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423B1 -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423B1
KR101334423B1 KR1020130072875A KR20130072875A KR101334423B1 KR 101334423 B1 KR101334423 B1 KR 101334423B1 KR 1020130072875 A KR1020130072875 A KR 1020130072875A KR 20130072875 A KR20130072875 A KR 20130072875A KR 101334423 B1 KR101334423 B1 KR 101334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inwater
screen
tank
collec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열
Original Assignee
곽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열 filed Critical 곽병열
Priority to KR102013007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423B1/ko
Priority to PCT/KR2014/005030 priority patent/WO20142089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1/042Details thereof, e.g. valves or pumps
    • E03B1/044Switch valves in waste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53Valves for controlling the rain wate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베란다등의 집수면에 연결된 선홈통(건축용 배수장치)을 통해 집수된 일정량의 초기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3개의 집수조와 스크린 및 부력체와 청정우수 유도수로, 싸이펀관등을 이용함으로써, 무동력으로 이물질은 배제시키고, 순수한 우수만 집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제장치내의 잔류수를 배출하여 자동적으로 다음강우에 대비하도록 하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선홈통등으로부터 우수를 공급받는 우수유입관(11)과; 상기 우수유입관(11)으로 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이물질(60c)과 우수(60a)를 선별하는 스크린(13)과; 상기 스크린(13)을 통해 공급 되어지는 우수(60a)와 이물질(60c)을 포집하는 제1 집수조(20)와; 계량수(60b)를 집수하여 제3 집수조로 수송하는 제2 집수조(30)와; 상기 스크린(13)에 의해 선별된 우수와 상기 제2 집수조(30)으로부터 공급되는 계량수(60b)를 집수하는 제3 집수조(40)와; 상기 제1 집수조(20)와 상기 제3 집수조(40)을 구획하는 격벽(14)과; 상기 스크린(13)에 의해 선별된 우수를 상기 제3 집수조로 유도하는 청정우수 유도수로(43)와;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와 연결된 부력체(41)와; 상기 제3 집수조(40)와 우수저장조를 연통시키는 청정우수 배출관(50)과; 상기 제3 집수조(40)의 잔류슈(60e)를 배출하는 싸이펀관(51)과; 상기 제1 집수조(20)의 우수와 이물질을 배출하는 우수유출관(15)과; 상기 우수유입관(11)과 계량수유입관(32)이 구비된 상부커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Non-motorized exclusion apparatus which removes a fixed quantity of early rainwater}
본 발명은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이나 베란다등의 집수면에 연결된 선홈통(건축용 배수장치)을 통해 집수된 일정량의 초기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3개의 집수조와 스크린 및 부력체와 청정우수 유도수로, 싸이펀관등을 이용함으로써, 무동력으로 이물질은 배제시키고, 순수한 우수만 집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제장치내의 잔류수를 배출하여 자동적으로 다음강우에 대비하도록 하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수자원 고갈, 지역별 수자원 편차 및 오염의 심화등으로 물의 위기가 도래하고 있고, 향후 물부족 문제가 점차 심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빗물의 가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빗물이용시설은 전국적으로 설치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법적 대상시설외에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제된 빗물은, 살균이나 소독이 불필요한 깨끗한 물이며 일반적으로 음용수로는 사용되어지지 않고 청소용수 및 조경용수, 소방용수, 화장실용수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어 짐으로써 물부족에 대한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맞게 빗물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이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며, 초기우수의 배제방법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알 수 있다.
