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939B1 -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939B1
KR101329939B1 KR1020070065364A KR20070065364A KR101329939B1 KR 101329939 B1 KR101329939 B1 KR 101329939B1 KR 1020070065364 A KR1020070065364 A KR 1020070065364A KR 20070065364 A KR20070065364 A KR 20070065364A KR 101329939 B1 KR101329939 B1 KR 101329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obot
intelligent robot
us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172A (ko
Inventor
류창선
김재인
구명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65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9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06N3/008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based on physical entities controlled by simulated intelligence so as to replicate intelligent life forms, e.g. based on robots replicating pets or humans in their appearance or behavi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로봇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숙련도 및 경험도와, 로봇의 기능 및 사양 등을 고려해 멀티모달 방식을 통해 서로 다른 다양한 환경을 갖는 각 사용자에게 해당 환경에 맞는 최적의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등을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능형 로봇으로부터 사용법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지능형 로봇 및 상기 지능형 로봇 소유자[이하 "사용자"라 함]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로 정당한 지능형 로봇 및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 성공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지능형 로봇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한 사용자 정보 및 지능형 로봇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측의 지능형 로봇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사용법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법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한 지능형 로봇 정보를 통해 상기 지능형 로봇이 실행 가능한 데이터 포맷을 확인하여, 멀티모달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법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상기 지능형 로봇에게 전송한다.
지능형 로봇,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성별, 연령대, 숙련도, 경험도, 기능, 사양, 멀티모달

Description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he manual of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robot service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20, 30 : 지능형 로봇
50 :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
60 : DB 서버 61 : 사용자 인증정보 DB
62 : 사용자 프로파일 DB 63 : 로봇 프로파일 DB
64 : 사용자 이용정보 DB 70 : 멀티모달 시스템
80 :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 81 : 콘텐츠 DB
본 발명은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능형 로봇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숙련도 및 경험도와, 로봇의 기능 및 사양 등을 고려해 멀티모달 방식을 통해 서로 다른 다양한 환경을 갖는 각 사용자에게 해당 환경에 맞는 최적의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등을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지능형 로봇[일명 "URC(Ubiquitous Robotic Companion) 로봇"이라고도 함] 기술 발전에 힘입어 인터넷에 접속한 로봇을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예컨대, 이러한 지능형 로봇은 사용자와의 의사소통, 사용자 명령에 감정 반응, 특정 상황에서의 액션 반응 등을 통해 뉴스, 날씨, 교육 콘텐츠, 일정 알림, 모닝콜, 홈 모니터링, 청소 등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지능형 로봇의 사양, 기능, 제공 서비스 및 그 형상은 모두 제각각이며, 이에 각 사용자들은 자신의 이용 목적 및 취향 등에 따라 해당되는 지능형 로봇을 구매하고 있다.
한편,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로봇에서는 사용자간의 인터랙티브한 양방향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하나의 동일한 내용을 갖는 콘텐츠이더라도 상기 지능형 로봇의 콘텐츠 실행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로 각각 제공하고 있는 형편이다.
앞서 언급한 지능형 로봇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102601호(발명의 명칭: "로봇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로봇 콘텐츠를 구매한 사용자 측의 로봇에게 해당 콘텐츠를 전송하는 방식에 대해 언급하고 있을 뿐, 사용자가 자신이 구매한 로봇 콘텐츠를 어떻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해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즉, H/W 업그레이드, S/W 업그레이드 등에 따른 지능형 로봇의 기능, 사양 변경,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른 로봇 콘텐츠 출시, 사용자와 지능형 로봇간의 보다 인터랙티브한 의사소통을 위한 로봇 서비스 런칭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지능형 로봇을 구매한 이후로 새로운 로봇 기능, 새로운 로봇 콘텐츠, 새로운 로봇 서비스 등이 수없이 제공되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새로운 로봇 기능/콘텐츠/서비스 등에 대해 그 사용법을 인지해야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앞서 언급한 새로운 로봇 기능/콘텐츠/서비스 등에 대해 오프라인 상에서 로봇 판매점의 직원에 의해 전화, 이메일 등을 통한 구두로 사용법 설명, PDF 형식의 매뉴얼 제공 등을 통해서만 그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주지시켜주는 정도로 그치고 있다.
