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725B1 - 서화(書畵)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서화(書畵)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725B1
KR101331725B1 KR1020130060832A KR20130060832A KR101331725B1 KR 101331725 B1 KR101331725 B1 KR 101331725B1 KR 1020130060832 A KR1020130060832 A KR 1020130060832A KR 20130060832 A KR20130060832 A KR 20130060832A KR 101331725 B1 KR101331725 B1 KR 101331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nk
neutral
calligraphy
calli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안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영 filed Critical 안준영
Priority to KR102013006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7/00Preserving paintings, e.g. by varnishing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종이와 먹을 준비하는 단계; (b) 밀가루, 보리, 콩 등을 혼합하여 3~10년 동안 발효한 다음, 발효된 것을 다시 가열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재생성하여 형성된 중성풀을 이용하여 먹물을 생성하는 단계; (c) 종이에 서화를 기록하되, 스크린인쇄 기법으로 필름을 생성하여 편집하고 서화 작품을 제작하는 단계; 및 (d) 서화 작품을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종이와 먹을 사용하는 전통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재로 소장할 필요가 있거나 귀중한 문헌 및 각종 서화작품 등을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화(書畵)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How to print long-term preservation method for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본 발명은 서화(書畵)품의 장기 보존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재나 문헌 등 소장할 필요가 있는 각종의 서화 작품들을 반영구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서화품 장기 보존의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생성된 다양한 고문헌이나 문화재 등이 다량으로 전수, 발견, 발굴되어 보호를 받고 있지만, 서화품의 경우 제작 당시의 기술력이나 오랜 기간의 경과를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손상의 정도가 심하다. 선조의 문화유산인 서화품에 대한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대적 인쇄기술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특허의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92002호는 동양화가 그려진 화선지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접착제의 표면에 우레탄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투명한 우레탄박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화선지의 전면에 유리판을 댈 필요가 없이 화선지로의 습기 침투와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작품의 변형 및 변색을 방지하여 작품을 오랜 기간 변함 없이 보존,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06959호는 나무판의 표면에 무늬목을 부착하는 단계; 글씨나 그림, 문양을 종이에 작품화한 서고를 상기 나무판에 부착하는 단계; 나무판에서 글씨나 그림, 문양은 양각으로 남기고 여백부분은 파내는 단계; 글씨나 그림, 문양이 조각된 나무판을 목탄화하는 단계; 목탄화된 서각판을 채색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에 따라, 변형이나 부식이 전혀 없는 목탄판 위에 글씨, 그림, 문양 등을 조각하여 영구보존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전자의 선행특허는 종이와 먹의 물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수백 년 이상의 장기보존에 한계를 드러내고, 후자의 선행특허는 목판을 탄화하여 보존하는 것이므로 종이에 기록된 서화품의 보존에 적용하기 부적합한 면이 상당한 실정이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92002호 "동양화 표구 방법" (공개일자 : 2006. 8. 31.)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06959호 "목탄판을 이용한 서각판의 제작방법"(공개일자 : 2011. 1. 