빗물 집수면에 축적된 곤충의 사체나 낙엽, 황사등의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초기우수를 우수관거등으로 직접 배제하는 방법과, 초기우수 저장조를 따로 구비하여 집수한후 이를 여과등의 공정을 거쳐 처리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시설과 공간이 필요하다.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제하는 방법에는 스크린에 의한 분리나 콩자갈,모래등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원심력을 이용한 와류장치등이 이용되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은 강우시 이물질에 의해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강우종료시에는 이물질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빗물집수면적에 0.05미터를 곱한 규모 이상의 용량으로 빗물이용시설의 규모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물질이 포함되어진 초기우수의 배제량도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다. 초기우수의 배제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강우를 감지한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밸브가 작동하는 시간에 의한 제어 방법과, 우량계를 이용하여 일정한 양을 계측한후 제어밸브를 작동하는 강우량에 의한 제어 방법등이 이용되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모두 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편, 강우의 불규칙한 특성으로 인해 일정시간이 경과 했다 하여도 강우량이 부족하면, 비교적 양질의 우수를 집수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시간에 의한 제어방법 보다는 강우량에 의한 제어방법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종래의 초기우수 배제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비교적 큰 규모가 필요하며 동력을 이용해야 하고 정량제어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우종료시 초기우수 배제장치를 청소해 주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1257767 등록특허 제10-1217165 등록특허 제10-105665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동력으로 이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의 일정량을 배제시킨후 양질의 빗물만을 우수저장조로 수송시키며 청소가 불필요하고 소형,경량으로 구현될 수 있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는, 건축물의 선홈통을 통하여 우수를 공급받는 우수유입관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크린과; 분리된 이물질 및 초기우수를 집수하는 제1 집수조와; 정량배제를 위해 별도로 집수하는 초기우수의 일정량(이하 계량수 라함)을 수송하는 제2 집수조와; 상기 제2 집수조를 통해 공급된 계량수와 부력체를 이용해 청정우수의 유입을 유도하는 청정우수 유도수로와; 상기 계량수와 상기 청정우수를 집수하는 제3 집수조와; 상기 계량수와 상기 청정수를 우수저장조로 수송하는 청정우수 유출관과; 상기 제3 집수조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싸이펀관과; 상기 제1집수조와 상기 제3 집수조를 구획하는 격벽과; 우수유입관과 계량수유입관이 구비되고, 장치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집수조와 제3 집수조 및 스크린, 격벽 ,우수유출관, 청정우수 배출관, 싸이펀관은 하나의 몸체에 함께 구성된다. 상기 몸체는 바닥, 상기 바닥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측벽, 상기 몸체 내부를 2개의 집수조로 구획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위에는 상부커버가 올려진다. 한편, 제2 집수조는 상기 커버와 직접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별개의 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는, 이물질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초기우수의 일정량을 무동력으로 배제하며, 또한, 계속강우에 포함되어진 이물질에 대해서도 연속하여 배제함으로써 양질의 우수만을 집수할 수 있으며, 강우종료후 잔류수가 자동으로 배출되어짐으로써 다음강우에 대비하게 되고, 장치내의 청소도 불필요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무동력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적으로 반복되어 지므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형,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기존 물탱크에도 쉽게 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적용된 강우초기시 청정우수 유도수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적용된 부력체와 청정우수 유도수로에 의해 청정우수만 집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적용된 싸이펀관에 의해 잔류수가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적용된 유도판에 의해 청정우수가 집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적용된 유도판이 다음강우를 대비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적용된 제2 집수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에 적용된 제2 집수조와 부력실과의 체적관계을 보여주는 사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용을 도시한 것으로써, 기존의 선홈통에 간단히 연결할 수 있고 기성품의 물탱크를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100)는, 건축물의 선홈통 으로부터 우수를 공급받는 우수유입관(11), 초기우수a(60a)에 포함되어 유입되는 이물질(60c)을 선별하는 스크린(13), 상기 스크린(13)에 의해 분리된 우수와 이물질을 포집하는 제1 집수조(20), 계량수(60b)를 집수하는 제2 집수조(30), 상기 제2 집수조(30)로부터 계량수(60b)가 공급되며, 부력실(m)이 형성되어진 제3 집수조(40), 상기 제1 집수조(20)와 상기 제3 집수조(40)을 구획하는 격벽(14), 상기 부력실(40)에 수용되어지며 계량수(60b)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부력체(41), 상기 부력체(41)의 상승에 따라 청정우수 유도수로 회동힌지(44)를 일축으로 하여 상부가 상기 스크린(13)측으로 회전하는 청정우수 유도수로(43), 상기 제3 집수조에서 우수저장조로 우수를 수송하는 청정우수 배출관(50), 상기 제3 집수조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싸이펀관(51),상기 우수유입관(11) 및 계량수 유입관(32)이 구비되며 배제장치내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커버(1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집수조와 상기 제3 집수조가 하나의 몸체(10)를 통해 최소의 크기로 구성되어 지며, 제2 집수조는 상기 몸체(10)와 함께 구성하거나 별도의 장소에 별개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응용이 쉽고 좁은 곳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집수조가 별개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몸체(10)는 도6 에서 보여지는 바와같이 평면에서 볼 때 격벽(14)으로 구획되는 2개의 사각 단면을 가진 장방형의 바닥(16,45), 상기 바닥(16,45) 위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측벽(17)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벽(17)위에는 상부커버(12)가 올려지며 박스 2개가 연접한 구조이다. 상기 몸체(10)는 상기 측벽(17)보다 낮게 형성된 상기 격벽(14)에 의해 상기 제1 집수조(20)와 상기 제3 집수조(40)으로 구분되어 지며, 2개의 집수조는 청정우수 유도수로(43)에 의해 연통되어 진다.
