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056B1 -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056B1
KR100370056B1 KR10-1999-0033953A KR19990033953A KR100370056B1 KR 100370056 B1 KR100370056 B1 KR 100370056B1 KR 19990033953 A KR19990033953 A KR 19990033953A KR 100370056 B1 KR100370056 B1 KR 100370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height adjusting
food
cov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132A (ko
Inventor
구광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0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의 종류 및 형태에 알맞게 복사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임의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고, 음식물의 크기에 알맞게 석쇠가 조절되어 음식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구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도록 고내에 설치된 사각 형상의 몸체석쇠와, 상기 몸체석쇠의 하부 개방부분에 고정되어 공간부로 수용되는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석쇠와, 상기 몸체석쇠의 상부 개방부분에 다단계로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간부의 체적을 가변 시키면서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사각 형상의 덮개석쇠로 이루어진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이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barbecue device of microwave-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도 1과 도 2와 같이 크게 몸체(100)의 외곽을 둘러싸고있는 외부케이스(outcase)(10)와, 상기 몸체(10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음식물 조리공간인 고내(20)와, 상기 몸체(100) 내부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여 전자레인지의 가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들이 집결된 전장실(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내(20)는 세부적으로 하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음식물(230)이 놓여지고 음식물을 회전시키는 트레이(21)와 음식물을 구울 수 있도록 열을 발산하는 히터(22)와 음식물이 상기 히터(22)의 열을 최대로 받을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21)상에 안착되는 구이용 그릴랙(grill rack)(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30)은 세부적으로는 하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가정용으로 들어오는 일반 전압을 마그네트론(31) 발진에 요구되는 높은 전압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트랜스포머(transformer)(32)와, 양극과 음극을 이루고 있으며 양극이 음극을 둘러싸고 있는 일련의 톱니바퀴로 구성되어 음극에서 방출되는 전자가 마그넷에 의해 +극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방해를 받게 됨에 따라 마이크로파(2,450MHz)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31)과, 상기와 같은 작용이 계속 발생하면서 마그네트론(31)은 상당한 열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33)과, 마그네트론(31)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를 고내(20)로 이동시켜주는 마이크로파 안내로(wave guide)(34)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이루고 있는 전자레인지는 자계를 가하여 전류를 제어하는 마그네트론(31)을 이용하여, 마그네트론(31)으로부터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고, 상기 발진된 마이크로파가 고내(20)의 트레이(21)에 놓여있는 음식물(230)의 분자와 상호 반응하여, 상호 반응으로부터 생겨난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으로 이루어진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구이장치에 관한 내용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랙(gill rack)(200)으로서 트레이(21) 위에 올려놓도록 여러개의 발(220)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발(220)의 상단에는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석쇠(210)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진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이다.
이와 같은 그릴랙(200)을 이용한 구이시에는 먼저 석쇠(210)상에 음식물(230)을 얹어놓고 구이를 실행하면 고내(20)의 상부에 위치한 히터(22)가 동작됨과 동시에 음식물을 지지하는 그릴랙(200)이 트레이(2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한다(화살표 참조).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 그릴랙(200)은 좌·우 회전운동만을 하므로 음식물(230)의 히터(22)와 마주하는 쪽은 고르게 익는 반면 히터(22)와 상반된 쪽은 익지 않아 구이도중 몸체(100)의 문을 열고 음식물(230)을 꺼내어 소비자가 직접 음식물을 뒤집어야 함으로 조리도중 음식물을 뒤집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음식물을 뒤집기 위해 몸체(100)의 문을 열고 닫음으로써 발생하는 열손실에 의하여 구이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제2 종래기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내(20)의 외측 일측면에는 상기 음식물을 구동할 수 있는 모터(320)와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마이컴(도시생략)과 상기 마이컴의 프로그램을 초기화 해주는 마이컴 스위치(330)가 고정되도록브라켓(3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내(20)의 상면부 내벽에는 음식물에 열을 발산하는 히터(22)가 설치되어 있고, 고내(20)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모터(320)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고, 마이컴스위치에 의해 위치가 초기화되는 회전체(3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310)와 동일 선상의 맞은편 내벽에는 축지지체(350)가 형성되어 있어서, 쇠꼬챙이 형상을 하고 있고 음식물(230)이 가운데 꽂아져서 일체화되는 두 개의 로티바(rotisserie-bar)(300)가 상기 회전체(310)와 축지지체(350)에 끼워져서 이루어진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이다.
