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595B1 - 엘리베이터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595B1
KR101332595B1 KR1020067008892A KR20067008892A KR101332595B1 KR 101332595 B1 KR101332595 B1 KR 101332595B1 KR 1020067008892 A KR1020067008892 A KR 1020067008892A KR 20067008892 A KR20067008892 A KR 20067008892A KR 101332595 B1 KR101332595 B1 KR 10133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pulleys
car
di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941A (ko
Inventor
요르마 무스탈라티
에스코 아울란코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031664A external-priority patent/FI119769B/fi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1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호이스팅 로프가 아래로 뻗어나가기 시작하는 제1 세트의 전환 풀리 및 호이스팅 로프가 위로 뻗어나가기 시작하는 제2 세트의 전환 풀리가 장착되는 카 프레임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제1 세트의 전환 풀리로부터 뻗어나가는 로프 부분의 로프 인장력이 제2 세트의 전환 풀리로부터 뻗어나가는 로프 부분의 로프 인장력보다 특정비 만큼 작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세트의 전환 풀리는 제2 세트의 전환 풀리보다 카 프레임으로부터 더 큰 평균 거리를 두고 위치된다. 하나의 가능한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카 프레임으로부터의 상향 전환 풀리의 거리는 대응하는 하향 전환 풀리의 카 프레임으로부터의 거리보다 특정비 만큼 작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Figure 112006032128781-pct00001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샤프트, 카 프레임, 전환 풀리, 호이스팅 로프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및 장치{ELEVATOR AND ARRANGEMEN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엘리베이터 및 청구항 4의 전제부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개발 작업에 있어서의 목표들 중 하나는 건물 공간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활용을 성취하는 것이다. 근년에, 이 개발 작업은 무엇보다 기계실이 없는 다양한 엘리베이터 해법을 창안하였다. 이러한 해법들을 적용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 건물 내의 기계실을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없앨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공간 활용과 관련하여 매우 효율적이다. 이러한 기본적으로는 양호한 엘리베이터 해법에 있어서는, 호이스팅 작용 장치부의 공간 및 배치가 엘리베이터 레이아웃 해법에 있어서의 선택의 자유도를 제한하게 된다. 한가지 주요한 제한 요인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요구되는 카운터웨이트 및 공간의 배치에 있다. 요즘은 거의 설치되고 있지 않는 드럼 구동식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팅 기계가 무겁고 복잡하며 큰 동력 및/또는 토크를 요구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카운터웨이트가 없는 종래기술의 엘리베이터는 실험적인 것에 머물러 있으며 알려진 적합한 해법이 없는 상태이다. 아직까지는 카운터웨이트가 없는 엘리베이터를 만든다는 것은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합리적이지 않다. 이와 같은 한 가지 해법이 WO9806655호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의 국제특허출원 PI03/00818호는 종래기술의 해법과 다르고 호이스팅 로프에 엘리베이터 카를 현가하기 위해 큰 현가비를 사용하는, 카운터웨이트가 없는 가능성 있는 엘리베이터 해법을 개시하고 있다. 카운터웨이트 없이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로부터 아래로 뻗어나가는 호이스팅 로프들 중의 다수의 로프 부분 및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로부터 위로 뻗어나가는 로프 부분을 가지고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창안하는 것은 로프 레이아웃과 엘리베이터 카의 밸런스와 관련하여 하나의 도전적인 작업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다음의 목적들을 성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종전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건물 내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의 공간 활용도를 성취하도록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필요한 경우 엘리베이터가 상대적으로 협소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설치되는 것을 허용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가 트랙션 시브 상에서 우수한 유지력/파지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를 성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카운터웨이트가 없고 엘리베이터의 특성에 대해 절충함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창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카운터웨이트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있어 종전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카 상하부의 엘리베이터 샤프트 공간 활용성을 성취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의 작업 가능성을 견지하는 것이다. 하나의 특별한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가 호이스팅 로프에 대칭적으로 현가되는 엘리베이터를 창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기본 레이아웃의 변경가능성에 대해 절충함이 없이 성취되어져야만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청구항 4의 특징부에 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나머지 청구항들에 설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서도 제공된다. 본원에 설명되는 발명의 내용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특히 표현이나 하위 과제의 관점에서 또는 성취되는 장점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여러가지 개별적인 발명을 이룰 수도 있다. 이 경우,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몇몇의 특징사항은 개별적인 발명 개념의 관점에서 필요 이상으로 될 수도 있다.
