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365B1 - 차량용 완충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완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4365B1 KR101334365B1 KR1020120039887A KR20120039887A KR101334365B1 KR 101334365 B1 KR101334365 B1 KR 101334365B1 KR 1020120039887 A KR1020120039887 A KR 1020120039887A KR 20120039887 A KR20120039887 A KR 20120039887A KR 101334365 B1 KR101334365 B1 KR 101334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auxiliary
- cylinder
- piston rod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12—Fluid damp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는 액츄에이터(50)를 이용하여 개폐조절축(40)을 승강시켜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를 연결하는 유로(31)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피스톤(20)이 승강되면서 발생되는 갬쇄력을 조절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는 액츄에이터(50)를 이용하여 개폐조절축(40)을 승강시켜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를 연결하는 유로(31)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피스톤(20)이 승강되면서 발생되는 갬쇄력을 조절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에는 완충기가 구비되어, 타이어의 승강속도를 조절하는 감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이러한 차량용 완충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린더(10)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제1 챔버(11)와 하측의 제2 챔버(12)로 구획하는 피스톤(20)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실린더(10)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30)로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2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챔버(11,12)를 연결하는 유로(21)가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20)이 승강될 때 상기 유체가 좁은 유로(21)를 통과하면서 감쇄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완충기의 양단은 차량의 타이어와 차량의 샤시 또는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타이어의 승강시 완충기가 신축되면서 감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 들어 자동차 기술이 발전되어 감에 따라, 등록특허 10-0469003호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완충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완충기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일 뿐 아니라, 고장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완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린더(10)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제1 챔버(11)와 하측의 제2 챔버(12)로 구획하는 피스톤(20)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실린더(10)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30)를 포함하며, 차량에 설치되어 타이어의 승강시 감쇄력을 제공하는 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30)의 내부 또는 상기 피스톤(2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챔버(11,12)를 연결하는 유로(31)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0)의 내부에는 일단은 상기 유로(3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로드(30)의 타단부로 개방된 직선형태의 제어통로(32)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통로(3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에 따라 하단이 상기 유로(31)를 개폐하는 개폐조절축(40)과, 상기 개폐조절축(40) 또는 피스톤로드(30)에 연결되어 개폐조절축(40)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피스톤로드(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조실린더(51)와, 상기 보조실린더(51)의 내부에 구비되어 보조실린더(51)의 내부공간을 상측의 제1 보조챔버(51a)와 하측의 제2 보조챔버(51b)로 구획하며 상기 개폐조절축(40)의 상단에 연결되는 보조피스톤(52)과, 상기 보조피스톤(52) 또는 피스톤로드(30)에 연결되어 피스톤로드(30)를 밀어내는 탄성부재(53)와, 상기 제1 또는 제2 보조챔버(51a,51b)에 연결되어 제1 또는 제2 보조챔버(51a,51b)내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53)와 반대방향으로 피스톤(20) 및 피스톤로드(30)를 밀어내는 에어컴프레서(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부재(14)와, 상기 보조피스톤(52)의 하측에서 하향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14)의 상면에 접촉되어 보조피스톤(52)의 하강을 제한하는 지지바(52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개폐조절축(40)의 상단에 연결된 전자식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제어통로(32)의 상단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는 액츄에이터(50)를 이용하여 개폐조절축(40)을 승강시켜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를 연결하는 유로(31)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피스톤(20)이 승강되면서 발생되는 감쇄력을 조절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완충기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완충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린더(10)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제1 챔버(11)와 하측의 제2 챔버(12)로 구획하는 피스톤(20)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실린더(10)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30)를 포함하며, 차량에 설치되어 타이어의 승강시 감쇄력을 제공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실린더(10)의 상면 중앙부에는 지지단관(1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30)는 하단이 상기 피스톤(2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지지단관(13)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로드(3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챔버(11,12)를 연결하는 유로(31)와, 상기 유로(31)와 연결되는 제어통로(32)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31)는 상기 피스톤로드(30)의 내부에 피스톤로드(30)의 하단으로 개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2 챔버(12)와 연결되는 수직부(31a)와, 상기 수직부(31a)의 상단에서 피스톤로드(30)의 둘레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챔버(11)와 연결되는 수평부(31b)를 갖는 기역자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통로(32)는 상기 수직부(31a)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3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피스톤로드(30)의 상측으로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제어통로(32)는 상기 수직부(31a)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31a)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깔때기 형태의 확경부(3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통로(32)에는 하단이 상기 유로(31)를 개폐하는 개폐조절축(4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조절축(40)의 상단에는 개폐조절축(40)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50)가 연결된다.
