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479B1 -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Google Patents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8479B1 KR101328479B1 KR1020120137961A KR20120137961A KR101328479B1 KR 101328479 B1 KR101328479 B1 KR 101328479B1 KR 1020120137961 A KR1020120137961 A KR 1020120137961A KR 20120137961 A KR20120137961 A KR 20120137961A KR 101328479 B1 KR101328479 B1 KR 1013284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ol
- water
- sealing
- load
- alo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100)는 상부 및 일측면이 개방되고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과 높이를 가지며 물에 가라앉는 중량을 갖는 몸체(110)와, 몸체의 개방된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수영장의 측면을 따라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밀봉수단(120)과, 몸체에 수직하중을 가하는 수직하중 부가수단(130), 및 밀봉수단이 수영장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몸체에 측면하중을 가하는 측면하중 부가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물이 채워져 있는 수영장의 측면을 보수함에 있어서, 수영장 내의 물을 전혀 배수하지 않고도 보수할 수 있으므로 물 값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영장의 운영이 중단되지 않아 수영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채워져 있는 수영장의 측면을 보수함에 있어서, 수영장 내의 물을 전혀 배수하지 않고도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정 기간 동안 수영장을 운영할 경우, 수영장 수조(이하, '수영장'이라 함) 내에서의 타일파손, 도장재 박리, 파이프 보수 또는 누수 등으로 수중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중 작업을 위해서는 물이 채워져 있는 수영장 내의 물을 전부 배수한 후에 보수부위를 보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수영장에서는 고가의 수돗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수작업을 위해 고가의 수돗물을 방류할 경우 수영장 운용비용이 많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수작업 기간 동안 수영장 운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민원이 발생할 소지가 많다.
이렇듯, 수영장의 물을 전부 배수한 후에 보수부위를 보수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 그로 인해, 현재까지는 보수보위를 임시방편으로 보수한 후 운영하다가 더 이상 수영장을 운영하지 않을 때에 물을 전부 배수한 후 수리하고 있다.
한편, 국내 특허등록 제10-0618777호에는 다수의 원호형 조각으로 형성된 물막이 벽틀 및 이러한 물막이 벽틀과 교각기초 사이를 밀폐하는 지수튜브 등을 이용해 교각 주변의 수면이 상승하여도 수중교각의 시공 및 보수공사시에 물이 침투하지 못하는 안정된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기술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은 물막이 벽틀을 지지함에 있어서 앵커볼트를 이용해 교각기초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 특허등록 제10-0936055호에는 교량의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해 물을 막도록 수중에 설치되는 수중 케이싱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은 몸체를 지지함에 있어서 고정부재를 이용해 구조물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87372호에는 임시 물막이 시설물을 이용하여 해상이나 하천에서 교량의 기초 및 보수 공사를 가능하게 하는 수중 케이싱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은 수중 케이싱장치를 지지함에 있어서 그 내부 수중바닥에 타설되는 수중콘크리트 및 수중바닥에 박히는 파일을 이용해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교량이나 교각의 기초 및 보수 공사 등이 가능하도록, 물막이 패널 등을 교각 또는 구조물 등에 고정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교량이나 교각이 아닌 수영장에서 이용하되, 수영장 내의 물을 전혀 배수하지 않고도 수영장 측면의 보수부위를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이 채워져 있는 수영장의 측면을 보수함에 있어서, 수영장 내의 물을 전혀 배수하지 않고도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는, 상부 및 일측면이 개방되고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과 높이를 가지며 물에 가라앉는 중량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수영장의 측면을 따라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밀봉수단, 및 상기 밀봉수단이 수영장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에 측면하중을 가하는 측면하중 부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몸체에 수직하중을 가하는 수직하중 부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밀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수영장의 측면과 원활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그 외측면에 대해서는 상단에서 바닥면 쪽을 향해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외측경사면을 가지며, 내측면에 대해서는 상단에서 일정 깊이까지는 그 크기가 동일한 수직형태를 갖다가 그 이후부터 바닥면 쪽을 향해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내측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밀봉부재의 내측경사면과 수영장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밀봉부재를 수영장의 측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시키는 다수개의 쐐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봉수단의 바닥면은 수영장의 측면에 대한 우수한 밀착력을 갖도록 골과 산의 구조를 갖는 빨래판 형태를 갖거나 다수의 주름을 갖는 주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면하중 부가수단은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수영장 밖에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 쪽에 설치되며 수영장 내의 물을 채워 하중을 가하는 물받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측면을 폐쇄하되 수영장 측면과 연통하는 개폐판을 갖는 측면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며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방수비닐과, 상기 바닥부재의 