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717B1 - 다층 포장재 - Google Patents

다층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717B1
KR101337717B1 KR1020120074307A KR20120074307A KR101337717B1 KR 101337717 B1 KR101337717 B1 KR 101337717B1 KR 1020120074307 A KR1020120074307 A KR 1020120074307A KR 20120074307 A KR20120074307 A KR 20120074307A KR 101337717 B1 KR101337717 B1 KR 10133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layer
film layer
packaging material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철
Original Assignee
김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철 filed Critical 김원철
Priority to KR102012007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다층 포장재는 제1 절단 예정 영역을 갖고 내용물과 접촉되는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절단 예정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절단 예정 영역을 갖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영역들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 포장재{PACKING MATERIAL WITH MULTI-LAYER}
본 발명은 다층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층 포장재를 절단하여 개봉하였을 때 절단면에 의하여 노출된 포장재의 인쇄물질이 물과 접촉되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한 다층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음식물을 포장하는 포장재의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포장재는 주로 1회용 인스턴트 식품을 안전하게 장시간 저장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포장재는 산소, 수분, 자외선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하여 포장재 내부의 내용물이 쉽게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층(multi-layer)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종래 포장재는 포장재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며 내용물과 직접 접촉되는 폴리프로필렌층, 폴리프로필렌층의 바깥쪽에 배치된 알루미늄 증착층, 알루미늄 증착층 상에 인쇄된 인쇄층, 인쇄층 상에 배치된 폴리프로필렌층을 포함한다.
종래 포장재는 인쇄층의 안쪽 및 바깥쪽에 폴리프로펠렌층이 배치되어 인쇄층이 직접 포장재에 수납된 내용물과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1회용 건조 커피 등이 담겨 진 포장재의 경우, 스틱형으로 많이 제조되고 포장재의 단부에 쉽게 포장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절단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틱형 포장재의 절단선을 절취한 후 내용물을 컵에 넣은 후 스틱형 포장재를 컵에 넣어 스틱 대신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 되고 있다. 이는 1회용 건조 커피 등을 스틱 형상으로 제조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스틱형 포장재의 절단선을 절취한 후 개봉된 포장재를 스틱 대신 사용할 경우, 절단선에 의하여 노출된 인쇄층이 컵 내부의 액체와 접촉되어 인쇄층을 이루는 인쇄물질의 일부가 컵 내부의 액체에 녹아 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장재를 개봉하기 위한 절단선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인쇄층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지 않아 절단선을 통해 포장재를 개봉 및 개봉된 부분이 물과 같은 액체에 접촉하더라도 인쇄층은 직접적으로 액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인쇄층을 이루는 인쇄물질이 액체 속으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한 다층 포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다층 포장재는 제1 절단 예정 영역을 갖고 내용물과 접촉되는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절단 예정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절단 예정 영역을 갖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영역들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한다.
다층 포장재의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은 상호 직접 접촉된다.
다층 포장재는 상기 제1 필름층과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의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금속 박막층을 더 포함한다.
다층 포장재의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은 각각 폴리프로필렌(PE), 폴리에틸렌(PA), 폴리아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를 포함한다.
다층 포장재의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은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다층 포장재의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의 바깥쪽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의 상기 바깥쪽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영역에 각각 형성된다.
다층 포장재의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은 상기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다층 포장재의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을 절취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포장재에 의하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포장재의 일부를 횡 방향으로 절개하였을 때 인쇄층이 절개된 절개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절개된 포장재를 고온의 물에 넣더라도 인쇄층이 물에 용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VII-V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VIII-V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IX-IX'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층 포장재(100)는 제1 필름층(110), 제2 필름층(120) 및 인쇄층(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다층 포장재(100)는 스틱 형상인 것을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기로 하며, 다층 포장재(100)의 양단부는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밀봉된다.
제1 필름층(110)은 다층 포장재(10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며, 제1 필름층(110)은 다층 포장재(100)에 수납된 내용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내용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 필름층(110)은 내열성, 봉합성, 내습성 및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며, 외부 압력과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기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아미드(PI)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필름층(110)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름층(110)의 일부에는 사용자가 제1 필름층(110)을 횡 방향으로 절단하여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제1 필름층(110)을 절단하기 위한 제1 절단 예정 영역(115)이 형성된다.
