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322B1 -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322B1
KR101332322B1 KR1020130092367A KR20130092367A KR101332322B1 KR 101332322 B1 KR101332322 B1 KR 101332322B1 KR 1020130092367 A KR1020130092367 A KR 1020130092367A KR 20130092367 A KR20130092367 A KR 20130092367A KR 101332322 B1 KR101332322 B1 KR 10133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eed roller
glue gun
glu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이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민 filed Critical 이영민
Priority to KR102013009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 B05C17/0052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supplied to the apparatus in a solid state, e.g. rod, and melted before application
    • B05C17/00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provided with means to heat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supplied to the apparatus in a solid state, e.g. rod, and melted before application the driving means for the material being manual, mechanical or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접착제 공급장치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는 외형이 권총 형상으로 손을 잡는 부분인 손잡이부(110)와, 손잡이부(110)로부터 일정 각도를 두고 수평으로 뻗어 있는 총열부(120)와, 총열부(120)의 반대 방향의 접착제를 내부로 통과시키도록 개구되어 있는 주입부(102)와, 주입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접착제(104)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132)와 지지롤러(134)와 구동롤러(132)의 회전 가능하게 제어하는 구동모터(130)와, 총열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접착제(104)를 용융시키도록 열을 방사하는 히터(152)가 구비된 히터수용부(150)를 구비한 글루건 본체부(100); 및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에 탈부착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의 수납실(202)을 형성하도록 밀폐되어 있는 케이스(210)와, 수납실(202)은 접착제(104)가 권취된 릴(222)이 롤러(220)에 부착되어 있고, 릴(222)로부터 권취된 접착제(104)를 유입하여 이송하는 상부이송롤러(234)와 상부이송롤러(234)의 연직 하방에 위치한 하부이송롤러(236)가 구비되고, 상부이송롤러(234)와 하부이송롤러(236)의 의해 이송된 접착제(104)가 배출되는 케이스배출구를 구비한 접착제 공급장치(200)를 포함하며, 케이스배출구에서 배출된 접착제(104)가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로 이송되는 접착제 공급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Glue Supplying Apparatus and Glue Gu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글루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착제가 권취된 릴이 롤러에 부착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접착제가 글루건 장치에 공급되므로 다양한 두께의 접착제를 글루건 장치로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루건(핫멜트 건)은 벽체의 균열부의 충전 또는 접합과 부속물 및 파손된 물품의 접착 등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실링하는 장치이다.
글루건은 고상의 열가소성 멜트 재료를 가열하여 액상화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글루건에 사용되는 핫멜트는 몰딩 등의 건축 자제, 기구 등의 제조 분야에서 부품과 부품을 접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창문틀의 마감 처리, 건물 벽체의 균열된 부분에 대한 충진 및 보수, 파손된 물품의 수리시 접착의 용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핫멜트는 글루건에 의해 가열되어 접합시키고자 하는 부분에 도포 고화되어 접착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글루건은 자체에 가열기구가 구성되어 글루스틱과 같은 고체 접착 재료를 가열하여 액상의 핫멜트를 분사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글루건은 핫멜트를 후단의 구멍으로 밀어 넣은 후 이동부를 이용하여 핫멜트를 이송시키게 되고 가열부에 의해 핫멜트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핫멜트가 배출된다.