테두리 주위를 따라 고정되거나 서로 간에 결합되어 상기 방수비닐에 가해지는 수압에 대해 상기 방수비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재는 자중에 의해 물에 가라앉을 수 있는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수비닐은 상단 테두리를 따라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주입구를 갖는 부력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물이 채워져 있는 수영장의 측면을 보수함에 있어서, 수영장 내의 물을 전혀 배수하지 않고도 보수할 수 있으므로 물 값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영장의 운영이 중단되지 않아 수영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즉, 이 발명은 수영장의 측면에 설치된 시설물 등이 파손될 경우 수영장 내의 물을 전혀 배수하지 않는 상태에서 파손부위를 바로 보수할 수 있어, 시설물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누수부위의 즉각적인 공사시행 등을 통해 시설물의 유지보수가 가능해 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영장 이용고객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를 수영장 측면에 설치한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를 수영장 측면에 설치한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를 수영장 측면에 설치한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를 수영장 측면에 설치한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를 수영장 측면에 설치한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100)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개방된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수영장 측면을 따라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밀봉수단(120)과, 몸체(110)에 수직하중을 가하는 수직하중 부가수단(130), 및 밀봉수단(120)이 수영장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몸체(110)에 측면하중을 가하는 측면하중 부가수단(140)을 갖도록 구성된다.
몸체(110)는 상부 및 일측면이 개방된 다각통 형상을 갖되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또한 물에 가라앉는 중량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몸체(110)는 수영장의 수위보다 높은 높이를 갖되, 플라스틱이나 철 등과 같은 딱딱한 소재로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즉, 몸체(1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몸체(110)를 수영장의 측면에 설치할 경우 몸체(110)의 측면과 수영장의 측면 간의 틈새를 통해 몸체(1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몸체(11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3개 정도)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밀봉수단(120)은 몸체(110)의 개방된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몸체(110) 내부로의 물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영장의 측면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한 고무재질을 이용해 일체형의 밀봉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다수개의 밀봉부재(121)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수개의 밀봉부재(121)는 서로 간에 분해 조립이 가능해, 서로 조립할 경우에는 몸체(110)의 일측면 테두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분해할 경우에는 휴대가 용이한 크기로 구성하면 된다.
한편, 밀봉부재(121)는 그 표면에 몸체(110)의 일측단이 끼워져 밀착되는 끼움홈(121a)을 가지며, 그 바닥면은 수영장의 측면에 대한 우수한 밀착력을 갖도록 골과 산의 구조를 갖는 빨래판 형태를 갖거나 다수의 주름을 갖는 주름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밀봉부재(121)의 바닥면을 빨래판 형태나 주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수영장의 측면에 대한 밀착력이 향상되고 그로 인해 수영장의 측면을 따라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최대한 차단할 수가 있다.
한편, 밀봉부재(121)는 수영장의 측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정 표면적과, 측면하중 부가수단(140)에 의해 측면하중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밀봉부재(121)는 수영장의 측면과 원활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그 외측면에 대해서는 그 상단에서 바닥면 쪽을 향해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외측경사면(121b)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측면에 대해서는 그 상단에서 일정 깊이까지는 그 크기가 동일한 수직형태를 갖다가 그 이후부터 바닥면 쪽을 향해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내측경사면(121c)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로 인해, 밀봉부재(121)의 외측면은 그 바닥면을 향해 그 크기가 점점 커지는 형태를 가지며, 내측면의 하부쪽에는 내측경사면(121c)으로 인해 수영장의 측면 간에 틈새가 형성된다.
따라서, 밀봉수단(120)은 밀봉부재(121)의 내측면과 수영장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삽입되어 밀봉부재(121)를 수영장의 측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시키는 다수개의 쐐기(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쐐기(122)는 밀봉부재(121)보다 경질의 나무나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틈새에 박히는 형태로 삽입되어 밀봉부재(121)를 수영장의 측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시켜 측면하중 부가수단(140)에서 가해지는 측면하중과 더해져 수영장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밀봉수단(120)은 쐐기(122)에 의해 수영장의 측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된 밀봉부재(121)의 내측면을 따라 도포되어 미세하게 침투하는 물까지 막아주는 고무 찰흙이나 실리콘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고무 찰흙이나 실리콘 대신에 링 또는 지수판 등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밀봉수단(120)은 밀봉부재(121)의 바닥면을 빨래판 형태나 주름 형태로 구성해 외부의 물이 몸체(110)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1차 차단하고, 밀봉부재(121)의 내측면에 경사진 틈새를 형성하고 그 곳에 쐐기(122)를 박아 미세한 물의 침투를 2차 차단하며, 밀봉부재(121)의 내측면을 따라 고무 찰흙이나 실리콘 등을 도포해 물의 침투를 3차 차단하는 완벽한 밀봉구조로 구성된다.
