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843B1 -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843B1
KR101332843B1 KR1020120131037A KR20120131037A KR101332843B1 KR 101332843 B1 KR101332843 B1 KR 101332843B1 KR 1020120131037 A KR1020120131037 A KR 1020120131037A KR 20120131037 A KR20120131037 A KR 20120131037A KR 101332843 B1 KR101332843 B1 KR 10133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shield member
forming
sensor body
fit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식
박종민
오영석
이희성
최성진
김대원
Original Assignee
태성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7Constructional details independent of the type of device us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은 커넥터 터미널들을 인서트해서 센서 바디를 사출 성형하되, 정면 부위가 개구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배면 부위로 관통된 끼움 홀이 형성되며 끼움 홀의 주변으로부터 수용 공간으로 돌출된 격벽과 격벽의 주변에 배치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커넥터 터미널들이 격벽으로부터 어느 한쪽 옆으로 이격되어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형태로 센서 바디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클램핑부로부터 연장된 연장 바를 구비하고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포스트 터미널을 마련해서, 연장 바를 끼움 홀에 끼워서 인출시키는 단계; 기판 베이스에 홀 소자와 홀 소자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홀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 단자들을 구비한 회로기판을 마련해서, 기판 베이스를 수용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홀 소자를 격벽의 주변에 배치하고 접속 단자들을 커넥터 터미널들과 접속시키는 단계; 실드 부재를 마련해서, 격벽 둘레를 감싼 상태로 가이드부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단계; 격벽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제외한 수용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해서 경화시켜 충전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그라운드 케이블을 마련해서, 끼움 홀로부터 인출된 연장 바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Method of manufacturing current sensor for vehicle and current sensor for vehicle thereby}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각종 전기장치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차량용 전류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전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필요하므로, 차량에는 전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와 발전기가 구비되어 있다. 차량이 운행되기 전에는 전기장치에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며, 차량이 운행되기 시작하면 발전기에 의해 생성된 전기가 전기장치에 공급된다.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됨에 따라 많은 자동화 장치가 부착되고 있으며, 자동화 장치의 대부분은 전기에 의해 구동된다. 자동화 장치의 구동을 위해 더 많은 전기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를 보조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더욱 많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시동을 걸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기마저 소모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더 큰 용량의 배터리와 발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에 부착된 자동화 장치나 부가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들 방안의 대부분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전류센서에 의해 측정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이러한 전류센서로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가 주로 이용된다. 홀 효과란 자기장이 전류가 흐르는 도체를 쇄교할 때 그 도체의 양단에 전위차가 생기는 물리 현상을 가리킨다.
홀 센서는 마그네틱 코어와 홀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가 있다. 이 경우, 마그네틱 코어는 고리형으로 이루어지고 일부분이 절단되어 에어 갭(air gap)을 갖는다. 홀 소자는 에어 갭에 배치된 상태로 마그네틱 코어와 함께 센서 바디에 설치된다. 이러한 홀 센서의 홀 소자를 전류가 흐르는 전도부재 주위에 설치하면, 전류에 의해 마그네틱 코어에 자속이 발생하고, 홀 소자는 마그네틱 코어의 자속에 대응하는 홀 효과로 인해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전압을 전류로 환산하면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홀 센서는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센서 바디가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되면, 마그네틱 코어가 변형되면서 에어 갭이 변화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류 검출의 정확도 및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 코어는 고가일 뿐 아니라, 크기와 중량이 큰 것이 대부분인바 홀 센서의 크기와 중량을 줄이는데 한계 요인이 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0592978호(2006.06.28,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전류 검출의 정확도 및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소형화 또는 경량화에 유리한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은, 커넥터 터미널들을 인서트해서 센서 바디를 사출 성형하되, 정면 부위가 개구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배면 부위로 관통된 끼움 홀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홀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으로 돌출된 격벽과 상기 격벽의 주변에 배치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 터미널들이 상기 격벽으로부터 어느 한쪽 옆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센서 