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592B1 -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 Google Patents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592B1
KR101337592B1 KR1020120098109A KR20120098109A KR101337592B1 KR 101337592 B1 KR101337592 B1 KR 101337592B1 KR 1020120098109 A KR1020120098109 A KR 1020120098109A KR 20120098109 A KR20120098109 A KR 20120098109A KR 101337592 B1 KR101337592 B1 KR 10133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section
line
connection end
conductor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 군-진
수 쿠오-후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플렉시블 서큐츠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플렉시블 서큐츠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플렉시블 서큐츠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19Printed shielding conductors for shielding around or between signal conductors, e.g. coplanar or coaxial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7Electric details
    • H05K2201/0707Shielding
    • H05K2201/0715Shielding provided by an outer layer of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45Crossin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56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은 플랫 케이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은 도약하지 않는(non-jumping) 평행 전도체 라인들과 같은 복수의 직선 라인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도약 라인이 상기 제 1 섹션의 선택된 전도 라인을 또 다른 하나의 선택된 전도 라인에 호환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섹션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섹션 역시 제 2 섹션의 선택된 전도 라인을 또 다른 하나의 선택된 전도 라인에 호환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도약 라인을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도약 라인을 통해서, 전기적 접속이 신호 단자와 교체 가능한 대응 신호 단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의 복수의 전도체 라인은 적어도 한 쌍의 차분 신호 전도체 라인과 접지 라인 및 파워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COMPOSITE FLEXIBLE CIRCUIT PLANAR CABLE}
본 발명은 회로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요성 플랫 케이블로 불리는 가요성 플랫 리본 케이블과 같은 보통의 가요성 평면 케이블과 보통의 회로 기판을 결합시키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은 종종 (1) 재촬상(image transfer)을 통해 가용성 기판을 형성하고, 전도층을 에칭하며, 절연층을 적층하는 방법, (2) 절연 베이스 물질의 가용성 기판상에 전도층을 직접 프린팅하는 방법 및 (3) 와인드업 머신(wind-up machine)으로 복수의 평행 직선 구리선을 스트레칭하는 것에 의해 표준 평면 케이블을 형성하고, 절연층을 적층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기능에 따라 나누면, 캐리어 보드(carrier boards), 평면 케이블 또는 캐리어 보드와 평면 케이블의 기능을 모두 특징화한 가용성 회로기판이 있다. 따라서, 가요성 회로기판은 가용성 인쇄회로기판과 가용성 플랫 케이블과 같은 다른 용어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이들 용어는 실제적으로 동일한 제품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조 비용에 따라 분류해 보면, 에칭을 통해 만들어지는 가용성 기판이 가장 비싸고, 프린팅이 다음으로 비싸며, 표준 가용성 플랫 케이블이 가장 싸다.
