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555B1 -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 Google Patents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555B1
KR101336555B1 KR1020110101882A KR20110101882A KR101336555B1 KR 101336555 B1 KR101336555 B1 KR 101336555B1 KR 1020110101882 A KR1020110101882 A KR 1020110101882A KR 20110101882 A KR20110101882 A KR 20110101882A KR 101336555 B1 KR101336555 B1 KR 101336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icrochannel
thin film
cells
main micro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469A (ko
Inventor
주상우
스즈첸
닝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555B1/ko
Priority to US13/282,856 priority patent/US20130089930A1/en
Publication of KR2013003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42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electrical or wave energy, e.g. magnetism, 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the means or forces applied to move the 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containing, or adapted to contain, solid media
    • C12M1/18Multiple fields or compar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6Microfluidic devices; Capillary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5/00Means for application of stress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or the generation of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Means for electroporation or cell fusion
    • C12M35/0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means, e.g. for electroporation or for cell f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2Preparation of hybrid cells by fusion of two or more cells, e.g. protoplast 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1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electrical forces, e.g. electrokinetic
    • B01L2400/0424Dielectrophoret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1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squeezing of channels or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미세채널 및 상기 주 미세채널의 일단에서 분지된 다수의 부 미세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주 미세채널의 타단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부 미세채널의 단부 각각에 제1세포 유입구 및 제2세포 유입구가 형성된 미세채널 층; 상기 주 미세채널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전극; 상기 주 미세채널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극과 대향하는 복수의 제2전극; 상기 미세채널 층 상에 위치하며 주 미세채널을 덮는 박막; 상기 박막 상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유입통로를 포함하는 상부덮개;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채널 상부에 위치하는 박막 및 박막으로의 공기유입으로 인해 제1세포와 제2세포가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일렬로 존재할 수 있어, 전기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형질이 다른 두 세포의 융합이 1:1로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Description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Microdevice for Fusing Cells}
본 발명은 원하는 융합세포를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는 전기세포융합용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포융합(cell fusion)이란 두개의 다른 종류의 세포를 인공적으로 융합시켜 잡종세포를 만드는 방법이다. 세포융합의 방법으로는 화학약품의 처리와 전기적 충격의 처리가 있는데, 이 중 전기적 충격으로 세포막을 파괴하여 두 가지 종류의 세포를 결합시키는 것을 전기세포융합 (electrofusion)이라 한다.
전기세포융합에는 이하의 주요 네 단계가 관여한다. 유전이동에 기초한 세포 배열; 가역적인 전기천공; 세포막 재생성 및 핵 융합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전이동에 기초한 세포 배열은 양(positive)의 유전체전기영동 (dielectrophoretic, DEP) 힘을 세포에 가하기 위해 사인곡선적인 교류 전류(AC) 전기장(강도: 100-300 V/cm)을 필요로 한다. 또한, 높은 강도의 DC 전기 펄스 신호(강도: 1-10 kV/cm, 펄스 폭: 10-50 ms)가 가역적인 전기천공과정에서 요구된다.
종래 전기세포융합에 있어서, 판형 전극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양 판형 전극의 거리는 1cm 이상이었고, 그 결과, 높은 강도의 전기 펄스를 얻기 위해 비싼 발전기의 사용이 요구되었다. 또한, 판형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단일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배열된 세포의 가역적 전기천공 및 전기세포융합의 확률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종래 사용되는 전기세포융합 장치에서 원치 않은 전기세포융합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세포간 융합 정확성, 융합 효율성 및 다기능 통합 및 자동화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 미세 전자 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s) 및 미세유체공학이 전기세포융합을 위한 미세칩을 개발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미세칩에 존재하는 미세구조는 세포와 유사한 스케일(5 내지 50 ㎛)을 갖는 바, 보다 미세한 세포 조작에 있어서 유용하며, 미세전극간의 짧은 거리로 인해 낮은 전압으로도 세포융합에 필요한 높은 전기장을 얻기에 충분하여 전원공급에 필요한 어려움과 높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미세유체장치는 일반적인 세포 융합 효율이 약 40%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반적인 화학적 융합 방법(PEG 사용, 5% 미만) 및 일반적인 전기세포융합 방법(12% 이하) 보다 우수하지만, 원하는 세포-세포 융합체가 형성될 확률은 42 내지 68%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총 세포의 융합 효율은 40% Ⅹ 42-68%인 66 내지 30%에 불과하였다. 