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731B1 -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731B1
KR101331731B1 KR1020110146316A KR20110146316A KR101331731B1 KR 101331731 B1 KR101331731 B1 KR 101331731B1 KR 1020110146316 A KR1020110146316 A KR 1020110146316A KR 20110146316 A KR20110146316 A KR 20110146316A KR 101331731 B1 KR101331731 B1 KR 101331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an
motor assembly
impe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550A (ko
Inventor
장수봉
배한경
윤희수
박창환
이상종
윤영복
석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731B1/ko
Priority to EP12159095.4A priority patent/EP2609844A3/en
Priority to US13/440,961 priority patent/US20130171013A1/en
Publication of KR2013007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모터 조립체는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와; 모터;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며, 모터로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도록 대향하는 한쌍의 판 사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임펠러; 임펠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토출구 외측에 위치되는 디퓨저;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디퓨저 아래에 배치되는 제1팬;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Moto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모터 조립체, 특히 진공청소기에 채용될 수 있는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면서 진공을 부분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먼지와 같은 외부 오물 등을 집진하는 장치로서, 진공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모터 조립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 조립체의 일례는 특허문헌 1에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3431호로 "진공청소기용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모터 조립체"에 대해 게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게재된 모터 조립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모터와 임펠러 및 디퓨저로 이루어져 있다.
개략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조립체는, 외부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전자기력을 통해 고정자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자를 갖춘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 구동으로 모터의 축 상단에 설치된 임펠러를 강제로 회전시켜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모터 조립체는 임펠러로 흡입된 흡기의 유속을 감소시키면서 모터 조립체 내부로 안내한다.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의 모터 조립체는 임펠러를 수단으로 하여 빠른 유속으로 외기를 진공 청소기 내부에 모터 조립체로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모터 조립체는 발열될 수밖에는 없다. 발열상태의 모터 조립체는 임펠러로 유입될 흡기를 통해 냉각되는바, 흡기는 디퓨저를 통해 현저하게 유속을 감소시킨 상태로 모터 조립체 내부로 안내되기 때문에 모터 내부에서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되지 못해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디퓨저는 임펠러로 흡입될 외기를 강제적으로 모터 조립체 내부로 안내시켜야 하므로 유로손실이 발생되어 임펠러의 회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2는 "팬 일체형 모터"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모터의 축 하단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모터는 통상적으로 모터 상부에 구비된 흡입구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흡입팬을 설치하게 되는바, 구체적으로 흡입팬은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된 모터 하부에 위치된다. 즉 외기는 모터의 회전 구동을 통해 흡입팬을 회전시켜 흡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게 되며, 흡입된 외기는 모터를 가로질러 모터를 냉각시키면서 흡입팬의 스크롤을 통해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모터는 모터 하부에 흡입팬을 구비하는데, 이 흡입팬은 모터보다 큰 직경을 가져 한정된 내부공간을 갖는 진공 청소기에 채용하는 데에 있어 부담을 가질 수밖에는 없다.
이와 같이,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3431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43278호
본 발명은 전술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특히 임펠러로 흡입된 흡기의 유속을 저하시키지 않고 모터 조립체 내부로 안내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는,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와; 모터;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며, 모터로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도록 대향하는 한쌍의 판 사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임펠러; 임펠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토출구 외측에 위치되는 디퓨저;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디퓨저 아래에 배치되는 제1팬;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모터 조립체에서 임펠러의 블레이드와 제1팬의 날개부는 동일한 패턴을 갖도록 한다. 임펠러의 블레이드와 제1팬의 날개부는 동일한 곡률을 가진 나선형상으로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어 있다.
모터 조립체에서, 본 발명의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로 이루어지고, 회전자는 모터축 상에 상부 스토퍼와 하부 스토퍼를 수단으로 하여 위치고정된다.
바람직하기로 제1팬은 디퓨저와 모터 사이에 배치되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부 스토퍼 외주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제1팬은 임펠러와 유사하게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이의 상부 플레이트는 중앙에 개구부를 구비한다.
제1팬의 상부 플레이트는 개구부를 구비하여 모터축을 관통하게 하고 디퓨저에서 안내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는,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와; 모터;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모터로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도록 대향하는 한쌍의 판 사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임펠러; 임펠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토출구 외측에 위치되는 디퓨저;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모터 아래에 배치되는 제2팬;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는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1팬을 추가로 구비하는바, 이 제1팬은 디퓨저 아래에 배치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모터 조립체에서 임펠러의 블레이드, 제1팬의 날개부, 및/또는 제2팬의 날개부는 동일한 패턴을 갖도록 한다. 즉, 블레이드와 날개부는 동일한 곡률을 가진 나선형상으로 동일한 갯수로 형성되어 있다.
