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441B1 -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441B1
KR101328441B1 KR1020120061181A KR20120061181A KR101328441B1 KR 101328441 B1 KR101328441 B1 KR 101328441B1 KR 1020120061181 A KR1020120061181 A KR 1020120061181A KR 20120061181 A KR20120061181 A KR 20120061181A KR 101328441 B1 KR101328441 B1 KR 10132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recognition unit
steering wheel
control item
gestur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범
강래청
정기윤
기상렬
황윤형
남찬혁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스쳐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부 및 제스쳐 인식부에서 인식된 제스쳐에 따라 제어항목을 선택하여 제어항목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DEVICE OF STEERING WHEELING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오디오 버튼, 내외기 모드 버튼 등을 장착하여 오디오 등의 각종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버튼이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므로, 장착위치나 장착되는 부위의 면적상 제약을 받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에 버튼으로 각종 전자기기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차량에 여러 가지 전자기기들이 탑재되면서 각 전자기기에 마련된 다양한 기능을 모두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버튼의 수도 증가하게 된 반면에, 기본적인 장착 영역은 제한되므로, 모든 버튼을 스티어링 휠에 배치하기가 어려웠다. 게다가 버튼의 개수가 많아지는 반면, 버튼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면서 운전 중에 조작이 불편하고 오조작에 따라 전자기기의 오작동하게 되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7-0062781호(2007.06.18)의 '차량 단말기에서의 리모컨 버튼 사용자 정의 방법 및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운전자의 제스쳐 입력과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차량에 구비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제스쳐(gesture)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부; 및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제스쳐에 따라 제어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제어항목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스쳐 인식부는 터치드래그의 궤적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레버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각도를 인식하는 조이스틱 및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스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나타내는 아이콘 표시창 및 상기 제어항목을 나타내는 제어항목 표시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제스쳐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상기 제스쳐가 인식될 때마다, 상기 제어항목의 트리구조에 따른 상위 단계와 하위 단계를 단계적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어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상기 제스쳐가 인식될 때마다, 상기 제스쳐와 일대일 대응되는 상기 제어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제스쳐(gesture)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부;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입력하는 버튼 입력부; 및 상기 제스쳐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스쳐와 상기 버튼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제어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항목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스쳐 인식부는 터치드래그의 궤적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레버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각도를 인식하는 조이스틱 및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스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나타내는 아이콘 표시창및 상기 제어항목을 나타내는 제어항목 표시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제스쳐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상기 제스쳐가 인식될 때마다, 상기 제어항목의 트리 구조에 따른 상위 단계와 하위 단계를 단계적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어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제스쳐(gesture)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및 상기 조향각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조향각에 따라 상기 제스쳐 인식부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제스쳐에 따라 제어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항목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각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상기 제스쳐 인식부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버튼 입력 및 제스쳐 입력을 조합하여 차량에 구비된 모든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각종 전자기기의 각종 제어항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모든 전자기기의 각종 동작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각 전자기기를 더욱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스쳐 입력 및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버튼의 개수를 크게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스티어링 휠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키며, 스티어링 휠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의 개수를 감소시켜 전자기기의 오조작을 감소시키고, 전자기기의 오동작에 의한 안전 운행의 방해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스쳐 입력 및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다양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추가, 변경 및 조작방식의 변경시 업데이트를 통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변화에 따른 조작 오차 보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입력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입력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입력을 조합하여 오디오를 조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입력과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오디오를 조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변화에 따른 조작 오차 보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쳐 인식부(20), 버튼 입력부(30), 디스플레이부(40), 조향각 센서(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제스쳐 인식부(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스티어링 휠(70)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된 전자기기(10)를 조작하기 위해 행동하는 각종 제스쳐(Gesture)를 인식하여 제어부(60)에 입력한다. 이러한 제스쳐 인식부(20)에는 운전자의 제스쳐를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기기가 채용될 수 있는 데, 터치스크린(미도시)과 조이스틱(미도시) 및 모션 인식기(미도시)가 채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운전자의 터치드래그를 검출하고, 조이스틱은 레버의 회전방향이나 회전각도 등을 인식하며, 모션 인식기는 운전자의 모션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인식부(20)는 상기한 터치스크린, 조이스틱 및 모션 인식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운전자의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모두 포함한다할 것이다.
참고로, 전자기기(10)는 차량에 구비된 각종 주행장치, 조명장치, 편의장치 등으로써, 핸즈프리(11), 오디오(12), 에어컨, 헤드라이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비게이션(13), 와이퍼(14) 등이 포함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핸즈프리(11), 오디오(12), 네비게이션(13), 와이퍼(14)를 예시로 설명한다.
