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009B1 -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 - Google Patents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009B1
KR101331009B1 KR1020120019513A KR20120019513A KR101331009B1 KR 101331009 B1 KR101331009 B1 KR 101331009B1 KR 1020120019513 A KR1020120019513 A KR 1020120019513A KR 20120019513 A KR20120019513 A KR 20120019513A KR 101331009 B1 KR101331009 B1 KR 101331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diameter
mandrel
elastic body
end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878A (ko
Inventor
오수철
박근웅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0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21C47/30Drums or other coil-holders expansible or contractible

Abstract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맨드릴, 및 상기 맨드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텐션릴을 제공한다. 상기 슬리브는 내측의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탄성체 상에 결합된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켜 상기 슬리브 상에 강판을 1차 권취한다.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이 압박되어 내부의 텐션이 증가되도록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제1직경에서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으로 확장시킨다.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상기 제2직경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강판을 2차 권취한다.

Description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Reduction method of end-mark in coil type strip and w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철강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판의 권취설비 및 권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강판 공정에서 가공된 완제품은 텐션 릴에 최종 코일 형태로 권취되는데, 권취 작업에서 강판의 선단이 강판의 중간부분과 압착되면서 강판 선단의 단차에 따른 강판의 중간부분에 엔드마크(end-mark)가 발생된다. 도 8에는 소정의 두께(t)를 가지는 강판(S)을 원통형의 텐션릴(100)에 권취할 경우 나타나는 엔드마크(EM)가 나타나 있다.
텐션릴에 강판이 최초로 권취될 때, 강판의 두께(t)로 인하여 강판선단에서는 이 두께(t)만큼의 단차가 발생되며, 이러한 단차 위로 후행하는 강판이 계속 권취되어 강판 선단을 압박함에 따라 이러한 단차 위로 적층되는 강판에는 국부적으로 변형된 영역인 엔드마크(EM)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엔드마크(EM)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초기에 소정의 주기(P)를 가지고 강판의 선단(E)로부터 약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발생될 수 있다.
엔드마크는 코일형 강판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결함으로써 엔드마크가 발생된 부분은 보통 절단 된 후 스크랩 처리 된다. 따라서 강판 제조의 품질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엔드마크의 발생이 엄격히 제한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판을 코일 형태로 권취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엔드마크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권취설비 및 권취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이 제공된다. 원통형 맨드릴, 및 상기 맨드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텐션릴을 제공한다. 상기 슬리브는 내측의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탄성체 상에 결합된 제2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켜 상기 슬리브 상에 강판을 1차 권취한다.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이 압박되어 내부의 텐션이 증가되도록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제1직경에서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으로 확장시킨다.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상기 제2직경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강판을 2차 권취한다.
상기 엔드마크 감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탄성체의 경도가 상기 제1탄성체의 경도보다 작도록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의 선단부가 상기 제2탄성체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제2탄성체 내부로 눌러지도록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엔드마크 감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의 경도는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의 선단부가 상기 제1탄성체 표면상에서 지지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엔드마크 감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에 발생된 엔드마크가 재배열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엔드마크 감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의 권취수가 1 내지 5인 경우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엔드마크 감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텐션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강판의 선단부가 일정한 거리만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드마크 감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선단부가 후퇴한 거리가 상기 맨드릴 직경의 증가분에 π를 곱한 값에 비해 더 작은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엔드마크 감소방법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의 선단부가 상기 제2탄성체 내부로 상기 강판의 두께의 약 30 내지 50% 범위의 깊이만큼 눌러지도록 수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형 강판에서 나타나는 엔드마크의 발생을 억제시켜 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엔드마크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엔드마크 부분을 절단하여 스크랩 처리함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강판의 권취설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귄취설비에서 텐션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텐션릴의 모드 변화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강판의 권취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권취방법에 따라 엔드마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통상적인 코일형 강판의 권취 시 엔드마크 발생을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강판의 권취설비(10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권취설비(100)는 냉연강판을 최종 코일형태의 제품으로 권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취설비(100)는 강판(S)을 코일 형태로 권취하는 텐션릴(101), 강판(S)의 선단부의 진행방향을 텐션릴(101)쪽으로 전환시키는 디프렉트 핀치롤(102), 디프렉트 핀치롤(102)에 의해 진행방향이 전환된 강판(S)을 텐션릴(101)쪽으로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스레딩테이블(103), 강판(S)이 텐션릴(101)에 용이하게 권취되게 하기 위해 초기권취를 유도하는 벨트래퍼(104), 코일권취가 완료된 후 강판(S)을 절단하는 절단기(10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권취설비(100)를 이용한 강판의 코일형 권취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압연 및 최종 표면처리까지 완료된 강판(S)은 코일형태의 최종제품으로 출하되기 위해 권취설비(100)로 일정한 선속도를 가지고 투입된다. 권취설비(100)에 투입된 강판(S)은 디프렉트 핀치롤(102)에 의해 강판(S)의 선단부가 텐션릴(101)쪽으로 전환된 후 스레딩테이블(103)에 의해 가이드되어 텐션릴(101)에 진입된다.