상기 개폐조절축(40)은 상하로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둘레면에 도시 안 된 오링이 결합되어 상기 제어통로(32)의 내부에 수밀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단은 상기 피스톤로드(3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조절축(40)의 하단은 상기 수직부(31a)의 확경부(31b)와 대응되도록 뾰족하게 구성되어 하강시 하단이 상기 확경부(31b)로 삽입되어 유로(31)를 좁히고, 상승시 확경부(31b)를 개방하여 유로(31)를 넓힌다.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피스톤로드(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조실린더(51)와, 상기 보조실린더(51)의 내부에 구비되어 보조실린더(51)의 내부공간을 상측의 제1 보조챔버(51a)와 하측의 제2 보조챔버(51b)로 구획하며 상기 개폐조절축(40)의 상단에 연결되는 보조피스톤(52)과, 상기 보조피스톤(52)에 연결되어 피스톤로드(30)를 밀어내는 탄성부재(53)와, 상기 제1 보조챔버(51a)에 연결되어 제1 보조챔버(51a)내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5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실린더(51)는 하단에 구비된 탭(51c)이 상기 실린더(10)의 상단에 구비된 지지단관(13)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53)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로드(30)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보조챔버(51b)의 내부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보조실린더(51)의 내부 하측면과 상기 보조피스톤(52)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보조피스톤(52)을 상측으로 밀어낸다.
상기 에어컴프레서(54)는 상기 급기관(54a)를 통해 상기 제1 보조챔버(51a)에 연결되는 것으로,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작스위치(54b)가 연결되어 운전자가 조작스위치(54b)를 on시키면 상기 제1 보조챔버(51a)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보조실린더(51)를 하측으로 하강시킴으로써 보조실린더(51)에 연결된 피스톤로드(30)가 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에어컴프레서(54)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54b)를 off시키면 작동이 정지되어 상기 제1 보조챔버(51a) 내부에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보조피스톤(52)이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10)의 상단에 구비된 지지단관(1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는 지지부재(14)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보조피스톤(52)의 하측에는 지지바(52a)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4)는 디스크형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회전을 시키면 나사산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52a)는 지름이 작은 봉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피스톤(52)의 하측 둘레면에 상호 일정각도로 이격되도록 하향연장되어, 보조피스톤(52)의 하강시 하단이 상기 지지부재(14)의 상면에 접촉되어 보조피스톤(52)이 하강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보조실린더(51)의 바닥면에는 상기 지지바(52a)가 관통하는 관통공(51d)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52a)는 상기 관통공(51d)을 통해 보조실린더(51)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54b)를 조작하여 에어컴프레서(54)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보조챔버(51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피스톤(52)과 개폐조절축(40)이 하강되어 상기 유로(31)를 좁히게 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20)의 승강시 유로(31)를 통해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로 공급되는 유체에 가해지는 유체저항이 증가되어, 완충기의 감쇄력이 증가된다. 즉, 차량용 완충기가 딱딱해져 승차감이 하드해진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54b)를 조작하여 에어컴프레서(54)를 정지시키면, 상기 제1 보조챔버(51a)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탄성부재(53)의 탄성에 의해 보조피스톤(52)과 개폐조절축(40)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 상승되어 상기 유로(31)를 개방한다. 따라서, 피스톤(20)의 승강시 유로(31)를 통해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로 공급되는 유체에 가해지는 유체저항이 감소되어, 완충기의 감쇄력이 감소된다. 즉, 차량용 완충기가 부드럽게 되어 승차감이 소프트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실린더(51)와 개폐조절축(40)이 하강될 때, 상기 보조실린더(51)의 하측면에 구비된 지지바(52a)가 실린더(10)에 결합된 지지부재(14)의 상면에 닿아 보조실린더(51)와 개폐조절축(40)이 하강되는 위치를 제한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재(14)는 상기 실린더(10)에 구비된 지지단관(13)에 나사결합되어 지지부재(14)를 정역회전시키면 지지부재(14)가 지지단관(13)을 따라 승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지부재(14)를 회전시켜 지지부재(14)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하면, 상기 에어컴프레서(54)에 의해 보조실린더(51) 및 개폐조절축(40)이 하강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완충기가 딱딱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관체에 형성된 나사산이 우나사일 경우, 도 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14)가 하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에어컴프레서(54)로 보조실린더(51)와 개폐조절축(40)을 하강시킬 때 개폐조절축(40)이 아래쪽으로 충분히 하강되어 유로(31)를 많이 막게 되어 완충기의 감쇄력이 매우 커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지지부재(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14)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에어컴프레서(54)로 