예컨대, 종래기술에 있어 지능형 로봇 제조업체, 지능형 로봇 운용업체, 로 봇 콘텐츠/서비스 제공업체 등에서는 자사의 수많은 지능형 로봇 출시 이후에 계속적으로 등장하는 각종 새로운 로봇 기능/콘텐츠/서비스 등에 대해 사용자에게 해당 사용법을 주지시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서는 로봇 판매점 직원이 사용자로부터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등을 요구받는 경우에 이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취향, 사용 숙련도, 이용 목적과 로봇의 기능, 사양 등에 대해 아는 바가 없기 때문에 모든 고객 사항을 일일이 체크해 가면서 그에 적합한 사용법을 찾아 알려 주고 있는 형편이며, 이는 지능형 로봇 산업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 더구나, IT 환경에 미숙한 노인, 유아, 주부 등에게 구두에 의한 설명 및 매뉴얼 문서 배포 등으로는 신규 로봇 기능/콘텐츠/서비스 사용법을 제공하는데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능형 로봇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숙련도 및 경험도와, 로봇의 기능 및 사양 등을 고려해 멀티모달 방식을 통해 서로 다른 다양한 환경을 갖는 각 사용자에게 해당 환경에 맞는 최적의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등을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에 있어서, 지능형 로봇으로부터 사용법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지능형 로봇 및 상기 지능형 로봇 소유자[이하 "사용자"라 함]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로 정당한 지능형 로봇 및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 성공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지능형 로봇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한 사용자 정보 및 지능형 로봇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측의 지능형 로봇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사용법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법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한 지능형 로봇 정보를 통해 상기 지능형 로봇이 실행 가능한 데이터 포맷을 확인하여, 멀티모달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법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상기 지능형 로봇에게 전송한다.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에 있어 각 댁내[홈A, 홈B 및 홈C]에는 홈 네트워크 상의 홈게이트웨이(11, 21, 31)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되는 각각의 지능형 로봇(10, 20, 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인터넷 상에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 DB 서버(60), 멀티모달 시스템(70) 및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DB 서버(60)에는 사용자 인증정보 DB(61), 사용자 프로파일 DB(62), 로봇 프로파일 DB(63), 사용자 이용정보 DB(64) 및 사용자 변경정보 DB(6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모달 시스템(70)에는 음성인식 서버(71), 음성합성 서버(72), 동기화 서버(73), 비디오 서버(74) 및 펜/터치패드 서버(7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에는 콘텐츠 DB(81)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 DB 서버(60)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 로봇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지능형 로봇(10, 20, 3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숙련도 및 경험도와, 로봇의 기능 및 사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에 의해 각 지능형 로봇(10, 20, 30)에게 제공되는 각종 로봇 업그레이드 데이터, 각종 콘텐츠 데이터 및 각종 서비스 데이터 등에 대해, 상기 서로 다른 다양한 환경을 갖는 각 지능형 로봇 측의 각각의 사용자에게 해당 환경에 맞는 최적의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등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각 사용자 측의 지능형 로봇(10, 20, 30)의 기능, 사양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탑재 프로그램 등이 서로 상이한데, 이러한 이기종 지능형 로봇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지능형 로봇(10, 20, 30)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서비스 등도 서로 상이하며, 각각의 지능형 로봇(10, 20, 30)의 조작 방식, 사용자에게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출력 방식 또한 서로 상이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A측의 지능형 로봇A(10)는 펫(pet) 기능이 구비된 강아지 로봇이고, 사용자B측의 지능형 로봇B(20) 및 사용자C측의 지능형 로봇C(30) 각각은 청소 기능이 구비된 로봇인데, 여기서 상기 지능형 로봇B(20) 및 지능형 로봇C(30)는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그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서로 상이, 예컨대 펜/터치패드 기능의 LCD가 지능형 로봇C(30)에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사용자는 자신의 이용 목적 및 취향 등에 따라 해당되는 지능형 로봇을 구매하고서, 이러한 자신의 지능형 로봇을 통해 뉴스, 날씨, 교육 콘텐츠, 일정 알림, 모닝콜, 홈 모니터링, 청소 등과 같이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와 같이 각 사용자는 자신의 지능형 로봇을 조작해 각종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이를 위해 지능형 로봇 제조업체, 지능형 로봇 운용업체, 로봇 콘텐츠/서비스 제공업체 등은 사용자의 지능형 로봇 구매 이후로도 계속적으로 상기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를 통해 로봇 H/W 업그레이드 데이터, 로봇 S/W 업그레이드 데이터, 각종 콘텐츠 데이터 및 각종 서비스 데이터를 해당 지능형 