치열한 경쟁과 대량 생산에 따라 제조 비용을 더 줄이기 위해서 내부 구성부품들의 설계가 더 단순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신호 전송의 경로를 제공하고, 더 중요하게는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 모듈들간의 상호 접속이 가용성 플랫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상의 가용성 플랫 케이블은 종종 신호 전송시에 고주파수와 고에너지의 전자파를 생성하고, 케이블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는 신호의 왜곡을 초래하는 외부의 고주파수 잡음에 의한 간섭에 쉽게 노출된다. 또한, 가용성 플랫 케이블이나 회로기판이 움직이는 홀(holes)을 통해 펼쳐지면서 고전압 정전기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조건에서도 빠르고, 효과적인 접지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다루기 위해, 외부의 전자기적 잡음을 차폐할 수 있도록 가용성 회로기판의 표면상에 금속 차폐층을 코팅하는 해결책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 차폐층은 외부의 전자기적 잡음에 의해 초래되는 간섭으로부터 벗어나는데는 효과적이지만, 그렇게 코팅된 금속 차폐층이 전자기기의 접지에 효과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기적 잡음을 차폐하고, 정전기를 제거하는데에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 전자기기의 내부 모듈들은 종종 에칭 공정으로 만들어진 종래의 가요성 회로기판을 손쉬운 접지를 위한 신호 접속체로서 흔히 사용해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요성 회로기판은 비용면에서 상기 표준 가요성 플랫 케이블 보다 훨씬 비싸다. 또한, 상기 표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 전자기적 잡음 차폐의 기능을 보유하지 못하는 이유중의 하나는 제조공정이 구리선을 적층하고, 스트레칭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리선의 폭이 좁아져서, 결국 임피던스의 조절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용을 줄이고, 전자기적 잡음에 대해 효과적인 차폐를 제공하며, 신호에 대한 임프던스 조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전기의 제거를 위한 전도성 접속체를 형성하기 위해 종래의 가요성 회로기판의 용례의 일부분을 통상의 가요성 플랫 케이블로 대체하는 것이 산업적으로 요청된다. 또한, 몇몇 제품 응용에서, 연장(extension)이 힌지의 구멍(bore)이나 작은 홀(hole)을 통해 이루어지고, 내굴곡성에 대한 테스트가 수천 수만번에 걸쳐 치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것은 부분적인 슬리팅(slitting)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와 같은 번들의 응용에 대해서도 예외가 아니다.
또한, 신호 전송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비용을 낮추기 위해 표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호 접속하는 경우에, 접속되는 내부 모듈들의 대응하는 신호 단자들의 위치가 서로 다를 때, 신호 단자와 이에 대응하는 신호 단자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성립되지 않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준 가요성 플랫 케이블과 종래의 에칭으로 만들어진 회로기판을 연결시키는 복합 가요성 회로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성(rigid) 회로기판, 가요성 회로기판 또는 경성-가요성(rigid-flexible) 기판과 같은 다양한 회로기판에 적용 가능한 회로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되는 표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나 가요성 회로기판에 대해, 작은 홀이나 힌지 구멍을 통해서 쉽게 확장될 수 있도록 번들형 구조체내에 배열되거나 중첩되는 다중 슬릿들이 신호 라인중에 만들어질 것이다. 일부 응용에 있어서, 이것은 상기 표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 작은 홀이나 힌지 구멍을 통해 쉽게 연장되도록 하고, 전선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은 도약하지 않는(non-jumping) 평행 전도체 라인들(이하,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으로 정의된다.)과 같은 복수의 직선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섹션은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 외부 접속 말단 및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과 외부 접속 말단 사이에 놓여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전도체 라인들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제 1 말단에 연결되어서 플랫 케이블의 제 1 말단으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섹션은 제 1 섹션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약 라인을 포함한다. 이 도약 라인은 제 1 섹션의 선택된 전도 라인을 또 다른 하나의 선택된 전도 라인에 호환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상기 제 2 섹션은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 외부 접속 말단 및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과 외부 접속 말단 사이에 놓여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전도체 라인들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제 2 말단에 연결되어서 플랫 케이블의 제 2 말단으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2 섹션 역시 제 2 섹션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도약 라인을 포함한다. 이 제 2 도약 라인은 제 2 섹션의 선택된 전도 라인을 또 다른 하나의 선택된 전도 라인에 호환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또한, 회로기판은 대응되지만 교체되는 신호 단자들이 제공된 두 개의 말단을 가지는데, 상기 회로기판상에 제공된 도약 라인에 의해 신호 단자들과 이에 대응되지만 교체되는 신호 단자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1) 표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은 신호의 전송을 위해 가요성 회로기판을 사용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신호 접속 솥(signal connection sot)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은 제 1 섹션과 제 2 섹션의 상면과 하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차폐층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정전기의 제거와 향상된 전자기적 차폐를 제공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힌지를 통한 전선의 연장을 위해 표준 가요성 플랫 케이블과 같은 하나의 번들과 회로 기판의 결합 플랫 케이블 구조체를 제공한다.