한편, 제스쳐 인식부(20)에 의해 인식되는 제스쳐는 기 정의된 손가락 등 운전자 신체 일부의 동작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 차량 주행 여부, 안전 운행 등을 고려하여 형태와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버튼 입력부(3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70)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버튼 입력을 인식하여 제어부(60)에 입력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제스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나타내는 아이콘 표시창(41) 및 제스쳐에 따라 선택되는 제어항목을 나타내는 제어항목 표시창(42)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채용되며, 센터 페시아(center facia)(미도시)나 클러스터(cluster)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항목은 제스쳐와 버튼 입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제어될 수 있는 전자기기(10) 선택 및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항목으로써,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전자기기(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각 전자기기(10)에 구비된 각종 동작 모드나 세부 기능의 변경 또는 조절 등이 포함되며, 전자기기(10)에 따라 트리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한 제어항목을 선택하여 각각의 전자기기(10)를 제어한다.
아이콘(41)은 운전자가 제어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설정된 제스쳐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아이콘(41)은 핸즈프리(11), 오디오(12), 네비게이션(13) 및 와이퍼(14)와 같은 전자기기(10)의 제어항목과 인접한 위치에 표시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아이콘(41)을 통해 제스쳐를 인지하고, 각 아이콘(41)과 연계되는 제어항목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제스쳐에 따라 동작하면, 해당 제스쳐에 연계되는 전자기기(10)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 을 참조하면, 운전자는 손가락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직선 형태로 움직이면, 핸즈프리(11)를 선택할 수 있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직선 형태로 움직이면 오디오(12)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측으로 움직인 뒤 우측으로 움직이면 네비게이션(13)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하측으로 움직인 뒤 우측으로 움직이면 와이퍼(14)를 선택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조향각 센서(50)는 스티어링 휠(70)의 조향각을 감지하여 제어부(60)에 입력한다.
제어부(60)는 상기한 제스쳐 인식부(20)에서 제스쳐가 인식되면, 이 제스쳐에 따라 전자기기(10)를 제어한다. 더욱이, 버튼 입력부(30)로부터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한 제스쳐와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전자기기(10)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제어부(60)는 조향각 센서(50)에서 감지된 스티어링 휠(70)의 조향각에 대응되게 제스쳐 인식부(20)의 기울기를 보정한다.
도 4 의 (a)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70)이 조향각(θ) 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수평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직선 형태의 제스쳐를 취할 경우,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70)이 수평인 정상 상태를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조향각(θ) 만큼 기울어지게 제스쳐를 취한 것으로 잘못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는 스티어링 휠(70)의 조향각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제스쳐 인식부(20)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제스쳐 인식부(20)에서 인식된 제스쳐에 따라 제어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어항목에 따라 전자기기(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조향 상태에서도 정확하게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보정된 제스쳐 인식부(20)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제스쳐를 인식하므로, 전자기기(1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티어링 휠(70)의 조향각에 따라 제스쳐 인식부(20)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것은 제스쳐 인식부(20)의 인식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전자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제스쳐 및 각 제스쳐에 따라 전자기기(10)를 제어하는 예를 도 5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입력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스쳐는 도 5 의 (a)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스쳐는 제어항목 마다 일대일 대응되게 설정되거나, 각 전자기기(10)의 선택에서부터 그 동작 모드 설정 및 변경, 세부 기능 수행 등의 제어항목에 단계적으로 진입하여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먼저, 제스쳐가 제어항목 마다 일대일 대응되게 설정될 경우, 제어부(60)는 제스쳐 인식부(20)에서 인식된 제스쳐에 설정된 제어항목에 따라 전자기기(10)를 제어한다. 이 경우, 운전자는 특정 제어항목에 설정된 제스쳐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전자기기(10)를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의 (c)와 같은 '→'가 '오디오의 CD 플레이어 재생'으로 설정될 경우, 제어부(60)는 제스쳐 인식부(20)에서 '→'가 인식되면, 오디오(12)를 턴온시키고 CD 플레이어를 재생한다. 이 경우, 운전자는 전자기기(10) 중에서 오디오(12)를 직접 선택하여 턴온시키고, 다수 개의 동작 모드 중 CD 플레이어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제어항목 마다 간단한 제스쳐를 설정함으로써, 전자기기(10)의 조작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제스쳐는 생산시 기 설정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항목마다 운전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도 포함된다할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제어항목 및 제스쳐를 설정하여 편리하게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기기(10)의 변경, 추가시 제스쳐를 새롭게 업데이트하여 전자기기(10)가 변경, 추가되더라도 해당 전자기기(10)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스쳐가 각 전자기기(10)의 선택에서부터 그 동작 모드 설정 및 변경, 세부 기능 수행 등을 트리 구조의 제어항목에 단계적으로 진입하여 제어하도록 설정될 경우, 각 제어항목을 제어하는 것을 도 6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입력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입력을 조합하여 오디오를 조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스쳐는 상위 단계로 이동이 '←'로 설정되고, 하위 단계로 이동이 '→'로 설정되며, 현재 단계에서의 변경이 '↑' 및 '↓'로 설정된다.