수직하중 부가수단(130)은 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몸체(110)에 수직하중을 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영장 내의 물을 채워 수직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수직하중 부가수단(130)은 몸체(1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그 내부에 일정 용량의 수영장 물이 채워지는 물받이(131)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물받이(131)는 몸체(1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물받이(131)는 그 상부가 개방되며 그 종방향 단면이 반원형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물받이(131)는 그 상부가 개방되며 그 종방향 단면이 반타원형 형태를 비롯하여 반다각형 형태를 갖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물받이(131)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일체형으로 구성하거나, 분리형으로 구성 결합해 일체화할 수도 있다. 물받이(131)를 분리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그 제작이 용이하고 휴대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물받이(131)를 몸체(1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설치함에 있어서는, 물받이(131)의 일측에 걸이(131a)를 일체로 형성해 몸체(110)의 상단 테두리에 걸어 설치하면 된다. 이때, 물받이(131)에 걸이(131a)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일체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하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면 된다. 또한, 물받이(131)는 그 하단에 배수구 및 이를 개폐시키는 마개를 갖도록 구성해, 물받이(131)에 채워진 물을 작업이 완료된 후에 배수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받이(131)는 날카롭지 않은 둥근 모양으로 구성해 이용객이나 작업자에게 손상이 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받이를 주머니 형태나 고무풍선 모양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한편, 수직하중 부가수단(130)은 몸체(110)의 상단부위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물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몸체(110)의 상단부위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각각의 홈에 물이 채워진 다수개의 물통을 각각 메달아 밀봉수단(120)이 몸체(110)에 수직하중을 가할 수도 있다. 이때, 물통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고리를 이용해 몸체(110)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각각의 홈에 끼워 설치하면 된다.
측면하중 부가수단(140)은 밀봉수단(120)이 수영장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몸체(110)에 측면하중을 가하는 것으로서, 몸체(110)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영장 밖에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되는 지지부재(141)와, 지지부재(141)의 단부 쪽에 설치되며 수영장 내의 물을 채워 하중을 가하는 물받이(1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부재(141)는 수영장의 깊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수직부(141a)와, 한 쌍의 수직부(141a)에 대해 수영장 밖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되 상향 경사각을 갖는 한 쌍의 경사부(141b), 및 한 쌍의 경사부(141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41c)로 구성된다. 한편, 한 쌍의 수직부(141a)는 몸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물이 채워진 물받이(142)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이 밀봉수단(120)에 측면하중으로 작용해 밀봉수단(120)이 수영장의 측면을 가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한 쌍의 수직부(141a)의 하부 쪽은 몸체(110)의 양측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선회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한 쌍의 수직부(141a)의 상부 쪽은 몸체(110)의 양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물이 채워진 물받이(142)에 의해 수직하중이 가해지면, 한 쌍의 수직부(141a)가 몸체(110)의 양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선회해 경사짐(지렛대 원리에 의해 바깥 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밀봉수단(120)이 수영장의 측면을 가압하는 것이다.