카운터웨이트가 없는 엘리베이터는 샤프트의 단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하고, 이 효율성은 카 벽과 샤프트 벽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유리한 로프 구성 해법을 사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상하부의 샤프트 공간이 상당히 작은 크기로 축소될 수 있다. 높은 로프 전동비가 사용되는 경우, 로프 구성은 유리하게 카에 대해 대칭적으로 또는 거의 대칭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잡하지 않은 설치를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카의 카 프레임 상에는 호이스팅 로프가 아래로 뻗어나가는 전환 풀리와 호이스팅 로프가 위로 뻗어나가는 전환 풀리가 장착되어 있다. 상향 로프 부분의 로프 인장력이 하향 로프 부분의 인장력보다 크다. 하향 로프 부분용 전환 풀리들을 상향 로프 부분용 전환 풀리들보다 카 프레임으로부터 더 큰 평균 거리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더 팽팽한 로프로 인해 카에 작용하는 경동 모멘트가 보정될 수 있고, 그와 같이 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동 모멘트는 전환 풀리들을 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편리하게 다른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단지 하나 또는 2개의 전환 풀리의 적당한 배치를 통해, 경동 모멘트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가지 바람직한 방법은 2개의 전환 풀리에 의해 카 프레임 상에 발생되는 경동 모멘트들이 서로 상쇄되게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무엇보다 다음의 장점들 중 하나 이상의 장점이 성취될 수 있다.
-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카의 중심 현가를 실행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단부에,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샤프트 공간을 감소시키는 별도의 강재 구조물이 있을 필요가 없다.
- 엘리베이터 카 하부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단부에, 전환 풀리 또는 현가를 위해 요구되는 다른 장치를 위한 공간이 있을 필요가 없고, 그 결과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단부에는 얕은 피트(pit)만 있으면 충분하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호이스팅 로프의 횡단방향 통과는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의 바로 위와 바로 아래 부분에는 어떠한 상향 또는 하향 로프 부분 또는 전환 풀리가 필요치 않아, 엘리베이터 위와 아래에 필요한 샤프트 공간이 얕게 만들어질 수 있다.
-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샤프트의 단면적의 효율적인 활용성이 성취된다.
- 본 발명이 기본적으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호이스팅 로프가 별도로 기계실의 호이스팅 기계를 경유하여 통과되어져야만 하거나 호이스팅 기계의 트랙션 시브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장착되도록 배열되어져야만 한다.
- 엘리베이터 카의 위와 아래의 바람직한 현가비는 2:1, 6:1, 10:1 등이다. 예컨대 8:1 또는 다른 우수의 비와 같은 다른 현가비도 사용될 수 있다. 로프 현가에 있어서의 호이스팅 로프의 단부가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된다면, 현가비는 예컨대 7:1 또는 9:1과 같은 기수비가 될 수 있다.
-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의 대칭적인 현가가 적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이하게 성취된다.