이 경우, 운전자는 제스쳐 '←', '→', '↑', '↓'를 통해 제어항목을 선택하고,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는 바, 이를 오디오(12)의 제어항목 중 AM 주파수를 선택하고 볼륨을 제어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40)는 현재 선택된 제어항목을 표시하여 운전자가 현재 커서의 위치를 통해 다수 개의 제어항목 중 어느 하나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 의 실선 방향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0)로 핸즈프리(11), 오디오(12), 네비게이션(13) 및 와이퍼(14)가 설치될 경우, 제어부(60)는 제스쳐 인식부(20)에서 '↑' 또는 '↓'가 인식될 때마다, 커서를 핸즈프리(11), 오디오(12), 네비게이션(13), 와이퍼(14)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킨다.
이때, 커서가 오디오(12)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부(60)는 제스쳐 인식부(20)에서 '→'가 인식되면, 오디오(12)를 선택하고, 하위 단계인 오디오(12)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동한다. 즉, 오디오(12)의 동작 모드 AM, FM, CD 플레이어 및 MP3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오디오(12)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제어부(60)는 제스쳐 인식부(20)에서 '↑' 또는 '↓'가 인식될 때마다 AM, FM, CD 플레이어 및 MP3 중 어느 하나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이때 커서가 FM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스쳐 인식부(20)에서 '→'가 인식되면, FM을 선택하고, 하위 단계인 FM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동한다.
FM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제어부(60)는 FM 주파수 103.5㎒, 95.9㎒, 87.75㎒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즉, FM 주파수 103.5㎒, 95.9㎒, 87.75㎒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스쳐 인식부(20)에서 '↑' 또는 '↓'가 인식될 때마다 103.5㎒, 95.9㎒, 87.75㎒ 중 어느 하나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때, 커서가 95.9㎒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스쳐 인식부(20)에서 '→'가 인식되면, 하위 단계인 볼륨을 선택하는 단계로 이동한다.
볼륨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제어부(60)는 제스쳐 인식부(20)에서 '↑' 또는 '↓'가 인식될 때마다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즉, 전자기기(10)의 선택부터 세부기능을 제어할 때까지 각 상위 단계에서 하위 단계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제어항목을 선택하여 전자기기(6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역방향 즉, 도 7 의 점선 방향과 같이, 하위 단계에서 상위 단계로 이동하면서 선택하는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제스쳐 인식부(20)로부터 제스쳐가 인식되고, 이때, 버튼 입력부(30)에서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한 제스쳐와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트리 구조의 제어항목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항목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버튼 입력부(30)로부터 버튼이 입력되면, 버튼 입력시마다 커서를 이동시키는 등, 버튼 입력과 제스쳐를 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이 상기한 제스쳐 중에서 '↑', '↓'를 대신하므로, 버튼 입력부(30)는 2개의 버튼으로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비해 버튼의 개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티어링 휠(70)의 복잡도 및 조작의 용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 8 을 참조하여 상기한 제스쳐와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오디오(12)의 세부기능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입력과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오디오를 조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의 실선방향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0)로 핸즈프리(11), 오디오(12), 네비게이션(13) 및 와이퍼(14)가 설치될 경우, 제어부(60)는 버튼 입력부(30)에서 '▲' 또는 '▼'가 입력될 때마다, 커서를 핸즈프리(11), 오디오(12), 네비게이션(13), 와이퍼(14)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킨다.
이때, 커서가 오디오(12)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부(60)는 제스쳐 인식부(20)에서 '→'가 인식되면, 오디오(12)를 선택하고, 하위 단계인 오디오(12)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동한다. 즉, 오디오(12)의 동작 모드 AM, FM, CD 플레이어 및 MP3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오디오(12)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제어부(60)는 버튼 입력부(30)에서 '▲' 또는 '▼'가 입력될 때마다 AM, FM, CD 플레이어 및 MP3 중 어느 하나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이때 커서가 FM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스쳐 인식부(20)에서 '→'가 인식되면, FM을 선택하고, 하위 단계인 FM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동한다.
FM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제어부(60)는 FM 주파수 103.5㎒, 95.9㎒, 87.75㎒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즉, FM 주파수 103.5㎒, 95.9㎒, 87.75㎒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버튼 입력부(30)에서 '▲' 또는 '▼'가 입력될 때마다 103.5㎒, 95.9㎒, 87.75㎒ 중 어느 하나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때, 커서가 95.9㎒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스쳐 인식부(20)에서 '→'가 인식되면, 하위 단계인 볼륨을 선택하는 단계로 이동한다.
