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541B1 - 초소형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초소형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541B1
KR101335541B1 KR1020130066951A KR20130066951A KR101335541B1 KR 101335541 B1 KR101335541 B1 KR 101335541B1 KR 1020130066951 A KR1020130066951 A KR 1020130066951A KR 20130066951 A KR20130066951 A KR 20130066951A KR 101335541 B1 KR101335541 B1 KR 101335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er
female
protrusion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일테크
Priority to KR1020130066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에 구비된 착탈구성의 제조 및 조립시 오차를 최소화하여 원하는 탈거력과 삽입력을 유지함으로써 착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결합 후에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초소형 동심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초소형 동축 커넥터는, 수커넥터의 외측플러그를 메인몸체와 삽입몸체로 분리형성하고, 암커넥터의 외측홀더에 삽입되는 삽입몸체의 결합부 바깥둘레면에는 외측홀더의 걸림턱에 걸림유지되는 스냅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며, 스냅돌기는 결합부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에 의해 외경 크기가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된 구성이다. 또한 삽입몸체의 선단부 바깥둘레면에는 외측홀더의 안둘레면에 밀착하는 밀착돌기를 형성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초소형 동축 커넥터{SUBMINIATURE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초소형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동축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착탈구성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는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결합 및 분리 동작시에는 착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사용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소형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동축 커넥터는 주로 휴대용 단말기, 헤드셋, 차량용 블랙박스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의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10)와 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수커넥터(20)로 이루어진다.
암커넥터(10)는 외측홀더(11)와 이 외측홀더(11) 내부에 구비된 내측홀더(12)로 구성되고, 외측홀더(11)와 내측홀더(12)는 도전성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이들 사이에 절연을 위한 절연체(13)가 구비되어 있다.
수커넥터(20)는 외측플러그(21)와 이 외측플러그(21) 내부에 구비된 내측플러그(22)로 구성되고, 역시 도전성 금속으로 제조되어 절연체(23)로 상호 절연되어 있다.
따라서, 암커넥터(10)의 외측홀더(11) 안둘레면에 수커넥터(20)의 외측플러그(21)의 바깥둘레면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암커넥터(10)의 내측홀더(12) 안둘레면에 수커넥터(20)의 내측플러그(22)의 바깥둘레면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전자제품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암커넥터(10)와 수커넥터(20)에는 이들의 착탈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착탈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착탈구성은 수커넥터(20)의 외측플러그(21) 바깥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장착홈(21a)을 형성하여 스냅링(24)을 끼우고, 암커넥터(10)의 외측홀더(11) 안둘레면에는 스냅링(24)이 걸림유지되는 걸림턱(11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냅링(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이 절결된 링형상으로 외경이 확대 또는 축소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홀더(11)에 외측플러그(21)를 삽입할 때에는 스냅링(24)의 외경이 축소되어 외측홀더(11)의 걸림턱(11a)을 통과할 수 있고, 삽입 후에는 자체 탄성에 의해 본래의 외경으로 확대되어 외측홀더(11)의 안둘레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암커넥터(10)와 수커넥터(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착탈구성은, 스냅 온(SNAP-ON) 방식으로 상대물과 체결시 "딸깍"하는 소리로 체결을 확인할 수 있고, 상대물과의 발거력(상대물과 체결 후 빼낼 때 필요한 힘)과 삽입력(상대물과 체결을 위해 삽입할 때 필요한 힘)은, 착탈 동작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 후 진동 등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고정이 유지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즉, 착탈시 발거력과 삽입력은 스냅링(24)의 외경과 외측홀더(11)의 안둘레면에 형성한 걸림턱(11a)의 내경 차이에 의해 결정되고, 스냅링(24)의 외경이 걸림턱(11a)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 직경 차이가 크면 발거력과 삽입력도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착탈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고, 반대로 직경 차이가 작으면 착탈 동작은 수월해지지만 결합 후, 결합력이 약하여 진동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외측홀더(11)의 안둘레면에 형성한 걸림턱(11a)의 내경과 스냅링(24)의 외경 차이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므로 제조시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스냅링(24)은 탄성과 내구성이 좋아야 하므로, 커팅 및 연마 공정후에, 열처리, 냉각, 