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684B1 - 액체 분리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분리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84B1
KR101330684B1 KR1020120032473A KR20120032473A KR101330684B1 KR 101330684 B1 KR101330684 B1 KR 101330684B1 KR 1020120032473 A KR1020120032473 A KR 1020120032473A KR 20120032473 A KR20120032473 A KR 20120032473A KR 101330684 B1 KR101330684 B1 KR 101330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gravity
liquid
sliding door
container
low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468A (ko
Inventor
이윤모
권혁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8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10Slag pots; Slag 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5Means to collect the slag or spilled metal, e.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액체 분리배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분리배출장치는, 내부에 고비중 액체 및 저비중 액체가 수용 가능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저비중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용기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 가능하며, 상기 고비중 액체의 비중보다 작고 상기 저비중 액체의 비중보다 큰 비중을 가져 상기 저비중 액체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이후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슬라이딩 도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분리배출장치{LIQUID SEPARATION AND E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 분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강공정에서 슬래그를 수용하는 용기인 슬래그 포트에서 슬래그 배출 방법은 슬래그 포트를 기울여 슬래그를 서냉로에 붓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슬래그를 배출시 슬래그 구성 성분의 비중차에 관계없이 고비중 슬래그와 저비중 슬래그가 함께 배출되어 이를 재활용함에 있어 그 용도가 제한적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42519호(2003.06.02 공개, 슬래그 포트의 슬래그 분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슬래그 등의 액체를 비중에 따라 분리하여 배출하는 액체 분리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체 분리배출장치는, 내부에 고비중 액체 및 저비중 액체가 수용 가능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저비중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용기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 가능하며, 상기 고비중 액체의 비중보다 작고 상기 저비중 액체의 비중보다 큰 비중을 가져 상기 저비중 액체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이후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슬라이딩 도어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도어부는, 상기 용기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부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분리배출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비중 액체 및 상기 저비중 액체는 슬래그일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부는 내화(耐火)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배출구는 상기 용기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비중 액체 및 저비중 액체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리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리배출장치를 기울임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부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리배출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포트 담긴 슬래그를 비중차에 따라 분리하는 장치인 액체 분리배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액체 분리 배출장치는 용기(10), 용기(10)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20), 슬라이딩 도어부(30)를 포함한다.
용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비중 액체(200) 및 저비중 액체(10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1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 상부가 밀폐된 용기(10) 일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일반적으로 뜨거운 슬래그를 수용 가능하도록 내화성, 내열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0)는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10)를 기울여 용기(10) 안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0)는 용기(10)의 상부측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된 액체는 다른 용기(10)로 수용될 수 있고, 액체가 슬래그인 경우 다른 용기(10)는 서냉로일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부(30)는 용기(10)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2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30)는 상기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유동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부(30)는 상기 용기(10)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도어부(30)는 용기(10)에 수용된 고비중 액체(200) 및 저비중 액체(100)의 중간 비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30)의 비중은 상기 고비중 액체(200)의 비중보다는 작고, 상기 저비중 액체(100)의 비중보다는 큰 비중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비중 액체(200)와 상기 저비중 액체(1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고비중 액체(200) 및 저비중 액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중 차이에 의하여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를 배출구(20)가 형성된 측으로 기울여 용기(10) 안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고비중 액체(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저비중 액체(100)가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용기(10)의 기울임에 따라 용기(10) 안의 액체는 유동하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부(30)도 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임의 정도를 증가시키면, 용기(10)안의 저비중 액체(100)가 모두 배출구(20)밖으로 배출되고, 고비중 액체(200)의 상부 측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도어부(30)는 배출구(20)를 폐쇄하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부(30)가 배출구(20)를 폐쇄하면 폐쇄된 용기(10) 안에는 고비중 액체(200)만 남게 되어 고비중 액체(200)와 저비중 액체(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부(30)는 슬라이딩 도어(31) 및 부력체(3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31)의 하측으로 레일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게 용기(10)의 측면에는 레일이 형성되어 용기(10)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도어(31)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부력체(32)는 슬라이딩 도어(31)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30)의 전체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부(30) 전체의 비중이 용기(10) 안의 고비중 액체(200)와 저비중 액체(100)의 사이가 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비중이 높은 슬라이딩 도어(31)에 비중이 작은 부력체(32)가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부(30) 전체 비중을 고비중 액체(200)의 비중보다는 작고, 저비중 액체(100)의 비중보다는 크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용기(10) 안에 수용되는 액체가 슬래그인 경우, 슬라이딩 도어 및 부력체(32)는 내열성, 내화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고비중 슬래그와 저비중 슬래그의 혼합된 슬래그는 활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리장치를 제강공정에서 슬래그를 수용하는 용기에 사용하는 경우, 철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고비중 슬래그를 제강공정에 재사용할 수 있게 되고, 저비중 슬래그는 파쇄, 자력 선별하여 건자재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용기
20: 배출구
30: 슬라이딩 도어부
31: 슬라이딩 도어
32: 부력체
100: 저비중 액체
200: 고비중 액체