로봇에게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를 통해 각 지능형 로봇에게 제공되는 각종 로봇 업그레이드 데이터, 각종 콘텐츠 데이터 및 각종 서비스 데이터 등에 대해,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숙련도 및 경험도와, 로봇의 기능 및 사양 등을 고려해 멀티모달 방식을 통해 해당 환경에 맞는 최적의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그럼,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멀티모달 시스템(70)은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로부터 데이터 포맷 변환을 요청받은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등에 대해 해당 데이터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로봇 사용법이 동 영상 데이터인 경우라면,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가 이러한 동영상 포맷의 로봇 사용법을 LCD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지능형 로봇A(10)에게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가 동영상 포맷의 로봇 사용법을 음성 포맷의 로봇 사용법으로 변환 요청하며, 그에 따라 상기 멀티모달 시스템(70)은 비디오 서버(74)를 사용해 동영상 포맷의 로봇 사용법을 읽어서 음성인식 서버(71)를 사용해 이를 음성 포맷의 로봇 사용법으로 변환한다. 이외의 음성합성 서버(72), 동기화 서버(73), 비디오 서버(74) 및 펜/터치패드 서버(75)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플로우를 설명하면서 그 기능, 동작 등을 해당 부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의 콘텐츠 DB(81)에는 각각의 지능형 로봇(10, 20, 30)에게 제공되는 각종 로봇 업그레이드 데이터, 각종 콘텐츠 데이터 및 각종 서비스 데이터 등과 함께 해당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DB 서버(60)의 사용자 인증정보 DB(61)에는 지능형 로봇 네트워크 접속 요청 인증, 콘텐츠/서비스 요청 인증, 로봇 사용법/로봇 콘텐츠 사용법/로봇 서비스 사용법 요청 인증 등을 위한 사용자 아이디 및 로봇 아이디(예; 시리얼번호 등)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로봇 프로파일 DB(63) 상의 로봇 아이디와 사용자 프로파일 DB(62) 상의 사용자 아이디가 서로 매칭되어진다.
상기 DB 서버(60)의 사용자 프로파일 DB(62)에는 지능형 로봇 소유자인 사용자의 정보, 예컨대 사용자 아이디를 매개로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이름 등이 저 장되어 있다.
상기 DB 서버(60)의 로봇 프로파일 DB(63)에는 사용자가 소유한 지능형 로봇의 정보의 정보, 예컨대 기능, 사양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정보, H/W 버젼정보, S/W 버젼정보, 로봇에 탑재된 프로그램 정보 등이 로봇 아이디를 매개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DB 서버(60)의 사용자 이용정보 DB(64)에는 지능형 로봇 소유자인 사용자의 로봇/콘텐츠/서비스 이용 정보, 예컨대 로봇/콘텐츠/서비스 숙련도, 로봇/콘텐츠/서비스 경험도, 어떠한 콘텐츠/서비스 이용에 따른 취향(선호 콘텐츠, 선호 서비스 등), 로봇 이용 목적(용도)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이용정보 DB(64)에 저장되는 사용자 취향 및 로봇 이용 목적은 콘텐츠 제공 및 서비스 제공 시에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하는 정보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예컨대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 이루어지는 처리 플로우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사용자A[이하 "사용자"라 통칭하기로 함]가 지능형 로봇A(10)[이하 "지능형 로봇"이라 통칭하기로 함]를 댁내에서 지능형 로봇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에 접속해 로봇 콘텐츠를 구매한 이후에, 해당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제공받는 시나리오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댁내에는 한 대의 지능형 로봇이 있으며, 이러한 지능형 로봇을 가족 구성원 모두가 제각각 이용한다고 하자.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능형 로봇이 지능형 로봇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 접속해 사용자 아이디 입력과 함께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요청한다(201). 이때, 상기 지능형 로봇은 로봇 콘텐츠 사용법 요청을 한 이후에 메인 메뉴 활성화 상태를 유지(웨이팅)한다. 부연하면, 로봇 콘텐츠 사용법 요청이 아닌, 사용자에 의해 지능형 로봇의 전원이 온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능형 로봇이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자체적으로 로봇 인증을 받아서 지능형 로봇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이후,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요청받으면 상기 지능형 로봇 인증과 함께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202). 여기서, 지능형 로봇을 인증하는 것은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요청한 지능형 로봇이 정당한지를 검증함과 아울러 이러한 지능형 로봇 인증을 통해 해당 로봇 정보를 DB 서버(60)로부터 읽어오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은 상기 지능형 로봇에 대해 여러 명의 가족 구성원이 공유 형태로 이용하면서 제각각 서로 다른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떠한 가족 구성원이 이 지능형 로봇을 통해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요청했는지 검증함과 아울러 이러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해당 사용자 정보를 DB 서버(60)로부터 읽어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능형 로봇 인증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로봇 아이디 및 사용자 아이디는 해당 지능형 로봇 구매 시 판매점 또는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접수받은 신상 정보와 사용자 아이디와 함께 상기 지능형 로봇의 시리얼번호 등을 로봇 아이디로 DB 서버(60)에 등록하면 된다.
