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225B1 - 통신 정보의 제시 - Google Patents

통신 정보의 제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225B1
KR101334225B1 KR1020117014838A KR20117014838A KR101334225B1 KR 101334225 B1 KR101334225 B1 KR 101334225B1 KR 1020117014838 A KR1020117014838 A KR 1020117014838A KR 20117014838 A KR20117014838 A KR 20117014838A KR 101334225 B1 KR101334225 B1 KR 10133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vider
classification
metadata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564A (ko
Inventor
쿠상 데사이
샤일리쉬 마헤쉬와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9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04Recording calls, or communications in printed, perforated or other permanent form
    • H04M15/06Recording class or number of calling, i.e. A-party or called party, i.e. B-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2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with meter at substation or with calculation of charges at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2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with meter at substation or with calculation of charges at terminal
    • H04M15/3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with meter at substation or with calculation of charges at terminal the meter or calculation of charges not being controlled from an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4Augmented, consolidated or itemized billing statement or bill 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9Connection to several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1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for resellers, retailers or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statistics of usage or network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83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involving reduced rates or discounts, e.g. time-of-day reductions or volume dis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35Time or frequency of notifications, e.g. Advice of Charge [A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35Time or frequency of notifications, e.g. Advice of Charge [AoC]
    • H04M15/8351Time or frequency of notifications, e.g. Advice of Charge [AoC] before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4Types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4Types of notifications
    • H04M15/844Message, e.g. 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04M15/851Determined tari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3Notification aspects
    • H04M15/85Notification aspe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dition triggering a notification
    • H04M15/858Request users acknowledgement prior to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04Augmented, consolidated or itemised billing statement, e.g. additional billing information, bill presentation, layout, format, e-mail, fax, printout, itemised bill per service or per account, cumulative billing, consolidated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52General billing plans, rate plans, e.g. charge rates, numbering plans, rate centers, customer ac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84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involving reduced rates or discounts, e.g. time-of-day reductions, volume discounts, cell discounts, group billing, frequent calling destination(s) or user history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88Network monitoring; statistics on usage on called/calling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2Sponsored, subsidised calls via advertising, e.g. calling cards with ads or connecting to special ads, free calling time by purchasing go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20Technology dependant metering
    • H04M2215/2026Wireless network, e.g. GSM, PCS, TA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46Connection to several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54Resellers-retail or service providers billing, e.g. agreements with telephone service operator, activation, charging/recharging of accou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04M2215/8104Time or frequency of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04M2215/8104Time or frequency of notification
    • H04M2215/8108Time or frequency of notification before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04M2215/8129Type of no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04M2215/8129Type of notification
    • H04M2215/8137Message, e.g. alphanumeric text, SMS, MMS, EMS or www-based messaging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04M2215/815Notification when a specific condition, service or event is m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1Notifying aspects, e.g. notifications or displays to the user
    • H04M2215/815Notification when a specific condition, service or event is met
    • H04M2215/8183Request users acknowledgement prior to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82Advice-of-Charge [AOC], i.e. notify subscriber of charges/cumulative charge; meter at the sub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92Autonomous calculations of charges in terminal, i.e. meter not controlled from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제한된 수의 통신 분(minute)들이 전체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제한된 수의 분들이 다른 제공자들과 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는 이동 통신 제공자와 계약할 수 있다. 인커밍(incoming) 호출 식별 정보가 제시될 때, 상기 인커밍 호출이 어떤 제공자를 사용하는지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인커밍 제공자와 얼마나 많은 무료 분들을 갖는지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가 계약과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커밍 통신이 관여(engaged) 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사용자는, 상기 추가적인 정보를 채택할 수 있고 그리고 적절한 결정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정보의 제시{DISCLOSURE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이후의 설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과 관련되고 그리고,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일반적으로 함께, 통신 서비스들을 관리하는 것과 관련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넓게 배치된다. 통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 …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시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은 제공자가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에 관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공자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입할 수 있다. 개인은 시간의 길이의 한 세트에 대하여 제공자들을 이용하는 것에 동의할 수 있고 그리고 제공자는 통신 능력들을 공급하는 것에 동의할 수 있다. 조기 종료 요금과 같은, 계약과 연관되는 다양한 페널티가 있을 수 있다.
제공자 및 개인의 에이전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특정한 기간들을 갖는 사용 계약에 진입할 수 있다. 사용 계약에서, 기간들은 개인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전체 통신 분들의 수, 개인에 의해 관여될 수 있는 호출들의 수 등과 관련될 수 있다. 계약의 일부로서 또는 별개 계약에서, 개인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달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사용 계약은 제공자와 관련되는 특정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자는 개인이 제공자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호출에 관여할 때를 위하여 무료 분들의 개별적인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자에 의해 공급되는 것보다 많은 분들을 제공한다면, 개인에게는 부가적인 요금이 초래될 수 있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다음은 그러한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의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고, 모든 양상들의 키 또는 중요한 요소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개관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요약의 전적인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더욱 상세한 기술의 서두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신 메타데이터를 개시하기 위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인커밍(incoming) 통신의 제공자 분류(provider classification)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결정하는 평가기를 구비하는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는 공급기(supplier)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통신 메타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모듈뿐만 아니라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기 위한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product)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평가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1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2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으로,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통신 조정을 위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타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인커밍 통신와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기를 구비하는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는 프리젠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으로, 통신 조정을 위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있을 수 있다.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제 1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기 위한 제 2 모듈을 통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으로,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하고 그리고 관련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이후에 상세하게 기술되는 특징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청구항에서 특히 지적된다. 다음의 기술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도시된 특징들을 상세하게 진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채택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를 제외하고 표시하고, 그리고 이러한 기술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여기서 진술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도시이다.
도 2는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제공자 분류의 제시를 위한 예시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3은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의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4는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의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5는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대안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갖는 예시의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6은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다이얼 패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갖는 예시의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7은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정보 제시를 위한 예시의 방법론의 도시이다.
