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496B1 -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 - Google Patents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496B1
KR101336496B1 KR1020107019693A KR20107019693A KR101336496B1 KR 101336496 B1 KR101336496 B1 KR 101336496B1 KR 1020107019693 A KR1020107019693 A KR 1020107019693A KR 20107019693 A KR20107019693 A KR 20107019693A KR 101336496 B1 KR101336496 B1 KR 10133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frame
wedges
opening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652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칼손
스테판 밀톤
Original Assignee
록스텍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스텍 아베 filed Critical 록스텍 아베
Publication of KR2010011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진입 또는 파이프 관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2, 22)을 수용하는 프레임(1, 12, 19)에 관한 것이다. 압축 유닛(8, 23)은 프레임(1, 12, 19)의 일체형 부분이며, 압축 유닛(8, 23)은 프레임(1, 12, 19) 내측의 모듈(2, 22)을 압축하게 된다. 압축 유닛(8, 23)은 3개의 압축 웨지(9 내지 11, 25, 26)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압축 웨지(9, 10, 25)는 동일한 배향을 갖고, 중간 압축 웨지(11, 26)는 대향된 배향을 갖는다. 중간 압축 웨지(11, 26)는 넓은 측부(31)가 모듈(2, 22)을 수용하는 프레임(1, 12, 19)의 개방부(3, 13)를 대면하게 배향된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 나사(7, 24)가 상부 및 하부 압축 웨지(9, 10, 25)의 개방부(32)를 통해 그리고 중간 압축 웨지(11, 26) 내의 슬롯(34)을 통해 지나간다.

Description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TRANSITION FRAME WITH INTEGRATED COMPRESSION UNIT}
본 발명은 케이블 진입 또는 파이프 관통을 위한 모듈을 수용하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압축 유닛은 프레임의 일체형 부분이다.
종래 기술에서,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모듈이 내측에 위치되는 프레임을 갖는 케이블 전이부(cable transition) 등이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압축가능하다. 프레임 내측에는 통상 다수의 모듈이 소정 종류의 압축 유닛과 함께 하나 이상의 열로 나란하게 수용된다. 압축 유닛은 압축 유닛이 확장될 시 압축가능 모듈이 케이블, 와이어 또는 파이프 둘레로 압축되는 방식으로 프레임과 모듈 사이에 위치된다. 통상적으로 케이블 또는 파이프 전이부에 사용되는 압축 유닛은 단일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과 함께 프레임 내측에 위치되는 자체내장(self-contained) 유닛이다.
케이블 전이부는 캐비넷(cabinet), 기능성 차폐물(technical shelter), 접속 상자(junction box) 및 기계와 같은 많은 다른 환경에서의 밀봉을 위해 사용된다. 이들은 자동차, 원거리통신, 발전 및 배전뿐 아니라 해양 및 해안과 같은 상이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된다. 모듈은 유체, 가스, 화재, 설치류, 개미, 먼지, 습기 등에 대해 밀봉해야하고, 전기, 통신, 컴퓨터 등을 위한 케이블, 또는 물, 압축 공기, 유압 유체 및 조리 가스(cooking gas)와 같은 상이한 가스 또는 액체를 위한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다.
압축 유닛 또는 유닛들을 프레임 내에 일체화시킴(integrating)으로써 프레임 내측에 장착되어야 하는 낭비되는 부품의 개수가 감소된다.
일반적인 목표는 제조, 취급 및 보관에 있어서 덜 복잡한 종류의 전이부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압축 유닛을 프레임 내에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압축 유닛이 프레임의 잔여부로서 동일한 공정 단계로 제조되면 유익할 것이다. 또한, 프레임이 장착되는 격벽(partition)을 접하도록 위치되는 시일(seal)이 제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낮은 복잡성을 갖는 압축 유닛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하나 이상의 모듈을 수용하는 개방부를 갖는 전이부 프레임으로서 압축 유닛이 프레임의 일체형 부분인 전이부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전이부 프레임은 모듈과 함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위한 전이부를 형성한다. 프레임과 일체형 압축 유닛은 공통 프로세스 단계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이하에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제1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명확성을 위해 부품이 떨어져 나간 상태의 도 1의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압축 유닛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부분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축 유닛의 일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압축 유닛의 다른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압축 유닛의 기능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추가 예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프레임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프레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또 다른 추가 예시의 사시도이며, 이 프레임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는 다수의 모듈을 수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부(upper)", "하부(lower)" 및 유사한 표현은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향을 갖는 프레임의 관점에서의 방향을 일컫는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의 제1 예시가 도시되며, 프레임(1)은 집, 선박, 전기 캐비넷, 컨테이너 등의 벽, 지붕, 마루 또는 바닥의 개방부 내에 수용되게 된다. 벽, 지붕, 마루 또는 바닥은 임의의 분할 구조물 또는 격벽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프레임은 프레임(1) 내에 수용된 모듈과 함께 케이블 및/또는 파이프를 위한 전이부를 형성한다.