따라서, 글루건은 각각의 두께 규격이 다른 고체 접착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서 각각 다른 글루건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건은 핫멜트를 사용할 때마다 한 개씩 밀어 넣어 주어야 하므로 핫멜트 공급과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00-0017963호(공개일: 2000년 4월 6일), 발명의 명칭: "실리콘 접착제 자동배출장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착제가 권취된 릴이 롤러에 부착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접착제가 글루건 장치에 공급되므로 다양한 두께의 접착제를 글루건 장치로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는,
외형이 권총 형상으로 손을 잡는 부분인 손잡이부(110)와, 손잡이부(110)로부터 일정 각도를 두고 수평으로 뻗어 있는 총열부(120)와, 총열부(120)의 반대 방향의 접착제를 내부로 통과시키도록 개구되어 있는 주입부(102)와, 주입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접착제(104)를 이송시키는 한 개 이상의 구동롤러(132)와 지지롤러(134)와 구동롤러(132)의 회전 가능하게 제어하는 한 개 이상의 구동모터(130)와, 총열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접착제(104)를 용융시키도록 열을 방사하는 히터(152)가 구비된 히터수용부(150)를 구비한 글루건 본체부(100); 및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에 탈부착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의 수납실(202)을 형성하도록 밀폐되어 있는 케이스(210)와, 수납실(202)은 접착제(104)가 권취된 릴(222)이 롤러(220)에 부착되어 있고, 글루건 본체부(100)의 구동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릴(222)이 풀리면서 접착제(104)가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로 공급되는 접착제 공급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접착제 공급장치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실(202)과, 수납실(202)에 접착제(104)가 권취된 릴(222)이 롤러(220)에 부착되도록 밀폐되어 있는 케이스(210)를 포함하고,
케이스(210)는 열가소성 멜트 재료를 가열하여 액상화하는 글루건 장치(100)에 탈부착되고 글루건 장치(100)에 구비된 구동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릴(222)이 풀리면서 접착제(104)가 글루건 장치(100)의 주입부(102)로 공급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접착제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글루건 장치에 두께 규격이 다른 핫멜트 또는 정해진 규격의 핫멜트를 릴 형태로 자동 공급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핫멜트의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 본체부와 접착제 공급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 본체부와 접착제 공급장치의 결합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 본체부와 접착제 공급장치의 결합 부분이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 본체부와 접착제 공급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 본체부와 접착제 공급장치의 결합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 본체부와 접착제 공급장치의 결합 부분이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 장치는 글루건 본체부(100)와 글루건 본체부(100)에 탈부착 가능한 접착제 공급장치(200)를 포함한다.
글루건 본체부(100)는 외형이 권총 형상으로 되어 있고 손을 잡는 부분인 손잡이부(110)와, 손잡이부(110)로부터 일정 각도를 두고 수평으로 뻗어 있는 총열부(120)와, 손잡이부(110)의 앞단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스위치(122)를 형성한다.
글루건 본체부(100)는 총열부(120)의 반대 방향의 접착제(104)를 내부로 통과시키는 주입부(102)가 개구되어 있고, 주입부(102)를 통해서 유입되는 접착제(104)를 이송시키도록 손잡이부(110)의 상부의 측면 외측에 구동모터(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30)의 회전축(미도시)에 접착제(104)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1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주입부(102)와 가이드부재(140)의 사이에는 길이 방향의 도입관(142)이 형성되어 접착제(104)가 다른 위치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도입관(142)은 구동롤러(132)와 지지롤러(134)가 위치한 부분이 상하로 뚫려 있어 구동롤러(132)와 지지롤러(134)가 접착제(104)에 닿도록 한다.
구동롤러(132)의 하부에는 구동롤러(132)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부재(140) 측으로 이송되는 접착제(104)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한 지지롤러(134)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130)와 구동롤러(132)를 하나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2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130)와 구동롤러(132)의 위치도 주입부(102)의 근처 등 다양한 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
글루건 본체부(100)는 가이드부재(140)를 통해 이송되는 접착제(104)를 용융시키도록 총열부(120)의 하부에 히터수용부(150) 내에 열을 방사하는 히터(152)가 설치된다.
글루건 본체부(100)는 히터(152)에서 방열되는 열에 의해 용융된 접착제(104)의 용융물을 배출하여 도포시키도록 총열부(1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배출구(160)와, 배출구(160)에서 배출되어 도포되는 용융물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배출구(160)의 폭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반원형 돌기(162)와, 스위치(122)를 오프시키기 위하여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수단(124)을 구비한다. 여기서, 배출구(160)는 노즐 교체식으로 글루건 본체부(100)에서 탈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접착제(104)를 녹이는 방법은 가스 충전식, 건전지 교체식, 전기 충전식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글루건 본체부(100)는 주입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접착제(104)가 구동모터(13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롤러(132) 및 지지롤러(134)에 의해 지지되어 가이드부재(140)에 용이하게 공급되는지 여부를 관찰하고 접착제(104)가 용이하게 공급되지 않는 경우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도어(17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총열부(120)의 양쪽에는 히터(152)에서 방열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방열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122)는 전원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AC 전원 또는 DC 전원을 구동모터(130) 및 히터(152)에 공급을 온오프하는 것으로 DC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부(110) 내에 배터리 또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어댑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접착제 공급장치(200)는 내부에 일정 공간의 수납실(202)을 형성하도록 밀폐되어 있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케이스(210)를 개폐하는 커버(2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210)의 형태는 직사각형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통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접착제 공급장치(200)가 소모품 형태의 통으로 형성되어 쓰고 버리는 경우, 전술한 커버(212)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다.