(4)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과 외부 접속 말단이 서로 다른 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 1 섹션과 제 2 섹션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그러한 회로기판을 사용하는 회로기판과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 결합된 플랫 케이블 구조체는 다중 방향의 라인 연장 배열과 공간의 보다 적절한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이어 홀(via hole) 기술이 전도체 라인들의 배선 도약(wire jumping)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5) 본 발명은 제 1 섹션이나 제 2 섹션내에 형성되는 바이어 홀(via holes)이나 실버 플레이트 프린팅(silver plate printing)을 포함하는 배선 도약 방식과, 단자들의 적절한 위치로 호환 가능하게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도약 라인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회로 접속의 활용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아래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기재를 고려하는 것에 의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및 플랫 케이블이 분리된 상태의 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및 플랫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투시도이다.
도 3은 차폐층으로 커버된 상면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차폐층에 의해 커버된 제 1 섹션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6-6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10-10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슬릿 라인을 형성하도록 슬릿된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슬릿되고, 뭉쳐진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슬릿되고, 묶여진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접힌 조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섹션과 플랫 케이블이 분리된 상태의 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섹션과 플랫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1), 제 1 섹션(2) 및 제 2 섹션(3)을 포함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1)은 제 1 말단(11)과 제 2 말단(12) 및 이 제 1 말단(11)과 제 2 말단(12) 사이에서 플랫 케이블의 연장 방향(Ⅰ1)으로 연장되는 도약하지 않는(non-jumping) 평행 전도체 라인들(13)(이하, "메인 전도체 라인"으로 정의된다.)과 같은 복수의 직선을 가진다. 상기 메인 전도체 라인(13)에는 적어도 한 쌍의 차분 신호(differential signal) 전도체 라인(S11, S12), 적어도 하나의 접지 라인(13G) 및 파워 라인(13P)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섹션(2)은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21), 외부 접속 말단(22) 및 이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21)과 외부 접속 말단(22) 사이에 놓여서 연장되는 복수의 전도 라인(23)들(이하, "제 1 전도체 라인"으로 정의된다.)을 가진다. 제 1 섹션(2)의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21)은 플랫 케이블(1)의 제 1 말단(11)과 연결되어 플랫 케이블(1)의 제 1 말단(1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13)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전도체 라인(23)들은 제 1 접지 전도 라인(23G)으로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 라인, 적어도 한 쌍의 제 1 차분 신호(differential signal) 라인(S21, S22), 및 제 1 파워 라인(23P)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지 전도 라인(23G)은 플랫 케이블(1)의 상기 접지 라인(13G)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차분 신호(differential signal) 라인(S21, S22)은 플랫 케이블(1)의 상기 차분 신호(differential signal) 전도체 라인(S11, S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파워 라인(23P)은 플랫 케이블(1)의 상기 파워 라인(13P)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섹션(2)은 단면 회로기판, 양면 회로기판 및 다층 회로기판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섹션(3)은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31), 외부 접속 말단(32) 및 이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31)과 외부 접속 말단(32) 사이에 놓여서 연장되는 복수의 전도 라인(33)들(이하, "제 2 전도체 라인"으로 정의된다.)을 가진다. 