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316B1 -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 - Google Patents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316B1
KR101336316B1 KR1020110059687A KR20110059687A KR101336316B1 KR 101336316 B1 KR101336316 B1 KR 101336316B1 KR 1020110059687 A KR1020110059687 A KR 1020110059687A KR 20110059687 A KR20110059687 A KR 20110059687A KR 101336316 B1 KR101336316 B1 KR 10133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pipe
link
damper
link member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920A (ko
Inventor
최정하
이호준
전종훈
문병규
신윤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0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에 설치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에 의해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통풍관의 개도를 조절하여 공기 소음을 방지하는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풍관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가이드와, 일단은 상기 가이드의 일 지점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링크부재,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를 힌지결합시킨 접철부로 이루어진 2절 링크판재와; 상기 2절 링크판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Rectangular ventilation damper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에 설치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에 의해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통풍관의 개도를 조절하여 공기 소음을 방지하는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실이나 화물창 안의 공기를 환기시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주거구역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통풍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통풍관은 크게 자연통풍방식과 기계통풍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통풍방식은 실내외의 공기를 압력차나 온도차에 의해 벽의 틈새, 출입구 또는 통풍구를 통하여 환기하는 방식이고, 기계통풍방식은 공조기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환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실제로 선박에서는 두 가지 방식을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합하여 통풍을 하고 있다.
이러한 통풍에 사용되는 통풍관은 보통 갑판의 바로 밑에 설치되지만, 거주구에서는 천장 내장판 내에 설치되며, 급기구와 배기구만 선실에 설치된다.
상기 통풍관은 단면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통풍관과 원형 통풍관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기계통풍방식의 경우 소음문제로 인하여 고압부는 원형 통풍관이 사용되고 저압부는 사각형 통풍관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사각형 통풍관은 판의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접거나 또는 판의 가장자리를 덧붙여 용접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여기서 두께가 1mm 이하의 박판의 경우에는 용접을 할 수 없으므로 절곡하여 접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심 용접(seam welding)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사각형 통풍관을 연결하는 데는 꺽어접기, 뒷댐판과 태핑스크류(tapping screw), 점용접(spot welding)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지상에서 조립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선박의 건조 후 분해 및 조립할 필요가 있는 곳은 플랜지 이음을 사용한다.
이러한 사각형 통풍구에는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댐퍼가 설치되며 이 댐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관(10)의 중간에 설치된 회전가능한 블레이드(8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댐퍼는 블레이드(80)를 회전시켜 개도를 조절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댐퍼는 블레이드(80)의 선단에서 블레이드(80)의 연장방향과 공기의 흐름 방향이 예각이면 공기가 원활하게 잘 흘러가지만, 블레이드(80)의 선단에서 블레이드(80)의 연장방향과 공기의 흐름 방향이 둔각이면 공기의 흐름이 블레이드(80)의 선단에 충돌하여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와류가 발생한다. 여기서 발생한 와류는 압력강하(Pressure drop)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공기 소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발생한 와류가 더 강해지면 떨림(chattering)이 발생하고 그 진동에 의해 블레이드를 고정하고 있는 체결부가 이완되어 댐퍼가 고장이 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블레이드의 선단과 통풍구의 내면 사이에는 제작 공차 및 작동을 위한 틈새가 존재하는데, 이 틈새를 통해 냉난방을 위한 공기가 냉난방이 불필요한 곳으로 빠져나가므로 전체적인 냉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통풍관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회동가능한 링크판재를 설치하여 통풍관의 개도를 조절함으로 와류로 인해 공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와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한 떨림이 없어 내구성이 향상된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에서 간단한 핸들조작만으로도 통풍관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판재에 흡음재가 부착되므로 공기 소음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도록 된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링크판재의 접철부에 탄성부재가 부착설치되므로 링크판재로 통풍관을 차단시 틈새의 발생이 최소화되므로 냉난방효율 및 환기효율을 개선한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풍관의 내측면에 흡음재를 부착설치하므로 링크판재의 