상기 음식물이 장착된 로티바(300)는 구이를 시작하면 모터(320)에 의해 계속 회전(화살표 참조)하면서 음식물을 균일하게 굽는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음식물 구이중에 음식물이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통닭과 같은 통 구이는 적당하나, 상·하면에 히터의 복사열을 집중시켜야 하는 얇은 형상의 요리에는 부적당하다.
즉, 음식물이 계속 회전하므로 상·하면에 집중시켜야 하는 복사열이 음식물의 측면에도 동일하게 복사되어 열손실 크다.
그리고 회전체(310)에 끼워지는 로티바(300)와 축지지체(350)에 끼워지는 로티바(300)가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모터(320)의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받는 로티바(301)는 계속회전이 가능하지만 축지지체(350)에 끼워진 로티바(302)는 음식물(230)에 의해 전달된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므로 뼈대가 없는물렁한 음식물 등을 구이 할 때는 로티바(301)(302)에서 음식물(230)이 분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음식물(230)을 로티바(300)에 꽂은 후 요리를 하게 되면 음식물이 열에 의해 수축 및 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음식물이 로티바(300)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로티바(300)로 꽂을 수 있는 음식물만 요리가 가능하므로 구이 가능한 음식물이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석쇠의 회전과 열에 의한 음식물 수축으로 음식물이 석쇠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석쇠가 음식물의 크기에 알맞게 조절되어 음식물을 석쇠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음식물의 종류나 형태에 알맞게 복사열을 받을 수 있도록 음식물이 수용된 석쇠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내에 설치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그릴랙(grill rack) 구이장치를 도시한 제1 실시예.
도 3은 종래 기술의 로티바(rotisserie-bar) 구이장치를 도시한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석쇠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와 몸체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제1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와 몸체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와 몸체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제3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와 몸체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제4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A"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a는 덮개석쇠의 잠금수단이 몸체석쇠의 잠금수단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면도.
도 13b는 덮개석쇠의 잠금수단이 몸체석쇠의 잠금수단에 삽입되어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면도.
도 14a는 덮개석쇠의 잠금수단이 몸체석쇠의 잠금수단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I-I 종단면도.
도 14b는 덮개석쇠의 잠금수단이 몸체석쇠의 잠금수단에 삽입되어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Ⅱ-Ⅱ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를 제어하는 알고리즘(algorithm)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몸체석쇠 410: 몸체석쇠의 제1 가로변
411: 제1 높낮이조절홈 412: 제2 높낮이조절홈
413: 제3 높낮이조절홈 414: 제4 높낮이조절홈
420: 몸체석쇠의 제2 가로변 421: 제1a 높낮이조절홈
422: 제2a 높낮이조절홈 423: 제3a 높낮이조절홈
424: 제4a 높낮이조절홈 430: 몸체석쇠의 좌측면부
431: 제7 높낮이조절홈 432: 제8 높낮이조절홈
433: 제3 원형홈 434: 제4 원형홈
435: 제1 삽입공 436: 제1a 삽입공
437: 제2 삽입공 438: 제2a 삽입공
440: 제2 세로변 441: 제5 높낮이조절홈
442: 제6 높낮이조절홈 443: 제1 원형홈
444: 제2 원형홈 445: 제3 삽입홈
446: 제3a 삽입홈 447: 제4 삽입홈
448: 제4a 삽입홈 450: 지지석쇠
500: 덮개석쇠 511: 제1 삽입돌기
512: 제2 삽입돌기 521: 제1 고정돌기
522: 제2 고정돌기 530: 잠금돌기
531: 제1 걸림편 532: 제2 걸림편
