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021B1 -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021B1
KR101336021B1 KR1020110049640A KR20110049640A KR101336021B1 KR 101336021 B1 KR101336021 B1 KR 101336021B1 KR 1020110049640 A KR1020110049640 A KR 1020110049640A KR 20110049640 A KR20110049640 A KR 20110049640A KR 101336021 B1 KR101336021 B1 KR 101336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ser
fixed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460A (ko
Inventor
김광채
나유광
이종운
Original Assignee
코리아테크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테크노(주) filed Critical 코리아테크노(주)
Priority to KR102011004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02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69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23K26/0876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 B23K26/0884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in at least in three axial directions, e.g. manipulators,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를 생략하는 대신 레이저 출력 제어용 조리개가 제공된 LED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로서,
X축상의 주행로봇(3)상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2판체(442)와, 이 제2판체(442)위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롤러베어링(446),롤러가이드(446a)로서 설치되는 제1판체(441)와, 상기 제1판체(441)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판체(442)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제1판체(441)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연결대(443)와,제2판체(442)상면에 고정되는 이동연결대(445)와, 이 연결대(445)에 나사맞춤으로 설치되고,일단부는 손잡이(444a)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연결대(443)에서 공회전지지되는 나사축(444)과, 제2판체(441)상에 고정되는 이동 연결대로 이루어져, 나사축(444)과 이동연결대(445)가 나사맞춤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손잡이(444a)를 회전하면 제2판체(441)일체의 고정연결대(443)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좌,우위치조절부(44)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Laser scanning apparatus for fabric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라고도 함)의 레이저 실링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레이저 헤드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마스크없이 주사할 수 있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3색(R, G, B) 서브 화소로 구성된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되고, 각 서브 화소는 유기 발광(이하, OEL) 셀과 그 유기 발광 셀을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셀 구동부를 구비한다. 유기 발광 셀은 셀 구동부와 접속된 애노드 및 그라운드와 접속된 캐소드와,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으로 구성된다. 셀 구동부는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라인과,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 라인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스토리지 캐패시터로 구성되어 유기 발광 셀을 구동한다.
그리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발광층이 공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하여 수명이 단축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막이 더 구비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봉지막을 형성하는 레이저 실링 방법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는 그 내부에 산소 또는 수분에 의해 쉽게 열화될 수 있는 전극 및유기층을 구비하므로 외부로부터 산소 또는 수분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외부로부터 산소 및 수분이 디스플레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러한 전극 및 유기층을 덮는 한 쌍의 유리기판 사이에 실링재를 배치하고 열 소성방법 또는 UV 경화방법에 의하여 기밀 밀봉하는 실링재의 밀봉방법이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실링재는 상판과 하판을 봉합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로, 유리성분의 저온 용융 재료이며 일반적으로 글라스 실링재는 유전체 페이스트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분말 유리을 의미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상판과 하판을 봉합하는데 사용하는 유전체 페이스를 통칭하여 부른다.
종래 알려진 출력헤드식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의 실링재의 밀봉방법이 알려져 있다. 즉, 도 1a ,1b에서 도시하는 등록특허 10-0837617호의 기재에 따르면,
다수의 출력 헤드부와, 상기 각각의 출력 헤드부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 상기 각각의 출력 헤드부와 결합되어 이들을 각각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X축 위치조정 보드와, 상기 X축 위치조정 보드와 결합되어 상기 X축 위치조정 보드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Z축 위치조정 보드를 포함하는 주사형 멀티 출력헤드식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소자 실링재의 밀봉방법이며, 상기 X축 위치조정 보드의 각각의 출력 헤드부가 유기발광표시소자 실링재의 X축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X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Z축 위치조정 보드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X축 위치조정 보드상의 다수의 출력 헤드부가 포커싱되고, 상기 다수의 출력 헤드부가 수평하게 다수의 레이저 빔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으며, 상기 X축 위치조정 보드는 리니어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도 있으며, 상기 Z축 위치조정 보드는 서보 모터에 의해 볼 스크류방식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며, 상기 출력 헤드부로부터 조사되는 빔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헤드부의 출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출력 헤드부는 빔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기 위해서 출력단에 반사경을 구비하며, 상기 반사경에 의해서 반사된 레이저 빔이 포토다이오드에 입사되고, 전기적 신호로 오실로스코프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측정된 출력에 따라 상기 출력 헤드부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인접한 구동부의 근접 및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를 그 측면에 구비하며,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인접 구동부의 근접 및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헤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실링재의 용융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비젼이 구비되며, 상기 출력 헤드부는 유연한 광 케이블 또는 광섬유에 의해서 1 대 또는 여러대의 레이저 발진기와 연결될 수 있는 출력헤드식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의 실링재의 밀봉방법이다.
