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752B1 -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 Google Patents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752B1
KR101336752B1 KR1020120105020A KR20120105020A KR101336752B1 KR 101336752 B1 KR101336752 B1 KR 101336752B1 KR 1020120105020 A KR1020120105020 A KR 1020120105020A KR 20120105020 A KR20120105020 A KR 20120105020A KR 101336752 B1 KR101336752 B1 KR 10133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ember
nozzle
hollow portion
nozzle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환
Original Assignee
최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환 filed Critical 최재환
Priority to KR102012010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 파우치를 제조하는 장치에 장착되어, 형상 파우치의 내부로 내용물을 충전하는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노즐 바디(10)의 측부에 공급 구멍(112)이 형성되어, 공급 구멍(112)이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와 연통되고, 노즐 바디(10)의 하단에 노즐관(20)이 연결되어,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와 노즐관(20)이 연통됨으로써, 노즐 바디(10)의 공급 구멍(112)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노즐관(20)을 통해 토출되며, 개폐 로드(30)가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를 통해 노즐관(20)에 끼워지고, 노즐관(20)의 하단에 엔드 캡(40)이 장착되어, 개폐 로드(30)의 하단이 엔드 캡(40)의 배출구멍(41)에 끼워지거나 빠짐으로써, 노즐관(20)이 닫히거나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NOZZLE FOR FILLING LIQUID IN THE SHAPED POUCH}
본 발명은 형상 파우치를 제조하는 장치에 장착되어, 형상 파우치의 내부로 내용물을 충전하는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 바디에 긴 노즐관을 연결함으로써, 형상 파우치 바로 위에 노즐관의 하단이 위치될 수 있으며, 개폐 로드가 노즐관의 하단에 장착된 엔드 캡의 배출구멍을 개폐하고, 개폐 로드에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노즐관에서 하부로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를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0910028호(2009년 7월 23일, 등록)에 "스파우트 파우치용 충전 노즐"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스파우트 파우치용 충전 노즐은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충전물 이송관로와 측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진공관로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 하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결합되고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스파우트 안착공이 형성되는 노즐 커버와, 상기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파우트 파우치 삽입시 하강하여 진공관로를 개방하고 충전물 주입시 상승하여 진공관로를 폐쇄하는 슬라이더와, 노즐 본체의 하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 사이에 마련되는 압축 스프링 및 오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스파우트 파우치용 충전 노즐은 부압을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를 통한 액체의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파우치를 교체하는 순간 액추에이터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며, 오링이 잘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 바디에 긴 노즐관을 연결함으로써, 형상 파우치를 제조하는 장치에서 형상 파우치 바로 위에 노즐관의 하단이 위치될 수 있어, 유체가 튀거나 외부 오염물이 형상 파우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개폐 로드가 노즐관의 하단에 장착된 엔드 캡의 배출구멍을 개폐하고, 개폐 로드에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노즐관에서 하부로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를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은 노즐 바디의 측부에 공급 구멍이 형성되어, 공급 구멍이 노즐 바디의 중공부와 연통되고, 노즐 바디의 하단에 노즐관이 연결되어, 노즐 바디의 중공부와 노즐관이 연통됨으로써, 노즐 바디의 공급 구멍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노즐관을 통해 토출되며, 개폐 로드가 노즐 바디의 중공부를 통해 노즐관에 끼워지고, 노즐관의 하단에 엔드 캡이 장착되어, 개폐 로드의 하단이 엔드 캡의 배출구멍에 끼워지거나 빠짐으로써, 노즐관이 닫히거나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은 상기 노즐 바디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 1 브라켓과, 제 1 브라켓에 장착되는 에어 실린더와, 에어 실린더의 커넥팅 로드와 개폐 로드를 연결하는 제 2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 바디는 중간 원통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볼트부가 상부 원통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너트부와 체결되고, 중간 원통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볼트부가 하부 원통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너트부와 체결됨으로써, 상부 원통부재의 중공부, 중간 원통부재의 중공부 및 하부 원통부재의 중공부가 일렬로 연결되고, 중간 원통부재에 공급 구멍이 형성되어, 공급 구멍이 중간 원통부재의 중공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 원통부재의 상부 볼트부에는 상부 원통부재의 중공부와 중간 원통부재의 중공부를 연결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원통형의 실링부재가 끼워지고, 실링부재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의 상단에 확장부가 형성되고, 확장부에 고무패킹이 배치되고, 고무패킹의 상부에 와셔가 배치되어, 개폐 로드에 고무패킹과 와셔가 끼워짐으로써, 중간 원통부재의 중공부와 상부 원통부재의 중공부 사이를 차단하게 되어, 중간 원통부재의 중공부로 공급된 유체가 상부 원통부재의 중공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 로드는 에어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드 캡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고무 패킹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내부로 형성되고, 걸림턱에 의해 배출구멍이 형성되며, 고무 패킹의 상부에 금속 소재의 가이드 받침링이 배치되고, 내부 상단에 나선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은 형상 파우치 바로 위에 노즐관의 하단이 위치될 수 있어, 유체가 튀거나 외부 오염물이 형상 파우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개폐 로드가 노즐관의 하단에 장착된 엔드 캡의 배출구멍을 개폐하고, 개폐 로드에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노즐관에서 하부로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를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엔드 캡의 고무패킹이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을 도시한 단면도 및 일부 확대 상세도로서, 도 1은 닫힌 상태에고, 도 2는 개방 상태이다.