도 8은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리스트 생성을 위한 예시의 방법론의 도시이다.
도 9는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예시의 시스템 방법론의 도시이다.
도 10은 적어도 일 양상에 따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용이하게 하는 예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도시이다.
도 11은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정보 제시(divulgence)를 용이하게 하는 예시의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12는 여기서 기술되는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관련하여 채택될 수 있는 예시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도시이다.
도 13은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분류 정보를 제출하는 예시의 시스템의 도시이다.
도 14는 적어도 일 양상에 따른 인커밍 통신과 관련한 제시를 위한 메타데이터를 결정하는 예시의 시스템의 도시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되고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도면들에 걸쳐서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하도록 사용된다. 다음의 기술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많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철저한 이해들을 통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진술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본 명세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과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컴퓨터-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들을 사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일 수 있는, 터미널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터미널은 시스템,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터미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단말기(PDA), 무선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handheld) 장치,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과 함께 설명된다. 기지국은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용어 "또는(or)"은 배타적인 "또는"보다는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즉, 다르게 특정되거나 문맥으로부터 명백하지 않다면, 임의의 당연한 포괄적인 치환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구문 "X가 A 또는 B를 사용한다"는 X는 A를 사용한다; X는 B를 사용한다; 또는 X는 A 및 B 모두를 사용한다 중 임의의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본 출원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관사들 "a" 및 "an"은 다르게 특정되거나 또는 단수 형태를 의미함이 문맥으로부터 명백하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의 다양한 양상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법들을 이용하는 제조물(article of manufactur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제조물"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림들...), 광학 디스크들(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가적으로, 여기서 설명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기계-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들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설명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흔히 교환할 수 있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또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진화된(Evolved)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진화된 UTRA 또는 E-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향후 릴리스이며, 이는 다운링크 상에서는 OFDMA를 업링크 상에서는SC-FDMA를 이용한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라는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라는 명칭의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종종 언페어드(unpaired) 언라이센스된 스펙트럼들을 사용하는 피어-투-피어(예컨대, 모바일-투-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 802./xx 무선 랜, 블루투스 및 임의의 다른 단-거리 또는 장-거리 통신 기법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의 특징들이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과 관련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은 부가적인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본 도면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모두를 포함할 수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들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여기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도시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104,106)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그룹은 안테나(108, 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그룹은 안테나(112, 1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그룹마다 2개의 안테나가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안테나가 각 그룹에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추가로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은 각각 신호 송신 및 수신과 관련된 다수의 컴포넌트(예를 들어,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다중화기들, 복조기들, 역다중화기들, 안테나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모바일 디바이스(116) 및 모바일 디바이스(12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지만, 기지국(102)은 실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6, 122)와 유사한 임의의 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6, 122)는 예를 들어 셀룰러폰, 스마트폰, 랩탑,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연산 디바이스, 위성 라디오, 글로벌 위치 결정 시스템, PDA,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인커밍 통신(예컨대, 셀룰러 호출)에 관계되는 메타데이타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불('pay as you go') 전화에 남아있는 다수의 분(minute)들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16)는 안테나(112, 114)와 통신하며, 안테나(112, 114)는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6)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더욱이, 모바일 디바이스(122)는 안테나(104, 106)와 통신하며, 안테나(104, 106)는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주파수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는 예를 들어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이용된 것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안테나들의 세트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된 영역은 기지국(102)의 섹터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는 기지국(1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118, 124)를 통한 통신에서, 기지국(102)의 전송 안테나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16,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118, 124)의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빔 형성을 이용한다. 또한, 기지국(102)이 관련 커버리지 도처에 랜덤하게 흩어져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16, 122)에 전송하기 위해 빔 형성을 이용하는 동안, 이웃하는 셀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는 단일 안테나를 통해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기지국에 비해 더 적은 간섭이 가해질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시스템(200)이 모바일 디바이스(202)와 관련하여 인커밍 통신(예컨대, 셀룰러 전화 호출)과 관계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시된다. 