- 엘리베이터의 전환 풀리가 체결 요소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전환 풀리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실시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적용 영역은 사람 및/또는 화물을 운반하도록 설계된 엘리베이터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적용 영역은 속도 범위가 대략 1.0 m/s 이하인 엘리베이터이지만, 그보다 더 큰 속도 범위에서 적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0.6 m/s의 속도에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틸 와이어 로프와 같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로프가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합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최근에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도록 제안된 예컨대 소위 "아라미드"와 같은 합성 섬유 하중 지지부를 가진 로프 구조로 이루어진 로프를 사용할 수 있다. 강재 보강 평 벨트도, 특히 그것이 허용하는 작은 휨 반경 때문에, 적용가능한 해법이다. 예컨대 원형의 강도 높은 와이어로부터 꼬여진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사용함에 있어 특히 유익하게 적용가능하다. 이런 방식으로 보다 가는 로프를 성취할 수 있고, 보다 작은 로프 두께치로 인해 보다 작은 전환 풀리 및 구동 시브도 성취할 수 있다. 예컨대, 가는 와이어의 강도 높은 4-mm 로프는 완성된 로프에서의 평균 와이어 두께가 0.15~0.25 mm 사이에 있고 가장 가는 와이어가 겨우 대략 0.1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복수의 와이어로 서로 꼬여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카운터웨이트가 없고,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고 전환 풀리에 의해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 상에 현가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구비하고 있고, 엘리베이터의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위로 뻗어나가는 로프 부분(상향 로프 부분)과 아래로 뻗어나가는 로프 부분(하향 로프 부분)을 포함하고 있도록 되어 있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트랙션 시브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위치되는 구동 기계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로프 인장 및/또는 로프 신장을 균등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보정하도록 호이스팅 로프 상에 작용하는 보정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전환 풀리를 그것의 2개의 측벽 근처에서 그것의 표면상에 장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 트랙션 시브로부터 엘리베이터 카 상에 장착된 전환 풀리로 향하는 로프 부분,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로부터 엘리베이터 카 상에 장착된 전환 풀리로 향하는 로프 부분,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전환 풀리로부터 엘리베이터 카 상에 장착된 전환 풀리로 향하는 로프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다.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한쪽 측부로부터 다른쪽 측부로 뻗어 있는 로프 부분을 연결하는 로프 부분은 엘리베이터 카의 다른쪽 측벽들 근처에 장착된 전환 풀리들 사이의 로프 부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몇가지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리깅(rigging)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샤프트의 바닥부에서의 본 발명의 카 지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카가 프레임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높이로 연장된 본 발명의 카 지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카 지지 프레임을 수축된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카 프레임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1)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 카는 부분도로 도시되어 있다. 카 프레임의 상부에는, 로프를 아래로 향하게 하도록 오버헤드 빔 상에 장착된 전환 풀리(9) 및 로프를 위로 향하게 하도록 오버헤드 빔 상에 장착된 전환 풀리(8)가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 풀리(9, 8)는 각각 한 세트의 하향 전환 풀리(39) 또는 한 세트의 상향 전환 풀리(38)에 속한다. 오버헤드 상의 상향 전환 풀리 및 하향 전환 풀리는 오버헤드 빔의 브랜치(10)에 고정된다. 브랜치 상의 전환 풀리의 배치는 카 프레임의 평면으로부터의 레버 암을 한정하고, 이 카 프레임의 평면에 또는 그 근처에 엘리베이터 가이드가 배치된다. 한편, 로프 인장력에 비례하는 힘이 전환 풀리를 통해 카 프레임에 전달된다. 로프 인장력에 의해 야기되는 힘에 따라 레버 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로프력에 의해 생성되고 카를 경동시키려는 경동 모멘트를 감소시키거나 더 나아가서는 제거할 수 있다.