도 3은 노즐 바디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은 노즐 바디(10)의 측부에 공급 구멍(112)이 형성되어, 공급 구멍(112)이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와 연통되고, 노즐 바디(10)의 하단에 노즐관(20)이 연결되어,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와 노즐관(20)이 연통됨으로써, 노즐 바디(10)의 공급 구멍(112)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노즐관(20)을 통해 토출되며, 개폐 로드(30)가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를 통해 노즐관(20)에 끼워지고, 노즐관(20)의 하단에 엔드 캡(40)이 장착되어, 개폐 로드(30)의 하단이 엔드 캡(40)의 배출구멍(41)에 끼워지거나 빠짐으로써, 노즐관(20)이 닫히거나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은 노즐 바디(10)의 상단부에 제 1 브라켓(50)이 장착되고, 제 1 브라켓(50)에 에어 실린더(60)가 장착되며, 에어 실린더(60)의 커넥팅 로드(61)에 제 2 브라켓(55)이 장착되고, 제 2 브라켓(55)에 개폐 로드(30)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에어 실린더(60)의 제 1 포트(62)로 에어가 공급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팅 로드(61)가 에어 실린더(60)로 인입됨으로써, 제 2 브라켓(55)을 통해 케넉팅 로드(61)와 연결된 개폐 로드(30)가 하강되고, 개폐 로드(30)의 하단이 엔드 캡(40)의 배출구멍(41)에 끼워져 노즐관(20)이 닫히게 되고, 에어 실린더(60)의 제 2 포트(63)로 에어가 공급되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팅 로드(61)가 에어 실린더(60)에서 인출됨으로써, 제 2 브라켓(55)을 통해 케넉팅 로드(61)와 연결된 개폐 로드(30)가 상승되고, 개폐 로드(30)의 하단이 엔드 캡(40)의 배출구멍(41)에서 분리되어, 노즐관(20)이 개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 바디(10)는 중간 원통부재(11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볼트부(113)가 상부 원통부재(12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너트부(123)와 체결되고, 중간 원통부재(11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볼트부(114)가 하부 원통부재(13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너트부(133)와 체결됨으로써, 상부 원통부재(120)의 중공부(121),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 및 하부 원통부재(130)의 중공부(131)가 일렬로 연결되고, 중간 원통부재(110)에 공급 구멍(112)이 형성되어, 공급 구멍(112)이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상기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는 상부 원통부재(120)의 중공부(121),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 및 하부 원통부재(130)의 중공부(131)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 원통부재(110)의 상부 볼트부(113)에는 상부 원통부재(120)의 중공부(121)와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를 연결하는 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114)에 원통형의 실링부재(140)가 끼워지고, 실링부재(140)에 중공부(141)가 형성되고, 중공부(141)의 상단에 확장부(142)가 형성되고, 확장부(142)에 고무패킹(150)이 배치되고, 고무패킹(150)의 상부에 와셔(155)가 배치되어, 개폐 로드(30)에 고무패킹(150)과 와셔(155)가 끼워짐으로써,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와 상부 원통부재(120)의 중공부(121) 사이를 차단하게 되어,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로 공급된 유체가 상부 원통부재(120)의 중공부(12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개폐 로드(30)는 에어 중공부(31)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물엿, 조청 등과 같이 점도가 높은 유체가 엔드 팁(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개폐 로드(30)로 엔드 캡(40)의 배출구멍(41)을 막은 상태에서, 에어 중공부(31)를 통해 에어가 배출되면, 유체가 점성에 의해 길게 늘어지거나 엔드 캡(40)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엔드 캡(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고무 패킹(45)이 안착되는 걸림턱(42)이 내부로 형성되고, 걸림턱(42)에 