프레임(1) 내에 다수의 모듈(2)이 수용된다. 모듈(2)은 프레임의 개방부(3) 내측에 위치된다. 모듈(2)은 파이프 또는 케이블을 수용하게 된다. 모듈(2)은 수용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외경에 내경을 맞추기 위한 다수의 박리가능 시트(peelable sheet)를 갖는다.
모듈(2)을 프레임(1) 내측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에지(5)가 모듈(2)을 수용하는 개방부(3)의 상부 단부에 배열되어, 개방부(3)는 에지(5) 위의 더 작은 개방부(4) 내로 변형된다. 에지(5)는 개방부의 상부 단부 둘레 전체를 지나간다. 따라서, 모듈(2)은 통상 밑으로부터 개방부(3) 내에 삽입된다. 프레임(1)은 나사(6) 또는 다른 적합한 체결 수단에 의해 격벽에 장착될 수 있다.
압축 유닛(8)은 프레임(1)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한다. 압축 유닛(8)은 프레임(1)의 일 단부의 일정 공간 내에 위치되며, 이 공간은 프레임(1)의 개방부(3)를 향해 하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공간의 상부 부분은 상기 공간 내에 압축 유닛을 보유하기 위해 커버된다. 따라서, 압축 유닛(8)에 의해 각 케이블 및/또는 파이프의 엄격한 밀봉(tight seal)이 형성된다. 압축 유닛(8)은 각각 웨지(wedge) 형태를 갖는 3개의 주요 요소를 포함한다. 3개의 요소 중에서 하부 압축 웨지(9)와 상부 압축 웨지(10)는 동일한 배향을 갖고, 중간 압축 웨지(11)는 반대 배향을 갖는다.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는 각각 중간 압축 웨지(11)를 대면하도록 된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다. 각각의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의 경사면에 대향된 표면 각각은 경사지지 않는다. 실제로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는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이들은 중간 압축 웨지(11)가 모듈(2)과 관련하여 적당한 위치에 위치되게 하기 위하여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압축 웨지(9, 10) 중 하나는 통상적으로 압축 나사(7)와 함께 작동하는 너트(37)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갖는다. 압축 유닛(8) 내에 위치될 시 하부 압축 웨지(9)의 경사면은 상향 대면하고, 상부 압축 웨지(10)의 경사면은 하향 대면한다. 단면에서 보았을 때 중간 압축 웨지(11)의 넓은 측부(31)는 프레임(1)의 개방부(3)를 대면하고,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의 넓은 측부(28)는 프레임(1)의 개방부(3)에 대향된 프레임(1)의 벽을 대면한다. 따라서,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의 작은 측부(29) 및 중간 압축 웨지(11)의 넓은 측부(31)는 프레임(1)의 개방부(3)를 대면한다. 따라서,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의 넓은 측부(28) 및 중간 압축 웨지(11)의 작은 측부(30)는 프레임(1)의 벽을 대면한다. 압축 나사(7)는 압축 웨지(9 내지 11)의 중간에 수용된다.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 내에서 압축 나사(7)는 나사(7)의 크기에 맞춰진 원형 개방부(32) 내에 수용된다. 중간 압축 웨지(11) 내에서 압축 나사(7)는 슬롯(34) 내측에 수용되어 중간 압축 웨지(11)가 압축 나사(7)와 관련하여 그리고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와 관련하여 활주될 수 있게 한다. 너트(37)는 압축 나사(7)의 일 단부에 수용되고, 너트(37)는 하부 압축 웨지(9)의 리세스 내에 수용된다. 리세스는 너트(37) 이후에 형성되어 너트(37)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축 나사(7)를 조이는 것을 돕는다. 또한, 프레임을 벽 등에 고정시키는 나사(6)가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의 양측의 리세스(33) 내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사(6)를 수용하는 슬리브가 프레임 내에 배열되며, 슬리브는 나사(6)용 개방부를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슬리브는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의 리세스(33) 내에 수용된다. 체결 수단을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의 리세스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이러한 압축 웨지(9, 10)는 안정화된 위치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는 압축 나사(7)의 이동에 의해서만 상향 및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자유로울 것이다.