이때 텐션릴(101)은 진입되는 강판을 단독으로 권치하지 못하며, 이에 벨트래퍼(104)의 도움을 받아 초기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밸트랩퍼(104)는 권취가 수행될 시 도 1과 같이 텐션릴(101)쪽으로 전진하여 텐션릴(101)을 감싸주게 되며, 이때 전진하는 강판(S)은 밸트랩퍼(104)의 안내를 받아 텐션릴(101)의 외주면으로 2 내지 3바퀴 정도 권취된다.
밸트랩퍼(104)의 도움 없이도 텐션릴(101)의 회전력에 의해 강판(S)의 권취가 가능하게 되면 밸트랩퍼(104)는 텐션릴(101)로부터 후퇴된다. 텐션릴(101)은 강판(S)의 선속도에 비해 더 빠른 선속도, 예를 들어 약 20%정도 더 빠른 선속도를 가지고 회전된다. 따라서 텐션릴(101)이 단독으로 강판(S)을 권취하게 되면 텐션릴(101)의 회전선속도와 강판(S)의 투입선속도간의 차이에 의해 강판(S)에 일정한 텐션이 걸리게 된다.
강판(S)이 목적하는 길이만큼 권취된 후에는 절단기(105)에 의해 절단되며, 권취가 완료된 코일은 코일카(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도 2는 도 1의 귄취설비에서 텐션릴(101)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텐션릴(101)은 원통형 맨드릴(201)과, 맨드릴(2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슬리브(202)를 포함할 수 있다. 맨드릴(201)은 텐션릴(101)에 권취력을 부여하도록 동력(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슬리브(202)는 강판(S)이 미끄러지지 않고 권취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202)는 내측의 제1탄성체(203)와 이러한 제1탄성체(203) 상에 결합된 제2탄성체(204)를 포함할 수 있다. 맨드릴(201)이 회전함에 따라서, 강판(S)은 이러한 슬리브(202), 특히 제2탄성체(204) 상에 권취되어, 코일(50) 구조가 될 수 있다.
탄성체 슬리브(202)는 통상 고무와 같은 유연소재로 이루어진 탄성체이며, 권취되기 위해 진입되는 강판(S)이 맨드릴(201)에 직접 부딪혀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권취되는 강판(S)과 맨드릴(201)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202)는 고무 재질 내에 보강 섬유를 배열시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특수 접착성 수지가 배합된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 보강섬유와 고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탄성체(203)와 제2탄성체(204)는 서로 다른 탄성력 또는 경도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탄성체(20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판(S)의 선단부가 누르면서 들어갈 수 있도록 낮은 경도를 갖고, 반면 제1탄성체(204)는 강판(S)의 선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2탄성체(204)보다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탄성체(204)는 제2탄성체(203)보다 약 10 내지 30% 정도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제1탄성체(204)는 쇼어 경도계로 80ㅁ10 값을 갖고, 제2탄성체(203)는 70ㅁ10 값을 가질 수 있다.
맨드릴(201)은 원통형을 가지면 그 직경(D)이 가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맨드릴(201)은 원통형 내부를 관통하는 샤프트에 경사진 계단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 웨지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웨지의 외측에 복수개로 분할된 세그먼트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가 맨드릴(201)의 길이방향의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슬라이딩 웨지가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슬라이딩 웨지의 이동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각각은 맨드릴(201)의 직경이 증가되거나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맨드릴의 직경(D) 변화에 따라 텐션릴(101)은 도 3a 내지 3c와 같이 확대모드, 중간모드 및 축소모드를 가질 수 있다. 확대모드(도 3a)는 강판(S)의 권취 작업 중의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맨드릴(201)은 텐션릴(101)의 외경이 코일(50)의 내경과 일치되게 하거나 진원이 되도록 보상되도록 슬리브(202)의 탄성범위 내에서 직경(D11)까지 팽창될 수 있다.