볼륨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제어부(60)는 버튼 입력부(30)에서 '▲' 또는 '▼'가 입력될 때마다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즉, 전자기기(10)의 선택부터 세부기능을 제어할 때까지 각 상위 단계에서 하위 단계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제어항목을 선택하여 전자기기(6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역방향 즉, 도 8 의 점선 방향과 같이, 하위 단계에서 상위 단계로 이동하면서 선택하는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전자기기 11: 핸즈프리
12: 오디오 13: 네비게이션
14: 와이퍼 20: 제스쳐 인식부
30: 버튼 입력부 40: 디스플레이부
41: 아이콘 표시창 42: 제어항목 표시창
50: 조향각 센서 60: 제어부
70: 스티어링 휠

Claims (13)

  1.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제스쳐(gesture)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및
    상기 조향각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조향각에 따라 상기 제스쳐 인식부의 기울기를 보정하여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제스쳐에 따라 제어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항목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각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조향각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상기 제스쳐 인식부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인식부는
    터치드래그의 궤적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레버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각도를 인식하는 조이스틱 및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나타내는 아이콘 표시창 및 상기 제어항목을 나타내는 제어항목 표시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제스쳐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상기 제스쳐가 인식될 때마다, 상기 제어항목의 트리구조에 따른 상위 단계와 하위 단계를 단계적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어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상기 제스쳐가 인식될 때마다, 상기 제스쳐와 일대일 대응되는 상기 제어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7.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어 제스쳐(gesture)를 인식하는 제스쳐 인식부;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입력하는 버튼 입력부; 및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제스쳐 와 상기 버튼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버튼 입력을 조합하여 제어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제어항목에 따라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각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조향각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상기 제스쳐 인식부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인식부는
    터치드래그의 궤적을 검출하는 터치스크린, 레버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각도를 인식하는 조이스틱 및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나타내는 아이콘 표시창및 상기 제어항목을 나타내는 제어항목 표시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제스쳐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 인식부에서 상기 제스쳐가 인식될 때마다, 상기 제어항목의 트리 구조에 따른 상위 단계와 하위 단계를 단계적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어항목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061181A 2012-06-07 2012-06-07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132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81A KR101328441B1 (ko) 2012-06-07 2012-06-07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81A KR101328441B1 (ko) 2012-06-07 2012-06-07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441B1 true KR101328441B1 (ko) 2013-11-20

Family

ID=4985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81A KR101328441B1 (ko) 2012-06-07 2012-06-07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473A1 (en) * 2014-08-20 2016-02-2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Multitouch chording langu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599A (ja) * 2005-02-18 2006-09-28 Denso Corp 機器操作装置
JP2008052590A (ja) * 2006-08-25 2008-03-06 Toshiba Corp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10169750A1 (en) * 2010-01-14 2011-07-1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Multi-touchpad multi-touch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599A (ja) * 2005-02-18 2006-09-28 Denso Corp 機器操作装置
JP2008052590A (ja) * 2006-08-25 2008-03-06 Toshiba Corp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10169750A1 (en) * 2010-01-14 2011-07-1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Multi-touchpad multi-touch user interfa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473A1 (en) * 2014-08-20 2016-02-2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Multitouch chording language
KR20170043534A (ko) * 2014-08-20 2017-04-21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멀티터치 코딩 언어
US9720591B2 (en) 2014-08-20 2017-08-0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Multitouch chording language
KR102386429B1 (ko) * 2014-08-20 2022-04-14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멀티터치 코딩 언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3697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10133357B2 (en)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gesture recognition
US10732760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649587B2 (en) Terminal, for gesture recognition and operation command determination,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641001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US20150066245A1 (en)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installed on steering wheel
JP2013097513A (ja) 車両用入力装置
US10120564B2 (en) User interface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60004418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70038891A1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ouch input device
CN103180812A (zh) 车辆交互系统
US20140379212A1 (en) Bli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9063569B2 (en) Vehicular device
JP2018144582A (ja) 車載機器操作装置
KR101558354B1 (ko) 차량용 블라인드 콘트롤 시스템
CN111231860A (zh) 用于车辆的操作模块、操作方法、操作系统及存储介质
US20130201126A1 (en) Input device
KR101328441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US1042332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5954156B2 (ja) 車載情報処理装置
JP6018775B2 (ja) 車載機器の表示制御装置
US11402921B2 (e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JP2018132824A (ja) 操作装置
US112301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interaction on an elongated display screen
KR101148981B1 (ko)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차량용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