또한, 상기 지능형 로봇의 소유자는 자신의 지능형 로봇을 통해 로봇 관리서 버(미도시)에 접속 또는 컴퓨터를 통해 로봇 관리서버에 접속해 로봇 관리자 계정 입력을 통해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신상 정보와 함께 가족 아이디 등록/추가/변경/삭제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202" 과정으로 돌아가서,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DB 서버(60)에 저장되어 있는 로봇 아이디와 사용자 아이디를 조회한 결과 정당한 지능형 로봇 및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 성공하면(203),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지능형 로봇에 맞는 최적의 로봇 콘텐츠 사용법 제공을 위한 사용자 정보 분석 및 지능형 로봇 정보 분석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사용자 정보 분석 및 지능형 로봇 정보 분석을 통해 상기 지능형 로봇을 이용하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숙련도 및 경험도와, 로봇의 기능 및 사양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이후에 이러한 판단 정보를 토대로 이 사용자 측의 지능형 로봇에게 어떠한 멀티모달 방식을 사용해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변환해 제공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상기 "201"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아이디 및 로봇 아이디로 DB 서버(60)를 조회해 이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등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를 "할아버지/할머니/아빠/엄마/딸/아들" 중 어느 하나의 가족 구성원으로서 구분한다(204a).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받는 방식은 터치패드를 통한 아이디[고유 비밀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도 될 수 있음] 입력 또는 지능형 로봇으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 화상 입력 또는 지능형 로봇으로 수신받은 사용자 음성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상기 "201" 과 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아이디 및 로봇 아이디로 DB 서버(60)를 조회해 이 사용자의 숙련도, 경험도 등을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숙련도를 "상/중/하" 중 어느 하나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사용자의 경험도를 "최초 여부"로 구분한다(204b).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숙련도는 사용자의 지능형 로봇 이용 횟수, 콘텐츠 이용 횟수, 서비스 이용 횟수, 사용법[즉 도움말, 매뉴얼] 요청 횟수 등과 같은 사용자 통계 정보를 근거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경험도는 최초 사용자와 수회 사용자로 구분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로봇 최초 사용자와 로봇 수회 사용자간에 차별화된 설명 내용을 갖는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상기 "201"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아이디 및 로봇 아이디로 DB 서버(60)를 조회해 로봇의 기능, 사양 등을 확인한다(204c). 한편, 상기 로봇의 기능, 사양 등을 확인하는데 있어 DB 서버(60)의 로봇 프로파일 DB(63)에 등록되어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정보, H/W 버젼정보, S/W 버젼정보, 로봇에 탑재된 프로그램 정보 등을 조회해 확인함과 아울러 추가적으로, 현 시점에 지능형 로봇으로 로봇 프로파일을 요청해 이에 지능형 로봇으로부터 수신받은 로봇 프로파일을 통해서도 로봇의 기능, 사양 등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로봇 프로파일 DB(63)에 등록되어 있는 로봇 프로파일은 최초 구매 시 또는 현 시점 이전에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지능형 로봇에 관한 디바이스, 프로그램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데, 그 이후에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지능형 로봇에 센서, LCD 등과 같은 H/W 가 추가되거나 콘텐츠 실행 프로그램 변경 등과 같은 S/W 추가, 변경 사항을 확인해 이 지능형 로봇의 현 시점의 환경에 최적인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상기 "201"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아이디 및 로봇 아이디로 DB 서버(60)를 조회해 사용자 취향[사용자 선호 콘텐츠 정보, 사용자 선호 서비스 정보 등]과 로봇 이용 목적(용도)[어떠한 콘텐츠/서비스를 이용했는지에 따른 로봇 이용 패턴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취향 및 로봇 이용 목적은 콘텐츠 제공 및 서비스 제공 시에 사용자 기호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예컨대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숙련도 및 경험도와, 로봇의 기능 및 사양 등을 확인한 이후에,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 및 로봇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측의 지능형 로봇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제공한다(205).