수납실(202)은 접착제(104)가 권취된 릴(222)이 롤러(220)에 탈착되어 있고 일측에 접착제(104)를 이송하는 일정 공간의 브라켓(230)이 설치된다. 릴(222)의 단면은 원형의 형태가 바람직하나, 타원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여기서, 접착제(104)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고체 접착 재료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브라켓(230)은 리미트 스위치(232), 상부이송롤러(234), 하부이송롤러(236), 하부지지대(239), 상부지지대(238), 지그(240) 및 두께조절스위치(242)를 포함한다.
리미트 스위치(232)는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접착제(104)가 브라켓(230) 방향으로 공급되는 상태인지 센싱하며 센싱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리미트 스위치(232)로부터 센싱 신호가 수신되면, 케이스(210)의 일측에 구비된 램프(270)가 온 상태로 동작하고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램프(270)가 오프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리미트 스위치(232)는 기계식 접점 스위치 또는 포토 커플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230)은 양측면이 개방되고 상하면이 폐쇄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릴(222)에 권취된 접착제(104)가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리미트 스위치(232)를 경유하여 릴(222)에 권취된 접착제(104)의 피딩(Feeding)을 수행하는 상부이송롤러(234)와 하부이송롤러(236)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부이송롤러(234)와 하부이송롤러(236)는 전기로 동작하는 모터 등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동작하지 않는다.
상부지지대(238)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부이송롤러(234)와 연결되며 타단이 수직으로 세워진 지그(240)와 연결되어 있다.
지그(240)는 테두리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두께조절스위치(242)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지그(240)는 브라켓(230)의 상부면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세워지고, 브라켓(23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일측 끝단에 두께조절스위치(242)가 설치된다.
상부지지대(238)의 하부 방향에는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부지지대(239)가 고정되어 있다.
두께조절스위치(24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그(240)가 상승하게 되고 지그(240)에 연결된 상부지지대(238)와 상부이송롤러(234)가 동시에 상승하게 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그(240)가 하강하게 되고 지그(240)에 연결된 상부지지대(238)와 상부이송롤러(234)가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두께조절스위치(242)는 회전에 따라 지그(240)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지그(240)에 연결된 상부지지대(238)와 상부이송롤러(234)를 이동하며 상부지지대(238), 상부이송롤러(234)와 고정된 하부지지대(239),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 크기를 접착제(104)의 두께에 맞게 조절한다.
하부지지대(239)와 하부이송롤러(236)는 상부지지대(238)와 상부이송롤러(234)의 하부 방향 즉 연직 하방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10)의 일측은 브라켓(230)으로부터 접착제(104)가 이송되어 글루건 본체부(100) 방향으로 배출되는 케이스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글루건 본체부(100)와 접착제 공급장치(200)는 2가지 방법의 결합 방식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공급장치(200)의 일측면에는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50)가 형성된다.
결합부(250)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몸통부(252)와, 몸통부(252)의 끝단부에 체결돌기(254)가 몸통부(252)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착제 공급장치(200)의 결합부(250)는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되는데 주입부(102)를 형성하는 원형의 테두리면에 플랜지(106)를 형성하고, 플랜지(106)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체결돌기(25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체결돌기(254)가 축 회전하여 삽입되는 삽입홈(108)이 형성된다.
몸통부(252)를 주입부(102)에 삽입한 후, 몸통부(252)를 축 회전하게 되면, 몸통부(252)의 체결돌기(254)가 플랜지(106)의 삽입홈(108)에 삽입하여 체결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공급장치(200)의 일측면에는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와 결합하기 위한 돌기부(260)가 형성된다.
돌기부(260)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몸통부(262)와, 몸통부(262)의 끝단부에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갈고리 형태의 걸림턱(264)이 형성된다.