즉 A세포와 B세포가 융합할 때, 원하는 AB 융합세포가 아니라 AA, ABB, AABB, AAB 및 BB와 같은 원치않는 세포 융합 산물이 지나치게 많이 생성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보다 높은 효율로 원하는 세포를 융합할 수 있는 새로운 미세유체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융합되기 위한 세포가 1:1로 대응되어 효과적인 세포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세포 융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주 미세채널 및 상기 주 미세채널의 일단에서 분지된 다수의 부 미세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주 미세채널의 타단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부 미세채널의 단부 각각에 제1세포 유입구 및 제2세포 유입구가 형성된 미세채널 층; 상기 주 미세채널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전극; 상기 주 미세채널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극과 대향하는 복수의 제2전극; 상기 미세채널 층 상에 위치하며 주 미세채널을 덮는 박막; 상기 박막 상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유입통로를 포함하는 상부덮개;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부덮개의 공기유입통로를 통해 박막의 상측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박막을 상기 박막이 덮고 있는 주 미세채널측으로 휘어지게 하는 단계; 제1세포와 제2세포를 각각의 유입구를 통해 주입시키고, 미세채널을 통해 유동시키는 단계; 주입된 세포가 유전체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주 미세채널 내에 정렬하도록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직류펄스를 인가하여 정렬된 제1세포와 제2세포에 전기천공을 수행하는 단계; 천공된 두 세포가 유전체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세포 융합이 이루어지도록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준-감쇠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박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및 얻어진 융합 세포를 유출구를 통해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융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채널 상부에 위치하는 박막 및 박막으로의 공기유입으로 인해 제1세포와 제2세포가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일렬로 존재할 수 있어, 전기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형질이 다른 두 세포의 융합이 1:1로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의 하단부(10), 박막(20) 및 상부덮개(3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단부(1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판(13)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세채널 층(11)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극(12)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박막(13)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부덮개(30)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의 작동 단계에 따른 내부 단면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 도면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의 편리를 위해,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연결된 전원부의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이는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게 연상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주 미세채널(111) 및 상기 주 미세채널의 일단에서 분지된 다수의 부 미세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주 미세채널의 타단에 유출구(114)가 형성되며, 상기 부 미세채널의 단부 각각에 제1세포 유입구(112) 및 제2세포 유입구(113)가 형성된 미세채널 층(11); 상기 주 미세채널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전극(121); 상기 주 미세채널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극과 대향하는 복수의 제2전극(122); 상기 미세채널 층 상에 위치하며 주 미세채널을 덮는 박막(20); 상기 박막 상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유입통로(31)를 포함하는 상부덮개(30);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단부(10), 박막(20) 및 상부덮개(30)로 구성된다. 이하 하단부부터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단부는 미세채널 층(11), 미세채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전극(121) 및 복수의 제1전극과 대향하는 복수의 제2전극(122)을 포함하며, 미세채널 층의 하부에 기판(13)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미세채널 층(11)은 기판(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의 최 하부에 위치하며, 절연체로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구성 성분으로는 절연 물질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산화실리콘, 석영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의 두께는 지지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면 제한되지 않고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일 수 있다(도 5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채널 층(11)은 주 미세채널(111) 및 상기 주 미세채널의 일단에서 분지된 다수의 부 미세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주 미세채널의 타단에 유출구(114)가 형성되며, 상기 부 미세채널의 단부 각각에 제1세포 유입구(112) 및 제2세포 유입구(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일예는 도 6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미세채널은 세포가 흐르는 통로이며, 제1세포 유입구(112) 및 제2세포 유입구(123)에서 유입된 두 종류의 세포는 주 미세채널(111)에서 접하게 되고, 주 미세채널(111)에서 양 세포의 융합이 일어나게 된다. 융합이 완료된 세포는 주 미세채널의 타단에 형성된 유출구(114)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미세채널 층(11)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생체 적합성이 있고, 비산화성, 비부식성을 가지며 전기 비저항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Durimide 7510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감광성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세포 융합이 일어나는 주 미세채널(111)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제1전극(12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1전극과 대향하는 복수의 제2전극(122)이 형성된다. 전원부를 통해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어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의 주 미세채널에 위치하는 두 세포의 융합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1전극 및 복수의 제2전극은 각각 디귿자 (ㄷ 자) 형상의 홀딩 패드(121h, 122h)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귿자 형상의 홀딩 패드는 주 미세채널의 길이 및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어 주 미세채널의 측면에 끼움 고정되어 주 미세채널의 하부, 측면부 및 상부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디귿자 형상의 홀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전극 및 복수의 제2전극을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과같이 홀딩패드는 전원부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는 구조인 돌출된 패드 형상(121h', 122h')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제1전극 또는 제2전극은 주 미세채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주 미세채널의 깊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높이가 형성되며, 너비는 미세채널 내부로 주입되는 단일 세포 직경의 1배 내지 1.5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주 미세채널 측면에 배열된 복수의 전극은 미세채널 내 두 종류 세포의 1:1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세포 직경의 3배 내지 4배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주 미세채널 측면 벽-전극-주 미세채널 측면 벽- 의 반복 구조가 주 미세채널 측면에 형성되게 된다.