카의 천정의 에지는, 카의 측벽 근처에서 카의 천정이 낮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런 방식으로, 조속기(overspeed governor) 및/또는 다른 샤프트 설비와 같은 장치를, 설령 카 벽과 샤프트 벽 사이에 이들 장치 또는 설비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없는 경우에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또는 적어도 이런 방식으로 카가 가능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도 안전 규정에 의해 요구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 또는 설비들이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가지는 것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샤프트 공간 활용성이 성취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로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엘리베이터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기계(40)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위치되어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상기 구 동 기계를 구비하고 있고, 카운터웨이트가 없고, 엘리베이터 카(1)가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 엘리베이터 내에서 로프가 어떻게 여러가지 전환 풀리 및 호이스팅 기계의 로프 휠 위에서 통과되는 지를 도시하고 있고, 도 3, 4 및 5는 카 지지 프레임(30)을 도시하고 있고, 카 지지 프레임(30)은, 도 4에서는 카가 프레임 내에 설치될 수 있게 해주는 신장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서는 프레임의 운반을 용이하게 해주는 수축된 또는 낮아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이 완전한 조립체로서 운반되는 한, 전환 풀리가 장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카 지지 프레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샤프트(31)의 바닥부에 있을 때, 로프가 전환 풀리로 용이하게 전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카 지지 프레임은 가이드(32)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가이드(32)에 의해 카는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치결정되고 조절된다. 카 지지 프레임의 상부(34)와 하부(35)는 서로 삽입될 수 있는 카 프레임의 측부 빔의 빔 섹션(36, 37)에 의해 함께 끼움신축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의 끼움신축식 또는 다른 가변 길이의 상호 결합은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카 지지 프레임은 로프 상의 엘리베이터 카의 현가를 위한 전환 풀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환 풀리는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 중의 일부 로프가 위로 뻗어나가기 시작하는 제1 세트의 전환 풀리(38) 및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 중의 일부 로프가 아래로 뻗어나가기 시작하는 제2 세트의 전환 풀리(39)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카 지지 프레임 상에 일시적으로 장착되는 전환 풀리(42), 트 랙션 시브(도시 안됨)를 구비한 호이스팅 기계(40), 및 바람직하게는 기계 상의 로프 구성이 소위 더블 랩 로핑(Double Wrap roping)으로서 실시될 수 있게 해주거나 트랙션 시브와 로프 사이의 접촉각이 다른 방식으로 변경되도록 해주는 보조 전환 풀리(41)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44)는, 샤프트의 하부의 로프 단부 고정점(45)으로부터 출발하여 로프력 차동 장치(46)에서 최종적으로 끝나는, 화살표로 지시된 로프의 경로를 가진 단일의 로프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카 위의 로프 부분과 아래의 로프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로프 인장력 차이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태클(tackle) 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로프력 차동 장치는 로프 단부들의 고정과 관련한 다른 해법을 포함하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고정점(45)으로부터 출발하여, 로프는 먼저 차동 장치(46)에 포함되어 있는 로프 휠로 뻗어나가고, 다음으로 계속해서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43)로 뻗어나가고, 전환 풀리(43)로부터 더 나아가 카 상의 하향 전환 풀리(39)를 향해 가고, 더 나아가 로프는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와 카의 하향 전환 풀리 위를 차례로 통과하며, 이는 샤프트의 하부의 마지막 전환 풀리로부터 기계(40)까지 로프가 전송될 때까지 계속된다. 기계(40)로부터, 로프는 더 나아가 카 상의 제1 상향 전환 풀리(38)로 이어지고, 샤프트의 상부의 전환 풀리(42)와 카 상의 각 상향 전환 풀리(38) 위를 차례로 통과하며, 이는 샤프트의 상부의 마지막 전환 풀리에서 출발한 로프가 차동 장치(46)에서 끝날 때까지 계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 이다. 예컨대, 배수 및 우수의 로프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장점을 성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호이스팅 로프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전환 풀리와 엘리베이터 카 상의 전환 풀리 사이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와 엘리베이터 카 상의 전환 풀리 사이에서 통과되는 회수는 본 발명의 근본적인 장점과 관련하여 결정적인 문제는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와 아래에서 기수의 현가비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보정 장치가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구조물과 함께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당업자는, 트랙션 시브와 로프 풀리가 코팅된 금속 풀리 대신에 비코팅 금속 풀리 또는 그 목적에 적합한 다른 재료의 비코팅 풀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와 기계 유닛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단면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의 