또한, 도 1c,도 1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록특허 10-0965254호는,
단위 셀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정하는 셀 셀 실런트를 개재하고, 상기 단위 셀들의 외곽에 개재되는 외곽 실런트에 의하여 서로 마주하여 접합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지지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에 마주 배치되어, 조사되는 광을 상기 셀 실런트에 투과시키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와 상기 스테이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수용하여 가압하는 챔버를 포함하며, 방법은 스테이지에 마주하도록 마스크를 챔버에 설치하는 단계, 단위 셀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정하는 셀 실런트를 개재하고, 상기 단위 셀들의 외곽에 개재되는 외곽 실런트에 의하여 서로 마주하여 접합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상기 스테이지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을 상기 챔버 내에서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마스크를 투과한 상기 광으로 상기 셀 실런트를 가열하여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 1e에서 도시하는 공개특허 10-2008-0065745호의 기재에 따르면,
기판을 장착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 이동수단; 다수개의 레이저 헤드를 가지며, 상기 기판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수단; 상기 각 레이저 헤드를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헤드 구동수단; 상기 레이저 헤드별로 높이 편차를 측정하는 헤드 높이 편차 측정수단; 상기 스테이지의 평탄도에 대한 제1 데이터와상기 헤드 높이 편차 측정수단에 의하여 측정된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수단;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이저 헤드와 기판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도록 상기 레이저 헤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출력 헤드식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의 밀봉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레이저 헤드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의 장비 전체의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의 레이저가 출력되는 레이저 헤드부재는 X,Y,Z축의 3축정도의 위치 결정수단뿐 이므로 레이저 출력 위치의 포커싱이 세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단점이 있었으며, 다수의 레이저 출력헤드를 배치,설치해야 하므로 레이저 헤드재의 다수 설치의 문제점이 있으며, 위치확인용 근접센싱수단,출력된 결과의 편차 측정 및 보정수단,용융상태 모니터링 비젼수단등 많은 부수장치들이 복잡하게 구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출력 헤드식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의 밀봉 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레이저 헤드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마스크없이 가능하게 하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레이저가 출력되는 레이저 헤드부재의 위치 조절수단을 다중 중첩구조로 하여 3축 위치조절수단에 더하여 레이저 브라켓을 통하여 브라켓의 전방을 향한 숙이는 기능을 구현하고, 스테이지가 회전되어 좌,우 각도가 조절되며, 동 스테이지의 상,하동이 가능하게 하므로서 레이저 출력 위치의 포커싱이 세밀하게 이루어지는 레이저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를 생략하는 대신 레이저 출력 제어용 조리개를 제공하므로서 간단한 조리개장치로서 레이저 출력의 포커싱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므로서 위치확인용 근접센싱수단,출력 레이저의 편차 측정 및 보정수단,용융상태 모니터링 비젼수단등 많은 부수장치들을 생락가능하게 하는 마스크없는 레이저 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X축 주행로봇과,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Y축 주행로봇과, Y축상에 설치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패널을 흡착용 스테이지와, X축상에 설치되는 레이저 출력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의 밀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X축상의 주행로봇상에 설치되고, 제1판체와, 이 제1판체위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엘엠가이드로서 설치되는 제2판체와, 상기 제1판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판체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제1판체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연결대와,이 연결대에 나사맞춤으로 설치되는 제1손잡이와, 제2판체상에 고정되는 이동 연결대로 이루어져, 제1손잡이와 이동 연결대가 연결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회전 조절하면 제2판체일체의 이동 연결대가 좌,우로 이동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좌,우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위치조절부의 제2판체 전면에 고정되는 제3판체(고정플레이트)와, 이 제3판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엘엠가이드로서 연결된 제4판체(이동플레이트)와, 제3판체의 측면에서 관통되어 랙,피니언기어로서 연결된 제2손잡이로 이루어지는 상,하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의 밀봉시스템의 조리개 장치로서 달성되며, 상,하동 가능한 비젼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밀봉시스템의 조리개 장치로서. 