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417B1 - 다기능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417B1
KR101328417B1 KR1020070139478A KR20070139478A KR101328417B1 KR 101328417 B1 KR101328417 B1 KR 101328417B1 KR 1020070139478 A KR1020070139478 A KR 1020070139478A KR 20070139478 A KR20070139478 A KR 20070139478A KR 101328417 B1 KR101328417 B1 KR 101328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microwave oven
rotating shaft
fastening member
gri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239A (ko
Inventor
조동희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4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3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being movable or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4Rotisserie spits inside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integrated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조리실에 구비되는 회전축;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회전축에 결합하며, 다수의 그릴을 구비하는 그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릴유닛에 포함되는 다수의 그릴이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되고, 이러한 그릴유닛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하나의 히터만을 사용하여 그릴 조리를 수행하더라도, 그릴 위에 놓인 조리물을 수시로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조리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전력 소모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종류가 다른 많은 양의 조리물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그릴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전자레인지, 히터, 그릴

Description

다기능 전자레인지{MULTI-FUNCTION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 기능을 구비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로서 현재까지 여러 가지 종류의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가장 원초적인 가열기구는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용기가 있으며, 이러한 용기 내에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넣고 열을 가함으로 조리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많은 종류의 조리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일례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일반적인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높은 열효율에 따른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하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단지 마그네트론에서 발사되는 2450㎒의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단기능 전자레인지가 있고, 마이크로웨이브 외에 조리실의 상측이나 하방에 그릴히터를 구비하여 그릴의 기능을 갖는 그릴형 전자레인지나, 마이크로웨이브 외에 조리실의 후방에 컨벡션히터 및 컨벡션(convection) 팬을 구비하여 열풍을 대류시키는 오븐의 기능을 갖는 컨벡션형 전자레인지 등의 다기능 전자레인지가 있다.
도 1은 종래 그릴히터가 구비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10)에는 조리물 조리를 위한 조리실(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리실(11)의 개방 부분은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한편, 조리물을 그릴히터(12)로 조리하기 위해 별도의 그릴(13)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그릴(13)은 평소에 별도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조리실(11) 내부로 삽입시킨다.
상기한 종래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따르면, 그릴히터가 조리실의 상부 또는 하부에 하나만 구비된 경우, 그릴히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이하 '그릴조리'라 함)할 때, 조리물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만을 가열하게 되므로, 조리물을 골고루 익히기 위해서는 그릴 위에 놓인 조리물을 수시로 뒤집어 주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그릴히터를 상부 및 하부에 동시에 구비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따르면, 그릴의 크기에 제한이 있어, 그릴조리시 조리 가능한 조리물의 양이 제한되므로, 많은 양의 조리물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릴조리시, 조리물을 수시로 뒤집어 주어야하는 불편함이 없고, 많은 양의 조리물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비용 및 전력 소모량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에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며, 다수의 그릴을 구비하는 그릴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그릴은,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릴은,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일면이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일면이 개구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그릴유닛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볼트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후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걸림 결합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에 따르면, 종래 발명과 달리, 다수의 그릴을 포함하는 그릴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종류가 다른 많은 양의 조리물을 동시에 그릴 조리할 수 있다.
또한, 그릴유닛에 포함되는 다수의 그릴이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되고, 이러한 그릴유닛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하나의 히터만을 사용하여 그릴 조리를 수행하더라도, 그릴 위에 놓인 조리물을 수시로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조리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전력 소모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종류가 다른 많은 양의 조리물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그릴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회전축과 그릴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100)는, 본체(110)와, 회전축(120)과, 구동부(130) 및 그릴유닛(14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캐비티(111) 및 외부 케이스(112)를 포함한다. 캐비티(111) 내부에는, 조리실(113)이 형성되며, 이 조리실(113)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14)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114)가 조리실(113)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110) 일측에는, 조리실(113) 내부에 고주파를 조사하기 위한 마그네트론(미도시), 고압 트랜스포머(미도시) 등이 구비되는 전장실(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110)의 구성 및 작동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축(120)은, 조리실(113)에 구비된다. 이 회전축(120)은 조리실(113) 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일측은 구동부(130)와 축 연결된다.
또한 회전축(120)은, 그 양측이 본체(110)의 조리실(113) 내부에 구비된 지지부(115)에 의해 지지된다. 이 지지부(115) 중 회전축(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15)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120)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120)의 타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15)는 회전축(12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15)가 이러한 형태로 구비되면, 회전축(120)은, 본체(110) 상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게 되나, 이는 지지부(115)의 일례로서 예시된 것으로, 회전축(120)을 본체(110) 상에 회전 및 탈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지지부(115)로서 적용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이 구동부(130)는, 모터(미도시) 및 이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축(1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수단은, 다수의 기어 등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의 상세한 구조 및 작동에 관한 사항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릴유닛(140)은, 다수의 그릴(141)을 포함하며, 조리실(113)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20)에 축 결합한다.
그릴(141)은,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수용부(141a) 및 덮개부(141b)를 포함한다.