종래의 무선 통신 설정에서, 개인들은 서비스 제공자와 계약된 사용자 기기(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202))에 관여한다. 계약들의 부분으로서, 개인들은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분들, 무제한의 분들이 제공될 수 있는 발신자들의 리스트(예컨대, 사용자 지정된 그룹에 있는 사람들, 서비스 제공자와 계약된 다른 개인들 등) 등이 일반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2)가 설정된 한계를 넘어 관여한다면, 서비스는 중단되거나 또는 추가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인커밍 호출이 사용 계약과 갖는 관계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남은 분들, 발신자에 의해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자, 통신을 수신함으로써 발생되는 비용 등에 대하여 사용자는 통지받을 수 있다 - 통지는 오디오 프리젠테이션 등으로 구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202)의 LCD(액정 디스플레이)를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204))는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고 그리고 음성 호출의 설정 시에, 인커밍 호출 메타데이터(예컨대, 사용자 계약에 속하는 메타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된 메타데이터는 한정될 뿐만 아니라(예컨대, 호출이 관계된다면 사용자에게 요금 부과될 것인지를 통지하지만, 사용자에게 요금(fee) 및/또는 요금(rate)를 통지하지는 않음) 상세하게 될 수 있다(예컨대, 제공 식별, 호출 플랜, 잔여 분들 등).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메타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할 수 있다. 여기서의 논의가 인커밍 통신과 관련되는 반면에, 양상들은 아웃고잉 통신(예컨대, 사용자가 호출을 전송하기 이전에 호출 플랜에 남아있는 다수의 분들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무료로 전송될 수 있는 다수의 텍스트 메시지들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것 등)과 관련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여기서 개시되는 양상들이 모바일 디바이스(202)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204) (예컨대, 서버, 기지국 등) 상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반면에, 구현이 모바일 디바이스(202), 네트워크 디바이스(204),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되는 제3자 디바이스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202)를 실행가능하게 하는 평가기의 사용을 통해)를 결정(예컨대, 인식)하는 평가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자 분류는 제공자의 명칭, 제공자가 부가적인 요금을 인커밍 호출에 연관시킬지 여부에 관한 포저티브/네거티브 레벨, 인커밍 호출을 받는 것과 연관되는 돈의 액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기(208)는 평가기(206)에 의해 결정되는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기(208)는 결정된 제공자 분류를 모바일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등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기(208)는 제공자 분류가 동일(same) 제공자(예컨대, 인커밍 호출의 제공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동일한 제공자), 등가(equivalent) 제공자(인커밍 호출의 제공자가 예컨대, 계약 동의(agreement)를 통한 것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제공자와 연관됨), 또는 외부(foreign) 제공자(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공자가 인커밍 호출의 제공자와 독립적임)에 속하는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204)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202)로) 전달을 통하여 제공자 분류를 제시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04)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동의와 관련된 인커밍 통신에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수집기(210)는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2)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예컨대, 발신자, 신원(identity), 발신자에 의해 사용된 제공자, 계약이 모바일 디바이스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등)를 수집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어떤 메타데이터(예컨대, 사용가능한 스크린 사이즈에 대하여 중요함을 밸런싱하는 것에 기반함)가 사용자에게 제시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프리젠터(212)는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사용 계약에 의한 전체 잔여 무료 분들의 수, 특정한 제공자와의 잔여 무료 분들의 수, 통신에 관여하는 사용에 대한 잔여 분들의 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의 시스템(300)이 통신 메타데이터의 프리젠테이션을 위하여 상세한 모바일 다바이스(202)와 함께 제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인식하는 평가기(206)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모듈들이 평가기(206)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획득기(302)는 신원(예컨대, 인커밍 호출의 발신자)을 수집하기 위해 평가기(206)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2)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특성화기(304)는 인커밍 통신과 관련되는 신원에 대한 결정이 있는지와 같은 수집된 신원에 대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획득기(302)는 신원(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202)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을 액세스할 수 있고 그리고 특성화기(304)는 신원이 인커밍 발신자의 신원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공급기(208)는 제공자 분류의 제시로 신원(예컨대, 분류기에 의해 결정됨)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기(208)는 인커밍 통신의 통지를 처리할 때 동작한다. 예를 들어, 인커밍 통지가 수신될 수 있고 초기 처리가 실시될 수 있다.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때에, 정보는 사용자에게 개시될 수 있고 그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예컨대, 사용자가 잔여 분들의 수와 관련되는 호출을 수신해야 하는지와 같은) 인커밍 호출에 대한 통지된 결정을 하도록 허용한다. 공급기(208)는 제공자 분류의 개시와 함께 제공자 분류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개시할 수 있다. 예시의 메타데이터는 발신자의 신원, 발신자의 전화 번호, 발신자의 사진, 배터리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제공자 분류와 연관되어 제공자와 통신하도록 관여하기 위한 사용 모델과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계약은 평가될 수 있고 그리고 발신자가 모바일 디바이스(202)의 사용 모델 내에 속하는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 결정의 결과는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공자 분류는 승인된 신원들(예컨대, 발신자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지 않으면, 호출은 사용 플랜의 부분이 아니고 그리하여 네거티브 분류에 있음)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비교기(306)는 매치(match)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신원 리스트에 대하여 신원(예컨대, 획득된 신원)을 비교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공자 분류는 신원이 비교 결과의 이용을 통해 신원 리스트 상에 있음을 결정할 때에 제시될 수 있다. 신원이 리스트 상에 있다면, 표준 프리젠테이션(예컨대, 호출에 대하여 추가적인 비용이 없기 때문에 명칭 및 넘버가 도시됨)이 일어날 수 있다.