중간 압축 웨지(11)는 넓은 측부(31)에서의 부분과 비교했을 때 슬롯(34)을 포함하는 웨지의 부분에서 덜 넓다. 더 작은 폭을 갖는 부분은 프레임(1)을 체결하는 데 사용된 나사(6)들 사이를 지나가기에 충분할 정도로 작아야 한다. 따라서, 중간 압축 웨지(11)는 나사(6)들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다.
압축 유닛(8)의 기능은 도 6에 표시된다. 압축 나사(7)는 일 단부에서 너트에 의해 조여지기 때문에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는 도 6의 수직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해 가압될 것이다.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가 서로를 향해 가압될 시 압축 웨지(9 내지 11)의 경사면에 의해 중간 압축 웨지(11)는 도 6의 수평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중간 압축 웨지(11)는 압축 나사(7)를 수용하는 슬롯으로 인해 그리고 프레임(1)의 고정 수단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폭을 갖는 중간 압축 웨지(11)의 부분으로 인해,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다. 중간 웨지(11)는 프레임(1)의 개방부(3) 내측의 모듈(2)을 향해 이동하고 모듈을 가압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는 PA 66, 306F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중간 압축 웨지(11)는 EPDM, Roxylon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다. 통상적으로 압축 웨지(9 내지 11)의 경사진 접촉면 상에 윤활제가 위치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2)의 추가 예시가 도시된다. 압축 유닛은 도 1 내지 도 4의 프레임(1)의 압축 유닛(8)에 대해서와 같이 동일한 일반적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광범위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압축 유닛은 2개의 압축 나사(24)를 갖는다.
도 7 내지 도 9의 프레임(12)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는 다수의 모듈을 수용하는 개방부(13)를 갖는다. 압축 유닛은 개방부(13)의 일 단부에 위치되고, 벽(14)은 압축 유닛 위로 돌출한다. 프레임(12)은 프레임(12)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돌출하고 개방부(13)를 둘러싸는 플랜지(15)를 갖는다. 개방부(13)는 벽(17)에 의해 형성되며,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벽은 프레임워크(18)로 형성된다. 벽(17)은 플랜지(15)에 직각이고, 모듈은 벽(17) 내측에 형성된 개방부(13) 내에 수용되게 된다. 사용에 있어서 벽(17)은 통상적으로 벽과 같은 격벽 내의 개방부 내측에 위치되고, 플랜지(15)는 벽의 개방부의 외측 격벽에 고정된다. 프레임(12)을 격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의 개구(16)가 플랜지(15)의 주연부에 배열된다.
압축 유닛 위로 돌출된 벽(14)에는 압축 나사(24)를 수용하는 개방부가 있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압축 나사(24)는 하부 압축 유닛(25)의 리세스 내에 위치된 너트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나사(24)는 하부 압축 웨지(25)와 상부 압축 웨지 내의 원형 개방부를 통해 지나간다. 압축 나사(24)는 중간 압축 웨지(26)의 슬롯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프레임(12)용 고정 수단은 압축 유닛과 관련하여 위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압축 웨지는 모든 고정 수단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야만 할 필요가 없고 평면도에 도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축 웨지가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중간 압축 웨지(26)는 압축 나사(24)가 조여질 시 프레임(12)의 개방부(13)의 중심을 향해 가압될 것이다. 벽(14)의 상부 상에서 2개의 리브(35, 36)는 프레임(12)의 개방부(13)와 벽(14) 사이의 에지와 평행하게 배열된다. 하나의 리브(35)는 압축 나사(24)용 개방부와 관련하여 배열된다. 다른 리브(36)는 벽(14)의 단부에 배열되고 개방부(13) 내로 하향으로 짧은 거리만큼 돌출된다. 개방부(13) 내로 돌출된 리브(36)의 부분은 벽(14) 밑의 공간 내에 압축 유닛(23)을 보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리브(35, 36)는 벽(14)의 상부 측부, 즉, 압축 유닛(23)의 대향된 측부 상에 배열된다.