상기 제1 집수조(20)는 우수유입관(11)으로부터 우수가 직접 공급되는 수조로써,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 진다. 내부의 일측벽은 상기 격벽(14)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스크린(13)이 수용되어지고 하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우수유출관(15)과 연통된다.
상기 스크린(13)은, 상기 제1 집수조(20)에 수용되어지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슬릿(slit)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60c)를 분리하나 포집하지는 않는다. 상기 격벽(14)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격벽(14)측으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제1 집수조(20)의 측벽(17)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다. 또한, 슬릿(slit)의 일측끝단과 대응하는 상기 측벽(11)과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이물질배출구(f)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60c)에 의해 상기 스크린(13)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분리된 이물질(60c)은, 상기 제1 집수조로 포집될 수 있게되며, 선별된 우수는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에 의해 제3 집수조로 수송되기 전까지는 제1 집수조로 수송 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제2 집수조(30)는 초기우수의 일정량을 배제하기 위한 계량수(60b)를 집수하여 상기 제3 집수조(40)로 수송하기 위한 수조이며, 상기 몸체(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상기 몸체(10)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계량수(60b)는 강우개시시 지붕등의 집수면에 접촉되지 않은 순수한 초기우수를 말하며 제2 집수조(30)에 포집되어 제3 집수조로 수송되어지고 일정량이상 집수되면 비로소 부력체(41)을 상승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집수조(30)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깔모양의 철망으로 이루어진 보호스크린(31)이 올려져 새나 낙엽등이 들어가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소나마 계량수의 정화 기능도 갖출 수 있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깔대기 형상의 하부에는 계량수 유입관로(33)가 연결 되며, 상기 계량수 유입관로(33)의 타측은 상기 상부커버(12) 상단에 위치한 상기 계량수 유입관(32)에 연통됨으로써, 상기 계량수(60b)를 상기 제3 집수조에 수송할 수 있게된다. 만일, 상부커버(12)에 직접적으로 구성되어지면 상기 계량수 유입관로(33)는 생략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집수조(40)는, 개방된 박스 형상을 이루며,내부의 일측벽은 상기 격벽(14)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13)에 의해 선별된 우수와 상기 제2 집수조(30)로부터 공급되는 계량수(60b)가 집수되며 또한, 부력실(m)이 형성되고 부력체(41)와 청정우수 유도수로(43)가 수용되어지며, 청정우수 배출관(50) 및 싸이펀관(51), 드레인관로(46)가 취부된다.
도2 내지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집수조(40)의 바닥(45)은 상기 격벽(14)으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제3 집수조(40)의 측벽(17)을 향해 일정거리를 두고 하향 경사지거나(물론 거리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1 집수조의 바닥(16)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45)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드레인관로(46) 와 연통되어 지며 상기 드레인관로(46)에는 밸브가 구비 될 수 있다. 집수조(40)의 일측벽에는 기역자『ㄱ』형상으로 이루어진 청정우수 배출관(50)이 바닥(45)으로부터 일정높이(k)만큼 이격되어 구비되어지므로 부력실(m)이 형성 되어지며, 상기 부력실(m)의 체적에 따라 계량수(60b)의 집수량이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초기우수a(60a)의 배제량도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청정우수 배출관(50)에 의해 상기 제3 집수조(40)와 우수저장조는 연통 되어 진다. 한편, 상기 청정우수 배출관(50)에는 싸이펀관(51)이 수용되어 질 수 있다. 집수조(40)의 상부에는 청정우수 유도수로(43)가 구비된다.