신원이 리스트 상에 없다고 결정되면, 검증기(308)는 수집된 신원이 신원 리스트 상에서 파퓰레이션되어야(populated) 함을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퓰레이션은 수집된 신원이 데이터베이스에 부가되어야 하는 포지티브 결정을 할 때 발생한다. 부가기(310)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신원을 갖는 신원 리스트를 파퓰레이트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신원이 사용자 명령을 통한 파퓰레이션을 위하여 수집되고 지정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법의 실시를 통해 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인공 지능 기법들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결정들 및 추론들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여기서 설명하는 다양한 자동화 형태의 구현에 따라 데이터로부터 학습하여 추론을 도출하고 그리고/또는 다수의 저장 유닛 전역으로 정보를 동적으로 저장하는 것과 관련된 결정들을 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예를 들어,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들 및 관련 프로토타입 의존 모델들, 예를 들어, 베이지안 모델 스코어(Bayesian model score) 또는 근사치를 이용하는 구조 탐색에 의해 생성되는 베이지안 네트워크들과 같은 더 일반적인 확률 그래프 모델들, 지원 벡터 머신(SVM)들과 같은 선형 분류기들, "신경망" 방법들로 지칭되는 방법들과 같은 비선형 분류기들, 퍼지 로직 방법들, 및 데이터 융합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들 등)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정리 증명기(theorem provers)나 더욱 경험적인 규칙-기반 전문가 시스템들과 같은 논리적 관계들의 포착을 위한 방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다른(disparate) (제3)자에 의해 설계되는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외부에 플러그 가능한 모듈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의 시스템(400)은 인커밍 통신(예컨대, 텍스트 메시지, 전화 호출, 스트리밍된 비디오 컨텐트 등)과 관련한 서비스 합치 정보의 프리젠테이션을 위하여 제시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204)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되기 위한 텍스트 메시지를 인식(예컨대, 중계 할당)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월 단위로 허용되는 제한된 수의 메시지 제시들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메시지가 뷰잉되어야 한다면 결정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사용 동의를 인식하여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수집기(210)는 메시지가 모바일 디바이스(202)로 중계됨을 결정할 수 있고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된 메타데이터(예컨대, 남아 있는 수 분들, 인커밍 호출의 제공자 등과 같은 사용 계약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모바일 디바이스(202)로부터 원격의 (예컨대, 원격 위치 등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204) 상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프리젠터(212)는 에미터(emitter)(402)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2)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예컨대, 암호화 등을 통해, 무선으로),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한다.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통신과 연관되는 번호(예컨대, 전화 번호) 또는 신원(예컨대,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청구하는데 있어서 그들이 충분한 잔여 분들을 가지고 있는지, 통화를 수신하는 것이 부가 요금을 발생시킬 것인지 등을 사용자들이 알도록 하기 위한 것이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메시지를 열기 이전에, 제 1 통신은 사용자에게 한 달 동안에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잔여 텍스트 메시지가 얼마나 많은지를 알기 위해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것이 제시될 수 있다. 밸런서(404)는 메타데이터(예컨대, 제 1 통신에 긍정하는 방식으로 응답하는 사용자에 대한)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한 재정(fiscal) 트랙잭션을 수행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재정(financial) 거래는 당좌 계좌로부터 합의된 돈을 자동으로 데비팅(debiting)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2) 상에서 발생하는 동작과의 교환연락(correspondence)에 속하는 통신 정보를 위한 예시의 시스템(500)이 제시된다. 수집기(210)는 메타데이터의 최소한의 부분이 모바일 디바이스(202)에 로컬한 데이터베이스(예컨대, 임베디드 스토리지, 모바일 디바이스(202)에 기능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메모리 등)로부터 유래하도록,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2)의 사용과 연관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프리젠터(212)는 제시되어야 할 메타데이터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고 그리고 결정된 일부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번호 또는 신원과 연관되는 사용 분류(예컨대, 제공자 이름),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연관되는 남아있는 통신 시간의 양(예컨대, 사용자가 남아있는 약 400분을 가짐, 사용자가 남아있는 약 400분의 무료의 비-제공자 시간을 가짐),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연관되는 다수의 계약들(예컨대, 플랜은 약 10개의 무료 텍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음), 또는 그것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제시자(502)는 모바일 디바이스(202)를 통해 메타데이터를 제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202)를 통한 메타데이터의 프리젠테이션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504)의 사용을 통해 발생한다. GUI(504)는 메타데이터가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와 계약되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들에서, 사용자는 GUI(504)를 통해 인커밍 호출에 대하여 어떤 메타데이터가 제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프리젠터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단 사용자 계정이 약 100분 이하이면, 사용자는 남은 분들에 대하여 메타데이터로 프리젠테이션 받을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2)에 대한 대표 구성을 강조하는 예시의 시스템(600)이 제시된다. 모바일 디바이스(202)는 두 개의 계약 부분들 - GUI(504) 및 엔트리 패드(602)로 구성될 수 있다. GUI(504)는 문맥상의 상황들에 기반하여 변경되거나 그리고/또는 변화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커밍 호출이 획득될 때, 이름(604), 넘버(606), 제공자(608), 과금 통지(610), 과금 비율(612)에 대한 필드가 있을 수 있다.
사진, 남은 분들, 서비스 플랜 메타데이터 등과 같은, 인커밍 통신 데이터를 위한 대안 필드들이 GUI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필드들은 사용자에 의해 또한 (예컨대, 엔트리 패드(602)로부터의 엔트리를 통해) 맞춤화될 수 있다. 일 구현에 따르면, 다른 필드들 뿐만 아니라, 제공자(608), 변화 통지(610), 과금 비율(612), 또는 그것의 조합은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도록 간주될 수 있다. 엔트리 패드(60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GUI(504)의 부분으로서 구현할 수 있거나, 또는 GUI와는 별개로 기계적 구현이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공자 분류 정보를 공급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론(700)이 제시된다. 702에서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결정(예컨대, 인식)할 수 있다 - 이는 통신과 연관되는 메타데이터를 평가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704에서, 사용자 계약과 같은 사용 모델 정보, 사용자가 가지는 계약 내에 남아 있는 분들의 수, 페널티를 지불하지 않고 얼마나 큰 텍스트 메시지 파일들이 다운로드될 수 있는지 등을 수집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 모델은 706에서 평가될 수 있고 그리고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발생할 수 있다. 제시되어야 한다면, 평가의 결과에 기반하여 제시할 어떤 데이터(예컨대, 사용 모델 데이터)에 대한 결정이 71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식별은 712에서 발생할 수 있고(예컨대, 통신이 유래하는 엔티티의 신원을 결정) 그리고 식별 및 결정된 데이터는 714에서 제시될 수 있다. 더욱이, 714는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는 것, 제공자 분류를 개시하는 것과 함께 제공자 분류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제시하는 것, 제공자 분류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 또는 그것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708이 (예컨대, 사용 모델에 속하는 데이터가)제시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하면, 표준 통지가 716에서 발생할 수 있다(예컨대, 이름 및 번호를 디스플레이).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신원들과 관련한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800)이 개시된다. 여기서 개시되는 양상들은 통신과 관련된 제공자 메타데이터의 제시와 관련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비용 데이터, 남아있는 시간 메타데이터 등을 보기를 원하지 않는 것이 몇몇 개인들에게 충분히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면적(real estate)이 제시되는 제공자 분류로 소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배우자가 발신 정보 없이 전달받기를 원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통신 발신자는 제공자 분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지시(dictate)할 수 있다.