중간모드(도 3b)는 권취가 완료된 코일(50)을 인출하기 위하여 맨드릴(201)의 직경을 확대모드의 직경(D11)에 비해 작은 직경(D12)로 감소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중간모드에서는 맨드릴(201)을 축소시켜 슬리브(202)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됨에 따라 발생되는 텐션릴(101)의 외경과 코일(50)의 내경에 일정 간격의 틈(C1)을 이용하여 권취된 코일(50)을 텐션릴(10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축소모드(도 3c)는 맨드릴(201)로부터 슬리브(202)를 인출하기 위하여 맨드릴(201)의 직경(D)을 슬리브(202)의 내경보다 더 작은 직경(D130으로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축소모드에서는, 슬리브(202)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맨드릴(201)의 직경을 축소모드로 한 후 맨드릴(201)로부터 슬리브(202)를 인출한 후 새로운 슬리브(202)를 다시 끼우게 된다.
이러한 권취설비(100)를 이용하여 강판(S)의 초기권취 단계에서 텐션릴(101)의 외경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코일(50) 내 엔드마크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형 강판의 권취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권취방법에 따라 엔드마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같이 참조하면, 맨드릴(201) 및 슬리브(202)를 포함하는 텐션릴(101)을 제공할 수 있다(S10). 예를 들어, 텐션릴(101)은 도 1의 권취설비(100)와 함께 준비될 수 있다.
이어서, 텐션릴(101)을 회전시켜 슬리브(202) 상에 강판(S)을 1차 권취할 수 있다(S20). 예를 들어, 권취설비(100)에 강판(S)이 투입되면 텐션릴(101)을 구성하는 맨드릴(201)이 제1직경(D1)을 가지는 상태에서 강판(S)의 권취를 수행할 수 있다. 맨드릴(201)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탄성체(203) 및 제2탄성체(204)를 포함하는 슬리브(202)가 끼워져 있으며, 그 상부로 강판(S)이 권취되게 된다. 권취초기에는 강판(S)의 선단부(E)의 두께에 기인한 단차로 선단부(E) 위로 순차 적층되는 강판(S)에는 국부적으로 엔드마크(EM)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1차 권취단계(S10)는 엔드마크(EM)가 발생되는 초기권취 시기로 강판(S)의 권취수가 약 1 내지 5에 이를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권취 단계(S10)는 강판(S)에 발생되는 엔드마크(EM) 정도에 따라서 그 권취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같이 참조하면, 맨드릴(201)의 직경을 제1직경(D1) 보다 더 큰 제2직경(D2)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S20). 이와 같이, 맨드릴(201)의 직경이 확장됨에 따라 텐션릴(101)의 직경이 증가되게 되며, 이에 따라 1차 권취된 강판(S)이 압박되어 그 내부의 텐션이 증가하게 된다. 예컨대, 맨드릴(201)이 확장되면서 텐션릴(101)의 외주면(즉 탄성체 슬리브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던 강판(S)을 원주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밀어냄에 따라 강판(S)에 걸리는 텐션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확장 단계(S20)는 텐션릴(101)을 소정 회수만큼 회전시켜 강판(S)을 감으면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확장 단계(S20)에서 맨드릴(201)이 약 0.5 내지 1회 회전되면서 강판(S)이 일부 권취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단계(S20)에서, 1차 권취된 강판(S)의 선단부(E)가 증가된 내부 텐션에 의해서 슬리브(202) 표면상의 제2탄성체(204)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의 선단부(E)가 제2탄성체(204)의 표면을 탄성적으로 누르면서 안쪽으로 들어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강판(S)의 선단부(E)가 제2탄성체(204)의 내부로 눌러짐에 따라서 엔드마크(EM)가 감소될 수 있다. 텐션릴(1O1)의 확장에 대응하여 강판 선단부(E)에 인가되는 압력에 비례하여 강판 선단부(E)가 슬리브(202)의 내부로 더 깊이 박힐 수 있다.