출력 레이저가 조리개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출력 헤드식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의 밀봉 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레이저 헤드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마스크없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을 제공하게 되어 장비 단가를 낮춘 실용적인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레이저가 출력되는 레이저 헤드부재의 위치 조절수단을 다중 중첩구조로 하여 3축 위치조절수단에 더하여 레이저 브라켓을 통하여 브라켓의 전방을 향한 숙이는 기능을 구현하고, 스테이지가 회전되어 좌,우 각도가 조절되며, 동 스테이지의 상,하동이 가능하게 하므로서 레이저 출력 위치의 포커싱이 세밀하게 이루어지는 레이저 주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거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출력 헤드식 레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의 밀봉 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레이저 헤드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마스크없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마스크를 생략하는 대신 레이저 출력 제어용 조리개를 제공하므로서 간단한 조리개장치로서 레이저 출력의 포커싱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므로서 위치확인용 근접센싱수단,출력 레이저의 편차 측정 및 보정수단,용융상태 모니터링 비젼수단등 많은 부수장치들을 생락가능하게 하는 마스크없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을 제공하는 효과를 거둔다.
첨부 도면중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 알려진 레이저 조사장치의 작동구조 및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의 발췌사시도이고,도 3b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정면도이고,
도 4a,4b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조리개부의 사시도,측면도이고,
도 5a,5b,5c,5d,5e,5f,5g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조리개부의 좌,우위치조정부의 사시도,평면도,정면도,A-A선 단면도,B-B선 단면도,작동설명도,작동단면도들이고,
도 6a,6b,6c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조리개부의 상하회동부의 사시도, 상,하작동도,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조리개부의 조리개 회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의 비젼 유닛부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의 비젼 유닛부의 단면도이고,
도 10a,10b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의 비젼 유닛부의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가 설치된 작업대의 전체모습이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과,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Y축 주행로봇(2)과,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X축 주행로봇(3)과, 상기 Y축상에 설치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패널 흡착용 스테이지(10)로 이루어지는 작업대와, 상기 X축상의 주행로봇(3)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레이저 주사장치로 구분된다.
작업대의 주행로봇들은 공통적으로 구동모터의 구동축상에 연결되는 볼스크류, 볼스크류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바와, 엘엠가이드와, 볼스크류에 나사로 맞추어진 볼너트와, 볼너트와 일체로 됨과 동시에 엘엠가이드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블럭로 이루어진다(이 부분은 잘 알려진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첨부 도면중 도 3a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레이저 조사장치의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는 레이저부(5)와, 조리개부(4)와, 카메라부(6)의 3부분으로 구분되며,이 3부분이 X축 이동받침대(30)에 형성되어 있다.
첨부 도면중 도 4a,4b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조리개부의 사시도,측면도이고, 도 5a,5b,5c,5d,5e,5f,5g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조리개부의 좌,우위치조정부의 사시도,평면도,정면도,A-A선 단면도,B-B선 단면도,작동설명도,작동단면도들이고, 도 6a,6b,6c는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조리개부의 상하회동부의 사시도, 상,하작동도,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조리개부의 조리개 회동부의 단면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레이저 주사장치의 조리개부(4)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 레이저 주사장치의 조리개부(4)는 X축 주행로봇(3)의 이동받침대(30)에 좌,우위치조절부(44)를 설치하고, 그 위에 상,하위치조절부(43)를 설치히고, 그 위에 조리개회동부(42)를 설치하고, 조리개지지대(411)의 일단부측에 조리개(41)를 설치하여서 된다.