도 10의 프레임(19)은 도 10의 프레임(19)이 각각 일체형 압축 유닛(23)을 포함하는 2개의 개방부를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도 9의 프레임(12)과 일치한다. 따라서, 도 10의 프레임(19)은 플랜지(20)와 벽(21)을 가지며, 벽(21)은 2개의 개방부를 둘러싼다. 도 10에서 프레임(19)는 수용된 모듈(22)과 함께 도시된다. 모듈의 각 열 사이에 스테이 플레이트(stay plate: 27)가 배열된다. 도 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모듈(22)은 상이한 직경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모듈(22)은 수용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외경에 모듈(22)의 내경을 맞추기 위해 박리가능 시트를 갖는 형식이다.
사용에 있어서, 사용된 프레임이 상기 형식 중 어느 것이냐에 상관 없이, 중간 압축 웨지는 압축 나사 또는 나사들이 조여질 시 압축 웨지의 경사진 접촉면으로 인해 프레임의 개방부의 중심을 향해 가압될 것이다. 따라서, 중간 압축 웨지는 개방부 내측의 모듈 상에서 가압할 것이며, 모듈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압축될 것이다. 모듈의 압축에 의해 모듈은 프레임의 개방부 내측에 수용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대해 가압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프레임의 설계가 변형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의 형식은 모듈을 수용하는 2개의 개방부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유닛(8, 23)은 통상적으로 프레임(1, 12, 19)과 함께 조인트 프로세스 단계(joint process step)로 제조된다. 시일도 조인트 프로세스 단계로 제조될 수 있으며, 시일은 프레임이 수용되는 격벽에 대해 밀봉한다. 프레임과 일체형 압축 유닛은 통상적으로 다이 캐스팅(die-casting)에 의해 형성되지만, 사출 성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모듈(2, 22)을 수용하는 개방부(3, 13)를 갖고, 모듈(2, 22)과 함께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전이부를 형성하는 프레임(1, 12, 19)에 있어서,
    압축 유닛(8, 23)은 프레임(1, 12, 19)의 일체형 부분이고, 압축 유닛(8, 23)은 프레임(1, 12, 19)의 개방부(3, 13)의 일 단부에서 커버 아래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공간은 개방부(3, 13)를 향해 개방되고, 압축 유닛(8, 23)은 하부 압축 웨지(9, 25), 상부 압축 웨지(10) 및 중간 압축 웨지(11, 26)를 포함하고, 압축 웨지(9 내지 11, 25, 26)는 경사진 접촉면을 갖고, 압축 웨지(9 내지 11, 25, 26)의 배치 및 이들의 경사진 상호 접촉면은 압축시 하부 압축 웨지 및 상부 압축 웨지(9, 25, 10)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프레임(1, 12, 19) 내측의 모듈(2, 22)을 향해 중간 압축 웨지(11, 26)를 가압하고,
    하나 이상의 압축 나사(7, 24)는 각 압축 웨지(9 내지 11, 25, 26)를 통해 지나가고, 하나 이상의 압축 나사(7, 24)는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 25)의 원형 개방부(32) 내에 그리고 중간 압축 웨지(11, 26) 내의 하나 이상의 슬롯(34) 내에 수용되는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 25)는 동일한 배향을 갖고, 중간 압축 웨지(11, 26)는 반대 배향을 갖고, 중간 압축 웨지(11, 26)의 넓은 측부(31)는 모듈(2, 22)을 수용하는 프레임(1, 12, 19)의 개방부(3, 13)를 대면하는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및 상부 압축 웨지(9, 10, 25)는 프레임을 위한 고정 수단의 스템(stem)을 수용하거나 고정 수단을 위한 슬리브를 수용하는 리세스(33)를 양측에 갖고, 프레임(1, 12, 19)의 개방부(3, 13)로부터 멀어지게 배향된 중간 압축 웨지(11, 26)의 일부는 고정 수단들 또는 수용 슬리브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모듈(2)을 수용하는 개방부(3)의 상부 단부에 에지(5)가 배열되고, 개방부(3)는 에지(5) 위의 더 작은 개방부(4) 내로 변형되며, 모듈(2)은 모듈이 에지(5)를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치수를 갖는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압축 유닛(23) 위의 커버는 벽(14)이며, 벽(14)은 하나 이상의 압축 나사(24)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벽(14)은 상부 측부, 즉, 압축 유닛(23)에 대향된 측부 상에 하나 이상의 리브(35, 36)를 갖고, 리브(36) 중 하나는 벽(14)의 자유 단부에 위치되며, 리브는 프레임(12, 19)의 개방부(13) 내로 하향 돌출하는
    프레임.