물받이(142)는 지지부재(141)의 연결부(141c)에 설치되어 수영장 내의 물을 채워 하중을 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연결부(141c)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일체형으로 구성하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물받이(142)는 날카롭지 않은 둥근 모양으로 구성해 이용객이나 작업자에게 손상이 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받이를 주머니 형태나 고무풍선 모양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한편, 측면하중 부가수단(14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물받이(142) 대신에 연결부(141c)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물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측면하중 부가수단(140)은 밀봉수단(120)이 수영장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몸체(110)에 측면하중을 가하는 역할을 하므로, 일측이 몸체(11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형태로 몸체(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수영장의 측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밀봉수단(120)이 수영장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몸체(110)에 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일반 산업계에서 적용되는 방식을 적용해 구성해도 무방하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를 이용해 수영장 측면의 파손부위를 보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몸체(110)의 개방된 일측면 테두리를 밀봉수단(120)의 밀봉부재(121) 표면의 끼움홈(121a)에 끼워 몸체(110)를 밀봉부재(121)와 일체화한다. 그런 다음, 몸체(110)의 상단에 물받이(131)를 걸어 결합하고, 또한 지지부재(141)의 연결부(141c)에 물받이(142)를 걸어 결합한다. 이 상태의 몸체(110)를 수영장 측면의 파손부위에 위치시킨다. 즉, 몸체(110)의 내부공간 내에 수영장 측면의 파손부위가 위치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물받이(131, 142)의 내부에 물을 채워 몸체(110)에 수직하중을 가함과 더불어 밀봉수단(120)의 밀봉부재(121)가 수영장의 측면에 보다 완벽하게 밀착되어 밀봉하도록 측면하중을 가한다. 이 상태에서 몸체(110)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을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물의 배출작업이 완료되면, 밀봉부재(121)의 내측면 틈새에 쐐기(122)를 박아 미세한 물의 침투를 차단하고, 또한 밀봉부재(121)의 내측면을 따라 고무 찰흙이나 실리콘 등을 도포해 물의 침투를 완벽하게 차단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침투하지 않으면, 수영장 측면의 파손부위를 건조시킨 후 보수공사를 수행하면 된다. 그런 다음, 보수공사 부위가 건조되면, 고무 찰흙이나 실리콘 및 쐐기(122)를 제거하고, 물받이(131, 142)에 채워진 물을 마개를 열어 배수구를 통해 배수시킨 후, 몸체(110)를 수영장 밖으로 이동시켜, 물받이(131, 142) 및 밀봉부재(121)를 몸체(11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100)는 몸체(110)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현장에서 수영장 측면에 안착이 편리하지만, 몸체(110) 내의 물을 배출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공사기간이 충분한 실외 수영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이 실시예에 따른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200)는 몸체(210)를 조립형으로 구성하되 최기에도 몸체(210)의 내부공간에 물이 채워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1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를 수영장 측면에 설치한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몸체(210)는 일정 너비를 갖는 바닥부재(215)와, 바닥부재(215)의 일측에 결합되며 일정 너비를 갖는 측면부재(211)와, 바닥부재(215)와 측면부재(211)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며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방수비닐(212), 및 바닥부재(215)의 테두리 주위를 따라 고정되거나 서로 간에 결합되어 방수비닐(212)에 가해지는 수압에 대해 방수비닐(212)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213, 214)로 구성된다.
바닥부재(215)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일정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밟으면 변경되더라도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바닥부재(215)는 자중에 의해 물에 가라앉을 수 있는 중량으로 구성된다.
측면부재(211)는 바닥부재(215)의 일측에 결합되는 일정 너비를 갖는 것으로서, 이때 측면부재(211)는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바닥부재(215)에 대해 접힘과 펼쳐짐에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결합함에 있어서는 측면부재(211)와 바닥부재(215) 간의 결합부위가 물이 유입되지 않는 밀봉구조로 결합되어야 한다. 또한, 측면부재(211)는 그 테두리를 따라 밀봉수단(220)을 구성하는 밀봉부재(221)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측면부재(211)는 그 측면의 일부분을 개방시켜 수영장 측면과 연통시키는 개폐판(211a)을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판(211a)은 일반적인 체결방식으로 개폐되되, 폐쇄시에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 밀봉되는 형태로 측면부재(211)의 일부분을 구성하면 된다. 따라서, 수영장 측면의 파손부위를 보수함에 있어서는, 개폐판(211a)을 열어 오픈한 상태에서 파손부위를 보수하면 된다.
방수비닐(212)은 바닥부재(215) 및 측면부재(211)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되 완전 밀봉되게 결합된다. 이렇게 방수비닐(212)을 바닥부재(215) 및 측면부재(211)에 결합함에 따라 방수비닐(212)의 상부 쪽만 개방된 형태를 갖게 된다. 여기서, 방수비닐(212)은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한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된다. 한편, 방수비닐(212)은 바닥부재(215) 및 측면부재(211)의 테두리를 따라 밀봉 결합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지지대(213, 214)는 바닥부재(215)의 테두리 주위를 따라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대(213)와, 이러한 다수개의 수직 지지대(213)를 서로 간에 연결 고정하는 다수개의 수평 지지대(214)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수직 지지대(213)와 수평 지지대(214)는 방수비닐(212)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수비닐(212)에 가해지는 수압에 대해 방수비닐(212)을 지지할 수 있는 개수 및 형태로 배열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개의 수평 지지대(214)는 미리 방수비닐(212)의 내부에 결합되되, 방수비닐(2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실시예의 수직하중 부가수단(230)은 제일 상단의 수평 지지대(214)에 걸쳐지는 형태로 고정하면 된다.