수용부(141a)는, 일면이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덮개부(141b)는, 수용부(141a)의 개방된 일면을 덮도록 구비된다. 이 덮개부(141b)는, 수용부(141a)의 일측에 힌지 결합함으로써, 수용부(141a)를 개폐한다.
이러한 수용부(141a) 및 덮개부(141b)를 구비하는 그릴(141)은,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다수가 배치되며, 이러한 다수의 그릴(141)은,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한다. 이때, 각각의 그릴(141)에 구비된 덮개부(141b)는 각각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그릴(141)이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릴(141)이 삼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그릴유닛(140)은, 회전축(120)에 고정되기 위하여 결합부(1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그릴(141)이 서로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는 그릴유닛(140)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결합부(142)는, 그릴유닛(140)의 각 꼭지점 부분에서 회전축(120)을 향하여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각각의 결합부(142)는, 그릴유닛(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142a)와 그릴유닛(14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142b)가 각각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결합부(142)는, 그릴유닛(140)의 꼭지점 부 분이 아닌 모서리 부분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결합부에 의한 회전축과 그릴유닛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그릴유닛(14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142a)는, 그릴유닛(140)의 일측에 위치한 각 꼭지점 부분에서 회전축(120)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142a)는, 회전축(120) 상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그릴유닛(140)의 일측을 회전축(120)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축(120)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결합홈(121)이 형성되며, 제1결합부(142a)는 이 결합홈(121)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그릴유닛(14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142b)는, 그릴유닛(140)의 일측에 위치한 각 꼭지점 부분에서 회전축(120)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된 후, 그 일부분이 회전축(120)과 면 접촉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2결합부(142b)를 회전축(12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전축(120) 상에는 체결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체결부재(150)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120)에 끼움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이 체결부재(150)의 내부에는, 끼움홈(151)이 형성된다. 끼움홈(151)에는, 제2결합부(142b)의 절곡된 부분이 끼움 결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2결합부(142b)는, 체결부재(150)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150)는, 볼트부재(152)에 의해 회전축(120) 상에 고정되는데, 이에 따라 제2결합부(142b)는, 체결부재(150)에 의해 회전축(120)에 고정됨으로써, 그릴유닛(140)의 타측을 회전축(120)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부(142) 및 체결부재(150)를 이용하여 그릴유닛(140)을 회전축(120)에 고정시키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유닛(140)에 회전축(120)을 삽입한 후, 제1결합부(142a)를 회전축(120)의 결합홈(121)에 끼움 결합한다. 그런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142b)를 회전축(120)과 면 접촉하도록 배치시키고, 체결부재(150)를 회전축(120)에 삽입하여 제2결합부(142b)가 체결부재(150)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체결부재(150)를 일측으로 밀어 제2결합부(142b)를 가압해준 다음, 볼트부재(152)로 체결부재(150)를 회전축(120)에 고정시켜 줌으로써, 그릴유닛(140)을 회전축(120) 상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완료한다.
이에 따라 그릴유닛(140)은, 회전축(120) 상에서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도 않고, 회전축(120) 상에서 헛돌지 않도록 고정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부재(150)에 형성된 끼움홈(151)은, 체결부재(150) 대신에 회전축(120)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체결부재(150)와 회전축(120) 모두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그릴유닛(140)을 이용하여 그릴 조리를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각각의 그릴(141)에 조리물을 넣고,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회전축(120)을 회전시킴으로써, 그릴유닛(140)을 회전시키면 된다. 이와 동시에, 히터(114)를 작 동시켜 그릴 조리를 시작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14)는, 조리실(113)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구비되어 작동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114)가 조리실(113)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어 작동되어도, 그릴유닛(140)의 회전에 의해 조리물이 골고루 가열될 수 있게 되므로, 충분히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하다. 이때 구동부(130)는, 컨트롤 패널(부호생략)의 해당 스위치 조작으로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다기능 전자레인지(100)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그릴(141)을 포함하는 그릴유닛(140)을 구비함으로써 종류가 다른 많은 양의 조리물을 동시에 그릴 조리할 수 있다.
또한, 그릴유닛(140)에 포함되는 다수의 그릴(141)이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되고, 이러한 그릴유닛(140)은 회전축(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하나의 히터(114)만을 사용하여 그릴 조리를 수행하더라도, 그릴 위에 놓인 조리물을 수시로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조리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전력 소모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종류가 다른 많은 양의 조리물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그릴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기능 전자레인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와 다른 여러 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릴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전축과 그릴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릴유닛(240)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241)의 수용부(241a)가 일면이 개구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241a)를 갖는 그릴(241) 및 이러한 다수의 그릴(241)을 포함하는 그릴유닛(2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유닛(140; 도 3 참조)에 비해 생선 등과 같은 조리물을 좀 더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결합부에 의한 회전축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릴유닛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그릴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와 회전축과의 결합 관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결합부(142b)를 회전축(22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전축(220) 상에는 후크부재(221)가 구비된다. 이에 대응하여 체결부재(250)의 내부에는, 후크부재(221)가 걸림 결합하는 걸림홈(25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250)를 회전축(22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부재(152; 도 6 참조)를 체결하는 대신, 후크부재(221)가 걸림홈(252)에 걸림 결합할 때까지 체결부재(250)를 회전축(220)의 일측으로 밀어주기만 하면, 체결부재(250)가 회전축(220) 상에 고정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유닛(240)을 회전축(220) 상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그릴유닛(240)을 회전축(220) 상에 좀 더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후크부재(221) 및 걸림홈(252)이 제2결합부(142b)를 적절히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그릴히터가 구비된 다기능 전자레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회전축과 그릴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릴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전축과 그릴유닛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다기능 전자레인지 110 : 본체
113 : 조리실 114 : 히터
115 : 지지부 120,220 : 회전축
130 : 구동부 140,240 : 그릴유닛
141,241 : 그릴 142 : 결합부
150,250 : 체결부재 221 : 후크부재