제1 절단 예정 영역(115)은 사용자가 쉽게 제1 필름층(110)을 횡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소정 폭(A)으로 형성된다. 제1 절단 예정 영역(115)은 다층 포장재에 수납되는 내용물 및 디자인에 의하여 형성 위치는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필름층(120)은 제1 필름층(110)의 외측에 제1 필름층(110)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필름층(120)은 제1 필름층(110)의 제1 절단 예정 영역(115)과 대응하는 사이즈 및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절단 예정 영역(125)을 포함하며, 제2 절단 예정 영역(125)은 사용자가 제2 필름층(120)을 횡 방향으로 절단하여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제2 필름층(120)은 내열성, 봉합성, 내습성 및 산소 차단성이 우수하며, 외부 압력과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기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아미드(PI)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필름층(110)은 후술 될 인쇄층의 인쇄 내용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인쇄층(130)은 제1 필름층(110) 및 제2 필름층(120) 사이에 개재되며, 인쇄층(130)은 제1 필름층(110)에 잉크를 특정한 디자인으로 인쇄하여 형성되며, 제1 필름층(110)에 형성된 잉크가 수용성 잉크일 경우 반드시 인쇄 후 건조를 수행해야 한다.
특히, 인쇄층(130)을 이루는 잉크는 벤조페논 용출량이 0.6mg/L 이내이며, 톨루엔 잔류량은 2mg/㎡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필름층(110) 및 제2 필름층(120)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130)은 제1 필름층(110)의 제1 절단 예정 영역(115)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25)을 제외한 나머지 제1 및 제2 필름층(110,120) 전체에 인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인쇄층(130)을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모두 형성할 경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에는 인쇄층(130)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에 인쇄층(130)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를 절개하더라도 인쇄층(130)은 절개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게 되고, 사용자가 절개된 다층 포장재(100)를 고온의 물에 넣더라도 인쇄층(140)이 고온의 물과 접촉되지 않아 인쇄층(140)을 이루는 인쇄물질이 물에 용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에 선택적으로 인쇄층(130)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은 상호 직접 접촉되며 제1 및 제2 필름층(110,120)들이 투명할 경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을 통해 내용물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IV-I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는 금속 박막층을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다층 포장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층 포장재(100)는 제1 필름층(110), 제2 필름층(120), 인쇄층(130) 및 금속 박막층(140)을 포함한다.
금속 박막층(140)은 제1 필름층(110) 및 인쇄층(130) 사이에 형성된다. 금속 박막층(140)은 다층 포장재(100)의 외부의 산소 및 수분이 제1 필름층(110)을 투과하여 다층 포장재(100)의 내부에 배치된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금속 박막층(140)은 제1 필름층(110) 상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금속 박막층(140)은 컵에 수납된 고온의 물과 접촉되더라도 유해한 물질이 용출되지 않으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이 보다 쉽게 절개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에 배치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V'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는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의 위치를 제외하면 앞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층 포장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다층 포장재(100)는 제1 필름층(110), 제2 필름층(120), 인쇄층(130) 및 금속 박막층(140)을 포함한다.
제1 필름층(110)에는 제1 절단 예정 영역(115)이 형성되고, 제2 필름층(120)에는 제1 절단 예정 영역(125)과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된 제2 절단 예정 영역(1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절단 예정 영역(115)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25)은 제1 및 제2 필름층(110,120)들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을 제1 및 제2 필름층(110,120)들의 일측 단부에 형성할 경우, 인쇄층(130)을 형성하기 보다 쉬우며, 사용자가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을 절개할 때 인쇄층(130)이 형성된 부분을 절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의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VII-V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VIII-V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IX-IX'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포장재는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의 위치를 제외하면 앞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층 포장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다층 포장재(100)는 제1 필름층(110), 제2 필름층(120), 인쇄층(130) 및 금속 박막층(140)을 포함한다.
제1 필름층(110)에는 제1 절단 예정 영역(115)이 형성되고, 제2 필름층(120)에는 제1 절단 예정 영역(125)과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된 제2 절단 예정 영역(1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절단 예정 영역(115)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25)은 제1 및 제2 필름층(110,120)들의 상단 및 하단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이 제1 및 제2 필름층(110,120)들의 상단 및 하단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경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을 기준으로 다층 포장재(100)는 제1 영역(FA) 및 제2 영역(SA)으로 구분된다.
제1 영역(FA)는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2 영역(SA)은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다.
인쇄층(130)은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에는 형성되지 않고 인쇄층(130)은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의 상기 일측인 제1 영역(FA)에 형성 및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의 상기 타측인 제2 영역(SA)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영역(FA, SA)들에 각각 인쇄층을 형성할 경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들에 의한 심미감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보다 쉽게 다층 포장재(100)의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115,125)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인쇄층을 포함하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포장재의 일부를 횡 방향으로 절개하였을 때 인쇄층이 절개된 절개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절개된 포장재를 고온의 물에 넣더라도 인쇄층이 물에 용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다층 포장재 110...제1 필름층
120...제2 필름층 130...인쇄층
140...금속 박막층