Claims (6)

  1. 내부에 고비중 액체 및 저비중 액체가 수용 가능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기울임에 의해 상기 저비중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용기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 가능하며, 상기 고비중 액체의 비중보다 작고 상기 저비중 액체의 비중보다 큰 비중을 가져 상기 저비중 액체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이후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슬라이딩 도어부를 포함하는 액체 분리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는,
    상기 용기의 내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액체 분리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액체 분리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중 액체 및 상기 저비중 액체는 슬래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부는 내화(耐火)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배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용기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리배출장치.
KR1020120032473A 2012-03-29 2012-03-29 액체 분리배출장치 KR101330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73A KR101330684B1 (ko) 2012-03-29 2012-03-29 액체 분리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73A KR101330684B1 (ko) 2012-03-29 2012-03-29 액체 분리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68A KR20130110468A (ko) 2013-10-10
KR101330684B1 true KR101330684B1 (ko) 2013-11-18

Family

ID=4963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473A KR101330684B1 (ko) 2012-03-29 2012-03-29 액체 분리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6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99U (ja) * 1992-06-08 1994-03-25 株式会社ニッコー 炉底出鋼口開閉装置
KR19980026182A (ko) * 1996-10-08 1998-07-15 김종진 합성슬래그를 이용한 전로 슬래그 유출방지방법 및 장치
KR20030021393A (ko) * 2001-09-06 2003-03-15 이승환 슬래그 유출 방지용 다트
JP2004084319A (ja) 2002-08-27 2004-03-18 Yonden Engineering Co Ltd 昇降ゲート式取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99U (ja) * 1992-06-08 1994-03-25 株式会社ニッコー 炉底出鋼口開閉装置
KR19980026182A (ko) * 1996-10-08 1998-07-15 김종진 합성슬래그를 이용한 전로 슬래그 유출방지방법 및 장치
KR20030021393A (ko) * 2001-09-06 2003-03-15 이승환 슬래그 유출 방지용 다트
JP2004084319A (ja) 2002-08-27 2004-03-18 Yonden Engineering Co Ltd 昇降ゲート式取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68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9680B2 (ja) 取鍋底部
CN102935499A (zh) 一种为给汤机配套的汤杯
Janis et al. A study of cluster characteristics in liquid stainless steel and in a clogged nozzle
KR101330684B1 (ko) 액체 분리배출장치
DK150253B (da) Ovnkar til en vippelig lysbueovn
Sankaranarayanan et al. Slag entraining vortexing funnel formation during ladle teeming: similarity criteria and scale-up relationships
CZ20004642A3 (cs) Způsob a zařízení k utěsňování odpichového otvoru v metalurgických nádobách
RU2721764C2 (ru) Способ и емкость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образца сплава для анализа
RU2593042C1 (ru) Способ для открытия и закрытия выпускного отверсти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плавильной емкости
US20120217272A1 (en) Fireproof unit for a sliding closure at the spout of a container for metal melt
CA1331510C (en) Stopper for retaining slag and process for implementation and manufacture thereof
CN101151499A (zh) 经金属熔化器底表面上的排出口排空熔化器液态金属主要部分的方法,实施方法的金属熔化器和实施方法的主要作业的连续程序
KR101294990B1 (ko) 쇳물공급시 이물질 제거장치
KR101830172B1 (ko) 액체 쏟음 방지용 액체 용기 내부마개
KR20100035821A (ko) 턴디쉬
KR20100019068A (ko) 기름 분리용 용기
KR20100126139A (ko) 기도막힘방지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Ren Bubbles Generation under Turbulent Conditions within a Steelmaking Ladle Shroud: A Water Modeling and CFD Study
KR101356861B1 (ko) 고 청정 용강 정련 장치
US20180001376A1 (en) Tundish for a continuous casting plant
KR101321492B1 (ko) 고체 슬래그의 배출을 방지하는 슬래그 포트
KR100944017B1 (ko) 보온컵
US200700574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molten metal
KR101672014B1 (ko) 상 분리 장치
CN207618997U (zh) 一种实验室二次萃取分液漏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