2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와 먹을 사용하는 전통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고문헌이나 문화재 등을 장기간 소장할 필요가 있는 각종 서화 작품들에 대해 반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서화품의 장기 보존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종이와 먹을 준비하는 단계; (b) 밀가루, 보리, 콩 등을 혼합하여 3~10년 동안 발효한 다음, 발효된 것을 다시 가열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재생성하여 형성된 중성풀을 이용하여 먹물을 생성하는 단계; (c) 종이에 서화를 기록하되, 스크린인쇄 기법으로 필름을 생성하여 편집하고 서화 작품을 제작하는 단계; 및 (d) 서화 작품을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계 (b)에서 먹을 증류수를 혼합시킨 1차 결과물에 중성풀을 혼합하여 2차 결과물을 생성하고, 2차 결과물을 밀폐상태로 냉장보관하면서 5~10일간 매일 1회 이상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계 (d)에서 서화 작품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와 먹을 사용하는 전통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고문헌이나 문화재로 소장할 필요가 있는 각종 서화작품 등을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존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존방법에 의한 서화품의 단면도
도 3(a)(b)(c)(d)(e)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존방법으로 완성된 서화품의 여러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서화품을 장기간 보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 서화품이나 귀중한 문헌 가운데서 문자 또는 그림을 흑백으로 표현한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통상의 칼라작품은 화려한 색상을 나타내지만 근본적으로 장기 보존에 부적합하므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예외적으로 탄소(carbon) 성분이 풍부한 칼라 먹을 사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단계 (a)는 종이와 먹을 준비하는 과정을 거친다. 종이는 pH 6~7 범위의 중성을 지닌 닥나무를 주로 사용하여 제조한다. 조선시대에 잡나무, 뽕나무, 짚 등의 펄프를 이용하여 만든 목판인쇄물은 종이 보존상태가 좋지 않은 반면, 고려시대에 닥나무 종이에 먹으로 기록한 글씨는 1000년 이상 깨끗한 상태로 보존되는 점에 착안한다. 먹은 문화재급 인사가 제조한 제품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아교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선택한다.
또, 본 발명의 단계 (b)는 중성풀을 이용하여 먹물을 생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중성을 지닌 종이에 중성풀을 이용한 중성의 먹을 사용하는 것이 장기보존의 요지이다. 중성풀이 아닌 일반 풀을 사용하는 경우 1~2년 사이에 황변현상이 발생하고 수년 이내에 종이는 물론 먹 글자의 변색이 심화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b)의 중성풀은 밀가루, 보리, 콩을 혼합하여 3~10년 동안 발효한 다음, 발효된 것을 다시 가열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재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가루, 보리, 콩 등의 혼합물을 발효하는 기간이 너무 짧으면 박테리아가 멸균되지 않아 부적합하고, 너무 길면 품질 향상에 비하여 생산에 요하는 공수가 크게 증가한다. 발효가 완료된 재료는 약한 불로 끓여서 끈적끈적하게 점도가 높은 페이스트 상태로 재 생성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b)에서 먹을 증류수와 혼합시킨 1차 결과물에 중성풀을 혼합하여 2차 결과물을 생성하고, 2차 결과물을 밀폐상태로 냉장보관하면서 5~10일간 매일 1회 이상 재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먹은 벼루에 수작업으로 갈 수도 있지만 별도의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여 다량으로 가는 것이 좋다. 먹과 증류수는 상온 조건을 기준으로 대략 2:8 부피의 비율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수나 정제수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은 멸균상태와도 관련된다. 특히 증류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중성 성질을 띠게 되어 중성 성질을 지닌 먹물 생산에 도움이 된다. 상기의 1차 생성물인 먹물에 중성풀을 혼합하면서 즉시 교반하여 2차 생성물의 먹물로 생성한다. 교반시간은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20~25℃ 내외의 상온을 기준으로 5~30분 수행한다. 2차 결과물로 생성된 먹물은 밀폐 상태에서 1~9℃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6℃ 내외로 냉장 보관하면서 매일 1회 이상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재 교반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2차 결과물의 먹물을 5~10일, 바람직하게는 7일 정도 매일 재 교반하면서 숙성하면 중성 먹물이 완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최종적인 중성 먹물은 먹, 중성풀, 증류수를 각각 15~25cc, 20~35cc, 40~60cc 비율로 유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결과물과 중성풀이 상호 완벽하고 안정적인 화학 결합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먹물 상태가 되어야 비로소 pH 6~7 범위의 중성을 지닌 닥나무 종이에 글자나 문자를 새겨도 수백 또는 수천 년의 장기보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단계 (c)는 종이에 각종 글자나 문양, 도안 등의 서화를 기록하는 과정을 거친다. 