상기 측벽(17)보다 낮게 형성되어진 상기 격벽(14)상부의 일측면과 유도수로(43)의 중간부분(물론 중간부분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은 한조로 구성된 회동힌지(44)에 의해 연결 되어짐으로, 유도수로(43)는 구속 되어진다. 격벽(14)의 상부에는 상기 회동힌지(44)의 상단보다 높게 회전제어부(g)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의 회전을 구속함이 바람직 하다.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판형상으로 구현되며, 상단은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지는데(물론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초기우수a(60a)가 상기 스크린(13)에 부딪히며 비산되어 제3 집수조(40)로 유입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 하단과 부력체(41)는 한조의 회동힌지(42)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원활한 작동을 위해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 회동힌지(44)와 상기 부력체 회동힌지(42)의 중심점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아야 하며, 청천시에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의 상단부가 상기 스크린(13)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14)은 상기 제1 집수조(20)와 상기 제3 집수조(40)을 구획하며, 상기 측벽(17)보다 낮게 형성되어 지고, 일측면에 청정우수 유도수로 회동힌지(44)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힌지(44)의 상단부보다 높게 회전제어부(g)가 돌출된다.
상기 상부커버(12)에는 상기 우수유출관(15)과 동일한 축선으로 연장된 위치에 관통공을 형성하고(물론 동일한 위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부커버 윗면에 우수 유입관(11)을 구비하여 건축물의 선홈통에 연결함으로써 초기우수a(60a)을 공급받아 상기 스크린(13)으로 수송 할 수 있게된다. 상기 제3 집수조(4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상부커버(12)의 일면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윗면에 계량수 유입관(32)을 구비하며, 계량수 유입관로(33)을 통해 계량수(60b)를 공급받을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2)의 끝단은 상기 몸체(10)방향으로 , 개방된 박스형상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상기 측벽(17)위에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장치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필요시 상부커버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배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정량배제의 원리는 다음와 같다
도8에서 보여지는 바와같이, 상기 제2 집수조(30)의 단면적에 누적된 일정한 높이(h)의 계량수(60b)는 일정한 체적(V1)을 가지며, 상기 부력실(m)의 체적(V2)과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부력실(m)의 체적(V2)을 변화시키면 상기 제2 집수조(30)에 누적되는 상기 계량수(60b)의 높이(h)를 변화시키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이 산술적으로 계산된 부력실(m)의 체적(v2)을 이용해 초기우수의 일정량을 배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강우개시후, 정량배제를 위해 집수하는 상기 계량수(60b)의 양은, 전체 집수 면적에 집수되는 초기우수a(60a)의 양에 비해 극히 적으며, 보호스크린(31)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이다. 계량수의 유량이 상승하여 부력실(m)의 최상부까지 도달하는 동안, 상기 부력체(41)의 상승작용에 의해 상기 부력체(41)와 연결된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 상부측의 일단면이 상기 격벽(14)에 돌출된 회전제어부(g)에 맞닿을 때까지 계속하여 청정우수 유도수로 회동힌지(44)를 축으로 하여 상기 스크린(13)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울어 지게 된다. 따라서, 이과정에서 상기 스크린(13)을 거쳐 이물질이 배제된 우수가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를 통해 상기 제3 집수조(40)로 유입되게 되므로 상기 제3 집수조의 수위는 부력실(m)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선별된 우수와 계량수가 상기 청정우수 배출관(50)을 통해 우수저장조로 수송 되어지는 것이며, 수송되는 동안은 상기 싸이펀관(51)으로 항상 우수가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만일, 강우가 소강상태를 보여 상기 부력실(m)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부력실(m)내의 잔류수(60e)는 상기 싸이펀관(51)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부력체(41)는 하강 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3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상부측의 일단면이 상기 격벽(14)의 회전제어부(g)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므로 상기 부력체(41)의 상승이 제한되며, 이로인해 상기 청정우수 배출관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강우가 종료되면, 도4 에서 보여지는 바와같이, 상기 싸이펀관(51)에 의해 상기 제3 집수조(40)에 남아있는 잔류수가 배출되는데 이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싸이펀관(51)은 상기 청정우수 배출관(50)의 관경에 비해 단면적이 월등히 작고, 상기 청정우수 배출관(50)에 수용되거나 상기 제3 집수조의 측벽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수용되어진 것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 U 』자 를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싸이펀관(51)은 상기 제3 집수조와 상기 청정우수 배출관(50)에 수용되어지며, 상기 제3 집수조에 수용되어진 일측의 끝단은 상기 제3 집수조(40)의 바닥(45)보다 조금 높게 위치하고 청천시의 상기 부력체(41)바닥보다는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우수저장조의 관로에 접하는 상기 싸이펀관(51)의 타측 끝단은 상기 제3 집수조의 바닥(45)보다도 더 낮게 위치함으로써 수위차(s)를 유지하게된다. 