바디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클램핑부로부터 연장된 연장 바를 구비하고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포스트 터미널을 마련해서, 상기 연장 바를 상기 끼움 홀에 끼워서 인출시키는 단계; 기판 베이스에 홀 소자와 상기 홀 소자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홀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 단자들을 구비한 회로기판을 마련해서, 상기 기판 베이스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홀 소자를 상기 격벽의 주변에 배치하고 상기 접속 단자들을 상기 커넥터 터미널들과 접속시키는 단계; 실드 부재를 마련해서, 상기 격벽과 홀 소자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격벽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제외한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해서 경화시켜 충전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그라운드 케이블을 마련해서, 상기 끼움 홀로부터 인출된 상기 연장 바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류센서는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틱 코어를 포함하지 않고 전류를 안정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실드 부재를 포함하여 차량용 전류센서를 구성하므로, 종래와 달리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마그네틱 코어의 에어 갭 변화로 인한 전류 검출의 정확도 및 감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전류센서는 저가로 소형화 또는 경량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버스 바에 상응하는 연장 바가 클램핑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연장 바와 클램핑부의 체결을 위한 기구가 필요 없게 되고 공정 수가 줄어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장 바가 클램핑부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전류센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센서 바디에 조립된 회로기판, 실드 부재, 충전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센서 바디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센서 바디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도 2에 있어서, 포스트 터미널에 그라운드 케이블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전류센서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센서 바디에 조립된 회로기판, 실드 부재, 충전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센서 바디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9에 있어서, 센서 바디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전류센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센서 바디에 조립된 회로기판, 실드 부재, 충전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센서 바디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센서 바디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 포스트 터미널에 그라운드 케이블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전류센서(100)는 센서 바디(110)와, 포스트 터미널(120)과, 회로기판(130)과, 실드 부재(shield member, 140)와, 충전부(150), 및 그라운드 케이블(160)을 포함한다.
센서 바디(110)를 다음과 같이 마련한다. 커넥터 터미널(101)들을 인서트해서 센서 바디(110)를 사출 성형한다. 커넥터 터미널(101)들은 도전성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터미널(101)들은 후술할 회로기판(1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외부의 하니스(harness, 미도시)에 의해 차량의 제어부(ECU)로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센서 바디(1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센서 바디(110)는 정면 부위가 개구된 수용 공간(111)을 가지며 배면 부위로 관통된 끼움 홀(112)이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센서 바디(110)는 끼움 홀(112)의 주변으로부터 수용 공간으로 돌출된 격벽(113)과 격벽(113)의 주변에 배치된 가이드부(114)가 구비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센서 바디(110)는 커넥터 터미널(101)들이 격벽(113)으로부터 어느 한쪽 옆으로 이격되어 수용 공간(111)에 배치되는 형태로 사출 성형된다. 여기서, 커넥터 터미널(101)들은 각 전후 부위가 노출될 수 있게 센서 바디(1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커넥터 터미널(101)들이 외부의 하니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센서 바디(110)의 사출 성형시 커넥터부(115)가 함께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커넥터부(115)는 커넥터 터미널(101)들과 대응되는 센서 바디(110)의 배면 부위로부터 중공 관의 형태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포스트 터미널(120)을 다음과 같이 마련한다. 포스트 터미널(120)은 클램핑부(121)와 연장 바(122)를 구비하도록 제조된다. 클램핑부(121)는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에 고정되어 연장 바(122)에 전류를 유도한다. 클램핑부(121)는 도전성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클램핑부(121)는 한쪽이 개구되고 배터리의 마이너스 단자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핑부(121)의 개구된 부위가 볼트(123)와 너트(124)를 포함한 고정기구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클램핑부(121)는 마이너스 단자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 바(122)는 클랭핑부(121)와 동일한 소재로 클램핑부(121)로부터 연장된다. 연장 바(122)는 종래의 버스 바(bus bar)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버스 바가 클램핑부에 체결기구에 의해 체결되는 형태와 달리, 연장 바(122)는 클램핑부(121)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체결기구가 필요 없게 되고 공정 수가 줄어들 수 있을 뿐 아니라, 클램핑부(121)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연장 바(122)는 격벽(113) 안쪽에 틈새 없이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포스트 터미널(120)을 마련한 후, 연장 바(122)를 센서 바디(110)의 끼움 홀(112)에 끼워서 인출시킨다. 이때, 연장 바(122)를 센서 바디(110)의 개구된 정면 부위로부터 격벽(113) 안쪽으로 삽입시켜 끼움 홀(112)을 통해 인출시킨다.