주 미세채널 측면에 배열된 전극의 개수는 주 미세채널의 길이에 비례하며, 즉 주 미세채널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개수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주 미세채널을 감싸며 형성되는 홀딩 패드의 길이도 길어지게 된다.
상기 홀딩패드,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구성하는 물질로는 생체 적합성이 있고, 비산화성, 비부식성을 가지며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 백금, 또는 티타늄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홀딩패드,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두께는 우수한 전기 전도율을 위해 0.2 ㎛ 내지 2 ㎛ 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주 미세채널(111)은 깊이가 17 내지 30 ㎛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너비가 제1세포 및 제2세포의 직경의 합 이상이며 제1세포 및 제2세포의 직경의 합의 1.5배 보다 미만일 수 있다. 주 미세채널의 길이는 측면에 위치한 전극의 개수에 비례하며, 측면에 배열된 전극보다 조금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부 미세채널은 각각의 유입구에서 유입된 세포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너비가 단일세포 직경 이상이며 단일세포 직경의 1.5배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채널 층 상에는 주 미세채널을 덮는 박막이 위치하는데, 이는 유연하고 변형성이 있으며, 이러한 유연하고 변형성이 있는 박막이라면 폭 넓게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PDMS(polydimethylsiloxane) 박막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의 두께는 1 내지 15㎛ 일 수 있다. 상기 박막은 최소한 주 미세채널을 충분히 덮는 길이와 너비로 형성되어야 하며, 최대 미세채널 층 전체를 덮는 길이와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채널 층 전체를 덮는 길이와 너비로 형성된 경우, 미세채널 층(11)에 존재하는 유출구(114), 제1세포 유입구(112) 및 제2세포 유입구(113) 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야 한다. 대응하는 홀이 모두 형성된 박막의 일 실시예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입구 및 유출구에 대응하는 홀의 직경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 내지 5 mm 또는 1 내지 3 mm 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덮개(30)는 박막 상측에 위치하며 박막 상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유입통로(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덮개(30)는 50 내지 400 ㎛ 또는 70 내지 2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PDMS(polydimethylsiloxan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부덮개의 일 예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상부덮개는 박막으로 덮인 미세채널 층을 덮는 용도로 사용되며, 시료의 유입 및 유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유출구(114), 제1세포 유입구(112) 및 제2세포 유입구(113) 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 및 유출구에 대응하는 홀의 직경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 내지 5 mm 또는 1 내지 3 mm 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덮개의 내부에는 미세채널 층의 주 미세채널보다 너비가 넓은 채널이 형성되어, 이에 공기유입통로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흐르게 된다. 상기 상부덮개 내부의 채널은 깊이가 17 내지 30 ㎛ 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덮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부덮개 하부에 있는 박막이 공기압에 의해 하측으로 휘어지게 되어 주 미세채널 쪽으로 박막이 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부덮개의 공기유입통로를 통해 박막의 상측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박막을 상기 박막이 덮고 있는 주 미세채널측으로 휘어지게 하는 단계; 제1세포와 제2세포를 각각의 유입구를 통해 주입시키고, 미세채널을 통해 유동시키는 단계; 주입된 세포가 유전체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주 미세채널 내에 정렬하도록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직류펄스를 인가하여 정렬된 제1세포와 제2세포에 전기천공을 수행하는 단계; 천공된 두 세포가 유전체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세포 융합이 이루어지도록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준-감쇠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박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및 얻어진 융합 세포를 유출구를 통해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융합방법을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의 작동 단계에 따른 내부 단면의 모식도이다. 이하 각 단계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를 제공한다.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의 단면은 도 10의 a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주 미세채널 위에 박막이 덮여 있고, 박막 상부에 주 미세채널보다 너비가 넓은 채널이 형성된 상부덮개가 존재한다.
