을 인쇄한 통장(예: 신형통장 또는 재발행통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에러통장은 인쇄가 끝난 통장매체의 MS에 금융거래용 고객정보를 자기 데이터의 형태로서 기록한 후, 기록 체크 과정에서 MS의 기록 정상 유무를 체크하여 비 정상으로 판단됨에 따라 자체 회수되는 통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장 발행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본체하우징(10)에는 중앙제어부, 전원공급부, 통신부, 입출력부, 전표처리부와 같은 기본적인 통장류 취급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미 도시)과 함께, 통장매체카세트(100), 다단반송모듈(200), 겉표지 인쇄모듈(300), 겉표지 이월모듈(400), 속지인쇄모듈(500), 회수함(6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제어부는 기능 구성상 통장 발행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며, 통장정리 기능 등을 포함하고, 통장 발행 장치로 반입 받은 구통장에 상응한 금융거래용 고객정보를 통장매체에 기록하여 신통장으로 발행하는 동작을 제어하고, 통장매체카세트에서 통장매체를 공급시키고, 통장매체의 겉표지와 속지를 인쇄하고, 발행 결과를 전표로 발행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중앙제어부를 비롯한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기능 구성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통신부는 중앙제어부와 금융기관의 메인 서버(미 도시)간 통신 수단으로서, 통장 발행 또는 발행을 위한 데이터를 중앙제어부 쪽으로 입력처리 하거나, 중앙제어부의 처리 결과를 메인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입출력부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정보 입력용 입력장치(예: 키패드 등)를 갖는 고객조작부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통장 발행에 대응한 디스플레이 화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여 통장 발행에 따른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전표처리부는 통장 정리 또는 신통장의 발행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금융거래용 규격(예: 해상도, 1000 거래분 이상의 전표용량, 감열 인쇄 방식)을 만족하는 전표 인쇄용 장치일 수 있다.
통장매체카세트(100)는 본체하우징(10)의 배면쪽에서 다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통장매체카세트(100)는 본체하우징(10)의 수직 방향으로 적층 또는 적치되도록 다수로 배치될 수 있다.
통장매체카세트(100)는 복수의 통장매체를 장착하고, 통장매체를 개별적으로 다단반송모듈(200) 쪽으로 공급할 수 있다.
통장매체카세트(100)는 4개의 박스일 수 있고, 각 박스당 통장 보관용량은 100개 또는 그 이상으로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단반송모듈(200)은 구통장을 임시 보관(parking) 하면서, 통장매체카세트(100)의 통장매체를 개별적으로 픽업(pick-up) 및 이송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다단반송모듈(200)은 다단반송모듈(200)을 엘리베이터 이송 방식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승하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승하강부(210)는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다단반송모듈(200)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11)과, 가이드레일(211)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고, 다단반송모듈(200)의 케이싱(201)에 설치된 가이드블록(212)과, 본체하우징(1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결합된 벨트풀리(213, 214)와, 벨트풀리(213, 214)에 결합되고, 다단반송모듈(200)의 케이싱(201)에 연결되어 다단반송모듈(2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벨트(215)와, 승하강벨트(21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16)를 포함할 수 있다.
겉표지 인쇄모듈(300)은 인쇄통로(301)를 갖고, 다단반송모듈(200)에 의해 이송된 통장매체의 겉표지를 인쇄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겉표지 인쇄모듈(300)은 통장매체의 겉표지에 QR코드, 통장바코드, 통장명, 은행 지점명 등의 외부표시 정보를 인쇄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도트 프린터 유닛, 컬러 핀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유닛, 초고속 건조 방식의 레이저 프린터 유닛, 잉크젯 통장 프린터 유닛이거나, 통장매체의 겉표지에 인쇄 작동 또는 이송 작동을 수행 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 수단이 될 수 있다.
겉표지 이월모듈(400)은 이월통로(401)를 갖고,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의 겉표지를 이월하거나, 또는 겉표지 이월 도중 겉표지와의 마찰에 의해 딸려온 속지를 겉표지와 함께 이월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겉표지 이월모듈(400)은 겉표지를 이월 또는 이송 또는 구통장의 이송을 담당하기 위한 세부적인 이월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세부적인 이월 유닛은 통장류 관련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장치 또는 그와 대등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겉표지 이월모듈(400)은 겉표지 인쇄모듈(3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겉표지 이월모듈(400)이 겉표지 인쇄모듈(300)의 상부 배치된 예시적인 도면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고, 미 도시되어 있지만, 겉표지 이월모듈(400)이 겉표지 인쇄모듈(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게, 다단반송모듈(200)도 겉표지 인쇄모듈(300)로부터 전달받은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를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겉표지 이월모듈(400)로 제공할 수 있다.