즉,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로봇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할아버지"인 경우에는,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멀티모달 시스템(70)을 통해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로부터 제공받은 로봇 콘텐츠 사용법의 폰트/그래픽 사이즈를 표준 사이즈보다 대략 30% 정도 확대시키고, 음량의 크기를 표준 크기보다 대략 30% 정도 높게 설정시키고, 안내 음성으로 젊은 여자 목소리, 손자 목소리 등으로 설정시킨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할머니"인 경우에는, 폰트 등은 "할아버지"의 설정과 마찬가지로 하고 안내 음성으로 젊은 남자 목소리, 손자 목소리 등으 로 설정시킨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아빠"인 경우에는, 폰트 등은 표준 설정으로서 하고 안내 음성으로 젊은 여자 목소리 등으로 설정시킨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딸"인 경우에는, 폰트 등은 표준 설정으로서 하고 안내 음성으로 또래 동성, 또래 이성의 목소리 등으로 설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로봇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숙련도가 "상"인 경우에는,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멀티모달 시스템(70)을 통해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로부터 제공받은 로봇 콘텐츠 사용법 중에서 신규 콘텐츠와 기존 콘텐츠 간에 차이나는 부분만 발췌해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구성시킨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는 그 숙련도가 매우 높으므로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지능형 로봇을 통해 사용자에게 로봇 콘텐츠 사용법의 전체 내용을 모두 전송하지 않고서[자동 도움말 기능] 먼저 사용자 측으로 어떠한 내용을 받기를 원하는지 질의한 후에 해당되는 사항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사용자의 숙련도가 "중"인 경우에는, 신규 콘텐츠와 기존 콘텐츠 간에 차이나는 부분만 발췌해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구성해 사용자 측으로 전송하되, 로봇 콘텐츠 사용법의 전체 내용을 스텝별로 나누어서 사용자와의 질의/응답을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부분만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사용자의 숙련도가 "하"인 경우에는, 로봇 콘텐츠 사용법의 전체 내용을 사용자 측으로 전송하되, 이때에는 로봇 콘텐츠 사용법의 전체 내용을 스텝별로 나누어서 해당 설명을 자세하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로봇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경험도가 "최초"인 경우에는,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멀티모달 시스템(70)을 통해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로부터 제공받은 로봇 콘텐츠 사용법과 함께 로봇 콘텐츠 사용에 따른 주의 사항 등도 함께 전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경험도가 "최초"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충분히 숙지할 때까지 충분한 도움말 등을 별도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로봇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경험도가 "최초"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멀티모달 시스템(70)을 통해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로부터 제공받은 로봇 콘텐츠 사용법 중에서 추가 부분에 대해서만 사용자 측의 지능형 로봇에게 전송되도록 하며, 이러한 사용자의 추가 설명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해당되는 부분에 대한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제공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로봇 정보를 통해 확인한 로봇의 기능 및 사양 등에 따라,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서는 멀티모달 시스템(70)을 통해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로부터 제공받은 로봇 콘텐츠 사용법의 데이터 포맷을 변경시켜 사용자 측의 지능형 로봇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로봇 콘텐츠 사용법이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라면,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가 이러한 동영상 포맷의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LCD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지능형 로봇A(10)에게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가 동영상 포맷의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음성 포맷의 로봇 사용법으로 변환 요청하며, 그에 따라 상기 멀티모달 시스템(70)은 비디오 서버(74)를 사용해 동영상 포맷의 로봇 콘텐츠 사용법을 읽어서 음성인식 서버(71)를 사용해 이를 음성 포맷의 로봇 콘텐츠 사용법으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능형 로봇 최초 구매에 따른 로봇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러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물론, 지능형 로봇 구매 이후에도 사용자가 지능형 로봇을 이용하는데 있어 수시로 로봇 사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가 지능형 로봇을 구매하고서 자신의 댁내에서 상기 지능형 로봇의 전원을 온시키면, 상기 지능형 로봇은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에 의해 사용자 인증 및 로봇 인증을 받은 후에, 지능형 로봇은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서버(50)로부터 상기 지능형 로봇의 기능 및 사양에 맞는 로봇 사용법을 제공받는다.