상부덮개의 공기유입통로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도 10의 b와 같이 상부덮개 하부에 있는 박막이 공기압에 의해 하측으로 휘어지게 되어 주 미세채널 쪽으로 박막이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주 미세채널 내부가 둘로 양분되어, 실질적으로 두개의 미세채널이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 후, 제1세포와 제2세포를 각각의 유입구를 통해 주입시키고, 미세채널을 통해 유동시킨다. 이때, 공기압에 의해 휘어진 박막이 주 미세채널 내부를 양분하고 있으며, 주 미세채널의 너비는 제1세포 및 제2세포의 직경의 합 이상이며 제1세포 및 제2세포의 직경의 합의 1.5배 보다 미만인 바,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유입된 제1세포와 제2세포는 혼합되지 아니하고 각각 일렬로 주 미세채널을 흐르게 된다.
이후, 주입된 제1세포와 제2세포가 유전제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주 미세채널 내에 정렬하도록 제1전극과 제2전극사이에 교류전압 (진폭: 2-20V, 주파수: 0.2-3MHz) 을 인가한다. 주 미세채널 안쪽으로 휘어진 박막으로 인해, 주 미세채널의 중앙에 전기장이 가장 강하게 형성되고, 도 10의 d를 참조하면, 이에 따라 제1세포 및 제2세포는 양성 유전체전기영동에 의해 가운데로 모여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그 후, 제1전극과 제2전극사이에 직류전압을 펄스(파) 형태로 인가 (진폭: 6-50V, 지속시간: 10-500ms, 펄스간 간격: 0.1-10s, 펄스: 1-100) 하여 인접하게 배열된 제1세포와 제2세포에 전기천공을 수행한다. 직류 펄스가 인가되면, 제1세포 및 제2세포는 가역적으로 전기천공된다.
이후, 천공된 두 세포가 유전체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세포 융합이 이루어지도록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준-감쇠 교류전압 (진폭: 1-2 V, 주파수: 0.2-3MHz, 감쇠율: -0-90%/분) 을 인가한다(도 10의 e 참조).
그 후 도 10f와 같이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여 박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융합된 세포를 유출구를 통해 수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유출구를 통한 수득 방법으로는 시린지 펌프 또는 전기영동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하단부
11: 미세채널 층
111: 주 미세채널
112: 제1세포 유입구
113: 제2세포 유입구
114: 유출구
12: 전극
121: 제1전극
121h: 제1전극 홀딩패드
121h': 제1전극 돌출패드
122: 제2전극
122h: 제2전극 홀딩패드
122h': 제2전극 돌출패드
20: 박막
30: 상부덮개
31: 공기유입통로

Claims (6)

  1. 주 미세채널 및 상기 주 미세채널의 일단에서 분지된 다수의 부 미세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주 미세채널의 타단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부 미세채널의 단부 각각에 제1세포 유입구 및 제2세포 유입구가 형성된 미세채널 층;
    상기 주 미세채널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전극;
    상기 주 미세채널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극과 대향하는 복수의 제2전극;
    상기 미세채널 층 상에 위치하며 주 미세채널을 덮는 박막;
    상기 박막 상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유입통로를 포함하는 상부덮개;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전극 및 복수의 제2전극은 각각 디귿자 (ㄷ 자) 형상의 홀딩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홀딩 패드는 주 미세채널의 측면에 끼움 고정되는 것인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유연하고 변형성이 있는 것인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PDMS(polydimethylsiloxane) 박막인 것인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6. 제1항의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부덮개의 공기유입통로를 통해 박막의 상측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박막을 상기 박막이 덮고 있는 주 미세채널측으로 휘어지게 하는 단계;
    제1세포와 제2세포를 각각의 유입구를 통해 주입시키고, 미세채널을 통해 유동시키는 단계;
    주입된 세포가 유전체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주 미세채널 내에 정렬하도록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직류펄스를 인가하여 정렬된 제1세포와 제2세포에 전기천공을 수행하는 단계;
    천공된 두 세포가 유전체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세포 융합이 이루어지도록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준-감쇠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박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및
    얻어진 융합 세포를 유출구를 통해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융합방법.