종이에 먹을 사용하여 서화를 기록하는 작업은 고도의 숙련이 필요하므로 문화재급 인력이 부족한 실정에서 가급적 현대적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c)에서 스크린인쇄 기법으로 필름을 생성하여 편집하고 서화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옵셋 인쇄나 그라비아 인쇄기법은 부적절하며, 품질유지와 생산 공수 절감의 측면에서 스크린인쇄가 선호된다. 실물 크기의 모형에서 카메라와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글자나 그림의 오염이나 훼손된 부분을 원본과 동일하도록 정교하게 재편집하고, 인쇄용 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 유제를 바르고 빛을 투과시켜 감광 이미지를 담은 제판을 획득한다. 이후 제판을 인쇄기에 고정한 상태에서 먹물을 투입하여 종이에 서화 작품을 인쇄한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종이(10) 상에 서화 작품을 기록한 먹(20)이 스며든 상태를 나타낸다. 먹(20)은 종이(10)의 전면에서 번짐이 없는 상태이고 확산되면서 내부로 스며들지만 이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균일한 인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수작업으로 곤란하며 스크린인쇄 방식에 의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단계 (d)는 서화 작품을 후처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서화 작품의 후처리는 장기 보존성을 좀 더 높이는 역할을 한다. 특히 중성의 종이에 중성의 먹물로 인쇄하여 탄소의 장기보존 유효성분을 최대한 피착할 수 있고, 또 중성 종이재에 중성 먹물이 투입되면 동일 성질의 종이와 글 등이 일체화되므로 종이 수명이 다할 때까지 글자 등의 보존상태가 양호해 지게 된다. 즉, 탄소가 풍부한 먹물의 경우 탄소의 휘발성은 극히 희박하므로 종이 변질을 막으면서 동등의 중성 성질을 가진 종이와 먹물로 글자 등을 새기게 되면 장기 보존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성질이 약간 다른 종이가 변질되면 그 종이에 새겨진 글자 입자와 종이 입자가 서로 분리되어 이탈되거나 또는 글자의 화학적 휘발로 인해 변색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지만 탄소를 머금은 중성 먹물과 중성의 종이 위에 글자 등을 새기면 변질 우려 불식뿐만 아니라 글자의 장기보존이 가능해 지는 작용 효과가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현대적 기술로 적절한 후처리를 거친다면 최소 1000년 이상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계 (d)에서 서화 작품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는 직사광선이나 열풍을 피하도록 항온 항습조에서 10~35℃의 온도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수분 함량 1-3% 이내로 건조된 작품은 별도의 액자에 수용하여 공기와 접촉을 줄이는 것도 하나의 방편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종이 20: 먹

Claims (4)

  1. (a) 종이와 먹을 준비하는 단계;
    (b) 밀가루, 보리, 콩 등을 혼합하여 3~10년 동안 발효한 다음, 발효된 것을 다시 가열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재생성하여 형성된 중성풀을 이용하여 먹물을 생성하는 단계;
    (c) 종이에 서화를 기록하되, 스크린인쇄 기법으로 필름을 생성하여 편집하고 서화 작품을 제작하는 단계; 및
    (d) 서화 작품을 후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먹을 증류수를 혼합한 1차 결과물에 중성풀을 혼합하여 2차 결과물을 생성하고, 2차 결과물을 밀폐상태로 냉장 보관하면서 5~10일간 매일 1회 이상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
  4. 삭제
KR1020130060832A 2013-05-29 2013-05-29 서화(書畵)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 KR10133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32A KR101331725B1 (ko) 2013-05-29 2013-05-29 서화(書畵)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832A KR101331725B1 (ko) 2013-05-29 2013-05-29 서화(書畵)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725B1 true KR101331725B1 (ko) 2013-11-20

Family

ID=4985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832A KR101331725B1 (ko) 2013-05-29 2013-05-29 서화(書畵)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9534A (zh) * 2015-12-10 2016-05-25 陕西师范大学 一种酥粉壁画加固保护剂及其制备和加固方法