상기 로봇 사용법은 지능형 로봇의 기능 및 사양에 맞추어진 설명서인데, 이러한 로봇 사용법은 해당 지능형 로봇이 처리 가능한 포맷, 예컨대 음성, 동영상, 텍스트 형식의 설명서로서 멀티모달 시스템(70)을 통해 데이터 포맷이 변환되어져 사용자 측의 지능형 로봇에게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지능형 로봇의 디바이스(예; 센서, LCD 등)가 추가, 변경, 삭제되는 경우에 해당 디바이스를 지능형 로봇 상에서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사용법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측 지능형 로봇으로부터 특정 콘텐츠 요청, 특정 서비스 요청을 받은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아이디 및 로봇 아이디로 DB 서버(60)의 사용자 이용정보 DB(64)를 조회해 사용자 취향[사용자 선호 콘텐츠 정보, 사용자 선호 서비스 정보 등]과 로봇 이용 목적(용도)[어떠한 콘텐츠/서비스를 이용했는지에 따른 로봇 이용 패턴 등]을 확인하여 이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지능형 로봇을 조작해 로봇 콘텐츠 사용법 요청, 콘텐츠 요청, 서비스 요청 등을 하는데 있어, 상기 지능형 로봇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따라 다양한 멀티모달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능형 로봇에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펜/터치패드 방식의 모달리티를, 마이크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음성 인식 모달리티를, 카메라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스쳐 인식 모달리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지능형 로봇을 이용하는데 있어 사용자 정의 커맨드를 설정할 수도 있고, 음성 인식을 통해 "도움", "헬프미" 등의 음성 발화를 하는 경우에 해당 명령을 수행하는 기본 커맨드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능형 로봇으로 콘텐츠 등을 제공하는데 있어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가 해당 지능형 로봇의 사양 등을 확인해 그에 적합한 포맷의 로봇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로봇 콘텐츠 제공서버(80)의 콘텐츠 DB(81)에 동일한 내용을 갖는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구비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멀티모달 시스템(70)을 통해 콘텐츠 포맷 변환 등을 통해 지능형 로봇에서 해당 콘텐츠가 실행(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LCD가 구비된 지능형 로봇에게는 텍스트 포맷의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며, LCD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나 스피커가 구비된 지능형 로봇에게는 텍스트-음성 변환 등을 통해 다양한 형식의 포맷으로 해당 지능형 로봇에게 콘텐츠 등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기종의 지능형 로봇을 소유하고, 서로 다른 다양한 환경을 갖는 각 사용자에게 해당 환경에 맞는 최적의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로봇 조작, 콘텐츠 사용, 서비스 이용 등을 하는데 있어 지능형 로봇을 손쉽고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떠한 지능형 로봇으로도 멀티모달 방식을 사용해 지능형 로봇에게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T 환경에 미숙한 노인, 유아, 주부 등을 포함해 어떠한 사 람들도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등을 숙지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이로서 지능형 로봇 대중화 등을 앞당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에 있어서,
    지능형 로봇으로부터 사용법을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지능형 로봇 및 상기 지능형 로봇 소유자[이하 "사용자"라 함]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로 정당한 지능형 로봇 및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 성공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지능형 로봇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한 사용자 정보 및 지능형 로봇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 측의 지능형 로봇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사용법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법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한 지능형 로봇 정보를 통해 상기 지능형 로봇이 실행 가능한 데이터 포맷을 확인하여, 멀티모달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법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여 상기 지능형 로봇에게 전송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법은,
    로봇 사용법, 로봇 콘텐츠 사용법 및 로봇 서비스 사용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숙련도 및 경험도를 포함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로봇 정보는,
    상기 지능형 로봇의 기능 및 사양을 포함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아이디 및 상기 지능형 로봇의 아이디로 DB를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를 어느 한 명의 가족 구성원으로 구분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아이디 및 상기 지능형 로봇의 아이디로 DB를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의 숙련도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숙련도를 어느 하나의 레벨로 구분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숙련도는,