속지인쇄모듈(500)은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이월통로(401)와 연결된 메인반송통로(501)를 갖고,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의 속지를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월하고, 속지를 인쇄하고, 통장바코드를 인식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속지인쇄모듈(500)은 미 도시된 MS 기록체크부를 더 포함하고, 구통장 또는 신통장의 MS 기록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MS 기록체크부는 구통장의 MS 정보를 사용할 수 없도록 폐기하여 폐통장으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통장의 MS에 기록되어 있는 금융거래용 고객 정보를 소거하는 자기적 수단, 또는 MS 자체를 파쇄하는 물리적 수단(예: 펀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S 기록체크부는 통장발행시 MS 재기록에 의한 위험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MS 정보의 기록 전에 신통장 발행용 통장매체의 MS에 대하여 삭제 처리 이후, MS 정보를 상기 신통장 발행용 통장매체의 MS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과, MS 기록 결과를 체크하는 체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MS 기록체크부는 속지인쇄모듈(5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분리형으로 취부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속지인쇄모듈(500)은 통장매체의 속지 인쇄를 위하여, 속지에 과목, 계좌번호, 비고, 거래정보, 통장바코드 등을 인쇄하는 도트 매트릭스 또는 잉크젯 방식의 프린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통장매체의 속지에 인쇄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속지인쇄모듈(500)은 통장매체의 속지 이월을 위하여, 속지 이월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인쇄 가능한 잔여 공간 및 잔여 페이지를 센서로 감지하여 인쇄가 완료된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길 수 있는 모터와 롤러 및 연결 기구 장치(미 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회수함(600)은 미발급된 통장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미발급된 통장매체는 속지인쇄모듈(500)과 겉표지 이월모듈(400)을 거쳐 다단반송모듈(200)로 이동된 후, 다단반송모듈(2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이동과, 다단반송모듈(200)의 통장반출에 의해 회수함(60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회수함(600)은 MS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신통장을 보관하거나, 통장 발행 장치 내부에 보관하여야 할 각종 매체(예: 신통장 발행시 인쇄 오류가 난 신통장, MS 기록 결과 체크시 비 정상으로 판단되는 오류 등과 같이 오류가 발생된 신통장 등)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회수함(600)에는 회수함(600)의 공간과 연결된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통장매체를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한 이송 유닛(미 도시)이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단반송모듈(200)은 신통장 발행을 위해 통장매체의 픽업, 반입 또는 반출을 담당하는 반송부(220)와, 상기 반송부(220)에 적층되어 있고, 구통장을 임시 저장하는 보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관부(230)와 반송부(220)가 2단구조로서 다단반송모듈(200)의 케이싱(2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반송부(220)는 도 1에 도시된 통장매체카세트(100)로부터 통장매체를 픽업통로(221) 쪽으로 픽업하고, 통장매체를 반송부(220)의 내부로 반입 또는 반송부(220)의 외부로 반출하도록 픽업통로(221)의 주변에 결합된 픽업기구장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송부(220)의 외부는 도 1에 도시된 겉표지 인쇄모듈(300)의 인쇄통로(301) 또는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이월통로(401)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이월통로(401)는 속지인쇄모듈(500)의 메인반송통로(501)와 관통하게 일치되어 있다.