몸통부(262)를 주입부(102)에 삽입한 후, 돌기부(260)의 걸림턱(264)이 주입부(102)를 탄성에 의해서 통과하게 되면, 걸림턱(264)이 주입부(102)의 내측면에 걸려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건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착제 공급장치(200)는 커버(212)를 개방하여 접착제(104)가 권취된 릴(222)과 롤러(220)를 부착한다.
릴(222)로부터 권취된 접착제(104)는 리미트 스위치(232)를 경유하여 상부이송롤러(234)와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과, 상부지지대(238)와 하부지지대(239)의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한다.
이때, 두께조절스위치(242)는 접착제(104)의 두께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그(2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이송롤러(234)와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과, 상부지지대(238)와 하부지지대(239)의 사이의 공간의 크기를 조절한다.
접착제 공급장치(200)는 커버(212)를 밀폐시킨 후 글루건 본체부(100)와 접착제 공급장치(200)를 부착시킨다.
글루건 본체부(100)는 스위치(122)를 작동하여 동모터(130)에 인가하면, 구동?터(130)가 동작되며, 별도의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히터(152)가 방열하기 시작된다.
또한, 접착제 공급장치(200)는 일측에 형성된 구동스위치(280)를 작동하여 모터를 구동하면 모터에 연결된 롤러(220)의 회전에 따라 릴(222)이 풀리면서 접착제(104)가 상부이송롤러(234)와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접착제 공급장치(200)의 케이스배출구를 통해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로 유입된다.
접착제는 구동롤러(132)와 지지롤러(134)의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되며 구동롤러(132)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부재(140)로 이송된다.
가이드부재(140)로 이송된 접착제(104)는 히터수용부(150) 내로 공급되며 히터수용부(150) 내에 구비된 히터(152)에서 방열되는 열에 의해 용융되어 총열부(120)의 선단부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배출구(160)를 통해서 배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접착제 공급장치(20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스위치(280)의 작동을 오프시킨다. 접착제(104)가 권취된 릴(222)과 롤러(220)는 글루건 본체부(100)의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배출구(160)를 통해 배출된 접착제(104)는 수초 이내에 경화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균열부를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에 접착제(104)의 용융물을 도포한 후, 스위치(122)를 오프시키면 탄성수단(124)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구동모터(130)가 정지된다.
접착제 공급장치(200)는 전술한 리미트 스위치(232), 램프(270), 구동스위치(280), 릴(222)이 풀리는 모터(미도시)가 구성장치로 포함되는 경우, 이들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접착제 공급장치(200)에서 구동스위치(280)와 모터이 구성을 생략하고 글루건 본체부(100)의 구동모터(130)의 동작에 의해서 릴(222) 형태의 접착제(104)가 풀리면서 상부롤러(234)와 하부롤러(236)의 사이를 통과하여 글루건 본체부(100)로 공급된다. 즉, 릴(222)이 풀리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브라켓(230), 램프(270), 구동스위치(280)와 모터의 구성장치를 생략하고 케이스(210)의 내부에 롤러(220)와 접착제(104)가 권취된 릴(222)만으로 구성되어 글루건 본체부(100)의 구동모터(130)의 동작에 의해서 릴(222)이 풀리면서 접착제(104)가 글루건 본체부(100)로 공급된다. 여기서도 릴(222)이 풀리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글루건 본체부 102: 주입부
104: 접착제 106: 플랜지
108: 삽입홈 110: 손잡이부
120: 총열부 122: 스위치
124: 탄성수단 130: 구동모터
132: 구동롤러 134: 지지롤러
140: 가이드부재 150: 히터수용부
152: 히터 160: 배출구
162: 반원형 돌기 170: 도어
180: 방열부 200: 접착제 공급장치
202: 수납실 210: 케이스
212: 커버 220: 롤러
222: 릴 230: 브라켓
232: 리미트 스위치 234: 상부이송롤러
236: 하부이송롤러 238: 상부지지대
239: 하부지지대 240: 지그
242: 두께조절스위치 250: 결합부
252: 몸통부 254: 체결돌기
260: 돌기부 262: 몸통부
264: 걸림턱 270: 램프
280: 구동스위치

Claims (10)

  1. 외형이 권총 형상으로 손을 잡는 부분인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로부터 일정 각도를 두고 수평으로 뻗어 있는 총열부(120)와, 상기 총열부(120)의 반대 방향의 접착제를 내부로 통과시키도록 개구되어 있는 주입부(102)와, 상기 주입부(102)를 통해 유입되는 접착제(104)를 이송시키는 한 개 이상의 구동롤러(132)와 지지롤러(134)와 상기 구동롤러(132)의 회전 가능하게 제어하는 한 개 이상의 구동모터(130)와, 상기 총열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접착제(104)를 용융시키도록 열을 방사하는 히터(152)가 구비된 히터수용부(150)를 구비한 글루건 본체부(100); 및
    상기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에 탈부착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의 수납실(202)을 형성하도록 밀폐되어 있는 케이스(210)와, 상기 수납실(202)은 상기 접착제(104)가 권취된 릴(222)이 롤러(220)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릴(222)로부터 권취된 접착제(104)를 유입하여 이송하는 상부이송롤러(234)와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의 연직 하방에 위치한 하부이송롤러(236)가 구비되는 브라켓(230)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230)의 내부에 상기 접착제(104)의 유입시 상기 접착제(104)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리미트 스위치(232)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와 상기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되며, 상기 글루건 본체부(100)의 상기 구동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릴(222)이 풀리면서 상기 접착제(104)가 상기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로 공급되는 접착제 공급장치(200)