제 2 섹션(3)의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31)은 플랫 케이블(1)의 제 2 말단(12)과 연결되어 플랫 케이블(1)의 제 2 말단(1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13)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복수의 제 2 전도체 라인(33)들은 제 3 접지 전도 라인(33G)으로 활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 라인, 적어도 한 쌍의 제 2 차분 신호(differential signal) 라인(S31, S32), 및 제 2 파워 라인(33P)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접지 전도 라인(33G)은 플랫 케이블(1)의 상기 접지 라인(13G)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2 차분 신호(differential signal) 라인(S31, S32)은 플랫 케이블(1)의 상기 차분 신호(differential signal) 전도체 라인(S11, S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2 파워 라인(33P)은 플랫 케이블(1)의 상기 파워 라인(13P)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2 섹션(3)은 단면 회로기판, 양면 회로기판 및 다층 회로기판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은 차폐층으로 커버된 상면을 가지는 제 1 섹션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차폐층에 의해 커버된 제 1 섹션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은 상부 절연층(14)과 하부 절연층(15)을 부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연층(14)과 하부 절연층(15)은 상기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13)들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절연층(14)과 하부 절연층(15)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I(폴리이미드)와 같은 절연 물질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섹션(2)을 하나의 예로서 추가적인 설명을 진행한다. 신호 전송시에 간섭의 감소와 신호의 전송 성능을 고려하여 상부 차폐층(41)(도 3에 도시됨)이 회로 기판(211)의 상면(212)과 제 1 전도체 라인(23)들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원하는 경우, 상부 차폐층(41)과 하부 차폐층(42)이 회로 기판(211)의 상면(212)과 하면(213) 및 제 1 전도체 라인(23)들을 번갈아가면서 커버하도록 각각 마련된다. 원하는 경우, 하부 차폐층(42)만으로 회로 기판(211)의 하면(213)만을 커버하는 것도 물론 실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5의 6-6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상기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은 둘 다 단면 회로기판이다. 상기 제 1 섹션(2)을 하나의 예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제 1 전도체 라인(23)들이 회로기판(211)상에 놓여져 있다. 절연층(24)은 제 1 접지 전도라인(23G)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 구조체 H1을 그리고 제 2 접지 전도라인(23G')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 구조체 H2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섹션(2)의 제 1 접지 전도라인(23G)이 플랫 케이블(1)의 접지 라인(13G)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뿐만 아니라 제 1 섹션(2)의 제 1 접지 전도라인(23G)(여기에서는 "선택된 전도라인"으로 정의된다)은 도약 라인(25)을 경유하여 제 2 접지 전도라인(23G')(여기에서는 "또 다른 하나의 선택된 전도라인"으로 정의된다)에 연결된다. 제 2 섹션(3)의 제 3 접지 전도라인(33G)은 플랫 케이블(1)의 접지 라인(13G)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약 라인(25)은 제 1 접지 전도라인(23G)(선택된 전도라인)을 제 2 접지 전도라인(23G')(또 다른 하나의 선택된 전도라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해 절연층(24)에 실버 슬러리 코팅 배선(silver slurry coated wiring)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고, 덮개층(26)으로 커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섹션(2)의 제 1 차분 신호 라인들(S21, S22)은 플랫 케이블(1)의 차분 신호 전도체 라인들(S11, S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차분 신호 라인들 S21, S22(선택된 전도 라인들) 각각은 도약 라인들(251, 252)을 경유하여 제 1 차분 신호 라인들 S21', S22'(또 다른 하나의 전도 라인들)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 2 섹션(3)의 제 2 차분 신호 라인들(S31, S32)은 플랫 케이블(1)의 차분 신호 전도체 라인들(S11, S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배열은 제 1 섹션(2)과 제 2 섹션(3)의 신호 단자들의 위치가 서로에 대해 대응되지 않는 상황에 적용되는 것이고, 상기 도약 라인들(251, 252)은 제 1 섹션(2)의 신호들을 신호 단자의 또 하나의 지정 위치로 도약시키는데 유용하다.