모터 조립체에서, 본 발명의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로 이루어지고, 회전자는 모터축 상에 상부 스토퍼와 하부 스토퍼를 수단으로 하여 위치고정된다.
선택가능하기로, 제1팬은 디퓨저와 모터 사이에 배치되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부 스토퍼 외주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제2팬은 모터 아래에 배치되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하부 스토퍼 외주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덧붙여서, 제2팬은 배출구와 동일 높이 혹은 배출구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한다. 제2팬의 가장자리로 토출될 공기가 모터 조립체 내부로 재안내되거나 재순환되지 않도록 토출될 고속의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하기 위해 제2팬의 외측에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제2팬은 임펠러와 유사하게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이의 상부 플레이트는 중앙에 개구부를 구비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모터 조립체 내부로 안내될 흡기의 유속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흡기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모터 내부에서의 흡기 체류시간을 현저하게 감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조립체는, 팬의 추가적인 장착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진공 청소기와 같은 한정된 공간에 장착되는 모터 조립체에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모터 조립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과 접촉시키는 동시에 외부로 방출하여 모터 조립체의 방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축 상에 결합되어 있는 제1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 축 상에 결합되어 있는 제1팬 및 제2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팬의 저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조립체, 특히 진공 청소기용 모터 조립체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와, 임펠러(20; impeller), 디퓨저(30; diffuser), 및 제1팬(40;fan)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터(10)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고정자(11)와 회전자(12)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전류를 인가할 경우 고정자(11)에 대향되게 배치된 회전자(12)를 회전시킨다. 회전자(12)는 모터(10)의 모터축(13) 상에 위치되는바, 회전자(12)의 회전은 모터축(13)에 전달되어 모터(10)의 회전 구동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모터(10)는 회전자(12)의 상부에 상부 스토퍼(14a)를 구비하는 한편 회전자(12)의 하부에 하부 스토퍼(14b)를 구비한다.
상부 스토퍼(14a)는 회전자(12)의 상부에 위치되고 회전자(12)와 모터축(13)을 위치고정한다. 유사하게, 하부 스토퍼(14b)는 회전자(12)의 하부에 위치되고 회전자(12)와 모터축(13)을 위치고정한다.
임펠러(20)는 모터축(13) 상단에 체결되되, 회전자(12)의 회전 운동은 모터축(13)에 결합된 임펠러(20)로 전달된다. 임펠러(20)의 회전 운동은 임펠러(20) 주변에 원심력을 제공하고 이 원심력으로 임펠러(20) 중심에 놓여진 공기를 임펠러(20)의 가장자리, 즉 바깥방향으로 토출하면서 흡입구 외부에 있는 외기(外氣)를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임펠러(20)는 모터축(13)을 동심축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상판과 하부 사이에 블레이드(22)를 구비한다. 블레이드(22)는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방사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각각의 블레이드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판의 중앙에는 임펠러(20)의 회전 운동으로 유입될 공기의 유입통로를 형성한다.
임펠러(20)는 하판 중앙을 관통하는 모터축(13)에 고정되어 있고 하판 위에 다수개의 블레이드(22)를 배열한다.
다수개의 블레이드(22)는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있어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하판의 회전중심(예컨대 모터축(13))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방사상의 나선형상으로 뻗는 블레이드 패턴(pattern)을 갖는다. 이 임펠러(20)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2)를 구비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진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갯수와 곡률은 필요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디퓨저(30)는 임펠러(20)를 회전가능하도록 임펠러(20)의 외측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디퓨저(30)는 임펠러(20)의 회전으로 흡입구(2)를 통해 고속으로 유입된 흡기(吸氣)를 모터 조립체(1) 내부로 안내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디퓨저(30)는 임펠러(20)에 의해 방사상방향으로 토출되는 흡기를 모터 조립체(1)의 하우징 내측벽과 직접 충돌되지 않고 모터 조립체(1) 내부를 향해 강제로 안내하도록 설계하여, 유로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로손실은 흡기속도를 현저하게 저감시켜 모터 조립체(1)의 냉각 성능을 둔화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조립체(1)는 유로손실을 보충할 수 있는 제1팬(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팬(40)은 줄어든 흡기속도를 증가시켜 모터(10)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조립체(1)는 디퓨저(30)와 모터(10) 사이에 제1팬(40)을 배치하는바, 더욱 구체적으로 모터(10)의 상부 스토퍼(14a) 외주면 상에 배치한다.