이 실시예는 방수비닐(212)을 이용함에 따라 방수비닐(212)의 상부가 물에 잠겨 그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비닐(212)의 테두리를 따라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주입구를 갖는 부력부재(도시안됨)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부력부재는 방수비닐(212)의 상부가 수면 위에 둥둥 떠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비닐(212)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200)를 이용해 수영장 측면의 파손부위를 보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측면부재(211)의 바닥면을 밀봉부재(221) 표면의 끼움홈(221a)에 끼워 측면부재(211)를 밀봉부재(221)와 일체화한다. 이때, 측면부재(211)는 방수비닐(212)의 내부에 다수개의 수평 지지대(214)가 결합되고, 이러한 방수비닐(212)이 측면부재(211)의 테두리를 따라 밀봉 결합된 상태에서 밀봉부재(221)와 일체화된다. 또한, 제일 상단의 수평 지지대(214)에 물받이(231)를 걸어 결합하고, 또한 측면하중 부가수단(240)의 지지부재(241)에 물받이(242)를 걸어 결합한다. 그런 다음, 측면부재(211)를 수영장 측면의 파손부위에 가라앉도록 위치시킨다. 그러면, 바닥부재(215)의 자중에 의해 측면부재(211)가 수영장 측면의 파손부위에 위치하여 가라앉게 된다.
그런 다음, 다수개의 수직 지지대(213)의 하단을 바닥부재(215)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도시안됨)에 끼워 고정함과 더불어 다수개의 수평 지지대(214)를 수직방향으로 연결 고정한다. 그로 인해, 방수비닐(212)의 내부에 일정 작업 공간을 갖는 이 실시예의 몸체(210)가 완성된다. 이렇게 몸체(210)가 완성되면 물받이(231)는 수면 위의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물받이(231, 242)의 내부에 물을 채워 바닥부재(215)에 수직하중을 가함과 더불어 밀봉부재(221)가 수영장 측면에 보다 완벽하게 밀착되어 밀봉하도록 측면하중을 가한다. 그 후, 측면부재(211)의 개폐판(211a)을 열어 수영장 측면에 있는 일부 물기를 제거한 후, 밀봉부재(221)의 내측면 틈새에 쐐기(222)를 박아 미세한 물의 침투를 차단하고, 또한 밀봉부재(221)의 내측면을 따라 고무 찰흙이나 실리콘 등을 도포해 물의 침투를 완벽하게 차단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몸체(210)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침투하지 않으면, 수영장 측면의 파손부위를 건조시킨 후 보수공사를 수행하면 된다. 그런 다음, 보수공사 부위가 건조되면, 고무 찰흙이나 실리콘 및 쐐기(222)를 제거하고, 측면부재(211)의 개폐판(211a)을 닫아 폐쇄한 상태에서 물받이(231, 242)에 채워진 물을 마개를 열어 배수구를 통해 배수시킴과 더불어 다수개의 수직 지지대(213)를 분리시킨 후, 바닥부재(215) 및 측면부재(211)를 수영장 밖으로 이동시켜, 물받이(231, 242) 및 밀봉부재(221)를 측면부재(211) 및 지지부재(241)로부터 분리한 다음, 측면부재(211)를 바닥부재(215)에 대해 접으면 된다. 이렇듯, 이 실시예의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200)는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하는 몸체(210)를 분리 및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의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200)는 몸체(210)를 현장 조립형으로 구성하되 몸체(21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지 않음에 따라 물을 배출할 필요가 없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부피가 작아 이동이 간편해 공간이 좁은 실내 수영장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110 : 몸체
120 : 밀봉수단 121 : 밀봉부재
122 : 쐐기 130 : 수직하중 부가수단
131 : 물받이 140 : 측면하중 부가수단
141 : 지지부재 142 : 물받이
120 : 밀봉수단 121 : 밀봉부재
122 : 쐐기 130 : 수직하중 부가수단
131 : 물받이 140 : 측면하중 부가수단
141 : 지지부재 142 : 물받이
Claims (9)
- 상부 및 일측면이 개방되고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과 높이를 가지며 물에 가라앉는 중량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수영장의 측면을 따라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밀봉수단, 및
상기 밀봉수단이 수영장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몸체에 측면하중을 가하는 측면하중 부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수직하중을 가하는 수직하중 부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개의 밀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수영장의 측면과 원활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그 외측면에 대해서는 상단에서 바닥면 쪽을 향해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외측경사면을 가지며, 내측면에 대해서는 상단에서 일정 깊이까지는 그 크기가 동일한 수직형태를 갖다가 그 이후부터 바닥면 쪽을 향해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내측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밀봉부재의 내측경사면과 수영장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밀봉부재를 수영장의 