그리하여, 802에서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인식하게 될 수 있다. 통신 제공자의 신원이 확인될 수 있고 그리고 804에서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806에서 액세스될 수 있고 그리고 808에서 데이터베이스 내의 엔트리들에 대하여 비교될 수 있다. 신원이 데이터베이스 상에 보유되는 것으로 결정된다면 808, 810에서 신원이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파퓰레이션되어야 함을 결정하기 위해 검사가 발생할 수 있다. 긍정 결정이 812에서 발생할 수 있고 그리고 파퓰레이션이 발생하는지에 관계없이, 814에서 제공자 분류의 제시가 있을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정보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론(900)이 제시된다. 호출은 902에서 식별될 수 있고 그리고 그녀가 계약(예컨대, 사용 계약)과 관련되는 정보를 보고 싶다면 호출이 902에서 식별될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에게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응답할 수 있고 그리고 904에서 요청에 기반하여 제시가 발생되어야 함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은 일반적(예컨대, 사용 정보의 제시 요청)일 수 있거나 또는 특정적(예컨대, 남아 있는 분들의 수의 제시 요청)일 수 있다. 사용 제시가 없다면, 표준 제시(예컨대, 이름, 사진 등)가 일어날 수 있다.
사용과 관련된 제시가 있어야 한다면, 인커밍 통신과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908이 수행될 수 있다. 수집된 메타데이터는 910에서 평가될 수 있고 그리고 메타데이터의 일부는 912에서 분배를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예컨대, 로컬하게 분배되거나, 원격으로 분배되는 등). 914에서,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재정적인 트랜잭션이 916에서 수행될 수 있다 - 예컨대 904의 기능을 통해 승인된 트랜잭션(예컨대, 정보를 얻기 위하여, 사용자가 요금에 동의하는 경우)
도 7 - 9를 참조하면, 방법론들은 인커밍 통신을 위한 정보 제시와 관련된다. 간략한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방법론은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동안에,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몇몇 동작들이 상이한 순서들로 발생하거나, 그리고/또는 여기서 보여지고 설명되는 것과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발생할 때 방법론들이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방법론들이 상태 다이어그램과 같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다. 더욱이,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방법론을 구현하도록 요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서, 정보가 제시되어야 하는 지 여부, 어떤 메타데이터가 제시되어야 하는 지 등에 대한 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추론하다(infer)" 또는 "추론(inference)"에 대한 용어는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해 캡쳐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관측들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들을 일반적으로 추론하는(reasoning about or inferring)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추론은 특정한 문맥 또는 액션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상태에 관한 확률 분포를 발생할 수 있다. 추론은 가능성, 즉, 데이터 및 이벤트의 고려에 기초한 관심 상태에 관해서 확률 분포의 계산일 수 있다. 추론은 또한 한 세트의 이벤트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보다 높은 레벨의 이벤트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기법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은 이벤트가 순간적으로 상관되는지 아닌지, 그리고 이벤트와 데이터가 하나 또는 여러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로부터 발생하였는지 어떤지 한 세트의 관측된 이벤트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동작들을 구성한다.
예에 따라서, 상기 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론들은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을 선택(예컨대, 정보가 어떻게 포맷팅되어야 하는지, 정보를 어디에 배치되어야 하는지 등)하는 단계와 관계되는 추론을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서, 대상(intended) 어플리케이션, 원하는 전력 소비 등에 기반하여 웨이크업 기간 파라미터와 같은 다수의 물리 프레임들들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하여 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선 예들은 사실상 예시적인 것이며 이루어질 수 있는 추론의 수 또는 이러한 추론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방법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을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0은 무선 통신을 위한 셀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실례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수신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에 대한 통상의 동작들(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 변환 등)을 수행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얻는 수신기(1002)를 포함한다. 수신기(1002)는 예를 들어 MMSE 수신기일 수 있고, 수신된 심벌들을 복조하고 채널 추정을 위해 이들을 프로세서(1006)에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10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6)는 수신기(1002)에 의해 수신된 정보의 분석 및/또는 송신기(1016)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정보의 생성을 제공하는 프로세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10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전송기(1016)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프로세서(1006)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송될 데이터, 수신 데이터, 이용 가능한 채널들에 관련된 정보,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세기에 관련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에 관한 정보, 및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100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08)는 채널 추정 및/또는 이용과 관련된 프로토콜들 및 알고리즘들(예를 들어,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메모리(1008))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 가능 ROM(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한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RAM은 동기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 DRAM(SDRAM), 이중 데이터 레이트 SDRAM(DDR SDRAM), 확장 SDRAM(ESDRAM), 동기링크 DRAM(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RAM(DRRAM)과 같이 많은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해당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1008)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당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프로세서(1002)는 또 평가기(1010) 및/또는 제공자(1012)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평가기(1010)는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인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공자(1012)는 제공자 분류를 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또한 변조기(1014) 및 신호(예를 들어, 기본 CQI 및 차동 CQI)를 예컨대 기지국,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등으로 전송하는 전송기(101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06)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평가기(1010) 및/또는 제공자(1012)는 프로세서(1006) 또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도 11은 셀의 사용을 통해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1100)의 실례이다. 시스템(1100)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104)로부터 다수의 수신 안테나(1106)를 통해 신호(들)를 수신하는 수신기(1110), 및 송신 안테나(1108)를 통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1104)로 전송하는 송신기(1122)를 구비한 기지국(1102)(예를 들어,액세스 포인트, …)을 포함한다. 수신기(1110)는 수신 안테나(11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1112)와 동작 가능하게 연관된다. 복조된 심볼들은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프로세서와 유사할 수 있는 프로세서(1114)에 의해 분석되며, 프로세서는 신호(예를 들어, 파일럿) 세기 및/또는 간섭 세기의 추정과 관련된 정보, 모바일 디바이스(들)(1104)(또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기지국)에 전송될 또는 이로부터 수신될 데이터, 및/또는 여기서 설명한 다양한 동작 및 기능의 수행에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당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116)에 연결된다.
프로세서(1114)는 또한 수집기(1118) 및/또는 제시자(1120)에 연결된다. 수집기(1118)는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제시자(1120)는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전송되는 정보는 변조기(1122)로 제공될 수 있다. 변조기(1122)는 안테나(1124)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들)(1104)로 전송기(1124)에 의한 전송을 위하여 정보를 다중화한다. 프로세서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시됨에도 불구하고, 수집기(1118) 및/또는 제시자(1120)은 프로세서(1114)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미도시)의 부분일 수 있다.