이 경우, 강판 선단부(E)는 제2탄성체(204)의 표면 부분을 국부적으로 누르거나 또는 텐션이 강해지면 제2탄성체(204)를 수직 방향으로 강하게 누를 수 있고, 이 경우 제1탄성체(203)는 강판 선단부(E)가 더 이상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그 표면 상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그 경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판 선단부(E)는 강판(S)의 전체두께의 약 30 내지 50% 범위의 깊이만큼 제2탄성체(204)를 누르도록 수행할 수 있다. 강판 선단부(E)는 강판 두께에 기인한 단차를 제공하여 엔드마크 발생의 원인이 되는 부분인바, 강판 선단부(E)가 일정한 깊이만큼 슬리브(202)에 박힘에 따라 강판 선단부(E)에서의 실질적인 단차는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단차감소로 인하여 강판 선단부(E)에서의 엔드마크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맨드릴(201)의 직경 증가는 텐션릴(101)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강판 선단부(E)가 텐션릴(10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후퇴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즉, 맨드릴(201)의 직경이 증가되면서 이에 비례하여 텐션릴(101)의 외주길이가 증가되면서 권취된 강판(S)에 텐션이 인가되는바, 구속되지 않은 강판 선단부(E)가 일정 거리만큼 텐션릴(10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다만, 강판(S)의 선단부(E)가 제2탄성체(204) 내로 많이 들어간 경우, 이러한 후퇴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강판 선단부(E)의 후퇴거리는 맨드릴(201) 직경의 증가분에 기인한 텐션릴(101)의 외주길이의 증가분에 비해 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맨드릴(201)의 직경 증가분, 즉 텐션릴(101)의 직경 증가분이 ΔL이라고 하면, 텐션릴(101)의 외주길이 증가분은 π·ΔL로 표현된다. 따라서 강판 선단부(E)의 후퇴거리는 π·ΔL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게 된다. 실험예로서 맨드릴(201)의 직경을 500mm에서 508mm로 증가시켜 ΔL이 8mm인 경우, π·ΔL은 25.12mm이나, 실제 강판 선단부(E)의 후퇴거리는 약 20mm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π·ΔL의 값과 강판 선단부(E)의 후퇴거리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1차 권취 단계(S10)에서 텐션릴(101)에 권취되었던 강판(S)의 권취구조 상에 미세하게 존재하였던 틈 또는 간격이 확장 단계(S20)에서 텐션릴(101)의 직경확장에 따른 강판간의 압착에 의해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즉, 상기 π·ΔL의 값과 강판 선단부(E)의 후퇴거리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1차 권취 단계(S10)에서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권취되었던 강판이 확장 단계(S20)를 거치면서 더욱 더 단단하고 치밀하게 서로 압착하게 되며, 이러한 차이가 클수록 강판은 더욱 더 서로 압착하게 된다.
한편, 강판 선단부(E)의 후퇴를 통하여 강판 선단부(E)에 잔류하는 절단 버(burr)의 제거할 수 있다. 강판 선단부(E)는 절단기에 의해 절단될 때 잘려나가지 않은 일부분이 매달려 있는 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할 시, 확장 단계(S20)에서 강판 선단부(E)가 슬리브(202)의 외주면을 따라 텐션릴(10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후퇴되는 과정에서 슬리브(202)의 마찰접촉에 의해 강판 선단부(E)에 잔류하는 버가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따라서 강판 선단부(E)에 불필요하게 잔류하는 버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확장 단계(S20)에서는 이러한 강판 선단부(E)가 후퇴되면서 1차 권취 단계(S10)에서 발생한 엔드마크(EM)도 재배열되도록 맨드릴(201)이 회전되면서 진행될 수 있다. 맨드릴(201)의 직경 증가에 따라 1차 권취되었던 강판(S)에 텐션을 가하게 되며, 이러한 텐션으로 재배열 과정에 있는 엔드마크(EM)를 강판(S)의 면방향으로 신장시켜 강판(S)의 일부분에 국부적으로 솟아오른 엔드마크(EM)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드마크(EM)의 상당부분이 제거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도 6에는 확장 단계(S20)가 완료된 후 강판 선단부(E)가 θ만큼 후퇴하고 1차 권취 단계(S10)에서 발생하였던 엔드마크(EM)가 모두 제거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확장 단계(S20)는 권취 초기에 수행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예를 들어 강판의 권취수가 1 내지 5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맨드릴(201)의 직경을 제2직경(D2)으로 유지하면서 강판(S)을 2차 권취할 수 있다(S30). 이러한 단계는 엔드마크(EM)가 감소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된 상태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강판(S)은 엔드마크 생성 없이 고품질로 권취될 수 있다. 대부분의 강판(S)은 이러한 2차 권취 단계(S30)에서 권취되어 코일(50)을 만들게 된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11)

  1. 원통형 맨드릴, 및 상기 맨드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내측의 제1탄성체 및 상기 제1탄성체 상에 결합된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텐션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텐션릴을 회전시켜 상기 슬리브 상에 강판을 1차 권취하는 단계;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이 압박되어 내부의 텐션이 증가되도록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제1직경에서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으로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상기 제2직경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강판을 2차 권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텐션릴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강판의 선단부가 일정한 거리만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판의 선단부가 후퇴한 거리가 상기 맨드릴 직경의 증가분(ΔL)에 π를 곱한 