보조실린더(51)와 개폐조절축(40)을 하강시킬 때 개폐조절축(40)이 조금만 하강되어 유로(31)를 조금만 막게 되어 완충기의 감쇄력이 조금만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완충기는 액츄에이터(50)를 이용하여 개폐조절축(40)을 승강시켜 제1 챔버(11)와 제2 챔버(12)를 연결하는 유로(31)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피스톤(20)이 승강되면서 발생되는 갬쇄력을 조절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피스톤로드(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조실린더(51)와, 상기 보조실린더(51)의 내부에 구비되어 보조실린더(51)의 내부공간을 상측의 제1 보조챔버(51a)와 하측의 제2 보조챔버(51b)로 구획하며 상기 개폐조절축(40)의 상단에 연결되는 보조피스톤(52)과, 상기 보조피스톤(52)에 연결되어 피스톤로드(30)를 밀어내는 탄성부재(53)와, 상기 제1 보조챔버(51a)에 연결되어 제1 보조챔버(51a)내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54)로 구성되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0)의 상단에 구비된 지지단관(1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는 지지부재(14)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보조피스톤(52)의 하측에는 지지바(52a)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14)를 회전시켜 승강시킴으로써, 보조피스톤(52)과 개폐조절축(40)이 하강되는 높이를 제어하여 완충기가 딱딱해지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린더(10)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0)는 상기 실린더(10)의 상측으로 연장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완충기 전체의 배치가, 상기 피스톤로드(30)가 실린더(1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거꾸로 배치되거나, 피스톤로드(30)가 실린더(1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제2 보조챔버(51b)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서(54)는 상기 제1 보조챔버(51a)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탄성부재(53)를 상기 제1 보조챔버(51a)의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에어컴프레서(54)를 상기 제2 보조챔버(51b)에 연결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상기 보조피스톤(52)과 개폐조절축(40)이 하강되고, 에어컴프레서(54)의 작동시 상기 보조피스톤(52)과 개폐조절축(40)이 상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30)는 하단이 상기 피스톤(2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로드(30)가 상기 피스톤(20)의 상면에 고정된 경우, 상기 유로(31)는 상기 피스톤(20)과 피스톤로드(30)에 분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개폐조절축(40)의 상단에 연결된 전자식 솔레노이드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식 솔레노이드는 내부에 전자석(55)이 구비되어 작동시 상기 개폐조절축(4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피스톤로드(30)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50)는 개폐조절축(40)를 강제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투웨이 솔레노이드를 이용하며, 운전자가 조작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스위치(54b)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조절축(40)에 연결되어 개폐조절축(40)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투웨이 솔레노이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조작스위치(54b)를 조작하면, 상기 액츄에이터(50)가 피스톤로드(30)를 상승 및 하강시켜 유로(31)를 좁히거나 개방함으로써, 승차감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완충기는 상기 액츄에이터(50)가 전자식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므로, 구조가 더욱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제어통로(32)의 상단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54)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조절축(40)은 상기 제어통로(32)의 길이에 비해 짧게 구성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서(54)는 상기 피스톤로드(30)의 상단에 결합된 탭(33)을 통해 상기 제어통로(32)와 연결되어, 제어통로(32)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고압하여 개폐조절축(40)이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조절축(40)은 상기 피스톤(20)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유로(31)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려져 유로(31)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완충기는 구조가 더욱 간단해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조절축(40)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개폐조절축(40)에 도시 안 된 별도의 스프링을 연결하여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개폐조절축(40)이 상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 실린더 20. 피스톤
30. 피스톤로드 40. 개폐조절축
50. 액츄에이터
30. 피스톤로드 40. 개폐조절축
50. 액츄에이터
Claims (5)
- 상하로 길게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실린더(10) 내부의 공간을 상측의 제1 챔버(11)와 하측의 제2 챔버(12)로 구획하는 피스톤(20)과,
일단은 상기 피스톤(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실린더(10)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30)를 포함하며,