도 12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200)을 나타낸다. 간결성을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1200)은 하나의 기지국(1210) 및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250)를 나타낸다. 그러나 시스템(1200)은 2개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2개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기지국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후술하는 예시적인 기지국(12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2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추가로, 기지국(12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250)는 여기서 설명한 시스템들(도 1 - 도 6, 도 10 - 도 11) 및/또는 방법들(도 6 - 도 9)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기지국(1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212)에서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1214)로 제공된다. 예시에 따라, 각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214)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화,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파일럿 심벌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분할 다중화(T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PSK), M-위상 시프트 키잉(M-PSK), M-직교 진폭 변조(M-QAM) 등)을 기반으로 변조(예를 들어, 심벌 매핑)되어 변조 심벌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230)에 의해 수행 또는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벌들은 TX MIMO 프로세서(1220)에 제공될 수 있고, TX MIMO 프로세서(1220)는(예를 들어, OFDM에 대한) 변조 심벌들을 추가 처리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1220)는 NT개의 변조 심벌 스트림을 NT개의 전송기(TMTR; 1222a-1222t)에 제공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TX MIMO 프로세서(12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벌들 및 심벌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에 빔 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 전송기(1022)는 각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고, 또한 아날로그 신호들을 조절(conditioned)(예를 들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하여 MIMO 채널 상에서 전송하기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그 다음에, 전송기들(1222a 내지 1222t)로부터의 각각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개의 안테나들(1224a 내지 1224t)로부터 전송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250)에서,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1252a-1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 안테나(1252)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각 수신기(RCVR; 1254a-1254r)에 제공된다. 각 수신기(1254)는 각각의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 변환)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해당 "수신"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는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을 기초로 NR개의 수신기(1254)로부터의 NR개의 수신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NT개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는 각각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해당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260)에 의한 처리는 기지국(1210)에서 TX MIMO 프로세서(1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214)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상보적이다.
프로세서(1270)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어떤 프리-코딩(pre-coding) 매트릭스를 사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에 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1238)에 의해 처리되며, 변조기(1280)에 의해 변조되며, 전송기들(1254a 내지 1254r)에 의해 조절되어, 전송기 시스템(1210)으로 전송되며, 여기서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1238)는 또한 데이터 소스(1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한다.
기지국(12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50)로부터의 변조 신호들은 안테나들(1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1222)에 의해 조정되며, 복조기(12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242)에 의해 처리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2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또한, 프로세서(1230)는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빔 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230, 1270)은 각각 기지국(12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250)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1230, 1270)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32,1272)와 관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230, 1270)은 또한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치들을 유도하기 위한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처리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될때, 이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명령문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argument),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콘텐츠를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인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송신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을 이용하여 전달, 발송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에서, 여기서 설명하는 기술들은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프로시저, 함수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되는 경우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각종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커밍 셀룰러 통신과 관련하여 정보 제시를 관리하는 시스템(130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300)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300)은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되며, 기능 블록들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일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시스템(1300)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1302)을 포함한다. 예컨대, 논리 그룹(1302)은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인식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304) 및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30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300)은 전기 컴포넌트들(1304 및 1306)과 연관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3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8)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304, 1306) 중 하나 이상은 메모리(1308)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정보 제품을 관리하는 시스템(140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1400)은 모바일 디바이스 내부에 상주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4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400)은 순방향 링크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1402)을 포함한다. 논리 그룹(1402)은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논리 그룹(1402)은 수집된 메타데이터(1406)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400)은 전기 컴포넌트들(1404 및 1406)과 연관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408)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8)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404, 1406) 중 하나 이상은 메모리(1408)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범용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콘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장치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들 및 상기 기술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의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또한, ASIC은 사용자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기계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 매체 상의 코드들의 세트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상주할 수 있으며, 이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product)으로 통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정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하거나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 또는 특정-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정-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하게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성한다. 위의 것들의 결합은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것들은 개시된 발명의 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모든 착안가능한 조합을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많은 추가적인 조합들 및 치환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이러한 변경들,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용어 "포함하다(include)"가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범위까지, 이러한 용어는 용어 "포함하다(comprising)"가 청구항에서 전환 단어(transitional word)로서 사용될 때 "포함하는(comprising)"으로서 해석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함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정 목적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하거나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 또는 특정-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정-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하게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성한다. 위의 것들의 결합은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제시된 내용은 예시적인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을 논의하였으며,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이 단수 형태로 설명되거나 청구될 수 있더라도, 단수 형태에 대한 한정이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는한 복수 형태가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임의의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르게 기술되지 않는한, 임의의 다른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0)

  1.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disclose)를 위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가능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가능한 평가기(evaluator)에 의해 인커밍(incoming) 통신의 제공자 분류(provider classification)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공자 분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foreign)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charge)이 없음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charge rate) 또는 남아있는 분들(minutes)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분류의 제시는 상기 인커밍 통신의 통지를 처리할 때에 발생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분류의 제시와 함께 상기 제공자 분류에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제공자 분류와 관련되는 제공자와의 통신에 관여하는 사용 모델과 관련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분류의 제시는 상기 제공자 분류가 동일(same) 제공자, 관련(associated) 제공자, 또는 외부 제공자인 것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커밍 통신과 관련되는 신원(identity)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자 분류의 제시와 함께 상기 신원을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을 신원 리스트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는 상기 신원이 상기 비교의 결과의 이용을 통해 상기 신원 리스트 상에 있지 않음을 결정하는 때에 제시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신원을 갖는 상기 신원 리스트를 파퓰레이팅하는 (populating)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신원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신원이 상기 신원 리스트 상에 파퓰레이팅 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퓰레이팅은 상기 수집된 신원이 파퓰레이팅 되어야 한다는 긍정(positive) 결정을 할 때에 발생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은 사용자 지시를 통해 수집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법의 실행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메타데이터 제시를 위한 동작 방법.