    를 포함하는 접착제 공급장치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30)은 상기 수납실(202)의 내부에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와 결합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세워진 지그(240)가 결합되는 상부지지대(238);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238)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하부지지대(239); 및
    상기 지그(240)의 테두리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부 끝단에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지그(240)의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지그(2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지그(240)에 연결된 상기 상부지지대(238) 및 상기 상부이송롤러(234)가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두께조절스위치(242)를 포함하며,
    상기 두께조절스위치(242)는 회전에 따라 상기 지그(24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부지지대(238),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와 상기 하부지지대(239), 상기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 크기를 상기 릴(222)로부터 권취된 접착제(104)의 두께에 맞게 조절하는 접착제 공급장치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공급장치(200)의 케이스배출구에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몸통부(252)와, 상기 몸통부(252)의 끝단부에 체결돌기(254)가 상기 몸통부(252)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결합부(250)를 구비하며,
    상기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는 상기 주입부(102)를 형성하는 원형의 테두리면에 플랜지(106)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06)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25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체결돌기(254)가 축 회전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08)이 형성되는 접착제 공급장치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공급장치(200)의 케이스배출구에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몸통부(262)와, 상기 몸통부(262)의 끝단부에 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 걸림턱(264)을 구비한 돌기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262)를 상기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에 삽입하면, 상기 걸림턱(264)이 상기 주입부(102)의 내측면에 걸려서 결합되는 접착제 공급장치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공급장치(200)는 상기 롤러(2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릴(222)이 풀리면서 상기 접착제(104)가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와 상기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글루건 본체부(100)의 주입부(102)로 이송되는 접착제 공급장치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8.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실(202)과, 상기 수납실(202)에 접착제(104)가 권취된 릴(222)이 롤러(220)에 부착되도록 밀폐되어 있는 케이스(21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210)는 열가소성 멜트 재료를 가열하여 액상화하는 글루건 장치(100)에 탈부착되고, 상기 릴(222)로부터 권취된 접착제(104)를 유입하여 이송하는 상부이송롤러(234)와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의 연직 하방에 위치한 하부이송롤러(236)가 구비되는 브라켓(230)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230)의 내부에 상기 접착제(104)의 유입시 상기 접착제(104)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리미트 스위치(232)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와 상기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되며, 상기 글루건 장치(100)에 구비된 구동모터(1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릴(222)이 풀리면서 접착제(104)가 상기 글루건 장치(100)의 주입부(102)로 공급되는 접착제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202)은 상기 릴(222)로부터 권취된 접착제(104)를 유입하여 이송하도록 상부이송롤러(234)와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의 연직 하방에 위치한 하부이송롤러(236)를 설치되며,
    상기 접착제(104)가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와 상기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하여 이송되도록 가이드되고,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상부지지대(238)와 상기 상부지지대(238)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하부지지대(239)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104)가 상기 상부지지대(238)와 상기 하부지지대(239)의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하여 상기 글루건 장치(100)의 주입부(102)로 공급되는 접착제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238)는 일단이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와 결합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세워진 지그(240)가 결합되며,