도금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여러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에 의해 스냅링(24)의 외경을 원하는 치수의 허용공차범위(±1/100) 내로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스냅링(24)의 제조 후 외측플러그(21)의 장착홈(21a)에 조립할 때, 스냅링(24)의 내경이 외측플러그(21)의 외경보다 커지게 확장 변형시켜 조립하는 것이므로, 이때 스냅링(24)의 형상이 미세하게 변형되어 외경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냅링(24)을 이용한 종래의 초소형 동축 커넥터는, 스냅링(24)의 제조과정과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에 의해 암커넥터(10)와 수커넥터(20)의 착탈시 발거력과 삽입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로써 착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결합 후에도 진동에 의해 쉽게 이탈될 염려가 있어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에 구비된 착탈구성의 제조 및 조립시 오차를 최소화하여 원하는 탈거력과 삽입력을 유지함으로써 착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결합 후에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초소형 동심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둘레면에 걸림턱을 가지는 외측홀더를 구비한 암커넥터와, 상기 외측홀더의 안둘레면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측플러그를 구비하는 수커넥터로 이루어진 초소형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의 외측플러그를 메인몸체와 삽입몸체로 분리형성하고, 상기 암커넥터의 외측홀더에 삽입되는 삽입몸체의 결합부 바깥둘레면에는 상기 외측홀더의 걸림턱에 걸림유지되는 스냅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스냅돌기는 결합부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에 의해 외경 크기가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된 초소형 동심 커넥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삽입몸체의 선단부 바깥둘레면에는 외측홀더의 안둘레면에 밀착하는 밀착돌기를 형성한 초소형 동심 커넥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측플러그의 메인몸체는 황동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몸체는 베릴륨동으로 이루어진 초소형 동심 커넥터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초소형 동축 커넥터에 의하면, 암커넥터의 외측홀더와 수커넥터의 외측플러그를 결합할 때 외측홀더의 걸림턱에 걸림유지되는 외측플러그의 스냅돌기가 외측플러그의 삽입몸체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스냅링을 별개로 제조하여 외측플러그의 장착홈에 조립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조립시 오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스냅돌기는 결합부에 형성한 복수개의 슬롯에 의해 외경의 크기가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함에 따라,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착탈시 발거력과 삽입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암,수커넥터의 착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결합 후에도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하여 진동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플러그의 삽입몸체 선단부에 밀착돌기가 형성되어 외측홀더의 안둘레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스냅돌기와 함께 암,수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냅돌기와 밀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삽입몸체를 베릴륨동으로 제작하여 탄성 및 내구성을 더욱 높임으로써 품질이 향상되고 사용수명이 더욱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초소형 동심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초소형 동심 커넥터에 사용된 스냅링의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동심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동심 커넥터에서 삽입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동심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동심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소형 동심 커넥터는, 암커넥터(100)와 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수커넥터(200)로 이루어진다.
암커넥터(100)는 외측홀더(110)와 이 외측홀더(110) 내부에 구비된 내측홀더(120)로 구성되고, 외측홀더(110)와 내측홀더(120)는 도전성 금속, 예를 들면 황동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이들 사이에 절연을 위한 절연체(130)가 구비되어 있다.
수커넥터(200)는 외측플러그(210)와 이 외측플러그(210) 내부에 구비된 내측플러그(220)로 구성되고, 역시 도전성 금속으로 제조되어 절연체(230)로 절연되어 있다.
따라서, 암커넥터(100)의 외측홀더(110)의 안둘레면에 수커넥터(200)의 외측플러그(210)의 바깥둘레면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암커넥터(100)의 내측홀더(120)의 안둘레면에 수커넥터(200)의 내측플러그(220)의 바깥둘레면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전자제품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암커넥터(100)와 수커넥터(200)에는 이들의 착탈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착탈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착탈구성은, 암커넥터(100)의 외측홀더(110) 안둘레면(112)에 형성한 걸림턱(111)과, 수커넥터(200)의 외측플러그(210) 바깥둘레면에 형성한 스냅돌기(212)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수커넥터(20)의 외측플러그(21)는 메인몸체(210A)와 삽입몸체(210B)로 분리형성하고, 상기 암커넥터(100)의 외측홀더(110)에 삽입되는 삽입몸체(210B)의 결합부(211) 바깥둘레면에는 상기 스냅돌기(212)를 일체로 형성한다.