  8. 제6항에 있어서,
    모듈(22)을 수용하는 프레임(15, 20)의 개방부(13)를 둘러싸는 플랜지(15, 20)를 갖는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20)은 모듈(22)을 수용하는 적어도 2개의 개방부를 갖고, 압축 유닛(23)은 각 개방부에 배열되는
    프레임.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레임의 제조물에 있어서,
    프레임과 일체형 압축 유닛은 조인트 프로세스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제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프레임(1, 12, 19)의 시일은 조인트 프로세스 단계로 제조되는
    프레임 제조물.
  12. 제10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단계는 다이 캐스팅인
    프레임 제조물.
KR1020107019693A 2008-02-15 2009-01-21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 KR101336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800348A SE532027C2 (sv) 2008-02-15 2008-02-15 Genomföringsram med integrerad kompressionsenhet
SE0800348-5 2008-02-15
PCT/SE2009/050059 WO2009102262A1 (en) 2008-02-15 2009-01-21 Transition frame with integrated compression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753A Division KR20130103814A (ko) 2008-02-15 2009-01-21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652A KR20100116652A (ko) 2010-11-01
KR101336496B1 true KR101336496B1 (ko) 2013-12-03

Family

ID=409571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753A KR20130103814A (ko) 2008-02-15 2009-01-21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
KR1020107019693A KR101336496B1 (ko) 2008-02-15 2009-01-21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753A KR20130103814A (ko) 2008-02-15 2009-01-21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74240B2 (ko)
EP (2) EP2245713B1 (ko)
JP (1) JP5416141B2 (ko)
KR (2) KR20130103814A (ko)
BR (1) BRPI0907936B1 (ko)
CA (1) CA2713986C (ko)
DE (1) DE202009019102U1 (ko)
MX (1) MX2010008413A (ko)
SE (1) SE532027C2 (ko)
TW (1) TW200936014A (ko)
WO (1) WO2009102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4649T3 (es) 2006-03-20 2013-02-04 Beele Engineering B.V. Sistema para sellar dinámicamente un manguito de canalización a través del cual se extiende un tubo o cable
DE102010016722B4 (de) * 2010-04-30 2011-12-08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sockel
EP2390544B1 (en) 2010-05-25 2012-08-29 Beele Engineering B.V.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 an opening a sealing system
DE102010037463A1 (de) 2010-09-10 2012-03-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Rahmen eines Kabeleinführungssystems und Kabeltülle hierfür
WO2012034988A1 (en) * 2010-09-17 2012-03-22 Roxtec Ab Modular connector for cables or pipes and system comprising such modular connector
US10208895B2 (en) 2011-12-16 2019-02-19 Samsung Heavy Ind. Co., Ltd. Pump tower installation structure of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703705B1 (en) 2012-08-30 2017-03-29 Beele Engineering B.V. Sealing system for an annular space
NL2010304C2 (en) * 2013-02-14 2014-08-18 Beele Eng Bv System for sealingly holding cables which extend through an opening.
US10194566B2 (en) * 2014-12-19 2019-01-29 Hans-Erik Johansson I Hagstad Aktiebolag Feed-through
SE539784C2 (en) * 2015-05-04 2017-11-28 Roxtec Ab Indication means of a wedge of a lead-through system
DE202015102280U1 (de) * 2015-05-05 2016-05-10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Anordnung mit einer Wanddurchführung für mehrere Kabel und Bausatz
US10230230B2 (en) * 2015-09-14 2019-03-12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Sealing block arrangements for enclosures
DE202015106975U1 (de) * 2015-12-21 2016-05-04 Lapp Engineering & Co. Kabeldurchführungsvorrichtung
DE202016103494U1 (de) * 2016-06-30 2017-07-06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Kabelwanddurchführung und Bausatz
CN106764094A (zh) * 2016-11-18 2017-05-31 伊斯特密封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模块式电缆、管道贯穿密封装置
DE102016223425A1 (de) * 2016-11-25 2018-05-30 Icotek Project Gmbh & Co. Kg Kabelhalter mit Trennwänden und einer Anzahl von Tüllen zum Hindurchführen von Kabeln