제1팬(40)은 모터축(13)을 동심축으로 하여 상부 스토퍼(14a) 상에서 블레이드(blade) 형태로 된 다수의 날개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팬(40)의 날개부는 상부 스토퍼(14a)의 외주면 상에서 방사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제1팬(40)의 개별적인 날개부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별하기로, 제1팬(40)의 날개부는 임펠러(20)의 블레이드(2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임펠러(20)와 거의 동일하게 공기를 고속으로 흡입 및/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임펠러(20)에서 토출된 공기는 디퓨저(30)를 통해 강제로 유동방향의 전환으로 유로손실을 가져오게 되는데, 디퓨저(30)로 안내된 공기는 제1팬(40)의 회전운동으로 공기의 유속을 회복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팬(40)의 다른 일례로 임펠러(20)와 유사하게 형성되되, 구체적으로 제1팬은 모터축(13) 혹은 상부 스토퍼(14a)를 동심축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면서 이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날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하부 플레이트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에, 상부 플레이트는 하부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원판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이의 중앙에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일례의 제1팬은 디퓨저(30)와 모터(10) 사이에 배치되되, 더욱 구체적으로 디퓨저(30)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팬의 날개부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방사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위치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날개부는 임펠러(20)의 블레이드(22)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터 조립체(1)에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10)의 회전구동이 모터축(13)에 전달되고, 모터축(13)의 회전운동은 모터축(13)에 체결되어 있는 임펠러(20)로 전달되다.
임펠러(20)는 기술된 방식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흡입구(2) 주변에 있는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 즉, 공기는 임펠러(20)의 원심력을 통해 상판에 유입통로를 지나 임펠러(20) 내부로 흡입되고 가장자리를 향해 토출된다. 그런 다음에, 공기는 임펠러(20)의 외측에 배열된 디퓨저(30)를 매개로 하여 모터 조립체(1)의 내부를 향해 강제로 안내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팬(40)도 모터축(13) 혹은 모터(10)의 상부 스토퍼(14a)에 체결되어 임펠러(20)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디퓨저(30)로 안내된 공기에 원심력을 가하여 모터 조립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임펠러(20)와 동일 수준으로 유속을 빨리하고 유동량을 회복할 수 있다.
제1팬(4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모터 조립체(1) 내부로 토출되는데, 이 공기는 모터 조립체(1)의 내부공간을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모터 조립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폐열은 배출구(3)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에 구비된 제1팬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팬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40)은 모터축(1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자(12)의 상부 스토퍼(14a)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 스토퍼(14a)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날개부를 배열한다.
다수개의 날개부는 예컨대 모터축(13) 혹은 상부 스토퍼(14a)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방사상의 나선형상으로 뻗는 날개부 패턴을 갖는다. 여기서, "패턴"이라는 용어는 일정한 날개부의 갯수와 일정한 날개부의 나선형상을 갖고서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팬(40)은 앞서 기술되었듯이 디퓨저로 유로손실된 공기를 빠르게 흡입하여 모터 조립체 내부에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임펠러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조립체는 임펠러(20;도 1 참조)의 블레이트 패턴과 동일한 날개부 패턴을 갖도록 한다. 즉, 임펠러에 구비된 블레이드의 갯수와 나선형상이 제1팬(40)에 구비된 날개부의 갯수와 나선형상과 동일하다.
동일 회전속도를 갖는 임펠러(20;도 1 참조)와 제1팬(40)는 동일한 패턴을 가진 블레이드와 날개부로 인해 임펠러로 토출되는 공기 유속과 제1팬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 축 상에 결합되어 있는 제1팬 및 제2팬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팬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와, 임펠러(20), 디퓨저(30), 제1팬(40), 및 제2팬(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조립체(1)에서 제2팬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조립체(1)는 디퓨저(30)에 의한 유로손실을 보충할 수 있는 제1팬(40) 및/또는 제2팬(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팬(40)은 디퓨저(30)로 감속된 흡기속도를 증가시켜 모터(10)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팬(50)은 모터 조립체(1) 내부에 체류하고 있는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40)은 디퓨저(30)와 모터(10) 사이에 배치되되, 바람직하기로는 상부 스토퍼(14a)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서, 제2팬(50)은 모터(10) 바로 아래에 배치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 제2팬(50)은 모터(10)의 하부 스토퍼(14b)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팬(50)은 제1팬(40)과 동일하게 회전중심(예컨대 모터축(13) 혹은 하부 스토퍼(14b))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방사상의 나선형상으로 뻗으면서 일정한 곡률을 가진 날개부 패턴을 갖는다.