Claims (8)

  1. 제1 절단 예정 영역을 갖고 내용물과 접촉되는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절단 예정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절단 예정 영역을 갖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영역들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 사이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는 다층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은 상호 직접 접촉된 다층 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과 상기 인쇄층 및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의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금속 박막층을 더 포함하는 다층 포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은 각각 폴리프로필렌(PE), 폴리에틸렌(PA), 폴리아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다층 포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은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다층 포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의 바깥쪽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의 상기 바깥쪽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영역에 각각 형성된 다층 포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필름층들은 상기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다층 포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1 및 제2 절단 예정 영역들을 절취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다층 포장재.
KR1020120074307A 2012-07-09 2012-07-09 다층 포장재 KR10133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307A KR101337717B1 (ko) 2012-07-09 2012-07-09 다층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307A KR101337717B1 (ko) 2012-07-09 2012-07-09 다층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717B1 true KR101337717B1 (ko) 2013-12-06

Family

ID=4998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307A KR101337717B1 (ko) 2012-07-09 2012-07-09 다층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546A (ko) * 2020-05-25 2021-12-02 박은규 고형제와 액상을 분리하여 포장하는 포장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340Y1 (ko) 2001-10-09 2001-12-29 정기훈 일회용 커피믹스포장대
KR200382205Y1 (ko) 2005-01-13 2005-04-18 안용기 포장체
KR20080024777A (ko) * 2006-09-14 2008-03-1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포장용 백
KR20110111896A (ko) * 2010-04-06 2011-10-12 정대교 티스푼 내장형 커피믹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340Y1 (ko) 2001-10-09 2001-12-29 정기훈 일회용 커피믹스포장대
KR200382205Y1 (ko) 2005-01-13 2005-04-18 안용기 포장체
KR20080024777A (ko) * 2006-09-14 2008-03-1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포장용 백
KR20110111896A (ko) * 2010-04-06 2011-10-12 정대교 티스푼 내장형 커피믹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546A (ko) * 2020-05-25 2021-12-02 박은규 고형제와 액상을 분리하여 포장하는 포장용기
KR102401117B1 (ko) * 2020-05-25 2022-05-23 박은규 고형제와 액상을 분리하여 포장하는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0338B2 (en) Easy tearing bags and packaging material
US6003670A (en) Abuse resistant flexible package
RU2337869C2 (ru) Контейнер
ES2781704T3 (es) Estructura laminada flexible con válvula unidireccional integrada
RU2337868C2 (ru) Сжим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SG191023A1 (en) Flexible bag material
AU2011348533A1 (en) Flexible bag material
JP2006199337A (ja) ガセット包装袋
JP5778178B2 (ja) パウチ容器
US20200017276A1 (en) Packaging bag for heating in microwave oven
JP5539183B2 (ja) 消費物品の密封バンドルを生成する方法
KR101337717B1 (ko) 다층 포장재
JP2013147255A (ja) 脱気容易な防湿袋
US10661947B2 (en) Pouch with slide-in pocket
US10640258B2 (en) Package comprising a drinking device restricted to move in a pre-determined plane
EP0462455A1 (en) Laminated packaging material with good oxygen and aroma barrier properties and manner of manufacturing the material
JPWO2003031278A1 (ja) 包装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容器
US20100276327A1 (en) Reclosable Microwave-Suitable Packaging
JP5845018B2 (ja) 包装用積層体
JP6911362B2 (ja) 注出口を備えたパウチ
JP2005350099A (ja) 乾燥剤入り包装容器
JP5175382B2 (ja) 液体注出ノズル
JP2024000670A (ja) パウチ容器およびフィルムシート
TW201521710A (zh) 點眼容器包裝體
JP5339595B2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