레이아웃과는 다른 방식으로 레이아웃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당업자는 '엘리베이터 카'가 자체 지지 카 구조물, 엘리베이터 카와 카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조립체, 또는 카 지지 프레임 내에 장착된 카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엘리베이터는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장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가 호이스팅 로프로서 거의 대부분의 가요성 호이스팅 수단, 예컨대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로 이루어진 가요성 로프, 평 벨트, 톱니형 벨트, 사다리꼴 벨트 또는 그 목적에 적합한 다 른 형태의 벨트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카운터웨이터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엘리베이터의 카운터웨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카의 중량보다 낮은 중량을 가지고 별도의 세트의 로프에 의해 현가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당업자는 기술적 부분의 충분한 안전성 및 보호성이 성취된다면 엘리베이터 샤프트가 엘리베이터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하도록 설정된 가이드 장치들과 상기 가이드 장치들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평 빔을 상기 엘리베이터 카 위에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지지하는 카 지지 프레임;
    상기 수평 빔에 있는 제1 세트의 전환 풀리;
    상기 수평 빔에 있는 제2 세트의 전환 풀리; 및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 를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팅 로프는 상기 제1 세트의 전환 풀리의 각각의 전환 풀리로부터 아래로 뻗어나가고,
    상기 호이스팅 로프는 상기 제2 세트의 전환 풀리의 각각의 전환 풀리로부터 위로 뻗어나가며,
    상기 제1 세트의 전환 풀리의 각각의 전환 풀리로부터 아래로 뻗어나가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부분의 제1 로프 인장력은 상기 제2 세트의 전환 풀리의 각각의 전환 풀리로부터 위로 뻗어나가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부분의 제2 로프 인장력보다 특정비 만큼 작으며,
    더 팽팽한 로프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에 작용하는 경동 모멘트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카 지지 프레임의 수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세트의 전환 풀리의 모든 전환 풀리까지 측정된 제1 평균 거리는 상기 카 지지 프레임의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세트의 전환 풀리의 모든 전환 풀리까지 측정된 제2 평균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세트의 전환 풀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는 제2 세트의 전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전환 풀리보다 카 지지 프레임의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더 큰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전환 풀리의 모든 전환 풀리는 상기 가이드 레일로서의 엘리베이터 카의 같은 측부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지지하고 가이드 장치와 수평 빔이 구비되는 카 지지 프레임은 엘리베이터 카 위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장치의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가 아래로 뻗어나가기 시작하는 수평 빔에 있는 제1 세트의 전환 풀리와, 수평 빔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가 위로 뻗어나가기 시작하는 수평 빔에 있는 제2 세트의 전환 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한 장치는,
    상기 제1 세트의 전환 풀리의 각각의 전환 풀리로부터 아래로 뻗어나가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부분의 제1 로프 인장력이 상기 제2 세트의 전환 풀리의 각각의 전환 풀리로부터 위로 뻗어나가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부분의 제2 로프 인장력보다 작으며,
    상기 카 지지 프레임의 수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세트의 전환 풀리의 모든 전환 풀리까지 측정된 제1 평균 거리와;
    상기 카 지지 프레임의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상기 제2 세트의 전환 풀리의 모든 전환 풀리까지 측정된 제2 평균 거리; 를 포함하며,
    더 팽팽한 로프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에 작용하는 경동 모멘트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1 평균 거리는 상기 제2 평균 거리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로프 인장력과 상기 제2 로프 인장력의 비는 제2 평균 거리와 제1 평균 거리의 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은 제1 세트의 전환 풀리의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를 지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제2 로프 인장력은 제1 로프 인장력의 적어도 2배 만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카 프레임에 작용하는 호이스팅 로프의 경동 모멘트는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7008892A 2003-11-17 2004-11-09 엘리베이터 및 장치 KR101332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1664 2003-11-17
FI20031664A FI119769B (fi) 2003-11-17 2003-11-17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20031721A FI115211B (fi) 2003-11-17 2003-11-24 Hissi ja järjestelmä
FI20031721 2003-11-24
PCT/FI2004/000660 WO2005047159A2 (en) 2003-11-17 2004-11-09 Elevator pulley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941A KR20060117941A (ko) 2006-11-17