그러므로 상기 부력실(m)에 남아있는 잔류수(60e)가 싸이펀 원리에 의해 우수저장조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과정에서 상기 부력체(41)는 하강하고 연결된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도 강우개시전의 위치로 복귀되어 다음강우를 대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몸체
11 : 우수유입관
12 : 상부커버
13 : 스크린
14 : 격벽
15 : 우수유출관
16 : 제1 집수조 바닥
17 : 측벽
20: 제1 집수조
30: 제2 집수조
31 : 보호 스크린
32 : 계량수 유입관
33 : 계량수 유입관로
40 : 제3 집수조
41 : 부력체
42 : 부력체 회동힌지
43 : 청정우수 유도수로
44 : 청정우수 유도수로 회동힌지
45 : 제3 집수조 바닥
46 : 드레인관로
50 : 청정우수 배출관
51 : 싸이펀관
60a : 초기우수a
60b : 초기우수b (계량수)
60c : 이물질
60e : 잔류수
f : 이물질 배출구
g : 회전제어부
h : 계량수의 높이
k : 일정높이
m : 부력실
s : 싸이펀관의 수위차
v1 : 계량수의 체적
v2 : 부력실의 체적
100 :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Claims (11)

  1. 건축물의 선홈통등으로부터 우수를 공급받는 우수유입관(11)과;
    상기 우수유입관(11)으로 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이물질(60c)과 우수(60a)를 선별하는 스크린(13)과;
    상기 스크린(13)을 통해 공급 되어지는 우수(60a)와 이물질(60c)을 포집하는 제1 집수조(20)와;
    계량수(60b)를 집수하여 제3 집수조로 수송하는 제2 집수조(30)와;
    상기 스크린(13)에 의해 선별된 우수와 상기 제2 집수조(30)으로부터 공급되는 계량수(60b)를 집수하는 제3 집수조(40)와;
    상기 제1 집수조(20)와 상기 제3 집수조(40)을 구획하는 격벽(14)과;
    상기 스크린(13)에 의해 선별된 우수를 상기 제3 집수조로 유도하는 청정우수 유도수로(43)와;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와 연결된 부력체(41)와;
    상기 제3 집수조(40)와 우수저장조를 연통시키는 청정우수 배출관(50)과;
    상기 제3 집수조(40)의 잔류슈(60e)를 배출하는 싸이펀관(51)과;
    상기 제1 집수조(20)의 우수와 이물질을 배출하는 우수유출관(15)과;
    상기 우수유입관(11)과 계량수유입관(32)이 구비된 상부커버(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3)과 제1 집수조(20)와 제3 집수조(40)와 격벽(14)과 청정우수배출관(50)과 싸이펀관(51) 및 우수유출관(15)은 하나의 몸체(10)에 함께 구성되며, 상기 몸체(10)는 상기 제1 집수조 바닥(16)과 상기 제3 집수조 바닥(45)의 둘레부에 세워지는 측벽(17), 상기 제1 집수조(20)와 상기 제3 집수조(40)을 구획하며 상기 측벽(17)보다 낮게 형성되어 지는 상기 격벽(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3)은 상기 스크린(13)의 일측단과 상기 제1 집수조(20)의 상기 측벽(17)이 이격됨으로써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구(f)를 포함하며, 분리된 이물질을 포집하지 않고 우수와 이물질을 동시에 하향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수조(30)는 상기 상부커버(12)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별개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상부에 고깔모양의 스크린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집수조(40)는 부력실(m)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41)와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 및 회동힌지(42,44)가 수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14)은 청정우수 유도수로 회동힌지(44)의 상단부 보다 높게 돌출되어진 회전제어부(g)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정우수 유도수로(43)는 일측이 상기 부력체(41)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상기 제1 집수조(20)와 상기 제3 집수조(40)로 위치가 변동되며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72875A 2013-06-25 2013-06-25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KR101334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75A KR101334423B1 (ko) 2013-06-25 2013-06-25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PCT/KR2014/005030 WO2014208903A1 (ko) 2013-06-25 2014-06-05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75A KR101334423B1 (ko) 2013-06-25 2013-06-25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423B1 true KR101334423B1 (ko) 2013-11-29

Family

ID=4985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875A KR101334423B1 (ko) 2013-06-25 2013-06-25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4423B1 (ko)