차량에 설치되어 타이어의 승강시 감쇄력을 제공하는 차량용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30)의 내부 또는 상기 피스톤(2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챔버(11,12)를 연결하는 유로(31)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30)의 내부에는 일단은 상기 유로(3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피스톤로드(30)의 타단부로 개방된 직선형태의 제어통로(32)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통로(3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에 따라 하단이 상기 유로(31)를 개폐하는 개폐조절축(40)과,
상기 개폐조절축(40) 또는 피스톤로드(30)에 연결되어 개폐조절축(40)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피스톤로드(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조실린더(51)와,
상기 보조실린더(51)의 내부에 구비되어 보조실린더(51)의 내부공간을 상측의 제1 보조챔버(51a)와 하측의 제2 보조챔버(51b)로 구획하며 상기 개폐조절축(40)의 상단에 연결되는 보조피스톤(52)과,
상기 보조피스톤(52) 또는 피스톤로드(30)에 연결되어 피스톤로드(30)를 밀어내는 탄성부재(53)와,
상기 제1 또는 제2 보조챔버(51a,51b)에 연결되어 제1 또는 제2 보조챔버(51a,51b)내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53)와 반대방향으로 피스톤(20) 및 피스톤로드(30)를 밀어내는 에어컴프레서(5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충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부재(14)와,
상기 보조피스톤(52)의 하측에서 하향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14)의 상면에 접촉되어 보조피스톤(52)의 하강을 제한하는 지지바(52a)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개폐조절축(40)의 상단에 연결된 전자식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제어통로(32)의 상단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완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9887A KR101334365B1 (ko) | 2012-04-17 | 2012-04-17 | 차량용 완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9887A KR101334365B1 (ko) | 2012-04-17 | 2012-04-17 | 차량용 완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7121A KR20130117121A (ko) | 2013-10-25 |
KR101334365B1 true KR101334365B1 (ko) | 2013-11-29 |
Family
ID=4963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9887A KR101334365B1 (ko) | 2012-04-17 | 2012-04-17 | 차량용 완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436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6679B1 (ko) * | 2015-06-24 | 2016-10-14 | 주식회사 한일정밀 | 가스스프링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05208A (en) * | 1981-06-12 | 1982-12-16 | Tokico Ltd | Shock absorber |
JPH04345516A (ja) * | 1991-05-24 | 1992-12-01 | Kayaba Ind Co Ltd | ショックアブソーバ装置 |
JPH0545279U (ja) * | 1991-11-15 | 1993-06-18 | カヤバ工業株式会社 | 油圧緩衝器 |
JP2006132554A (ja) * | 2004-11-02 | 2006-05-25 | Kayaba Ind Co Ltd | 緩衝器 |
-
2012
- 2012-04-17 KR KR1020120039887A patent/KR1013343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05208A (en) * | 1981-06-12 | 1982-12-16 | Tokico Ltd | Shock absorber |
JPH04345516A (ja) * | 1991-05-24 | 1992-12-01 | Kayaba Ind Co Ltd | ショックアブソーバ装置 |
JPH0545279U (ja) * | 1991-11-15 | 1993-06-18 | カヤバ工業株式会社 | 油圧緩衝器 |
JP2006132554A (ja) * | 2004-11-02 | 2006-05-25 | Kayaba Ind Co Ltd | 緩衝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7121A (ko) | 2013-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305352A1 (en) | Double sliding piston valve | |
KR100527732B1 (ko) | 공압 현가장치 | |
JP2016530142A (ja) | 高さ調整デバイスを備える自動車用のサスペンション・ストラット | |
KR100894799B1 (ko) | 쇽업소버 | |
KR101131050B1 (ko) | 쇽업소버 | |
KR20110001283A (ko) |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 |
KR100507756B1 (ko) | 자기가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장치 | |
KR101937470B1 (ko) |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 |
KR101334365B1 (ko) | 차량용 완충기 | |
US11242906B2 (en) |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 |
US11530729B2 (en) |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 |
KR100391419B1 (ko) | 차량용 쇽 업소버 | |
KR101276868B1 (ko) |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 |
KR102183046B1 (ko) |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 |
JP7132759B2 (ja) | 緩衝器 | |
KR102152027B1 (ko) | 쇽업소버 | |
CN209041415U (zh) | 一种电动汽车减震装置 | |
KR101662223B1 (ko) |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 |
KR101165057B1 (ko) | 차량의 현가 시스템 | |
KR101276867B1 (ko) |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 |
KR20200017856A (ko) |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 |
KR20150064533A (ko) | 선회 감응형 밸브 조립체를 갖는 쇽업소버 | |
KR100776565B1 (ko) |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 |
JP2005145388A (ja) | 車高調整機構 | |
KR20200113808A (ko) |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