의해 배출구멍(41)이 형성되며, 고무 패킹(45)의 상부에 금속 소재의 가이드 받침링(46)이 배치되고, 내부 상단에 나선 체결부(43)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엔드 캡(40)의 나선 체결부(43)가 노즐관(20)의 하단에 형성된 나선 체결부에 체결되면, 노즐관(20)의 하단이 가이드 받침링(46)에 걸리게 됨으로써, 개폐 로드(30)의 하단이 가이드 받침링(46)을 통해 고무 패킹(42)에 끼워짐으로써, 개폐 로드(30)의 하단이 고무 패킹(45)을 눌러 고무 패킹(4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받침링(46)은 구멍(47)이 상광하협의 형태의 형성됨으로써, 개폐로드(30)의 하단이 쉽게 구멍(47)으로 인입되고, 구멍(47)에서 잘 빠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노즐 바디(10)의 공급 구멍(112)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가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를 통해 노즐관(20)으로 공급되고, 노즐관(20)에서 엔드 캡(4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 실린더(60)에 의해 개폐 로드(30)가 엔드 캡(40)의 가이드 받침링(46) 위로 상승되어, 노즐관(20)이 개방된다.
이후,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 실린더(60)에 의해 개폐 로드(30)가 하강되면, 개폐 로드(30)의 하단이 엔드 캡(40)의 배출구멍(41)에 끼워져 노즐관(20)이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은 노즐 바디(10)에 긴 노즐관(20)을 연결함으로써, 형상 파우치를 제조하는 장치에서 형상 파우치 바로 위에 노즐관(20)의 하단이 위치될 수 있음으로써, 유체가 튀거나 외부 오염물이 형상 파우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개폐 로드(30)가 노즐관(20)의 하단에 장착된 엔드 캡((40)의 구멍을 개폐하고, 개폐 로드(30)에서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노즐관(20)에서 하부로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를 정량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노즐 바디 20 : 노즐관
30 : 개폐 로드 40 : 엔드 캡

Claims (6)

  1. 노즐 바디(10)의 측부에 공급 구멍(112)이 형성되어, 공급 구멍(112)이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와 연통되고, 노즐 바디(10)의 하단에 노즐관(20)이 연결되어,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와 노즐관(20)이 연통됨으로써, 노즐 바디(10)의 공급 구멍(112)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노즐관(20)을 통해 토출되며, 개폐 로드(30)가 노즐 바디(10)의 중공부(15)를 통해 노즐관(20)에 끼워지고, 노즐관(20)의 하단에 엔드 캡(40)이 장착되어, 개폐 로드(30)의 하단이 엔드 캡(40)의 배출구멍(41)에 끼워지거나 빠짐으로써, 노즐관(20)이 닫히거나 열린 상태가 되고,
    상기 노즐 바디(10)는 중간 원통부재(11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볼트부(113)가 상부 원통부재(12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너트부(123)와 체결되고, 중간 원통부재(11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볼트부(114)가 하부 원통부재(13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너트부(133)와 체결됨으로써, 상부 원통부재(120)의 중공부(121),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 및 하부 원통부재(130)의 중공부(131)가 일렬로 연결되고, 중간 원통부재(110)에 공급 구멍(112)이 형성되어, 공급 구멍(112)이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원통부재(110)의 상부 볼트부(113)에는 상부 원통부재(120)의 중공부(121)와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를 연결하는 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114)에 원통형의 실링부재(140)가 끼워지고, 실링부재(140)에 중공부(141)가 형성되고, 중공부(141)의 상단에 확장부(142)가 형성되고, 확장부(142)에 고무패킹(150)이 배치되고, 고무패킹(150)의 상부에 와셔(155)가 배치되어, 개폐 로드(30)에 고무패킹(150)과 와셔(155)가 끼워짐으로써,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와 상부 원통부재(120)의 중공부(121) 사이를 차단하게 되어, 중간 원통부재(110)의 중공부(111)로 공급된 유체가 상부 원통부재(120)의 중공부(12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5. 삭제
  6. 삭제