도 8-10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배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10-10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상기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은 둘 다 양면 회로기판이다. 상기 제 1 섹션(2)을 하나의 예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상부 배선(23A)이 회로 기판(211)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부 절연층(24A)이 상부 배선(23A)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하부 배선(23B)이 회로 기판(211)의 하면에 형성되고, 하부 절연층(24B)이 하부 배선(23B)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제 1 섹션(2)은 상부 절연층(24A)을 통해 수직 방향(Ⅰ2)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어 홀(via hole)(5), 상부 배선(23A)의 제 1 접지 전도라인(23G), 회로 기판(211), 하부 배선(23B)의 제 2 접지 전도라인(23G') 및 하부 절연층(24B), 하부 전도체층(44) 및 홀 벽 구조체(hole wall structure)(51)를 포함한다. 전도 커버 섹션(6)이 바이어 홀(5)의 홀 벽 구조체(51)를 커버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상부 배선(23A)의 제 1 접지 전도 라인(23G)과 하부 배선(23B)의 제 2 접지 전도 라인(23G')은 바이어 홀(5)의 전도 커버 섹션(6)을 통해서 서로 전기적인 접속이 마련된다. 바이어 홀(5)은 전도 라인들의 도약을 실현하고, 이 도약이 전기적 접속에 대한 활용을 개선시킨다. 상기 전도 커버 섹션(6)은 건조 박막의 코팅, 노출(exposure), 현상(development) 및 에칭을 포함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전도 커버 섹션(6)을 위해 사용되는 전도 물질은 구리, 은, 금 및 이들의 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제 1 섹션(2)의 제 1 접지 전도라인(23G)이 플랫 케이블(1)의 접지 라인(13G)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뿐만 아니라 제 1 섹션(2)의 제 1 접지 전도라인(23G)(선택된 전도라인)은 또한 바이어 홀(5)을 통한 도약을 통해 제 2 접지 전도라인(23G')(또 다른 하나의 선택된 전도라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 2 섹션(3)의 제 3 접지 전도라인(33G)은 플랫 케이블(1)의 접지 라인(13G)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1-13을 참조하면, 도 11은 복수의 슬릿 라인을 형성하도록 슬릿된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2는 슬릿되고, 뭉쳐진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3은 슬릿되고, 묶여진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플랫 케이블(1)은 복수의 슬릿 라인(16)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메인 전도체 라인(13)들 사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슬릿(slit)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복수의 전도체 라인 세그먼트(conductor line segments)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전도체 라인들을 대상으로 구획이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찢겨짐 방지 홀(7)이 슬릿 라인(16)들의 한 쪽 끝단에 형성된다. 이 찢겨짐 방지 홀(7)은 플랫 케이블(1)의 원하지 않는 찢겨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복수의 전도체 라인 세그먼트는 하나의 번들 구조체(17)(도 12에 도시)를 형성하도록 뭉쳐질 수 있고, 또한, 이렇게 하나의 번들 구조체(17)로 정열된 후의 복수의 전도체 라인 세그먼트는 플랫 케이블의 영역을 줄이기 위해 랩 부재(wrapping member)(8)(도 13에 도시)로 감싸질(wrap) 수 있다. 이것은 회로 기판의 설계 유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힌지 구조체(hinge structure)(9)의 구멍(bore)(91)이나 미세 구멍(미도시)을 통해 플랫 케이블을 연장하는 것을 돕는다.