Claims (13)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에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며, 다수의 그릴을 구비하는 그릴유닛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그릴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각 형상을 이루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그릴은,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고 일면이 개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을 덮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그릴유닛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면이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면이 개구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그릴유닛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결합부가 끼움 결합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볼트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후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걸림 결합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자레인지.
KR1020070139478A 2007-12-27 2007-12-27 다기능 전자레인지 KR101328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478A KR101328417B1 (ko) 2007-12-27 2007-12-27 다기능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478A KR101328417B1 (ko) 2007-12-27 2007-12-27 다기능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239A KR20090071239A (ko) 2009-07-01
KR101328417B1 true KR101328417B1 (ko) 2013-11-14

Family

ID=4132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478A KR101328417B1 (ko) 2007-12-27 2007-12-27 다기능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4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556Y1 (ko) * 2000-10-24 2001-06-15 주식회사인택가전 조리장치용 회전그릴
KR100370056B1 (ko) * 1999-08-17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056B1 (ko) * 1999-08-17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KR200226556Y1 (ko) * 2000-10-24 2001-06-15 주식회사인택가전 조리장치용 회전그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239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8939B2 (ja) ドラム式調理器
JP4000531B2 (ja) 加熱調理器
CN108463019A (zh) 半导体微波烹饪器具
CN101464014A (zh) 一种具有烧烤功能的微波炉
KR101328417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JP2008089255A (ja) 加熱調理器
KR101298002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JP2014052152A (ja) 加熱調理器
JP2016168154A (ja) ドラム式調理器
KR20090071241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101474451B1 (ko) 전기오븐
KR200157110Y1 (ko) 전자 렌지용 그릴 석쇠
KR101568039B1 (ko) 컨벡션 전자레인지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JP2011228029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20090071253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100635636B1 (ko) 전자렌지 겸용 전기밥솥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KR100697459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KR20036715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랙 구조
KR19980059316A (ko) 전자렌지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KR100326659B1 (ko) 전자렌지 겸용 쿠커
KR100403501B1 (ko) 전자렌지용 바베큐봉의 결합구조
KR20080103832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