구체적으로 좌,우위치조절부(44)는,
상기 X축상의 주행로봇(3)상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2판체(442)와, 이 제2판체(442)위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롤러베어링(446),롤러가이드(446a)로서 설치되는 제1판체(441)와, 상기 제1판체(441)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판체(442)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제1판체(441)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연결대(443)와,제2판체(442)상면에 고정되는 이동연결대(445)와, 이 연결대(445)에 나사맞춤으로 설치되고,일단부는 손잡이(444a)를 형성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연결대(443)에서 공회전지지되는 나사축(444)과, 제2판체(441)상에 고정되는 이동 연결대로 이루어져, 나사축(444)과 이동연결대(445)가 나사맞춤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손잡이(444a)를 회전하면 제2판체(441)일체의 고정연결대(443)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하위치조절부(43)는,
상기 좌,우 위치조절부(44)의 제2판체(441)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35)와, 이 고정플레이트(435)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드 접속된 이동플레이트(431)와, 고정플레이트(435)의 측면에서 관통되어 랙(436),피니언기어(437)로서 연결되고, 손잡이(432a)를 형성한 조절구(432)로 이루어지며,이동 이동플레이트(431)의 상,하 이동후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프(434)로 이루어진다.
조리개 회동부(42)는
상기 상,하위치조절부(43)의 이동플레이트(431)전면에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421)와, 이 연결플레이트(42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받침플레이트(422)와,이 받침플레이트(422)상면에 설치된 서보모터(424)와, 이 받침플레이트(422)상에 설치되는 서보모터(424)의 구동축(423) 하방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조리개(41)를 장착한 조리개 장착홈(412)를 연결대(411)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8은 본 발명 레이저 조사장치의 비젼 유닛부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레이저 조사장치의 비젼 유닛부의 단면도이고, 도 10a,10b는 본 발명 레이저 조사장치의 비젼 유닛부의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레이저 조사장치의 비젼 유닛부(6)는 레이저헤드(50)의 레이저 주사로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되는 위치를 상,하이동 하면서 출력되는 레이저 촛점을 카메라로 촬상하여 작업자의 화면에서 레이저 촛점을 보여준다.
즉, 본 발명 레이저 조사장치의 비젼 유닛부(6)는,
X축 주행로봇(3)에 고정된 이동받침대(30)에 고정되고, 구동모터(65)를 마련하되 구동축(651)과 커넥터(66)로 연결되는 볼스크류(62)와, 볼스크류(62)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바(박스형 함체,61)와, 이 볼스크류(62)에 나사맞춤으로 접속되는 볼너트를 구비하되 슬라이드바(엘엠가이드)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럭(63)으로 이루어지고, 이동받침대(30)에 그 후단이 고정되고 내측으로 상기 슬라이드바를 형성한 박스형 함체(61)는 내측은 소정 공간을 이루되 그 전방이 개방된 육면체를 이루고, 그 상,하단에 베어링(671)(672)를 형성하며, 상단 베어링(671)과 하단 베어링(672)사이에 회전되는 볼스크류(62)가 설치되고, 이 볼스크류(62)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는 슬라이드바(박스형 함체 내측)를 설치하며, 이러한 슬라이드바에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볼스크류(62)에 나사맞춤되는 볼너트(이동블럭의 내측구조임)를 장착한 이동블럭(63)이 개방면을 따라 자유롭게 상,하 이동된다.
또한, 이동블럭(63)의 전면에는 카메라(60)를 지지하는 브라켓(64)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1)상에 설치된 Y축 주행로봇(2)상의 스테이지(10)에서 진공흡착으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패널을 흡착시킨 뒤 스테이지(10)를 X축 주행로봇(3)에 근접하도록 Y축방향을 따라 전진이동시킨다.