도 14-15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 1 섹션(2)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21)과 외부 접속 말단(22)을 가진다. 제 2 섹션(3)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31)과 외부 접속 말단(32)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접힘선(fold line)(L)이 플랫 케이블(1)의 연장 방향(Ⅰ1)을 따라 형성되어 플랫 케이블(1), 제 1 섹션(2) 및 제 2 섹션(3)을 통해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슬릿 라인(16)이 상기 접힘선(L)을 따라 형성되되, 플랫 케이블(1)과 제 1 및 제 2 섹션(2, 3) 사이의 경계 사이로 연장된다. 이 접힘선(L)과 슬릿 라인(16)은 제 3 실시예의 플랫 케이블(1), 제 1 섹션(2) 및 제 2 섹션(3)이 크기-축소 구조체(도 15에 도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로 설계에서 플랫 케이블이 차지하는 영역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것은 플랫 케이블이 힌지 구조체(hinge structure)의 구멍(bore)이나 미세 구멍(미도시)을 통해 플랫 케이블을 연장하는 것을 돕는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가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섹션(2)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21)과 외부 접속 말단(22)을 가진다. 제 2 섹션(3)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31)과 외부 접속 말단(32)을 가진다. 제 1 섹션의 외부 접속 말단(22)과 제 2 섹션(3)의 외부 접속 말단(3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실제적인 응용에 있어서, 제 1 섹션의 외부 접속 말단(22)과 제 2 섹션(3)의 외부 접속 말단(32)은 외부 접속 단자, 삽입 슬롯, 커넥터, 납땜 단자, 전자 부품, 또는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표면 실장 부품(전자 기기와 액정 표시 장치의 메인 보드와 같은)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플랫 케이블,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을 제공한다는 것은 상술한 기재로부터 명백해지며,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표준 가요성 플랫 케이블이고, 상기 제 1 섹션 및 제 2 섹션은 단면 회로기판, 양면 회로기판 및 다층 회로기판중의 하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아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다양한 변형과 변화를 적절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1 : 플랫 케이블, 2 : 제 1 섹션, 3 : 제 2 섹션, 11 : 제 1 말단, 12 : 제 2 말단, 13 : 메인 전도체 라인, 13P : 파워라인, S11, S12 : 차분신호 전도체 라인, 13G : 접지 라인, 21, 31 :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 22, 32 : 외부 접속 말단, 23 : 제 1 전도체 라인, 33 : 제 2 전도체 라인, S21,S22 : 제 1 차분 신호 라인, S31, S32 : 제 2 차분 신호 라인, 23G : 제 1 접지 전도라인, 23G' : 제 2 접지 전도라인, 33G : 제 3 접지 전도라인, 23P : 제 1 파워라인, 33P : 제 2 파워라인, 251,252 : 도약라인, 5 : 바이어 홀, 23A : 상부배선, 23B : 하부배선, 24A : 상부 절연층, 24B : 하부 절연층, 9 : 힌지 구조체, 16 : 슬릿 라인, L : 접힘선, H1 : 홀 구조체

Claims (20)

  1. 제 1 말단, 제 2 말단 및 상기 제 1 말단과 제 2 말단 사이에서 플랫 케이블(flat cable) 형태로 놓여서 연장되는 도약하지 않는(non-jumping) 평행 전도체 라인들과 같은 복수의 직선 라인(이하,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으로 약칭)을 가지는 플랫 케이블;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 외부 접속 말단 및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과 외부 접속 말단 사이에 놓여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전도체 라인들을 가지는 제 1 섹션; 및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 외부 접속 말단 및 상기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과 외부 접속 말단 사이에 놓여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전도체 라인들을 가지는 제 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의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제 1 말단에 연결되어서 플랫 케이블의 제 1 말단으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섹션의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제 2 말단에 연결되어서 플랫 케이블의 제 2 말단으로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들은 적어도 한 쌍의 차분 신호 전도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의 복수의 제 1 전도체 라인들은 상기 차분 신호 전도체 라인에 대응하는 제 1 차분 신호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섹션의 복수의 제 2 전도체 라인들은 상기 차분 신호 전도체 라인에 대응하는 제 2 차분 신호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접지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의 복수의 제 1 전도체 라인들은 상기 접지 라인에 대응하는 제 1 접지 전도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섹션의 복수의 제 2 전도체 라인들은 상기 접지 라인에 대응하는 제 2 접지 전도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복수의 메인 전도체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파워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의 복수의 제 1 전도체 라인들은 상기 파워 라인에 대응하는 제 1 파워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섹션의 복수의 제 2 전도체 라인들은 상기 파워 라인에 대응하는 제 2 파워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도약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도약 라인은 제 1 섹션의 선택된 전도 라인을 또 다른 하나의 선택된 전도 라인으로 호환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 라인은 실버 플레이트 프린팅(silver plate printing)과 바이어 홀(via holes)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 플랫 케이블 및 제 2 섹션은 플랫 케이블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 라인(slit