측면을 통한 공기의 흐름까지 차단되어 냉난방효율을 및 환기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선박용 사각형 통관한 댐퍼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통풍관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가이드와, 일단은 상기 가이드의 일 지점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링크부재,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를 힌지결합시킨 접철부로 이루어진 2절 링크판재와; 상기 2절 링크판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통풍관의 측면에 설치되어 일지점을 중심을 회전되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 사이에 링크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핸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는 타공판과 흡음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절 링크판재의 접철부에 탄성부재가 부착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절 링크판재의 측면과 대응되는 상기 통풍관의 내측면에 흡음재가 부착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는 통풍관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회동가능한 링크판재를 설치하여 통풍관의 개도를 조절함으로 와류로 인해 공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는 상기와 같이 와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한 떨림이 없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는 외부에서 간단한 핸들조작만으로도 통풍관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는 링크판재에 흡음재가 부착되므로 공기 소음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는 링크판재의 접철부에 탄성부재가 부착설치되므로 링크판재로 통풍관을 차단시 틈새의 발생이 최소화되므로 냉난방효율 및 환기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는 통풍관의 내측면에 흡음재를 부착설치하므로 링크판재의 측면을 통한 공기의 흐름까지 차단되어 냉난방효율을 및 환기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는 내측면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댐퍼의 완전 개방시 링크판재의 흡음재와 더불어 소음을 흡수하므로 사일렌서(Silenc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의 통풍관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의 2절 링크판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의 2절 링크판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가이드(20)와, 상기 통풍관(10)을 개폐하는 2절 링크판재(30)와; 상기 2절 링크판재(30)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20)는 통풍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면에 한 쌍을 이루도록 연장형성된다. 상기 가이드(20)는 채널형상으로 개방된 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20)의 내부에 후술하는 제2링크부재(34)의 롤러(38)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20)에는 상기 2절 링크판재(30)가 회동하면서 통풍관(10)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2절 링크판재(30)는 일단은 상기 가이드(20)의 일 지점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링크부재(32),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부재(34), 상기 제1링크부재(32)와 제2링크부재(3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32)와 상기 제2링크부재(34)가 서로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접철부(3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2절 링크판재(30)의 제1링크부재(32)와 제2링크부재(34)는 타공판(30a)과 흡음재(30b)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제1링크부재(32)는 상기 가이드(20)의 일지점인 가이드(2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부재(32)의 타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32)의 일단을 중심으로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게 된다.
제2링크부재(34)는 타단에 롤러(38)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38)가 상기 가이드(20)의 내부에 끼워져 가이드(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접철부(36)는 상기 제1링크부재(32)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부재(34) 일단 사이에 형성된 힌지결합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32)가 회전함에 따라 제2링크부재(34)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접철부(36)는 탄성부재(39)가 부착설치되어 통풍관(10)의 폐쇄시 탄성부재(39)에 의해 더욱 완전하게 밀폐된다.
아울러 상기 2절 링크판재(30)의 측면과 접하는 통풍관(10)의 내측면에는 흡음재(50)가 부착설치되어 상기 2절 링크판재(30)의 측면과 통풍관(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동수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32)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32)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회전부재(42)와, 상기 통풍관(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일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부재(44)와, 상기 제2회전부재(44)와 상기 제1회전부재(42) 사이에 링크되어 상기 제2회전부재(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회전부재(42)를 회전시키는 연결부재(46)와, 상기 제2회전부재(44)를 회전시키는 핸들(4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핸들(48)을 작동시켜 제2회전부재(44)를 회전시키면 연결부재(46)를 통하여 제1회전부재(42)를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된 제1회전부재(42)는 일체로 형성된 제1링크부재(32)를 회전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관(1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일 때 제1링크부재(32)와 제2링크부재(34)는 평행하게 펼쳐져 있다.