스냅돌기(2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1)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213), 예를 들면 60도 간격으로 배치된 6개의 슬릿(213)에 의해 외경 크기가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삽입몸체(210B)의 선단부 바깥둘레면에 밀착돌기(2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밀착돌기(214)도 스냅돌기(212)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슬릿(213)에 의해 외경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외측홀더(110)의 안둘레면(112)에 삽입몸체(210B)의 결합부(2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홀더(110)의 안둘레면(112)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외측플러그(210)의 메인몸체(210A)는 황동으로 제조하고, 스냅돌기(212), 밀착돌기(214) 및 슬릿(213)이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동작하는 결합부(211)를 가지는 삽입몸체(210B)는 황동에 비하여 탄성과 내구성이 좋은 베릴륨동 또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암,수커넥터(100,200)를 결합하기 위하여 외측홀더(110)에 외측플러그(210)를 삽입하게 되면, 도 5a에서와 같이 외측플러그(210)의 스냅돌기(212)가 외측홀더(110)의 걸림턱(111)에 접촉하여 가압되면서 복수개의 슬릿(213)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냅돌기(212)의 외경이 축소되므로, 스냅돌기(212)는 외측홀더(11)의 걸림턱(111)을 통과할 수 있고, 통과 후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변형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스냅돌기(212)의 외경이 다시 본래의 직경으로 확장되어 외측홀더(110)의 안둘레면(112)에 밀착하게 되므로 걸림턱(11a)에 걸림유지 된다.
이러한 삽입 동작에 의해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결합이 이루어지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스냅돌기(212)가 슬릿(213)에 의한 결합부(21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측홀더(110)의 안둘레면(112)에 밀착하게 되므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 진동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몸체(210B)의 선단 바깥둘레면에 돌출형성한 밀착돌기(214)에 의해서도, 도 5b에서와 같이 외측홀더(11)에 외측플러그(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릿(213)에 의한 결합부(21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측홀더(11)의 안둘레면(112)에 밀착하게 되므로, 더욱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암커넥터(100)에서 수커넥터(200)를 분리할 때에는 결합시와 마찬가지로 외측플러그(210)의 스냅돌기(212)가 외측홀더(110)의 걸림턱(111)에 접촉하여 가압되면서 복수개의 슬릿(213)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냅돌기(212)의 외경이 축소되므로, 스냅돌기(212)는 외측홀더(110)의 걸림턱(111)을 통과할 수 있어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때, 외측홀더(110)에 외측플러그(210)를 삽입할 때의 삽입력과 결합된 상태에서 빼내는 발거력은 걸림턱(111)의 내경과 스냅돌기(212)의 외경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데, 본 발명은 외측플러그(210)를 메인몸체(210A)와 삽입몸체(210B)로 분리형성하고, 삽입몸체(210B)에 스냅돌기(212)를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에 스냅링을 외측플러그의 장착홈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던 오차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스냅돌기(212)의 외경 오차를 최대한 줄여 착탈시의 발거력과 삽입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암,수커넥터(100,200)의 착탈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력적인 동작을 위한 스냅돌기(212), 밀착돌기(214) 및 슬릿(213)이 형성되는 삽입몸체(210B)를 황동에 비하여 탄성과 내구성이 좋은 베릴륨동으로 제조함으로써 착탈 기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암커넥터 110 : 외측홀더
111 : 걸림턱 112 : 안둘레면
200 : 수커넥터 210 : 외측플러그
210A : 메인몸체 210B : 삽입몸체
211 : 결합부 212 : 스냅돌기
213 : 슬릿 214 : 밀착돌기

Claims (3)

  1. 안둘레면에 걸림턱을 가지는 외측홀더를 구비한 암커넥터와, 상기 외측홀더의 안둘레면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측플러그를 구비하는 수커넥터로 이루어진 초소형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의 외측플러그를 메인몸체와 삽입몸체로 분리형성하고,
    상기 암커넥터의 외측홀더에 삽입되는 삽입몸체의 결합부 바깥둘레면에는 상기 외측홀더의 걸림턱에 걸림유지되는 스냅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스냅돌기는 결합부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에 의해 외경 크기가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삽입몸체의 선단부 바깥둘레면에는 외측홀더의 안둘레면에 밀착하는 밀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플러그의 메인몸체는 황동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몸체는 베릴륨동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동심 커넥터.