CN114211909A (zh) * 2021-12-24 2022-03-22 四川长江职业学院 一种美术绘画作品用智能型保存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8100A (ja) * 1996-01-08 1997-07-22 Michinobu Tsunoda 毛筆書法における浮き出し文字の浮き出し方法と浮き出し文字
KR20010103346A (ko) * 2000-05-09 2001-11-23 이후근 패각 입자와 접착제 그리고 물감을 혼합하여 그림 밑칠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060095537A (ko) * 2006-07-21 2006-08-31 임관 동양화 표구 방법
JP2011084375A (ja) 2009-10-16 2011-04-28 Corona Corp 書画の保存方法及び書画の保存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8100A (ja) * 1996-01-08 1997-07-22 Michinobu Tsunoda 毛筆書法における浮き出し文字の浮き出し方法と浮き出し文字
KR20010103346A (ko) * 2000-05-09 2001-11-23 이후근 패각 입자와 접착제 그리고 물감을 혼합하여 그림 밑칠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060095537A (ko) * 2006-07-21 2006-08-31 임관 동양화 표구 방법
JP2011084375A (ja) 2009-10-16 2011-04-28 Corona Corp 書画の保存方法及び書画の保存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9534A (zh) * 2015-12-10 2016-05-25 陕西师范大学 一种酥粉壁画加固保护剂及其制备和加固方法
CN105599534B (zh) * 2015-12-10 2017-03-22 陕西师范大学 一种酥粉壁画加固保护剂及其制备和加固方法
CN114211909A (zh) * 2021-12-24 2022-03-22 四川长江职业学院 一种美术绘画作品用智能型保存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yer et al. American painters on technique: 1860-1945
KR101331725B1 (ko) 서화(書畵)품 장기 보존 인쇄방법
Goldman Looking at prints, drawings and watercolours: a guide to technical terms
CN106883677A (zh) 一种采用植物胶替代动物胶制备墨汁的方法
Beltinger et al. Painting in Tempera, c. 1900
KR20170011293A (ko) 서화(書畵)품의 장기보존 인쇄방법
Griffiths Notes on early Aquatint in England and France
Ding The application of Malay indigenous scientific and technical knowledge in the production of Malay manuscripts
CN102416819B (zh) 影画的制作方法
KR102425197B1 (ko) 비단용지의 제조 방법
Ijisakin et al. The making of prints: forms and techniques of printmaking in Nigeria
Bedenikovic et al. Non-aqueous Facing Methods in Paper Conservation–Part II: Application of a Facing on a Seventeenth Century Ink Drawing
JP2010168571A (ja) 展着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218298B (zh) 一种水墨陶瓷画制作新方法
Perusini et al. The use of tempera by painters and restores in Italy and Latin Europe, c. 1800-1870
Meher Tradition of palm leaf manuscripts in Orissa
Doherty et al. Looking at paintings: a guide to technical terms
Gilmour On Originality
Heppard Watercolor Batik: An Artist’S Guide to Watercolor Batik on Rice Paper
Jennings The New Artist's Manual: The Complete Guide to Painting and Drawing Materials and Techniques
Wahba Additional Information on Papyrus Manufacturing and Conservation
AT84663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ldnissen, Landschaften u. dgl.
Tsai et al. Line Up, Back to Back: Restoration of a Korean Buddhist Sutra in Accordion Book Format
DE474002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ffsetdruckplatten, bei welchem von einer geaetzten, mit Schwaerze versehenen Halbtonkupferplatte (Autotypie) auf ein Abdruckmedium ein Abdruck gemacht und dieser auf eine Zinkplatte reproduziert wird
DE320369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Druckmusters von Holzmaserungen auf Tiefdruckformen, die im Offsetdruck gedruckt werden sol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