    상기 사용자의 지능형 로봇 이용 횟수, 콘텐츠 이용 횟수, 서비스 이용 횟수, 및 사용법 요청 횟수를 포함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아이디 및 상기 지능형 로봇의 아이디로 DB를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의 경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경험도를 최초 여부로 구분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로봇의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아이디 및 상기 지능형 로봇의 아이디로 DB를 조회하여 상기 지능형 로봇의 기능 및 사양을 확인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로봇의 기능 및 사양은, 입출력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정보, H/W 버젼정보, S/W 버젼정보, 및 탑재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12. 삭제
KR1020070065364A 2007-06-29 2007-06-29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KR101329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364A KR101329939B1 (ko) 2007-06-29 2007-06-29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364A KR101329939B1 (ko) 2007-06-29 2007-06-29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72A KR20090001172A (ko) 2009-01-08
KR101329939B1 true KR101329939B1 (ko) 2013-11-14

Family

ID=4048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364A KR101329939B1 (ko) 2007-06-29 2007-06-29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63B1 (ko) 2021-10-22 2023-03-08 (주)인티그리트 자율 주행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287B1 (ko) * 2010-12-31 2013-04-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명령 적응형 지능형 로봇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565823B1 (ko) * 2016-05-30 2023-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이동 로봇의 제어 방법
CN113050509B (zh) * 2021-03-26 2022-03-11 杭州蓦然认知科技有限公司 一种人机耦合式外呼的调度方法、装置
US20230032760A1 (en) * 2021-08-02 2023-02-02 Bear Robotics, Inc.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a serving rob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283A (ja) 2000-02-14 2001-11-06 Sony Corp 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5326996A (ja) * 2004-05-13 2005-11-24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ロボットによ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07136665A (ja) 2005-11-17 2007-06-07 Korea Electronics Telecommun ロボット制御のためのロボットサーバ、これを含む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283A (ja) 2000-02-14 2001-11-06 Sony Corp 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5326996A (ja) * 2004-05-13 2005-11-24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ロボットによる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07136665A (ja) 2005-11-17 2007-06-07 Korea Electronics Telecommun ロボット制御のためのロボットサーバ、これを含む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63B1 (ko) 2021-10-22 2023-03-08 (주)인티그리트 자율 주행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72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7836B2 (ja) アシスタント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音声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ショートカット
CN109844855B (zh) 任务的多重计算代理执行
JP6812392B2 (ja) 情報出力方法、情報出力装置、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KR101980173B1 (ko) 서드 파티 테스크 공급자들의 서비스 제공을 대행하는 협력적 퍼스널 어시스턴트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US20180366114A1 (en) Exporting dialog-driven applications to digital communication platforms
JP4712678B2 (ja) ロボット制御のためのロボットサーバ、これを含む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777392B1 (ko) 중앙 서버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음성 처리 방법
WO2018157721A1 (zh) 信息获取方法、提供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KR102389331B1 (ko) 컴퓨팅 디바이스간의 액세스 제어 동기화
EP3633947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20317492A1 (en) Providing Interactive and Personalized Multimedia Content from Remote Servers
KR101329939B1 (ko) 지능형 로봇 서비스 사용법 제공 방법
Dahl The W3C multimodal architecture and interfaces standard
KR20090086805A (ko) 진화하는 사이버 로봇
CN101536084A (zh) 对话分析
JP6356012B2 (ja) 音声を利用できるテルネットインターフェイス
JP676365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
CN109992338A (zh) 用于跨多个平台显露虚拟助理服务的方法和系统
US9888340B2 (en) Non-intrusive proximity based advertising and message delivery
JPH1024055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EP273391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based computing system and a remote application
KR102307380B1 (ko) 자연어 처리 기반 콜센터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10308886A (zh) 提供与个性化任务相关联的声音命令服务的系统和方法
KR102417029B1 (ko) 자연어 표현 생성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1352501A (zh) 业务交互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