회로기판(130)을 다음과 같이 마련한다. 회로기판(130)은 기판 베이스(131)와 홀 소자(132) 및 접속 단자(133)들을 갖도록 구성된다. 기판 베이스(131)는 센서 바디(1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홀 소자(132)는 기판 베이스(131)에 장착된다. 홀 소자(132)는 전류가 흐르는 연장 바(122)의 주위에 배치되어 홀 효과로 인한 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전류가 측정될 수 있게 한다. 접속 단자(133)들은 기판 베이스(131)에 홀 소자(13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홀 소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회로기판(130)을 마련한 후, 기판 베이스(131)를 수용 공간(111)에 수용한 상태에서 홀 소자(132)를 격벽(113)의 주변에 배치하고 접속 단자(133)들을 커넥터 터미널(101)들과 접속시킨다.
실드 부재(140)를 마련해서, 실드 부재(140)를 격벽(113)과 홀 소자(132)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가이드부(114)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실드 부재(140)는 격벽(113) 안쪽에 끼워지는 연장 바(122)의 둘레와 홀 소자(132)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홀 소자(132)에 가해지는 외란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전류 검출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 부재(140)를 다음과 같이 마련할 수 있다. 실드 부재(14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실드 부재(140)는 상측 부위가 절단되고 격벽(113)과 홀 소자(132)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 즉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센서 바디(11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4)는 격벽의 상측 좌우 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들(114a)(114b)을 포함하는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실드 부재(140)는 절단된 양쪽 단부(140a)(140b)가 가이드들(114a)(114b)의 각 상단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130)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홀 소자(132)가 가이드들(114a)(114b) 사이에 배치되고, 실드 부재(140)의 절단된 양쪽 단부(114a)(114b) 중 커넥터 터미널(101)들에 가까운 단부(114a)를 통과시킬 수 있는 형태로 기판 베이스(13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홀 소자(132)가 가이드들(114a)(114b)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접속 단자(133)들은 커넥터 터미널(101)들에 접속될 수 있게 배치된다. 그리고, 기판 베이스(131)는 실드 부재(140)의 한쪽 단부(140a)에 대응되는 부위가 절개된 홈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센서 바디(110)에 실드 부재(140)를 조립한 후, 격벽(113)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제외한 수용 공간(111)에 충전재를 주입해서 경화시켜 충전부(150)를 형성한다. 충전부(150)에 의해 회로기판(130)과 실드 부재(140)는 센서 바디(110)의 수용 공간(111)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충전재로는 우레탄, 에폭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충전재는 격벽(113)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제외한 수용 공간(111)에 충분히 채워질 수 있다.