즉, 이월통로(401)와 메인반송통로(501)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픽업기구장치(222)는 이송롤러, 센서, 이송모터, 이송롤러와 이송모터 사이에 결합된 동력 전달 기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단반송모듈(200)의 케이싱(201)에는 반송부(220)의 픽업통로(221)와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입구(223)과 출구(224)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보관부(230)는 도 1에 도시된 속지인쇄모듈(500)을 경유한 구통장을 반입 또는 반출시키기 위한 출입통로(231)와, 상기 출입통로(231)와 연결된 저장통로(232) 및, 상기 저장통로(232)와 상기 출입통로(231)에서 구통장을 이송시키거나 반입 또는 반출시키는 저장기구장치(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기구장치(233)는 이송롤러, 센서, 이송모터, 이송롤러와 이송모터 사이에 결합된 동력 전달 기구, 저장통로(232)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구통장을 이송 또는 정지시키도록 상기 이송롤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저장롤러(23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통로(232)의 외측은 곡선형 가이드판에 의해 형성되고, 저장통로(232)의 내측은 저장롤러(235)의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통로(232)는 곡선형, U자형, 아치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구통장을 펼쳐진 상태에서 보관하면서도 보관을 위한 좌우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고, 신속하게 반입 또는 반출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다단반송모듈(200)의 케이싱(201)에는 보관부(230)의 출입통로(231)와 관통하게 연결되도록 출입구(234)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다단반송모듈(200)의 케이싱(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다단반송모듈(200)의 승하강 위치를 체크하기 위한 위치측정센서(240, 241)이 더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통장 발행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통장 발행 장치의 작동 방법은 신통장의 표지 및 속지 인쇄 방법 또는 통장 발행 방법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통장 발행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객의 통장정리 또는 재발행 요청에 대응하게 구통장(20)이 속지인쇄모듈(500)의 메인반송통로(501) 쪽으로 투입 및 이송된다.
속지인쇄모듈(500)과 연동하는 중앙제어부는 금융기관의 메인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서, 구통장(20)의 통장정리를 수행하고, 이월대상 통장으로서 고객이 신통장을 발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메인 서버로부터 신통장 발행거래 송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그 결과, 구통장(20)의 MS에 기록된 정보는 속지인쇄모듈(500)의 MS 기록체크부에 의해 삭제될 수 있다.
다만, 구통장(20)은 이월대상 통장이 아니거나, 고객이 통장 계속정리를 선택하지 않거나, 혹은 금융기관의 메인 서버로부터 신통장 발급거래를 확인하여 주지 않을 경우, 구통장(20)을 다단반송모듈(200)의 보관부(230)에 저장하지 않고, 곧바로 통장 발행 장치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반면, 위와 같이 구통장(20)을 방출하지 않는 경우, 구통장(20)의 임시 저장을 위해서 다단반송모듈(200)은 상승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200)의 보관부(230)의 출입통로(231)가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이월통로(401)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MS 정보가 삭제된 구통장(20)은 속지인쇄모듈(500)의 메인반송통로(501)로부터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이월통로(401) 및 다단반송모듈(200)의 보관부(230)의 출입통로(231)를 경유하여 저장통로(232)에 도달한 후 임시 저장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구통장(20)을 임시 저장한 다단반송모듈(200)은 하강하여 통장매체카세트(100)로부터 통장매체(30)를 픽업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200)의 반송부(220)의 픽업통로(221)에 픽업한 통장매체(30)를 반입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구통장(20)을 임시 저장하고 통장매체(30)를 픽업한 다단반송모듈(200)은 상승하고, 다단반송모듈(200)의 반송부(220)의 픽업통로(221)가 겉표지 인쇄모듈(300)의 인쇄통로(301)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통장매체(30)는 반송부(220)로부터 겉표지 인쇄모듈(300)의 인쇄통로(301)로 반입된다. 또한, 통장매체(30)의 겉표지는 인쇄통로(301)의 주변에 배치된 프린터 유닛에 의해 인쇄된다.
인쇄가 끝난 경우, 통장매체(30)는 겉표지 인쇄모듈(300)의 인쇄통로(301)로부터 이송되어서 반송부(220)의 픽업통로(221)에 재반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30)를 갖는 다단반송모듈(200)은 상승하고, 반송부(220)의 픽업통로(221)가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이월통로(401)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송부(220)의 픽업통로(221)에 있고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30)는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이월통로(401)로 반입되고, 이후 이월통로(401)의 주변에 배치된 이월 유닛에 의해 통장매체(30)의 겉표지가 넘겨진다.
통장매체(30)에서 겉표지가 넘겨진 상태일 경우, 속지의 표면 또는 겉표지의 안쪽면에 해당하는 표제면이 인쇄 방향(예: 상향)에 놓일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장매체(30)가 겉표지 이월모듈(400) 쪽으로 완전이 반입된 경우, 다단반송모듈(200)은 더 상승하고, 보관부(230)의 출입통로(231)가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이월통로(401)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겉표지 이월모듈(400)에 의해 겉표지가 넘겨진 통장매체(30)는 속지인쇄모듈(500)의 메인반송통로(501) 쪽으로 이송된다.