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CW)으로 핸들(48)을 회전시키면, 핸들(48)의 회전에 따라 제2회전부재(44)가 회전하게 되고, 제2회전부재(44)의 회전력이 연결부재(46)를 통하여 제1회전부재(42)를 시계반대방향(CCW)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제1회전부재(4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회전부재(42)와 일체로 형성된 제1링크부재(32)가 회전하게 되고 제1링크부재(32)와 힌지결합된 제2링크부재(34)가 가이드(20)를 따라 제1링크부재(3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접철부(36)는 통풍관(10)의 내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2절 링크판재(30)는 통풍관(10) 내면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2절 링크판재(30)에 의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좁아지게 되어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도 1b의 상태인 핸들을 시계방향(CW)으로 더 회전시키면 접철부(36)가 서로 접촉하여 통풍관(10)을 완전히 밀폐한다. 이 때 상기 2절 링크판재(30)의 측면과 통풍관(10)의 내측면 사이에는 흡음재(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가 상기 2절 링크판재(30)의 측면과 통풍관(10)의 틈새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통풍관(10)의 내측면에 흡음재(50)를 부착하여 통풍관 댐퍼의 완전 개방시 2절 링크판재(30)의 흡음재(30b)와 더불어 소음을 흡수하므로 사일렌서(Silenc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10 : 통풍관 20 : 가이드
30 : 2절 링크판재 32 : 제1링크부재
34 : 제2링크부재 36 : 접철부
38 : 롤러 39 : 탄성부재
42 : 제1회전부재 44 : 제2회전부재
46 : 연결부재 48 : 핸들
50 : 흡음재

Claims (5)

  1. 통풍관(10)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가이드(20)와;
    상기 가이드(20)의 일단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32), 상기 가이드(20)를 따라 그 타단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부재(34), 상기 제1링크부재(32)의 타단과 제2링크부재(34)의 일단을 힌지결합시킨 접철부(36)로 이루어져 통풍관(10)을 개폐시키는 2절 링크판재(30)와;
    상기 2절 링크판재(30)의 제1링크부재(32)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수단은 제1링크부재(32)의 일단에 그 타단이 고정되어 제1링크부재(32)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회전부재(42)와, 상기 통풍관(10)의 측면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부재(44)와, 상기 제1회전부재(42)의 일단과 제2회전부재(44)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6)와, 상기 제2회전부재(44)를 회전시키는 핸들(4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32)와 상기 제2링크부재(34)는 타공판(30a)과 흡음재(30b)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절 링크판재(30)의 접철부(36)에 탄성부재(39)가 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
  5.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절 링크판재(30)의 측면과 대응되는 통풍관(10)의 내측면에 흡음재(50)가 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
KR1020110059687A 2010-07-01 2011-06-20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 KR101336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492 2010-07-01
KR20100063492 2010-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20A KR20120002920A (ko) 2012-01-09
KR101336316B1 true KR101336316B1 (ko) 2013-12-02

Family

ID=4561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687A KR101336316B1 (ko) 2010-07-01 2011-06-20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3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123A (ja) * 1996-03-28 1997-10-07 Suzuki Motor Corp ベンチレータ
JP2004346750A (ja) * 2003-05-20 2004-12-09 Mahle Tennex Corp 複合型ダク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123A (ja) * 1996-03-28 1997-10-07 Suzuki Motor Corp ベンチレータ
JP2004346750A (ja) * 2003-05-20 2004-12-09 Mahle Tennex Corp 複合型ダ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20A (ko) 201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5653A1 (en) Damper with integrated blade stop
US20090095008A1 (en) Air conditioning unit
US20080139107A1 (en) Ventilator
JP2018173207A (ja) 可変風量装置
KR101336316B1 (ko) 선박용 사각형 통풍관 댐퍼
JP5605762B2 (ja) 逆流防止ダンパーおよびレンジフード
US20150192321A1 (en) Supply-air wall duct
KR200432754Y1 (ko) 방음 댐퍼
KR101843856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JP2008128590A (ja) 空気調和機
JP4934634B2 (ja) ダンパ
KR100717683B1 (ko) 소음저감형 댐퍼
KR102267740B1 (ko) 열교환기용 댐퍼장치
JP2003302095A (ja) 消音ダンパー
US20200080295A1 (en) Wall sleeve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WO2008077217A3 (en) Fresh air command lever for an air conditioning unit
KR102640372B1 (ko) 유량 조절 댐퍼
JP5616208B2 (ja) 逆流防止ダンパー
KR101737305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KR20210001641A (ko) 송풍기 조립체
JPWO2006035747A1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WO2023100760A1 (ja) 空気調和装置
CN217029979U (zh) 一种病区风管的防火调节阀
WO2002006710A1 (en) Damper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casing part with a turnable blade
JP671966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