  12. 장치로서,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결정하는 평가기 ― 상기 제공자 분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이 없음을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 또는 남아있는 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는 공급기(supplier)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상기 인커밍 통신의 통지를 처리할 때에 동작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상기 제공자 분류의 제시와 함께 상기 제공자 분류에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제시하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제공자 분류와 관련한 제공자와의 통신에 관여하는 사용 모델과 관련되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상기 제공자 분류가 동일 제공자, 관련 제공자, 또는 외부 제공자인 것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의 전달을 통하여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는,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커밍 통신과 관련되는 신원을 결정하는 특성화기(characteriz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기는 상기 제공자 분류의 제시와 함께 상기 신원을 제시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을 신원 리스트와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원이 상기 비교의 결과의 이용을 통해 상기 신원 리스트 상에 있지 않음을 결정하는 때에 상기 제공자 분류가 제시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신원을 갖는 상기 신원 리스트를 파퓰레이팅하는 부가기(adder)를 더 포함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신원을 수집하는 획득기; 및
    상기 수집된 신원이 상기 신원 리스트 상에서 파퓰레이팅 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검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퓰레이팅은 상기 수집된 신원이 파퓰레이팅 되어야 한다는 긍정 결정을 할 때에 발생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은 사용자 지시를 통해 수집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인공 지능 기법의 실행을 통해 이루어지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는 공급기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3. 통신 메타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모듈 ― 상기 제공자 분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이 없음을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 또는 남아있는 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메타데이터를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24.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세트 ― 상기 제공자 분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이 없음을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 또는 남아있는 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는,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공자 분류를 제시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5. 장치로서,
    인커밍 통신의 제공자 분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공자 분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이 없음을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 또는 남아있는 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6. 통신 조정(regulation)을 위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엔티티(entity)에 의해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공자 분류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엔티티에 의해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이 없음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 또는 남아있는 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상기 통신과 관련되는 신원 또는 수(number)를 포함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통해 발생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로컬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떨어진(remote)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32.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사용 계약의 전체 잔여 무료 분(free minute)들의 수, 특정한 제공자와의 잔여 무료 분들의 수, 통신에 관여하는 사용을 위한 잔여 분들의 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33.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재정 트랜잭션(fiscal transac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34.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수(number) 또는 신원과 관련되는 사용 분류를 포함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35.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하여 남아있는 통신 시간의 양을 포함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36.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하여 남아있는 관여(engagement)들의 수를 포함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37. 장치로서,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기 ― 상기 메타데이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공자 분류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이 없음을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 또는 남아있는 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는 프리젠터(presenter)를 포함하는, 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상기 통신과 관련되는 수(number) 또는 신원을 포함하는, 장치.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로컬 제시자(local discloser)를 포함하는, 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상기 메타데이터의 제공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통해 발생하는, 장치.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로컬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되는, 장치.
  42.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상기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에미터(emitter)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되는, 장치.
  43. 제 37항에 있어서,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사용 계약의 전체 잔여 무료 분들의 수, 특정한 제공자와의 잔여 무료 분들의 수, 통신에 관여하는 사용을 위한 잔여 분들의 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
  44.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재정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밸런서(balancer)를 더 포함하는, 장치.
  45. 제 37항에 있어서,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수 또는 신원과 관련되는 사용 분류를 포함하는, 장치.
  46. 제 37항에 있어서,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하여 남아있는 통신 시간의 양을 포함하는, 장치.
  47. 제 37항에 있어서,
    제시된 메타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하여 남아있는 관여들의 수를 포함하는, 장치.
  48. 통신 조정을 위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제 1 모듈 ― 상기 메타데이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공자 분류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이 없음을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 또는 남아있는 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기 위한 제 2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조정을 위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49.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인커밍 통신과 관련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 ― 상기 메타데이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공자 분류를 포함함 ― ;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이 없음을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 또는 남아있는 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0. 장치로서,
    인커밍 통신과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메타데이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자인 동일 제공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공자와 상이한 관련 제공자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동일 제공자와 독립적인 외부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공자 분류를 포함함 ― ; 및
    상기 수집된 메타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동일 제공자 또는 상기 관련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이 없음을 제시하고, 상기 제공자 분류가 상기 외부 제공자라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인커밍 통신에 대한 요금레이트 또는 남아있는 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17014838A 2008-11-26 2009-11-25 통신 정보의 제시 KR101334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24,660 2008-11-26
US12/324,660 US8849262B2 (en) 2008-11-26 2008-11-26 Disclosure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PCT/US2009/065968 WO2010062980A2 (en) 2008-11-26 2009-11-25 Disclosure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564A KR20110091564A (ko) 2011-08-11
KR101334225B1 true KR101334225B1 (ko) 2013-11-28

Family

ID=4212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838A KR101334225B1 (ko) 2008-11-26 2009-11-25 통신 정보의 제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49262B2 (ko)
EP (1) EP2368356A2 (ko)
JP (2) JP5453447B2 (ko)
KR (1) KR101334225B1 (ko)
CN (1) CN102224726B (ko)
TW (1) TW201042992A (ko)