속지인쇄모듈(500)은 이송된 통장매체(30)의 표제면을 인쇄하거나, 속지를 이월 및 인쇄함으로써, MS 정보가 기록되기 전 상태의 신통장을 만든다.
도 10을 참조하면, 속지인쇄모듈(500)의 MS 기록체크부는 MS 재기록에 의한 위험성을 해결하도록, MS 정보가 기록되기 전 상태의 신통장(31)의 MS에 대하여 삭제 처리를 하고, 이후 신통장(31)에 기록할 MS 정보를 신통장(31)의 MS에 기록 및 기록 오류에 대한 체크를 수행한다. 이후 속지인쇄모듈(500)은 MS 오류 체크를 완료한 신통장(31)을 외부로 방출한다.
또한, 다단반송모듈(200)의 보관부(230)에 있던 구통장(20)도 보관부(230)의 출입통로(231), 겉표지 이월모듈(400)의 이월통로(401), 속지인쇄모듈(500)의 메인반송통로(501)의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본체하우징 20 : 구통장
30 : 통장매체 31 : 신통장
100 : 통장매체카세트 200 : 다단반송모듈
300 : 겉표지 인쇄모듈 400 : 겉표지 이월모듈
500 : 속지인쇄모듈 600 : 회수함

Claims (11)

  1. 본체하우징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장매체카세트;
    상기 통장매체카세트의 통장매체를 개별적으로 픽업 및 이송하고, 구통장을 임시 보관하는 다단반송모듈;
    상기 다단반송모듈에 의해 이송된 통장매체의 겉표지를 인쇄하고, 인쇄통로를 갖는 겉표지 인쇄모듈;
    상기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의 겉표지를 이월하고, 이월통로를 갖는 겉표지 이월모듈; 및
    상기 이월통로와 연결된 메인반송통로를 갖고,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의 속지를 이월하고, 속지를 인쇄하고, 통장바코드를 인식하는 속지인쇄모듈을 포함하는 통장 발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은 상기 겉표지 인쇄모듈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은 상기 겉표지 인쇄모듈로부터 전달받은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를 하방 또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로 제공하는 통장 발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월통로와 상기 메인반송통로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통장 발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반송모듈은,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을 왕복 이송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통장 발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케이싱에 설치된 가이드블록;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결합된 벨트풀리;
    상기 벨트풀리에 결합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케이싱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반송모듈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벨트; 및
    상기 승하강벨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통장 발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의 상부에는,
    미발급된 통장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함이 마련되고,
    상기 미발급된 통장매체는 상기 속지인쇄모듈과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을 거쳐 상기 다단반송모듈로 이동된 후,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이동 및 통장반출에 의해 상기 회수함으로 이동되는 통장 발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반송모듈은,
    신통장 발행을 위해 통장매체를 픽업통로 쪽으로 픽업, 반입 또는 반출하도록, 상기 픽업통로의 주변에 결합된 픽업기구장치를 갖는 반송부; 및
    상기 반송부에 적층되어 있고, 구통장을 임시 저장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통장 발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속지인쇄모듈을 경유한 구통장을 반입 또는 반출시키기 위한 출입통로;
    상기 출입통로와 연결된 저장통로; 및
    상기 저장통로와 상기 출입통로에서 구통장을 이송시키고, 상기 보관부의 내부로 반입 또는 외부로 반출시키는 저장기구장치를 포함하는 통장 발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인쇄모듈은 MS 기록체크부를 더 포함하고, MS 기록체크를 수행하는 통장 발행 장치.