Y축방향으로 이동된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이 놓인 스테이지(10)가 X축 주행로봇(3)에 근접하면 레이저 주사장치가 탑재된 X축 주행로봇(3)의 이동받침대(30)가 이동하여 레이저 주사위치를 1차 정하게 된다.
이후 레이저부(5)를 작동시켜 레이저 헤드(50)가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패널의 실링위치를 잡도록 조정하게 된다. 구체적인 레이저부의 구성과 작동은 동일자 출원된 10-2011-0049638호를 참조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 실링용 레이저 주사장치는 레이저부의 1차 위치설정후 조리개부(4)로서 정밀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조리개부(4)는 그동안 레이저부(5) 하방에 적용되던 마스크 대신 조리개부(4)가 적용하여 레이저 출력의 정확성을 기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레이저부(5)의 레이저 출력을 조리개부(4)에서 정확하게 촛점을 맞추어 주사방향의 정확도를 기하지만 이것을 다시 카메라부(6)의 위치를 조정하여 레이저 헤드(50)의 최종 레이저 출력위치를 촬상시키고, 육안 확인,녹화시키게 된다.
3: X축 주행로봇, 4:조리개부, 5:레이저부, 6:카메라 비젼유닛, 30:이동받침대, 50:레이저헤드, 41:조리개, 411:연결대, 412:조리개 장착홈, 42:조리개 회동부,421:연결플레이트, 422:받침플레이트, 423:구동축, 424:서보모터, 43:상,하위치조절부, 431:이동플레이트, 432:조절구, 432a:손잡이, 434:클램프, 435:고정플레이트, 436:랙, 437:피니언기어, 44:좌,우위치조절부,441:제1판체, 442:제2판체,443:고정 연결대,444:나사축, 444a:손잡이, 445:이동연결대, 446:롤러베어링,446a:롤러가이드, 61:박스형 함체, 62:볼스크류, 63:이동블럭, 64:브라켓, 65:구동모터,651:구동축, 66:커넥터,671,672:베어링,

Claims (5)

  1. X축 주행로봇(3)의 이동받침대(30)에 고정되어 소정의 이동위치를 조정하는 레이저헤드(50)를 구비한 레이저부(5)로 이루어진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에 있어서,
    이동받침대(30)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2판체(442)와, 이 제2판체(442)측면에롤러베어링(446),롤러가이드(446a)로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1판체(441)로 이루어져, 제1판체(441)에서 제2판체(442)가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제1판체(441)상면에는 고정연결대(443)를 형성하고, 제2판체(442)상면에는 이동연결대(445)를 형성하되, 손잡이(444a)를 형성한 나사축(444)이 이동연결대(445)에서 나사맞춤으로 연결되어 관통한 뒤 고정연결대(443)에서 공회전되도록 설치되어, 나사축(444)의 손잡이(444a)를 회전시키면 제1판체(441)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좌,우위치조절부(44)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위치조절부(44)의 제2판체(442)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35)와, 이 고정플레이트(435)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드 접속된 이동플레이트(431)와, 고정플레이트(435)의 측면에서 연결된 랙(436),피니언기어(437)와, 손잡이(432a)를 형성한 조절구(432)와, 이동플레이트(431)의 상,하 이동후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프(434)로 이루어진 상,하위치조절부(43)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위치조절부(43)의 이동플레이트(431)전면에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421)와, 이 연결플레이트(42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받침플레이트(422)와,이 받침플레이트(422)상면에 설치된 서보모터(424)와, 이 받침플레이트(422)상에 설치되는 서보모터(424)의 구동축(423) 하방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조리개(41)를 장착한 조리개 장착홈(412)를 연결대(411)로 이루어진 조리개 회동부(42)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X축 주행로봇(3)에 고정된 이동받침대(30)에 고정되고, 구동모터(64)를 마련하되 구동축(651)과 커넥터(66)로 연결되는 볼스크류(62)와, 볼스크류(62)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바와, 이 볼스크류에 나사맞춤으로 접속되는 볼너트를 구비하되 슬라이드바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럭(63)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동받침대(30)에 후단이 고정되는 박스형 함체(61)는 내측에 소정 공간을 이루되 그 전방이 개방된 육면체를 이루어 상,하단에 베어링(671)(672)를 형성하고, 상단 베어링(671)과 하단 베어링(672)사이에 회전되는 볼스크류(62)가 설치되고, 이 볼스크류(62)을 중심에 두고 양측에는 슬라이드바를 설치하며, 이러한 슬라이드바에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볼스크류(62)에 나사맞춤되는 볼너트를 장착한 이동블럭(63)이 개방면을 따라 자유롭게 상,하 이동되어 그 전면에 카메라(60)을 지지하는 브라켓(64)을 형성하는 카메라 비젼 유닛(6)을 더 포함하여서 되는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KR1020110049640A 2011-05-25 2011-05-25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KR10133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640A KR101336021B1 (ko) 2011-05-25 2011-05-25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640A KR101336021B1 (ko) 2011-05-25 2011-05-25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460A KR20120131460A (ko) 2012-12-05