KR101332595B1 true KR101332595B1 (ko) 2013-11-25

Family

ID=2958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892A KR101332595B1 (ko) 2003-11-17 2004-11-09 엘리베이터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127893B2 (ko)
EP (1) EP1685057B1 (ko)
JP (1) JP4713494B2 (ko)
KR (1) KR101332595B1 (ko)
AT (1) ATE465969T1 (ko)
DE (1) DE602004026906D1 (ko)
ES (1) ES2343009T3 (ko)
FI (1) FI115211B (ko)
HK (1) HK1100552A1 (ko)
WO (1) WO20050471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5211B (fi) * 2003-11-17 2005-03-31 Kone Corp Hissi ja järjestelmä
FI119056B (fi) * 2004-03-22 2008-07-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hissin tasauslaitteessa aikaansaadun lisävoiman käyttö
FI118335B (fi) * 2004-07-30 2007-10-15 Kone Corp Hissi
SG123668A1 (en) * 2004-12-10 2006-07-26 Inventio Ag Pulley arrangement for elevators
KR101485047B1 (ko) * 2009-01-08 2015-01-22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승강 장치
US8430210B2 (en) 2011-01-19 2013-04-30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US8925689B2 (en) 2011-01-19 2015-01-06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that move independently in different sections of a hoistway
US9365392B2 (en) 2011-01-19 2016-06-14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68613B1 (en) * 2013-11-05 2019-05-15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CN104444725A (zh) * 2014-12-09 2015-03-25 重庆富士电梯有限责任公司 一种电梯及其轿顶
CN107934720A (zh) * 2017-12-01 2018-04-20 赵丰 轨道箱体及楼道电梯
CN110510480A (zh) * 2019-08-05 2019-11-29 菱王电梯股份有限公司 底托式重载电梯的轿厢架结构
CN112357729A (zh) * 2020-11-27 2021-02-12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的上横梁与反绳轮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256A (en) * 1905-11-22 1909-02-09 Michael E Neena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016A (en) * 1907-04-01 1911-03-28 Otis Elevator Co Elevator.
FI119237B (fi) * 2003-01-31 2008-09-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tasauslaitteiston käyttö
DE9201374U1 (de) * 1992-02-05 1992-04-02 C. Haushahn GmbH & Co, 7000 Stuttgart Seilspannsystem für Aufzüge
DE19632850C2 (de) * 1996-08-14 1998-09-10 Regina Koester Treibscheibenaufzug ohne Gegengewicht
US6247557B1 (en) * 1998-04-28 2001-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FR2823734B1 (fr) * 2001-04-19 2007-04-20 Serge Arnoult Installation d'ascenseur pourvue de moyens d'entrainement et de moyens de suspension independants
WO2004041699A1 (en) * 2002-11-04 2004-05-21 Kone Corporation Elevator cable tensioning device
WO2004094289A1 (en) * 2003-04-22 2004-11-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FI115211B (fi) * 2003-11-17 2005-03-31 Kone Corp Hissi ja järjestelm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256A (en) * 1905-11-22 1909-02-09 Michael E Neenan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5057B1 (en) 2010-04-28
WO2005047159A3 (en) 2005-10-06
FI115211B (fi) 2005-03-31
ES2343009T3 (es) 2010-07-21
FI20031721A0 (fi) 2003-11-24
JP2007511448A (ja) 2007-05-10
KR20060117941A (ko) 2006-11-17
JP4713494B2 (ja) 2011-06-29
ATE465969T1 (de) 2010-05-15
HK1100552A1 (en) 2007-09-21
DE602004026906D1 (de) 2010-06-10
US20060196730A1 (en) 2006-09-07
WO2005047159A2 (en) 2005-05-26
EP1685057A2 (en) 2006-08-02
US8127893B2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7893B2 (en) Elevator and arrangement
US7207421B2 (en) Elevator
JP5122953B2 (ja) エレベータ
US8141684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US7562744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delivery assembly
KR101245570B1 (ko)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JP5524448B2 (ja) エレベータ
KR101107065B1 (ko) 승강기
US20140034425A1 (en) Elevator arrangement
EA006912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тяжения каната лифта
JP2003221176A (ja) エレベータ
FI116562B (fi)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KR20080055706A (ko) 승강기 설비
EP1828044B1 (en) Elevator roping arrangement
EP1016616A1 (en) Lift cage guid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