이후, 끼움 홀(112)로부터 인출된 연장 바(122)의 단부에 그라운드 케이블(160)을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연장 바(122)의 단부에 체결 홀을 형성한다. 그라운드 케이블(160)의 한쪽 단부에는 어태치먼트 터미널(161)을 설치한다. 어태치먼트 터미널(161)은 연장 바(122)의 체결 홀에 상응하는 크기의 체결 홀을 갖는다. 어태치먼트 터미널(161)은 옆 가장자리에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161a)를 갖고 앞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161b)를 갖도록 제조된다. 브래킷(162)은 판 부재를 직각으로 굽힌 형태로 제조된다. 브래킷(162)의 수평 부위에는 연장 바의 체결 홀에 상응하는 크기의 체결 홀을 형성한다. 센서 바디(11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센서 바디(110)의 배면 부위에 브래킷(162)의 수직 부위의 양 옆을 고정하는 고정 돌기(116)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어태치먼트 터미널(161)을 연장 바(122)에 올려 놓으면서 어태치먼트 터미널(161)의 체결 홀을 연장 바(122)의 체결 홀에 맞춘다. 이때, 어태치먼트 터미널(161)의 걸림 돌기(161a)가 연장 바(122)의 측면에 걸리게 되고, 지지 돌기(161b)가 센서 바디(110)에 맞닿게 된다. 이어서, 브래킷(162)의 수직 부위를 고정 돌기(116)들 사이로 삽입시킨 상태로 연장 바(122)에 올려놓아 브래킷(162)의 체결 홀을 어태치먼트 터미널(161)의 체결 홀에 맞춘다. 이어서, 볼트(163)를 체결 홀들에 끼운 후, 너트(164)와 결합시키게 되면, 그라운드 케이블(160)은 연장 바(12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브래킷(162)과 고정 돌기(116)들이 생략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전류센서(100)는 마그네틱 코어를 포함하지 않고 실드 부재(140)를 포함하여 전류를 안정되게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종래와 달리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마그네틱 코어의 에어 갭 변화로 인한 전류 검출의 정확도 및 감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전류센서(100)는 저가로 소형화 또는 경량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전류센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센서 바디에 조립된 회로기판, 실드 부재, 충전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센서 바디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있어서, 센서 바디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류센서(200)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실드 부재(240)를 다음과 같이 마련할 수 있다. 실드 부재(240)는 커넥터 터미널(101)들에 가까운 부위가 절단되고 격벽(113)과 홀 소자(132)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센서 바디(21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14)는 격벽(113)의 상하측 좌우 변에 배치된 제1 가이드들(214a)(214b)과 격벽(113)의 상하 변 중앙에 배치된 제2 가이드들(214c)을 포함하는 형태로 격벽(113)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실드 부재(240)는 안쪽 면이 제1 가이드들(214a)(214b)와 제2 가이드(214c)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실드 부재(240)는 절단된 양쪽 단부(240a)(240b)가 제1 가이드들(214a)(214b) 중 커넥터 터미널(101)들에 가까운 제1 가이드(214a)들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성형될 수 있다. 실드 부재(240)는 격벽(112) 안쪽에 끼워지는 연장 바(122)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홀 소자(132)에 가해지는 외란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회로기판(230)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홀 소자(132)가 실드 부재(240)의 절단된 부위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형태로 기판 베이스(23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홀 소자(132)가 실드 부재(240)에 인접해 배치된 상태에서, 접속 단자(133)들은 커넥터 터미널(101)들에 접속될 수 있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센서 바디(210)와, 회로기판(230) 및 실드 부재(240)를 마련해서 조립한 후, 격벽(113)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제외한 센서 바디(210)의 수용 공간(211)에 충전재를 주입해서 경화시켜 충전부(25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210..센서 바디 112..끼움 홀
114,214..가이드부 120..포스트 터미널
122..연장 바 130,230..회로기판
132..홀 소자 140,240..실드 부재
150,250..충전부 160,260..그라운드 케이블

Claims (4)

  1. 커넥터 터미널들을 인서트해서 센서 바디를 사출 성형하되, 정면 부위가 개구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배면 부위로 관통된 끼움 홀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홀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으로 돌출된 격벽과 상기 격벽의 주변에 배치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 터미널들이 상기 격벽으로부터 어느 한쪽 옆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센서 바디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클램핑부로부터 연장된 연장 바를 구비하고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 포스트 터미널을 마련해서, 상기 연장 바를 상기 끼움 홀에 끼워서 인출시키는 단계;
    기판 베이스에 홀 소자와 상기 홀 소자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홀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 단자들을 구비한 회로기판을 마련해서, 상기 기판 베이스를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홀 소자를 상기 격벽의 주변에 배치하고 상기 접속 단자들을 상기 커넥터 터미널들과 접속시키는 단계;