l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제 1 말단과 제 2 말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번들 섹션(bundle sec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 섹션(bundle section)은 번들 섹션을 감싸기 위한 랩 부재(wrapping me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 플랫 케이블 및 제 2 섹션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힘선(fold lin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 플랫 케이블 및 제 2 섹션은 이 접힘선을 따라 접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 플랫 케이블 및 제 2 섹션은, 상기 접힘선에 따라 접혀진 후, 상기 플랫 케이블을 랩 부재(wrapping member)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힌지 구조체의 구멍(bore)과 작은 홀(small holes)중의 하나를 통해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의 외부 접속 말단과 상기 제 2 섹션의 외부 접속 말단은 외부 접속 단자, 삽입 슬롯, 커넥터, 납땜 단자, 전자부품 또는 표면실장부품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의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과 외부 접속 말단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의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과 외부 접속 말단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의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과 외부 접속 말단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의 플랫 케이블 접속 말단과 외부 접속 말단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데, 그 중 하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섹션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는데, 그 중 하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용성 회로 평면 케이블.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과 제 2 섹션은 경성 회로기판, 가요성 회로기판, 경성-가요성 기판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KR1020120098109A 2012-06-20 2012-09-05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KR101337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22046A TWI453768B (zh) 2012-06-20 2012-06-20 Composite flexible circuit cable
TW101122046 2012-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592B1 true KR101337592B1 (ko) 2013-12-06

Family

ID=4977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109A KR101337592B1 (ko) 2012-06-20 2012-09-05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72192B2 (ko)
KR (1) KR101337592B1 (ko)
CN (1) CN103514996B (ko)
TW (1) TWI4537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9575B (zh) * 2013-07-31 2017-12-26 鹏鼎控股(深圳)股份有限公司 柔性电路板及其制作方法
TWI596994B (zh) * 2014-02-20 2017-08-21 Tear-resistant structur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JP6280861B2 (ja) * 2014-11-26 2018-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平面配索体モジュール
US9413097B2 (en) * 2014-12-22 2016-08-09 Intel Corporation High density cabled midplanes and backplanes
KR102345612B1 (ko) * 2015-07-08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5931717B (zh) 2016-06-08 2017-10-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扁平电缆
EP3491701A4 (en) 2016-07-26 2020-03-18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CABLE WITH SHIELDING TAPE WITH CONDUCTIVE SHIELDING SEGMENTS
CN107835560B (zh) * 2017-10-20 2019-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及其制备方法
CN108430152B (zh) * 2018-03-01 2020-01-14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及其柔性电路板
JP7139629B2 (ja) * 2018-03-09 2022-09-21 日本電気株式会社 回路基板、基板接続構造、及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EP3582235B1 (en) 2018-06-14 2023-12-20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Cable having shielding tape with conductive shielding segments
US11225206B2 (en) * 2019-04-12 2022-01-18 Aptiv Technologies Limited Wiring harness assembly
CN209657844U (zh) * 2019-06-03 2019-11-19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扁平线缆及wifi连接线
TWI746349B (zh) * 2021-01-11 2021-11-11 頎邦科技股份有限公司 軟性電路板
US11670435B2 (en) 2021-04-09 2023-06-06 Apple Inc. Hybrid cabling solution for higher bandwidth and millimeter wave appl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923U (ja) * 1993-01-11 1994-08-05 三洋電機株式会社 接続ケーブル
JP2006514436A (ja) 2003-02-25 2006-04-27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フラットケーブルに部品を電気的に接触させる方法
KR20110031074A (ko) * 2009-09-18 2011-03-24 어드밴스드플렉서블써키츠컴패니리미티드 집속형 플렉서블 플랫 회로 케이블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238A (en) * 1991-02-04 1992-01-21 Motorola, Inc. High frequency electronic assembly
US6830176B2 (en) * 2002-02-01 2004-12-1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flex circuits
ES2306164T3 (es) * 2004-06-18 2008-11-01 Textronics, Inc. Estructuras textiles funcionales perforadas.