WO (1) WO20100629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2777B2 (en) 2009-03-02 2014-09-09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ng network policies based on device service processor configuration
US8589541B2 (en) 2009-01-28 2013-11-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assisted services for protecting network capacity
US10237757B2 (en) 2009-01-28 2019-03-19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US9706061B2 (en) 2009-01-28 2017-07-1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design center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11985155B2 (en) 2009-01-28 2024-05-14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957201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LLC Service selection set published to device agent with on-device service selection
US9980146B2 (en) 2009-01-28 2018-05-22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10798252B2 (en) * 2009-01-28 2020-10-06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US10326800B2 (en) 2009-01-28 2019-06-18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9565707B2 (en) 2009-01-28 2017-02-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wireless data attribution to multiple personas
US20100250347A1 (en) * 2009-03-31 2010-09-3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transport structure in a social network environment
US8503424B2 (en) 2010-06-23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operator information
US8406761B2 (en) * 2011-07-20 2013-03-26 Cellco Partnership Initializing and provisioning user equipment having multi-network connectivity
US8995976B2 (en) * 2012-11-14 2015-03-31 Intel Corporation Embedding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in a wireless ca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816A (ko) * 2005-09-05 2007-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업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289A (en) * 1992-09-17 1994-09-27 Logsdon William K Caller ID telephone security device
US6259780B1 (en) * 1998-04-13 2001-07-10 Picazo Communications Telephone system for formatting caller ID information into a form useable by an application program and exporting the caller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program
US6208719B1 (en) * 1998-06-09 2001-03-27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having automatic network adaptations and silent mode operations
JP4183898B2 (ja) 2000-11-09 2008-11-1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移動体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音声入出力装置
WO2002047366A2 (en) 2000-12-07 2002-06-13 Intel Corporation Improved caller identification
US8416925B2 (en) * 2005-06-29 2013-04-09 Ultratec, Inc. Device independent text captioned telephone service
GB0122360D0 (en) * 2001-09-15 2001-11-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 telephone call handling profile and handling a call using the same
JP3954834B2 (ja) * 2001-10-30 2007-08-08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機器
JP2004072165A (ja) 2002-08-01 2004-03-04 Kyocera Corp 無線通信端末
US7027813B2 (en) 2002-08-23 2006-04-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determination in a mobile phone
US20040052341A1 (en) * 2002-09-18 2004-03-18 I-Hau Yeh System for automatic notification of caller ID, e-mail identification and short message
KR20040034865A (ko) * 2002-10-17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신측 사용자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US6941134B2 (en) * 2002-12-19 2005-09-06 Cingular Wireless Ii, Llc Automated device behavior management based on preset preferences
US20040151287A1 (en) * 2003-01-30 2004-08-05 Ilja Bedner Caller identification-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4236214A (ja) 2003-01-31 2004-08-19 Ricoh Co Ltd 通信端末装置
ATE350875T1 (de) * 2003-02-13 2007-01-15 Research In Motion Ltd Manuelle netzwerkauswahl für mobile stationen
JP2005012432A (ja) 2003-06-18 2005-01-13 Sharp Corp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の制御プログラム
JP4594032B2 (ja) 2004-10-22 2010-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発信者情報表示方法および電話機
US7206611B2 (en) * 2005-04-13 2007-04-17 Cingular Wireless Ii, Llc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alerting icon
US7263346B2 (en) * 2005-05-10 2007-08-28 Sbc Knowledge Ventures, L.P.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mobile users to manage cells
US8385915B2 (en) * 2005-07-15 2013-02-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rvice provider identifier
US20070111714A1 (en) * 2005-11-14 2007-05-1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home network provider of incoming wireless calls
US20070135128A1 (en) * 2005-12-14 2007-06-1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network identification by a mobile subscriber unit
US7668507B2 (en) * 2006-06-15 2010-02-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hort range connectivity usability by using contact information
CN101491065B (zh) * 2006-07-12 2012-12-05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电话装置以及用于其的呼叫接收历史生成方法
US20080059642A1 (en) * 2006-08-16 2008-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network indicators
DE102006040719A1 (de) 2006-08-30 2008-03-06 Axalto Gmbh Verfahren, Server und Vorrichtung zum Angeben des Dienstanbieters, zu dem die Telefonnummer eines Telefonbucheintrags gehört, auf der Vorrichtung
CN101155365A (zh) 2006-09-26 2008-04-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模手机应用的设计方法
US8886174B2 (en) * 2006-10-31 2014-11-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provider awareness
US8045957B2 (en) * 2007-01-25 2011-10-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program product to indicate a charge for a call
US7991424B2 (en) * 2008-02-25 2011-08-02 Alcatel-Lucent Usa Inc. Dynamic generation of group lists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ing tags
JP2010034928A (ja) * 2008-07-30 2010-02-12 Kyocera Corp 携帯電話端末
US8503424B2 (en) * 2010-06-23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operator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816A (ko) * 2005-09-05 2007-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업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8356A2 (en) 2011-09-28
TW201042992A (en) 2010-12-01
KR20110091564A (ko) 2011-08-11
CN102224726B (zh) 2015-03-11
WO2010062980A3 (en) 2010-07-15
WO2010062980A2 (en) 2010-06-03
JP2012510240A (ja) 2012-04-26
JP5453447B2 (ja) 2014-03-26
JP2014060767A (ja) 2014-04-03
US20100130185A1 (en) 2010-05-27
CN102224726A (zh) 2011-10-19
US8849262B2 (en)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225B1 (ko) 통신 정보의 제시
US10548179B2 (en) Management of multiple radio access bearer se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282421B2 (en) Management of network technology selection and display in multi-technology wireless environments
US9215307B2 (en) Device network technology selection and display in multi-technology wireless environments
US9271208B2 (en) Dynamic carrier switching
KR20110122685A (ko) 증명된 디바이스―기반 과금
US2012025058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connectivity
US9699325B1 (en) Mobile peer-to-peer data balance transfer
CN104067588A (zh) 用于业务检测网络控制的系统和方法
US852691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sts associated with sending communications
EP2299667B1 (fr) Controle parental de l'utilisation d'un terminal mobile
WO2010047988A1 (en) Management of network technology selection and display in multi-technology wireless environments
CN109792750A (zh) 载波配置方法及装置
CN112400336A (zh) 一种传输配置方法、传输配置装置及存储介质
WO201106044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sts associated with sending communications
JP201550930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内向きの通信の受信者による選択的な課金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