KR1020110101882A 2011-10-06 2011-10-06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KR101336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82A KR101336555B1 (ko) 2011-10-06 2011-10-06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US13/282,856 US20130089930A1 (en) 2011-10-06 2011-10-27 Microdevice for fusing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82A KR101336555B1 (ko) 2011-10-06 2011-10-06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69A KR20130037469A (ko) 2013-04-16
KR101336555B1 true KR101336555B1 (ko) 2013-12-03

Family

ID=4804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882A KR101336555B1 (ko) 2011-10-06 2011-10-06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89930A1 (ko)
KR (1) KR1013365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052A (ko) * 2014-01-23 2015-07-3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적의 직접 충전 및 전기영동에 기반한 전기천공 기기, 장치 및 방법
CN110193097A (zh) * 2019-03-19 2019-09-03 厦门理工学院 一种三维骨细胞主动接种方法、三维骨细胞主动接种支架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8920B1 (en) * 2015-09-07 2018-06-13 Miltenyi Biotec GmbH Disposable cartridge for electroporation
CN111804355A (zh) * 2020-07-15 2020-10-23 上海理工大学 一种用于电渗流传输的微通道结构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1168A1 (en) 2005-06-13 2006-12-14 Tosoh Corporation Cell fusion chamber, cell fusion device, and method for cell fusion using the same
KR100866890B1 (ko) 2007-06-07 2008-1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소형 이종 식물 세포융합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60307A (ko) * 2008-11-27 2010-06-07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서블 필름 기판을 이용한 입자의 정렬 및 분리용 미세유체 칩
KR100978317B1 (ko) 2008-02-14 2010-08-26 한국과학기술원 광열효과를 이용한 미세밸브 및 이를 이용한 랩온어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8819B2 (en) * 2001-11-30 2006-03-28 Cellectrico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on of cells and cell-like structures focused electric fields in microfludic systems and use thereof
US7507579B2 (en) * 2002-05-01 2009-03-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miniaturized reac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1168A1 (en) 2005-06-13 2006-12-14 Tosoh Corporation Cell fusion chamber, cell fusion device, and method for cell fusion using the same
KR100866890B1 (ko) 2007-06-07 2008-1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소형 이종 식물 세포융합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8317B1 (ko) 2008-02-14 2010-08-26 한국과학기술원 광열효과를 이용한 미세밸브 및 이를 이용한 랩온어칩시스템
KR20100060307A (ko) * 2008-11-27 2010-06-07 한국과학기술원 플렉서블 필름 기판을 이용한 입자의 정렬 및 분리용 미세유체 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052A (ko) * 2014-01-23 2015-07-3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적의 직접 충전 및 전기영동에 기반한 전기천공 기기, 장치 및 방법
KR101598847B1 (ko) 2014-01-23 2016-03-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적의 직접 충전 및 전기영동에 기반한 전기천공 기기, 장치 및 방법
CN110193097A (zh) * 2019-03-19 2019-09-03 厦门理工学院 一种三维骨细胞主动接种方法、三维骨细胞主动接种支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69A (ko) 2013-04-16
US20130089930A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4338B2 (en) Microbubble generator device, systems and method to fabricate
Čemažar et al. Microfluidic devices for manipulation, mod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logical cells in electric fields–a review
Fox et al. Electroporation of cells in microfluidic devices: a review
KR101336555B1 (ko)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JP5018879B2 (ja) 成分分離デバイス
US202301836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poration of Acoustically-Aligned Cells
US826288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in a liquid flow
WO2015021270A2 (en) Microfluidic vortex-assisted electroporation system and method
JP4677832B2 (ja) 細胞融合用微小流路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細胞融合用微小流路構造体並びに細胞融合方法
EP1734111A1 (en) Cell fusion device, and method for cell fusion using the same
US20230093728A1 (en) Cell immortalization via vortex electroporation gene delivery
ES2807183T3 (es) Aparato para detección de biomoléculas y su fabricación
EP2940120A1 (en) Device and method for large volume transfection
US20120219987A1 (en) Device for electroporation and lysis
US20170008009A1 (en) Microchannel, microfluidic chip and method for processing microparticles in a fluid flow
US11278606B2 (en) Methods of preparing cancer treatments and methods of treating cancer
KR20130037470A (ko)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KR20130037468A (ko) 초소형 세포 융합장치
Pan et al. Cell membrane damage and cargo delivery in nano-electroporation
Le Gac et al. Electroporation in microfluidic devices
JP2008054630A (ja) 細胞融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細胞融合方法
US8008063B2 (en) Individual-cell electroporation using area-focused electric fields
Wang et al. A DEP-assisted single-cell electroporation chip with low operation voltage
KR20080087404A (ko) 3차원 전극 구조를 갖는 유전영동 장치
KR102156239B1 (ko) 유전영동기반 입자 채집 장치용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