제2팬(5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제1팬(4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1팬(40)을 통해 모터 조립체(1) 내부로 안내된 공기를 고속으로 흡입할 수 있다. 즉, 제1팬(40)으로 공급될 공기는 모터 조립체(1)의 내부 부품, 예컨대 모터(10)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과 상대적으로 저온의 흡기를 접촉시켜 모터 조립체(1) 내부를 냉각시킨다. 제2팬(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 아래에 배치되어 모터 조립체(1)의 내부와 체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2팬을 필수구성요소로 하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기술된 제1팬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팬(50)의 다른 일례로 임펠러(20)와 유사하게 형성되되, 구체적으로 제2팬은 모터축(13) 혹은 하부 스토퍼(14b)를 동심축으로 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구비하면서 이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날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하부 플레이트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에, 상부 플레이트는 하부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원판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이의 중앙에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일례의 제2팬은 전술된 바와 같이 모터(10) 아래의 모터축(13)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팬의 날개부는 앞서 기술된 제1팬과 동일하게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방사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위치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날개부는 임펠러(20)의 블레이드(22)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기로, 제2팬(50)은 모터 조립체(1) 내부의 체류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바, 제2팬(50)의 가장자리는 모터 조립체(1)의 배출구(3)와 근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제2팬(50)에서 고속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모터 조립체(1) 내부로 재안내되지 않고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2팬(50)의 가장자리와 배출구(3)의 높이를 동일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1)는 외부 전원이 공급될 경우 아래와 같이 작동하면서 공기의 흡입력 향상 뿐만 아니라 방열효과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10)의 회전구동이 임펠러(20)에 전달되다.
임펠러(20)는 회전하면서 흡입구(2) 주변에 있는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공기는 임펠러(20)의 외측에 배열된 디퓨저(30)를 매개로 하여 모터 조립체(1)의 내부를 향해 강제로 안내된다.
제1팬(40)도 모터축(13) 혹은 모터(10)의 상부 스토퍼(14a)에 체결되어 임펠러(20)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디퓨저(30)로 감속된 공기를 임펠러(20)와 동일 수준으로 유속을 빨리하고 유동량을 회복할 수 있게 한다.
제1팬(4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모터 조립체(1) 내부로 토출되는데, 이 공기는 모터 조립체(1)의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열과 접촉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제2팬(50)의 회전구동을 통해 모터 조립체(1)의 내부공간에 체류하고 있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3)로 신속하게 방출하여 모터 조립체(1)를 방열하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조립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또는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혹은 변경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1 : 모터 조립체 2 : 흡입구
3 : 배출구 10 : 모터
20 : 임펠러 30 : 디퓨저
40 : 제1팬 50 : 제2팬

Claims (15)

  1.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와;
    고정자와 회전자 및 모터축으로 구성된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로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도록 대향하는 한쌍의 판 사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토출구 외측에 위치되는 디퓨저;
    상기 모터축 상에 상기 회전자의 위치고정을 돕도록, 상기 회전자의 축방향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디퓨저 아래에 배치된 상부 스토퍼;
    상기 회전자의 축방향 하부에 배치된 하부 스토퍼;
    상기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상부 스토퍼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팬;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와 상기 제1팬의 날개부는 동일한 패턴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은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의 상부 플레이트는 이의 중앙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7.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와;
    고정자와 회전자 및 모터축으로 구성된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로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도록 대향하는 한쌍의 판 사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토출구 외측에 위치되는 디퓨저;
    상기 모터축 상에 상기 회전자의 위치고정을 돕도록, 상기 회전자의 축방향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디퓨저 아래에 배치된 상부 스토퍼;
    상기 회전자의 축방향 하부에 배치된 하부 스토퍼;
    상기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하부 스토퍼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2팬;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는 상기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다수의 날개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디퓨저 아래에 배치되는 제1팬을 추가로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팬의 날개부는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와 동일한 패턴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팬의 날개부는 상기 제1팬의 날개부와 동일한 패턴을 갖는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은 상기 상부 스토퍼 외주면에 배치되는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팬은 상기 배출구와 동일하거나 높게 위치되는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은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2팬은 모터축을 동심축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다수개의 날개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며,