WO (1) WO201420890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3550A1 (en) * 2014-05-13 2015-11-19 Water Powered Technologies Limited Hydro-powered water distribution system
KR101593661B1 (ko) * 2015-09-30 2016-02-18 주식회사 고려산업 부력을 이용한 초기빗물 분리 집수장치
KR101604465B1 (ko) * 2015-06-10 2016-03-17 곽병열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20170083425A (ko) 2016-01-08 2017-07-18 곽병열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2608426B1 (ko) * 2023-05-12 2023-12-01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지붕 빗물집수 및 배제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18371B2 (es) * 2015-12-17 2018-09-26 Universitat Politécnica de Catalunya Sistema de distribución equitativa de agua de lluvia en casas de pisos
CN106894466B (zh) * 2017-01-16 2019-05-14 同济大学 一种无动力雨水分流装置
CN109459804B (zh) * 2018-11-26 2023-08-15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雨量计
CN117225831B (zh) * 2023-11-16 2024-01-19 山东省环能设计院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疏通的热力管道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330A (ko) * 2003-07-22 2005-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1056650B1 (ko) * 2011-02-01 2011-08-12 주식회사 고려산업 건축물 지붕을 이용한 빗물 집수 종합처리장치
KR101217165B1 (ko) * 2012-05-02 2012-12-31 주식회사두합크린텍 무동력 초기빗물배제장치를 이용한 자연유하식 빗물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7767B1 (ko) * 2011-11-16 2013-04-24 츠나오 요네미치 빗물이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330A (ko) * 2003-07-22 2005-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1056650B1 (ko) * 2011-02-01 2011-08-12 주식회사 고려산업 건축물 지붕을 이용한 빗물 집수 종합처리장치
KR101257767B1 (ko) * 2011-11-16 2013-04-24 츠나오 요네미치 빗물이용장치
KR101217165B1 (ko) * 2012-05-02 2012-12-31 주식회사두합크린텍 무동력 초기빗물배제장치를 이용한 자연유하식 빗물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3550A1 (en) * 2014-05-13 2015-11-19 Water Powered Technologies Limited Hydro-powered water distribution system
KR101604465B1 (ko) * 2015-06-10 2016-03-17 곽병열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1593661B1 (ko) * 2015-09-30 2016-02-18 주식회사 고려산업 부력을 이용한 초기빗물 분리 집수장치
KR20170083425A (ko) 2016-01-08 2017-07-18 곽병열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1879690B1 (ko) * 2016-01-08 2018-08-16 곽병열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2608426B1 (ko) * 2023-05-12 2023-12-01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지붕 빗물집수 및 배제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903A1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423B1 (ko)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101558239B1 (ko) 빗물 여과장치
KR101855140B1 (ko) 와류 유도용 침전조가 구비된 지하배수 막힘 방지장치
CN105247143A (zh) 可排出雨水和沙土的雨水吐室
KR101574644B1 (ko)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US20130008841A1 (en) Water transfer device for underground water collection and storage chambers
JP5024630B2 (ja) 自動採水装置
KR101604465B1 (ko)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JP2011137299A (ja) 雨水取水装置
KR101879690B1 (ko)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1932145B1 (ko) 단위면적당 강수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초기빗물 배제장치
KR20160093884A (ko) 침투형 빗물 처리 장치
KR101185579B1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KR101740555B1 (ko)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KR101974535B1 (ko)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초기빗물 배제장치
CN203174666U (zh) 自动渗流排水式独立初期雨水弃流装置
KR101926744B1 (ko)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JP2009293294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CN103255804A (zh) 自动渗流排水式独立初期雨水弃流装置
CN107905333A (zh) 一种雨水弃流装置
RU15586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ливневых вод
KR101593661B1 (ko) 부력을 이용한 초기빗물 분리 집수장치
KR20150140030A (ko) 초기 우수 배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