  2. 삭제
  3. 삭제
KR1020130066951A 2013-06-12 2013-06-12 초소형 동축 커넥터 KR101335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951A KR101335541B1 (ko) 2013-06-12 2013-06-12 초소형 동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951A KR101335541B1 (ko) 2013-06-12 2013-06-12 초소형 동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541B1 true KR101335541B1 (ko) 2013-12-03

Family

ID=4998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951A KR101335541B1 (ko) 2013-06-12 2013-06-12 초소형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5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314U (ko) * 2015-06-08 2016-12-16 쑤저우 네트워크 주식유한공사 일종의 블라인드 인서트 플로팅 타입 커넥터
KR101821565B1 (ko) * 2016-07-13 2018-03-08 (주)에스알테크날러지 케이블 연결장치
JP2020113544A (ja) * 2020-03-13 2020-07-27 ローゼンベルガー ホーフフレクベンツテクニ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自己閉鎖型コンタクトスリーブ
CN114122798A (zh) * 2021-11-22 2022-03-0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插件结构
CN114122798B (zh) * 2021-11-22 2024-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插件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841A (ja) 2002-08-22 2005-12-02 コーニング ギルバ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周波盲嵌合同軸相互接続
KR20100083352A (ko) * 2009-01-13 2010-07-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2011204423A (ja) 2010-03-25 2011-10-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同軸コネクタ用回転機構部品および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841A (ja) 2002-08-22 2005-12-02 コーニング ギルバ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周波盲嵌合同軸相互接続
KR20100083352A (ko) * 2009-01-13 2010-07-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JP2011204423A (ja) 2010-03-25 2011-10-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同軸コネクタ用回転機構部品および同軸コネク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314U (ko) * 2015-06-08 2016-12-16 쑤저우 네트워크 주식유한공사 일종의 블라인드 인서트 플로팅 타입 커넥터
KR200484775Y1 (ko) * 2015-06-08 2017-10-23 쑤저우 네트워크 주식유한공사 일종의 블라인드 인서트 플로팅 타입 커넥터
KR101821565B1 (ko) * 2016-07-13 2018-03-08 (주)에스알테크날러지 케이블 연결장치
JP2020113544A (ja) * 2020-03-13 2020-07-27 ローゼンベルガー ホーフフレクベンツテクニ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自己閉鎖型コンタクトスリーブ
CN114122798A (zh) * 2021-11-22 2022-03-0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插件结构
CN114122798B (zh) * 2021-11-22 2024-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插件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109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862835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CN108023250B (zh) 转接器、插座和连接器组合
TWI636628B (zh) 端子連接結構及電連接器
KR20010062328A (ko) 전기 커넥터용 클립 링
JP2011249217A (ja) コネクタ
JPWO2008146521A1 (ja) 同軸コネクタ
US10804623B2 (en) Female connector and fitting connector
US10931051B2 (en) Connector and receptacle
KR101335541B1 (ko) 초소형 동축 커넥터
JP2014212110A (ja) 弾性ラッチ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WO2014203999A1 (ja) コネクタ
EP2973871B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JP2013097914A (ja) 同軸コネクタ
US10164372B1 (en)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y
JP2014154377A (ja) 充電コネクタ
JP2016119186A (ja) 防水コネクタ用ゴム栓および防水コネクタ
JP7122116B2 (ja) 同軸コネクタ
JP2018160393A (ja) 電気コネクタ
JP2019087517A (ja) 電気コネクタ
WO2016163140A1 (ja) 同軸コネクタ
CN108539481B (zh) 插口
JP2015210994A (ja) 同軸コネクタ
TWI794387B (zh) 轉接器
TW202023127A (zh) 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