측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시키는 다수개의 쐐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의 바닥면은 수영장의 측면에 대한 우수한 밀착력을 갖도록 골과 산의 구조를 갖는 빨래판 형태를 갖거나 다수의 주름을 갖는 주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하중 부가수단은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수영장 밖에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 쪽에 설치되며 수영장 내의 물을 채워 하중을 가하는 물받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측면을 폐쇄하되 수영장 측면과 연통하는 개폐판을 갖는 측면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측면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며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방수비닐과, 상기 바닥부재의 테두리 주위를 따라 고정되거나 서로 간에 결합되어 상기 방수비닐에 가해지는 수압에 대해 상기 방수비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재는 자중에 의해 물에 가라앉을 수 있는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수비닐은 상단 테두리를 따라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주입구를 갖는 부력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961A KR101328479B1 (ko) | 2012-11-30 | 2012-11-30 |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961A KR101328479B1 (ko) | 2012-11-30 | 2012-11-30 |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8479B1 true KR101328479B1 (ko) | 2013-11-13 |
Family
ID=4985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7961A KR101328479B1 (ko) | 2012-11-30 | 2012-11-30 |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847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9U (ja) * | 1996-08-29 | 1997-03-11 | 弘 平田 | 水中における作業空間創出維持装置 |
JP2010001615A (ja) | 2008-06-18 | 2010-01-07 | Ihi Amtec Co Ltd | 止水箱の設置方法および止水箱 |
KR101083546B1 (ko) | 2011-03-10 | 2011-11-14 | 태경개발(주) | 대향면이 개방된 수중 구조물 보수작업용 육면체형 블랙박스 |
-
2012
- 2012-11-30 KR KR1020120137961A patent/KR1013284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9U (ja) * | 1996-08-29 | 1997-03-11 | 弘 平田 | 水中における作業空間創出維持装置 |
JP2010001615A (ja) | 2008-06-18 | 2010-01-07 | Ihi Amtec Co Ltd | 止水箱の設置方法および止水箱 |
KR101083546B1 (ko) | 2011-03-10 | 2011-11-14 | 태경개발(주) | 대향면이 개방된 수중 구조물 보수작업용 육면체형 블랙박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67649B2 (en) | Automatic relief valve system with water level sensing for a fiberglass swimming pool body | |
KR100663798B1 (ko) |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 |
CN204940478U (zh) | 一种立管预埋件及其装置、结构和系统 | |
KR101328479B1 (ko) | 수영장 측면 보수장비 | |
KR100882320B1 (ko) | 결로방지용 배수판 | |
KR101369877B1 (ko) | 수영장 바닥 보수장비 | |
KR100368604B1 (ko) | 교각 보수용 수밀 케이션 | |
CN212533925U (zh) | 城市滨水景观区防汛墙 | |
KR100589130B1 (ko) | 교량의 교각 구조물 시공용 가물막이 구조 | |
KR102182723B1 (ko) | 내구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조립식 가배수로 | |
KR101939692B1 (ko) | 박스 하수관용 수문형 물막이 시공방법 | |
GB2456394A (en) | Flood defence system | |
CN113293801A (zh) | 一种电力电缆排管工井及其施工方法 | |
JP6883814B2 (ja) | 排水設備改修工法、排水設備構築方法、および排水設備 | |
RU2396390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монта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 |
CN214461288U (zh) | 一种烟气道预留洞口封堵装置 | |
KR101373110B1 (ko) | 조립식 빗물 재이용시설 및 그 설치방법 | |
CN113832911B (zh) | 城市滨水景观区防汛墙 | |
KR101555302B1 (ko) | 프레임 내부 신축형 누수방지 신축이음장치 | |
KR101259932B1 (ko) | 수중 설치 구조물 보강용 구조체 및 보강 방법 | |
KR100689835B1 (ko) | 건식 가물막이 구조, 및 건식 가물막이 공법 | |
KR101564637B1 (ko) | 이중접합구조의 전철주기초 시공방법 | |
CN114319445B (zh) | 一种装配式检查井及其施工方法 | |
KR200303853Y1 (ko) | 문밖 물의 유입 막음 장치 | |
RU2526085C2 (ru) | Несъемная гибкая опалубка для монолитного фундамент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