KR1020120105020A 2012-09-21 2012-09-21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KR101336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020A KR101336752B1 (ko) 2012-09-21 2012-09-21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020A KR101336752B1 (ko) 2012-09-21 2012-09-21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179A Division KR101432647B1 (ko) 2013-10-21 2013-10-21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752B1 true KR101336752B1 (ko) 2013-12-04

Family

ID=4998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020A KR101336752B1 (ko) 2012-09-21 2012-09-21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7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85B1 (ko) 2013-05-29 2014-05-27 주식회사 이수이엔지 스틱 파우치용 저점도 충전노즐이 장착된 포장장치
KR101432647B1 (ko) 2013-10-21 2014-08-25 최재환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KR102235021B1 (ko) * 2020-07-17 2021-03-31 김주완 노즐관 세척기능을 갖는 액상 포장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259B1 (ko) * 1997-08-25 1999-10-15 정몽규 에어컴퓨레서
JP2002225989A (ja) 2001-01-29 2002-08-14 Shibuya Kogyo Co Ltd 兼用型充填装置
JP3540365B2 (ja) * 1994-06-17 2004-07-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バルブ開閉装置及び充填装置
JP2005001680A (ja) 2003-06-10 2005-01-06 Shibuya Kogyo Co Ltd 充填バル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0365B2 (ja) * 1994-06-17 2004-07-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バルブ開閉装置及び充填装置
KR100224259B1 (ko) * 1997-08-25 1999-10-15 정몽규 에어컴퓨레서
JP2002225989A (ja) 2001-01-29 2002-08-14 Shibuya Kogyo Co Ltd 兼用型充填装置
JP2005001680A (ja) 2003-06-10 2005-01-06 Shibuya Kogyo Co Ltd 充填バル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85B1 (ko) 2013-05-29 2014-05-27 주식회사 이수이엔지 스틱 파우치용 저점도 충전노즐이 장착된 포장장치
KR101432647B1 (ko) 2013-10-21 2014-08-25 최재환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KR102235021B1 (ko) * 2020-07-17 2021-03-31 김주완 노즐관 세척기능을 갖는 액상 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752B1 (ko)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JP2009535269A5 (ko)
CN106115585B (zh) 一种用于灌装阀的液位修正装置
KR200387285Y1 (ko) 고압가스로 피스톤을 밀어주는 화장품 용기
KR20050106451A (ko) 액상체 분사 어댑터 및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KR20160095086A (ko) 펑크 수리액 수용 용기
JP2015131681A (ja) エアゾール容器の定量噴射機構
KR101432647B1 (ko)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KR101622533B1 (ko) 기압식 노즐장치
KR100526321B1 (ko) 진공 가압 밸브
CN205973745U (zh) 一种用于灌装阀的液位修正装置
CN104595511B (zh) 一种直通式侧推阀门及带直通式侧推阀门的喷罐装置
KR102296342B1 (ko) 액상 포장기계의 용기 주입부 세척장치
KR20150114754A (ko) 액상물질용 충진노즐
JP2006240624A (ja) 注出容器
KR101670268B1 (ko) 고정밀 액체정량토출장치
EP3061597B1 (en) Tyre repair machine
CN210935668U (zh) 一种防漏胶的点胶头
US20210331820A1 (e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N207686672U (zh) 开关式侧向单流阀
JP3110665B2 (ja) スプレイヤー
CN205199769U (zh) 一种用于注塑机的防溢喷头
KR200386456Y1 (ko) 자동포장기용 노즐
KR101152291B1 (ko) 바이패스유로가 포함되어 있는 노즐일체형 밸브조립체
KR102071316B1 (ko) 공기 이동구조를 구비한 충진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