CN106848979A (zh) * 2017-03-23 2017-06-13 江苏大洋海洋装备有限公司 带变径固定模块的电缆框
USD849691S1 (en) * 2017-04-18 2019-05-28 Roxtec Ab Frame for high density large cables
CN107196527B (zh) * 2017-07-20 2023-04-18 常州博瑞电力自动化设备有限公司 用于光伏逆变器柜体的扣接式导流罩
DE202017106818U1 (de) * 2017-11-09 2018-11-14 Conta-Clip Verbindungstechnik Gmbh Anordnung für eine Kabeldurchführ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7253A (en) * 1984-03-23 1987-06-30 Ab Lyckeaborg Bruk Radiation protective device for the lead-through of cables
US4733016A (en) * 1986-02-11 1988-03-22 Hawke Cable Glands Limited Transit for cables and pip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226A (en) * 1956-01-24 Brattberg
US2674772A (en) * 1951-09-19 1954-04-13 Baldwin Lima Hamilton Corp Clamp
US3282544A (en) * 1963-03-11 1966-11-01 Lyckeaborgs Bruk Ab Tight lead-through inlet frame device for electrical lines
SE414439B (sv) * 1978-06-26 1980-07-28 Eric Larsson Anordning for gastett genomforande av ett antal kablar eller ror genom en oppning i en byggnadskonstruktion
AT391044B (de) * 1987-09-09 1990-08-10 Doepfl Rudolf Gmbh Einrichtung zur pressung von in einem rahmen befindlichen packstuecken zur herstellung von kabeldurchfuehrungen
DE8807280U1 (ko) 1988-06-03 1988-07-21 Guenther Klein Industriebedarf Gmbh, 2070 Ahrensburg, De
US5416271A (en) * 1991-10-29 1995-05-16 General Signal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penetration seal with compliant module
DE4340343C1 (de) 1993-11-26 1995-03-02 Nord Systemtechnik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beldurchführungen
SE503133C2 (sv) * 1994-10-06 1996-04-01 Roxtec Ab Ledningsgenomföring
SE520363C2 (sv) * 2001-12-14 2003-07-01 Roxtec Int Ab Genomföringsanordning för genomföring av långsträckt ledning genom en öppning i en vägg
SE0200158L (sv) * 2002-01-22 2003-02-25 Roxtec Int Ab Ram, för kabelgenomföring eller liknande, försedd med ett brytbart skydd
SE528099C2 (sv) * 2004-01-30 2006-09-05 Roxtec Ab Kompressionsenhet för en ram som tar emot kompressibla enheter för rörgenomföring
SE528689C2 (sv) * 2005-05-30 2007-01-23 Roxtec Ab Ram med avskärmning vid kabel- och/eller rörgenomföringar i en vägg eller annan skiljedel
DE102005062656B3 (de) * 2005-12-21 2007-03-08 Gk-System Gmbh Vorrichtung zum Abdichten von eingesetzten Kabeln, Leitungen bzw. Rohren
DE202006017469U1 (de) * 2006-11-14 2007-02-15 Roxtec Ab Kompressionseinhe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7253A (en) * 1984-03-23 1987-06-30 Ab Lyckeaborg Bruk Radiation protective device for the lead-through of cables
US4733016A (en) * 1986-02-11 1988-03-22 Hawke Cable Glands Limited Transit for cables and pi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5713A4 (en) 2014-05-07
MX2010008413A (es) 2010-11-26
CA2713986C (en) 2014-09-09
JP5416141B2 (ja) 2014-02-12
US20100326724A1 (en) 2010-12-30
EP2245713A1 (en) 2010-11-03
KR20130103814A (ko) 2013-09-24
TW200936014A (en) 2009-08-16
BRPI0907936A2 (pt) 2015-07-28
CA2713986A1 (en) 2009-01-21
DE202009019102U1 (de) 2016-06-24
KR20100116652A (ko) 2010-11-01
EP3057189A1 (en) 2016-08-17
SE0800348L (sv) 2009-08-16
BRPI0907936B1 (pt) 2019-05-14
US8674240B2 (en) 2014-03-18
WO2009102262A1 (en) 2009-08-20
EP2245713B1 (en) 2017-07-05
SE532027C2 (sv) 2009-10-06
JP2011512780A (ja)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496B1 (ko) 일체형 압축 유닛을 갖는 전이부 프레임
RU2460187C2 (ru) Переходная рама с встроенным прижим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110126634A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 블록
US8563877B2 (en) Frame
RU2282775C2 (ru) При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339140C1 (ru) Рама и способ заключения одного или более упругих модулей для кабельных входов, трубных проходов аналогичных устройств
KR20060013573A (ko) 케이블 삽입용 모듈 및 프레임
US11489324B2 (en) Extension frame
KR200450518Y1 (ko) 프레임
CN101555962B (zh) 具有一体设置之压缩单元的穿接框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