값에 비해 더 작은 조건을 만족하며, 상기 확장 전에 발생된 엔드마크가 재배열되면서 상기 강판의 텐션 증가에 의해 상기 엔드마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마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는 단계는, 상기 강판의 텐션 증가에 의하여 재배열되는 상기 엔드마크를 눌러 상기 강판의 면방향으로 신장시켜 상기 엔드마크의 높이를 감소시켜 이루어지는, 코일형 강판제품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탄성체의 경도가 상기 제1탄성체의 경도보다 작도록 선택되고,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의 선단부가 상기 제2탄성체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제2탄성체 내부로 눌러지도록 수행하는,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의 경도는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의 선단부가 상기 제1탄성체 표면상에서 지지되도록 선택된,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의 권취수가 1 내지 5인 경우에 수행하는,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1차 권취된 강판의 선단부가 상기 제2탄성체 내부로 상기 강판의 두께의 30 내지 50% 범위의 깊이만큼 눌러지도록 수행하는,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맨드릴을 0.5 내지 1회 회전시키면서 수행하는,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19513A 2012-02-27 2012-02-27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 KR101331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13A KR101331009B1 (ko) 2012-02-27 2012-02-27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13A KR101331009B1 (ko) 2012-02-27 2012-02-27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878A KR20130097878A (ko) 2013-09-04
KR101331009B1 true KR101331009B1 (ko) 2013-11-19

Family

ID=4945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513A KR101331009B1 (ko) 2012-02-27 2012-02-27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0148A (zh) * 2015-09-17 2016-02-03 四川金广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冷轧不锈钢带卷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963B1 (ko) 2016-12-07 2018-10-11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권취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699A (ja) * 1997-03-24 1998-10-06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巻き取り方法
JP2000343118A (ja) * 1999-06-03 2000-12-12 Nkk Corp 鋼帯の巻取り方法
KR20020052720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스트립 탑부 눌림마크 저감부재
KR20040084047A (ko) * 2003-03-26 2004-10-06 주식회사 포스코 앤드마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권취용 텐션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3699A (ja) * 1997-03-24 1998-10-06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巻き取り方法
JP2000343118A (ja) * 1999-06-03 2000-12-12 Nkk Corp 鋼帯の巻取り方法
KR20020052720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스트립 탑부 눌림마크 저감부재
KR20040084047A (ko) * 2003-03-26 2004-10-06 주식회사 포스코 앤드마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권취용 텐션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0148A (zh) * 2015-09-17 2016-02-03 四川金广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冷轧不锈钢带卷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878A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376B2 (ja) ウエブ巻取り方法及び巻取装置
CA2682268A1 (en) Spreadable coiler drum
CN105052021A (zh) 用于生产电机的铁心的方法和装置
KR101331009B1 (ko) 코일형 강판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및 그 권취설비
US851668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stator core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101331008B1 (ko) 코일형 강판제품의 엔드마크 감소방법
JP5662073B2 (ja) 帯状体の巻取り方法及び装置
EP2266904A3 (en) Foil roll with wound stiffening core, apparatus for winding the roll and method
KR101193994B1 (ko) 권철심 코어의 권취방법
JP5661312B2 (ja) 巻芯
JP4329164B2 (ja) 鋼帯の巻取り方法
JP5353236B2 (ja) 厚肉高強度熱延鋼板コイルの巻き取り・抜き出し方法およびその巻き取り装置
JP2013142045A (ja) 帯状体の巻取り方法及び装置
KR200255824Y1 (ko) 나선형 홈을 맨드렐 세그멘트 표면에 갖는 코일 권취기
US4570141A (en) Wound core for an electric transformer
JP2007196268A (ja) グリッパを有するテンションリール、金属帯の巻取り方法及び装置
JP3829858B2 (ja) 金属帯巻取り装置及び金属帯の製造方法
JPH10263699A (ja) 金属帯の巻き取り方法
RU244020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амотки тонкого проката в рулон
JP2009050887A (ja) 熱延金属帯の巻取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延金属帯の製造方法
JP5353258B2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巻き取り装置
JP2003245716A (ja) 金属帯の巻取装置
JP3702853B2 (ja) 薄鋼帯の巻取り方法
JPH0952120A (ja) 金属帯の巻取り方法
KR101639566B1 (ko) 박판 코일 권취기의 코일 슬립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