    상기 제1팬의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2팬의 상부 플레이트는 이의 중앙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KR1020110146316A 2011-12-29 2011-12-29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KR101331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16A KR101331731B1 (ko) 2011-12-29 2011-12-29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EP12159095.4A EP2609844A3 (en) 2011-12-29 2012-03-12 Moto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US13/440,961 US20130171013A1 (en) 2011-12-29 2012-04-05 Moto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16A KR101331731B1 (ko) 2011-12-29 2011-12-29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550A KR20130077550A (ko) 2013-07-09
KR101331731B1 true KR101331731B1 (ko) 2013-11-20

Family

ID=4593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316A KR101331731B1 (ko) 2011-12-29 2011-12-29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71013A1 (ko)
EP (1) EP2609844A3 (ko)
KR (1) KR101331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47311A1 (en) * 2012-11-26 2014-05-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witched reluctance motor assembly
KR102099346B1 (ko) * 2014-01-02 2020-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팬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EP3318167B1 (en) * 2015-06-30 2022-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JP2017012731A (ja) 2015-06-30 2017-01-19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電気掃除機
CN105406644B (zh) * 2015-12-17 2017-03-15 宁波纽新克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数码吸风电机
CN109281847A (zh) * 2018-10-12 2019-01-29 上海舟水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的防水风扇结构
CN109347263A (zh) * 2018-10-30 2019-02-15 苏州工业园区星德胜电机有限公司 马达组件
WO2021195773A1 (en) * 2020-04-01 2021-10-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ousehold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fan and motor assembly and fan and motor assembly for same
KR102194862B1 (ko) * 2020-04-03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팬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220006918A (ko) 2020-07-09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모터
US11707170B2 (en) 2021-04-15 2023-07-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a brush motor internal of a rotating brush and brush motor for driving a rotatable brushing member
CN114629281A (zh) * 2021-12-06 2022-06-14 鑫磊压缩机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能力好的电机集成结构
KR102498299B1 (ko) * 2022-04-20 2023-02-09 대영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142A (ko) *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송풍기
KR100808205B1 (ko) 2007-01-12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 어셈블리
JP2011052591A (ja) * 2009-09-02 2011-03-17 Panasonic Corp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2985A (en) * 1939-10-14 1942-02-10 Spencer Turbine Co Motor mounting for vacuum cleaners
US4621991A (en) * 1985-02-22 1986-11-11 Ametek, Inc. Quiet by-pass vacuum motor
JPH0765597B2 (ja) * 1989-03-01 1995-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動送風機
TW552352B (en) * 1999-06-29 2003-09-11 Sanyo Electric Co Sealed rotary compressor
US6488475B2 (en) * 2000-03-30 2002-12-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cleaner with an air cooled power device situated between the impeller and motor
KR20020043278A (ko) 2000-12-01 2002-06-10 구자홍 팬 일체형 모터
US7021907B2 (en) * 2003-04-03 2006-04-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ntilation and purge of a hydrogen blower
KR100633431B1 (ko) 2004-12-09 2006-10-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모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142A (ko) *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송풍기
KR100808205B1 (ko) 2007-01-12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 어셈블리
JP2011052591A (ja) * 2009-09-02 2011-03-17 Panasonic Corp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550A (ko) 2013-07-09
EP2609844A3 (en) 2016-05-25
US20130171013A1 (en) 2013-07-04
EP2609844A2 (en)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731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EP3579391B1 (en) Fan motor
JP6585873B2 (ja) 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WO2016068280A1 (ja) 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KR20170051374A (ko) 송풍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2008261280A (ja) 軸流ファン
CN104847692A (zh) 具有降低的盖重叠的带护罩的风扇叶轮
KR101931707B1 (ko) 공기조화기
JP2016033352A (ja) 電動送風機
JP5677010B2 (ja) モータ組立体およびポンプ装置
US9335059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RU2607116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вентилятор
KR101876030B1 (ko)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TW201002945A (en)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duster installed with the same
JP2008045557A (ja) ファン−モータアセンブリ用インサート
JP2007263118A (ja) 軸流式ファン構造
JP2009203837A (ja) 遠心ファン
EP3076025A1 (en) Vacuum suction unit
KR100741787B1 (ko) 흡입 강화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팬-모터
KR100611011B1 (ko) 공조기의 터보팬
CN107040090B (zh) 叶轮组件、集成式电机和家用电器
JP2013029033A (ja) 電動送風機
KR101222822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JP6102698B2 (ja) 送風装置
JP2011064096A (ja) 電動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