    상기 지그(240)의 테두리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부 끝단에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지그(240)의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지그(2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지그(240)에 연결된 상기 상부지지대(238) 및 상기 상부이송롤러(234)가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두께조절스위치(242)를 포함하며,
    상기 두께조절스위치(242)는 회전에 따라 상기 지그(24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부지지대(238), 상기 상부이송롤러(234)와 상기 하부지지대(239), 상기 하부이송롤러(236)의 사이의 공간 크기를 상기 릴(222)로부터 권취된 접착제(104)의 두께에 맞게 조절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KR1020130092367A 2013-08-05 2013-08-05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KR10133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67A KR101332322B1 (ko) 2013-08-05 2013-08-05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67A KR101332322B1 (ko) 2013-08-05 2013-08-05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322B1 true KR101332322B1 (ko) 2013-12-02

Family

ID=4998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367A KR101332322B1 (ko) 2013-08-05 2013-08-05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3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056B1 (ko) 2014-10-21 2016-11-28 이영민 굵기 조절 지그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US10413931B1 (en) 2019-01-11 2019-09-17 ACCO Brands Corporation Glue gun with sequential stick feed
CN113814129A (zh) * 2021-10-17 2021-12-21 苏州康尼格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热流道胶枪
WO2022021761A1 (zh) * 2020-07-27 2022-02-03 江苏新扬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海水中的导轨灌胶成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3659A (ja) * 1987-10-06 1989-05-16 Emhart Ind Inc ホットメルトディスペンサ
JPH081062A (ja) * 1994-06-16 1996-01-09 Yazaki Corp ホットメルト樹脂材の注入装置
KR200446273Y1 (ko) * 2009-02-19 2009-10-13 유경수 접착제용 기능성 글루 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3659A (ja) * 1987-10-06 1989-05-16 Emhart Ind Inc ホットメルトディスペンサ
JPH081062A (ja) * 1994-06-16 1996-01-09 Yazaki Corp ホットメルト樹脂材の注入装置
KR200446273Y1 (ko) * 2009-02-19 2009-10-13 유경수 접착제용 기능성 글루 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056B1 (ko) 2014-10-21 2016-11-28 이영민 굵기 조절 지그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US10413931B1 (en) 2019-01-11 2019-09-17 ACCO Brands Corporation Glue gun with sequential stick feed
WO2022021761A1 (zh) * 2020-07-27 2022-02-03 江苏新扬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海水中的导轨灌胶成型装置
CN113814129A (zh) * 2021-10-17 2021-12-21 苏州康尼格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热流道胶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322B1 (ko) 접착제 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한 글루건 장치
CN109201422B (zh) 一种多功能热熔胶枪的控制方法
KR200446273Y1 (ko) 접착제용 기능성 글루 건
KR101415075B1 (ko) 코팅장치
WO2023208239A1 (zh) 一种电焊机
MY188122A (en)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wallboard joint taping
US2908425A (en) Gun dispenser
JP2015062649A (ja) 歯科用コンパウンドガン
CN103223399B (zh) 光照射装置
JP2017119229A (ja) 接着剤吐出装置
KR100730640B1 (ko) 상수관 터널 갱생 자동화장치
JP2018075589A (ja) はんだ線コイル、及びはんだ付装置
KR101463501B1 (ko) 에지밴딩기의 접착제 공급장치
KR101361014B1 (ko)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KR100757044B1 (ko) 장식용 시트지 접착제 도포장치
CN216882484U (zh) 可自动旋转式焊接装置
KR20000017963A (ko) 실리콘 접착제 자동배출장치
US20140150381A1 (en) Assembling apparatus, assembling method and packaging combination
KR20170132970A (ko) 자동 납땜장치
JP2002028550A (ja) 加熱性溶融粘着剤の押出し装置
CN114228134A (zh) 一种3d打印机
CN218190729U (zh) 热熔胶点胶机
KR101311481B1 (ko) 치과용 인상재 디스펜서
KR101902147B1 (ko) 성에 제거용 히팅장치
JP2004296330A (ja) 電池用シール剤塗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