KR101336021B1 true KR101336021B1 (ko) 2013-12-03

Family

ID=4751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640A KR101336021B1 (ko) 2011-05-25 2011-05-25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0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087A (ja) 1999-07-06 2001-01-23 Shibuya Kogyo Co Ltd レーザ加工装置
KR20090041311A (ko) * 2007-10-23 2009-04-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가공 장치, 가공 방법 및 판스프링의 제조 방법
KR20100029228A (ko) * 2010-01-29 2010-03-1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본딩 장비의 카메라 촛점 자동조정장치
KR20100091801A (ko) * 2009-02-11 2010-08-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토마스크리스 노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087A (ja) 1999-07-06 2001-01-23 Shibuya Kogyo Co Ltd レーザ加工装置
KR20090041311A (ko) * 2007-10-23 2009-04-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가공 장치, 가공 방법 및 판스프링의 제조 방법
KR20100091801A (ko) * 2009-02-11 2010-08-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토마스크리스 노광장치
KR20100029228A (ko) * 2010-01-29 2010-03-1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본딩 장비의 카메라 촛점 자동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460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3021B1 (ja) 太陽電池の検査装置
TWI244981B (en) Droplet jetting apparatus, an electro-optical apparatu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an electronic device
KR101284717B1 (ko)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CN111321385B (zh) 基板载置方法、成膜方法、成膜装置及有机el面板的制造系统
CN105556946A (zh) 摄像模块的制造方法及摄像模块的制造装置
CN109093248B (zh) 激光焊接设备及焊接方法
KR101336021B1 (ko) 유기발광표시소자 디스플레이 패널의 레이저 실링장치
CN112626475A (zh) 成膜装置及成膜方法、信息获取装置、对准方法和电子设备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JP5373657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7001381B2 (ja) アライメント方法、成膜方法、それ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アライメン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デバイスの製造装置
KR101912732B1 (ko) 하향식 기판 에칭장치
KR100740982B1 (ko) 광모듈 조립체의 광축 조절장치
JP4792077B2 (ja) 三次元画像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三次元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26891B1 (ko) 도포 장치
KR20140117020A (ko) 레이저 어닐링 장치, 레이저 어닐링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96056B1 (ko) 디스플레이 셀들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KR101906288B1 (ko) 하향식 기판 에칭장치
JP7082172B2 (ja) アライメント装置、成膜装置、アライメント方法、成膜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952926B1 (ko) 유기발광소자 패널의 에이징 및 광학검사 장치 및 방법
JP6960789B2 (ja) アライメント装置、および、成膜装置
KR20180091510A (ko) 디스플레이 셀의 검사 장치
KR102003229B1 (ko) 레이저 드릴링 겸용 에칭장치
KR20080065745A (ko) 레이저 실링 장치 및 레이저 실링 방법
KR20090078520A (ko) 기판 지지기구 및 이를 구비한 기판 검사장치
US7330308B2 (en) Alignment method of micro-alignment members and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