    실드 부재를 마련해서, 상기 격벽 둘레를 감싼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격벽에 의해 한정된 공간을 제외한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재를 주입해서 경화시켜 충전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그라운드 케이블을 마련해서, 상기 끼움 홀로부터 인출된 상기 연장 바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바디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격벽의 상측 좌우 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실드 부재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측 부위가 절단되고 상기 격벽과 홀 소자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하되 절단된 양쪽 단부가 상기 가이드들의 각 상단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실드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홀 소자가 상기 가이드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드 부재의 절단된 양쪽 단부 중 상기 커넥터 터미널들에 가까운 단부를 통과시킬 수 있는 형태로 상기 기판 베이스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바디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격벽의 상하측 좌우 변에 배치된 제1 가이드들과 상기 격벽의 상하 변 중앙에 배치된 제2 가이드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격벽 둘레에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실드 부재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커넥터 터미널에 가까운 부위가 절단되고 상기 격벽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하되 절단된 양쪽 단부가 상기 제1 가이드들 중 상기 커넥터 터미널들에 가까운 제1 가이드들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실드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홀 소자가 상기 실드 부재의 절단된 부위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형태로 상기 기판 베이스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전류센서.
KR1020120131037A 2012-11-19 2012-11-19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 KR10133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37A KR101332843B1 (ko) 2012-11-19 2012-11-19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37A KR101332843B1 (ko) 2012-11-19 2012-11-19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843B1 true KR101332843B1 (ko) 2013-11-27

Family

ID=49858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037A KR101332843B1 (ko) 2012-11-19 2012-11-19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76590A1 (en) * 2015-12-02 2017-06-07 Alps Electric Co., Ltd. Current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054A (ja) 2000-11-01 2002-05-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100928563B1 (ko) 2009-04-08 2009-11-25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전류 검출장치
JP2010243440A (ja) 2009-04-09 2010-10-28 Yazaki Corp 電流検出装置の組付け構造
KR20100115947A (ko) * 2009-04-21 2010-10-2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054A (ja) 2000-11-01 2002-05-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100928563B1 (ko) 2009-04-08 2009-11-25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전류 검출장치
JP2010243440A (ja) 2009-04-09 2010-10-28 Yazaki Corp 電流検出装置の組付け構造
KR20100115947A (ko) * 2009-04-21 2010-10-2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76590A1 (en) * 2015-12-02 2017-06-07 Alps Electric Co., Ltd. Current sensor
JP2017102024A (ja) * 2015-12-02 2017-06-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流セン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6165B2 (en) Current sensor
EP2487736B1 (en) Batteries for power tools and methods of mounting battery terminals to battery housings
US9881730B2 (en) Reactor
US8237435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current detection apparatus
JP5193622B2 (ja) 電流センサ一体型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US7316576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9086440B2 (en) Current sensor
KR101448936B1 (ko) 전류센서용 션트 저항 모듈과 이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US8854036B2 (en) Current detecting apparatus
KR100897229B1 (ko) 홀센서를 이용한 전류측정 장치
KR101413484B1 (ko) 차량용 비접촉식 2채널 전류센서
JP2010287386A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101374381B1 (ko) 차량용 전류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033051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quid-surface detection device
KR101332843B1 (ko)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
CN110268606B (zh) 电机
WO201909274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5081896A (ja) 水没検出装置及び電池ユニット
KR101692632B1 (ko) 자동차 배터리용 전류 센서 박스
KR101332845B1 (ko)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
KR101413483B1 (ko) 차량용 비접촉식 2채널 전류센서
KR101329286B1 (ko) 배터리 전류 측정 장치
KR101332844B1 (ko) 차량용 전류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전류센서
KR20160124332A (ko) 자성코어 및 홀 센서 집적회로가 일체로 모듈화된 전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배터리용 전류 센서 박스
KR101742485B1 (ko) 전류센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