US8427380B2 (en) * 2005-07-29 2013-04-23 Foster-Miller, Inc. Dual function composite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7059184A (ja) * 2005-08-24 2007-03-08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キーシートモジュール
JP3117072U (ja) * 2005-09-26 2006-01-05 船井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形ケーブルとその組立装置
TWI289372B (en) 2005-09-30 2007-11-01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Stackable assembly signal flat cable
TWI300905B (en) * 2005-10-27 2008-09-11 Asustek Comp In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sisting cab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8205137A (ja) * 2007-02-19 2008-09-04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M341322U (en) * 2008-03-28 2008-09-21 Tennrich Int Corp Wire jumping connection device for flat cable
TWM350723U (en) * 2008-07-24 2009-02-11 Tennrich Int Corp Jumper-wire connecting apparatus of liquid crystal screen
TW201115596A (en) * 2009-10-23 2011-05-01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Double-side-conducting flexible-circuit flat cable with cluster sections
TWM379203U (en) * 2009-11-24 2010-04-21 P Two Ind Inc The connector device with the flexible flat cable
JP2011181902A (ja) * 2010-02-04 2011-09-15 Nitto Denko Corp 配線回路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燃料電池
TWM385093U (en) * 2010-03-08 2010-07-21 Amazing Microelectronic Corp Package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of the same
US8279613B2 (en) * 2010-11-16 2012-10-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Flexible circuit assemblies with stacked flex interconnects and connector assemblies having the same
CN201937034U (zh) * 2010-12-27 2011-08-17 易鼎股份有限公司 软性电路排线的防电磁波连接器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923U (ja) * 1993-01-11 1994-08-05 三洋電機株式会社 接続ケーブル
JP2006514436A (ja) 2003-02-25 2006-04-27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フラットケーブルに部品を電気的に接触させる方法
KR20110031074A (ko) * 2009-09-18 2011-03-24 어드밴스드플렉서블써키츠컴패니리미티드 집속형 플렉서블 플랫 회로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3768B (zh) 2014-09-21
US20130341072A1 (en) 2013-12-26
US9072192B2 (en) 2015-06-30
CN103514996A (zh) 2014-01-15
TW201401304A (zh) 2014-01-01
CN103514996B (zh)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592B1 (ko) 복합 가요성 회로 평면 케이블
US9077168B2 (en) Differential mode signal transmission module
US9271392B2 (en) Rigid flexible circuit board with impedance control
US9288893B2 (en) Implementations of twisted differential pairs on a circuit board
US8753143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flexible circuit cable
CN106171049A (zh) 电子设备
KR100666224B1 (ko) 개구를 가지는 리지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CN103779661B (zh) 天线模块
CN105636335B (zh) 移动终端、柔性电路板及其制造方法
JP2013247111A (ja) 少なくとも2つに結束されたワイヤ群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回路ケーブル
JP2012047823A5 (ko)
JP5888274B2 (ja) 高周波線路及び電子機器
CN205584642U (zh) 树脂多层基板
US20150102874A1 (en) Attenuation reduction structure for high frequency signal contact pads of circuit board
US10153746B2 (en) Wiring board with filter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CN105657958B (zh) 移动终端、柔性电路板及其制造方法
JP2015233136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電源経路構造
JP6528576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JP2015002136A (ja) 接続部材および接続部材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CN109585068B (zh) 长直高频传输电缆
CN105430883A (zh) 柔性电路板及移动终端
JPH05335714A (ja) 多層フレキシブル実装基板
CN205883714U (zh) 柔性电路板
CN105578724A (zh) 柔性电路板及移动终端
CN205921814U (zh) 一种电路板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