  10. a) 고객의 통장정리 또는 재발행 요청에 대응하여 구통장을 다단반송모듈의 보관부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다단반송모듈이 하강하여 통장매체카세트로부터 통장매체를 픽업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반송부의 픽업통로에 픽업한 통장매체를 반입시키는 단계;
    c) 상기 구통장을 임시 저장하고 통장매체를 픽업한 다단반송모듈이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반송부의 픽업통로가 겉표지 인쇄모듈의 인쇄통로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단계;
    d) 상기 통장매체가 상기 반송부로부터 겉표지 인쇄모듈의 인쇄통로로 반입되고, 통장매체의 겉표지가 프린터 유닛에 의해 인쇄되는 단계;
    e) 상기 인쇄가 끝난 경우, 통장매체가 상기 겉표지 인쇄모듈의 인쇄통로로부터 이송되어서 상기 반송부의 픽업통로에 재반입되는 단계;
    f) 상기 다단반송모듈이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반송부의 픽업통로가 겉표지 이월모듈의 이월통로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단계;
    g) 상기 반송부의 픽업통로에 있고 겉표지가 인쇄된 통장매체가 상기 이월통로로 반입되고, 이월 유닛에 의해 통장매체의 겉표지가 넘겨지는 단계; 및
    h) 상기 겉표지가 넘겨진 통장매체가 속지인쇄모듈의 메인반송통로 쪽으로 이송되고, 속지인쇄모듈이 이송된 통장매체의 표제면을 인쇄하거나, 속지를 이월 및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장 발행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구통장이 속지인쇄모듈의 메인반송통로 쪽으로 투입되는 단계;
    상기 속지인쇄모듈과 연동하는 중앙제어부가 금융기관의 메인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서, 구통장의 통장정리를 수행하고, 이월대상 통장으로서 고객이 신통장을 발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메인 서버로부터 신통장 발행거래 송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구통장의 임시 저장을 위해서 다단반송모듈이 상승하고, 상기 다단반송모듈의 보관부의 출입통로가 겉표지 이월모듈의 이월통로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구통장이 상기 속지인쇄모듈의 메인반송통로로부터 상기 겉표지 이월모듈의 이월통로 및 다단반송모듈의 보관부의 출입통로를 경유하여 저장통로에 도달한 후 임시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장 발행 방법.
KR1020120090248A 2012-08-17 2012-08-17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KR101337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48A KR101337873B1 (ko) 2012-08-17 2012-08-17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48A KR101337873B1 (ko) 2012-08-17 2012-08-17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873B1 true KR101337873B1 (ko) 2013-12-06

Family

ID=4998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248A KR101337873B1 (ko) 2012-08-17 2012-08-17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8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756B2 (ja) * 1993-06-14 1997-10-29 富士通株式会社 通帳記帳装置
KR20050051433A (ko) * 2003-11-27 2005-06-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양방향 이월 및 이월매수인식 가능한 통장류 페이지이월장치
JP3990529B2 (ja) * 2000-04-27 2007-10-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帳発行機
KR20080062800A (ko) * 2006-12-29 2008-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통장 발급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756B2 (ja) * 1993-06-14 1997-10-29 富士通株式会社 通帳記帳装置
JP3990529B2 (ja) * 2000-04-27 2007-10-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帳発行機
KR20050051433A (ko) * 2003-11-27 2005-06-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양방향 이월 및 이월매수인식 가능한 통장류 페이지이월장치
KR20080062800A (ko) * 2006-12-29 2008-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통장 발급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8498B1 (en) Multi-purpose printer
JP3744719B2 (ja) 媒体発行装置及びカード発行装置
KR100834460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처리방법
KR101337873B1 (ko)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KR101326545B1 (ko) 통장 발행 장치의 제어 방법
JP4369353B2 (ja) カード発行機
KR102544593B1 (ko) 통장 발행 장치 및 통장 발행 방법
KR101978422B1 (ko) 통장발급기의 엘리베이션 장치
KR101441440B1 (ko) 통장 발행 장치 및 방법
WO2008055609A2 (en) Machine for applying cards or vouchers to backing sheets
KR20150003004A (ko) 이중의 힌지 개폐 구조를 구비한 통장 발행 장치
KR100265372B1 (ko) 은행창구형이미지시스템
KR101929295B1 (ko) 통장 발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54480B1 (ko) 티켓 발매 처리장치
KR100959480B1 (ko) 자동 티켓 발매장치
KR20210006607A (ko) 통장 발행 장치 및 통장 발행 방법
KR100638007B1 (ko) 서멀프린터의 미수취용지 회수방법
KR102480869B1 (ko) 카드의 발급 및 보관이 가능한 카드 관리 장치
KR101637698B1 (ko) 매체 저장부
JP2005043950A (ja) 自動取引装置
KR20110067605A (ko) 잉크 번짐 방지기능을 가지는 인쇄장치
JP3452483B2 (ja) 媒体取扱装置
JP4657043B2 (ja) 物品処理装置および物品処理方法
JP2022088812A (ja) 媒体処理装置および媒体処理プログラム
KR10107632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인식장치 및 수표인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