533: 손잡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반전과 계속회전이 가능하도록 고내에 설치된 사각 형상의 몸체석쇠와, 상기 몸체석쇠의 하부 개방부분에 고정되어 공간부로 수용되는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석쇠와, 상기 몸체석쇠의 상부 개방부분에 다단계로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간부의 체적을 가변 시키면서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사각 형상의 덮개석쇠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구이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이장치는 어떤 음식물이든 크기에 알맞게 조절되어 석쇠에 고정되고, 반전과 계속회전이 가능하도록 고내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음식물의 종류 및 형태에 알맞은 히터 복사열을 흡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석쇠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와 몸체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제1 실시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와 몸체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제2 실시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와 몸체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제3 실시예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석쇠와 몸체석쇠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제4 실시예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A"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a는 덮개석쇠의 잠금수단이 몸체석쇠의 잠금수단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며, 도 13b는 덮개석쇠의 잠금수단이 몸체석쇠의 잠금수단에 삽입되어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고, 도 14a는 덮개석쇠의 잠금수단이 몸체석쇠의 잠금수단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I-I 종단면도이며, 도 14b는 덮개석쇠의 잠금수단이 몸체석쇠의 잠금수단에 삽입되어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Ⅱ-Ⅱ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를 제어하는 알고리즘(algorithm)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몸체석쇠를 도시한 도 5와 도 12를 참조하여 몸체석쇠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가지고 있고, 몸체석쇠(400)의 제1 가로변(410)에는 서로 깊이가 다른 네 개의 제1 높낮이조절홈(411), 제2 높낮이조절홈(412), 제3 높낮이조절홈(413), 제4 높낮이조절홈(4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낮이조절홈(411)(412)(413)(414)은 제1 세로변(430)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4 높낮이조절홈(414)과 제2 높낮이조절홈(412)이 순서대로 위치되어 있고, 제2 세로변(440)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1 높낮이조절홈(411)과 제3 높낮이조절홈(413)이 순서대로 위치되어 있다.
상기 제1, 2 높낮이조절홈(411)(412)의 하부 끝은 제1 세로변(430)을 향해 절곡된 제1, 2 절곡부(415)(4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4 높낮이조절홈(413)(414)의 하부 끝은 제2 세로변(440)을 향해 절곡된 제3, 4 절곡부(417)(4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석쇠(400)의 제2 가로변(420)에는 제1 높낮이조절홈(411)과 깊이가 같은 제1a 높낮이조절홈(421)과, 제2 높낮이조절홈(412)과 깊이가 같은 제2a 높낮이조절홈(422)과, 제3 높낮이조절홈(413)과 깊이가 같은 제3a 높낮이조절홈(423)과, 제4 높낮이조절홈(414)과 깊이가 같은 제4a 높낮이조절홈(4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낮이조절홈(421)(422)(423)(424)은 제2 세로변(440)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2a 높낮이조절홈(422)과 제4a 높낮이조절홈(424)이 순서대로위치되어 있고, 제2 세로변(430)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3a 높낮이조절홈(423)과 제1a 높낮이조절홈(421)이 순서대로 위치되어 있다.
상기 제1a, 2a 높낮이조절홈(421)(422)의 하부 끝은 상기 제1 가로변(410)의 제1, 2 높낮이조절홈(411)(422)과 동일하게 제1 세로변(430)을 향해 절곡된 제1a, 2a 절곡부(425)(4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a, 4a 높낮이조절홈(423)(424)의 하부 끝은 상기 제1 가로변(410)의 제1, 2 높낮이조절홈(413)(414)과 동일하게 제2 세로변(440)을 향해 절곡된 제3a, 4a 절곡부(427)(4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석쇠(400)의 제1 세로변(430)에는 제3 높낮이조절홈(413)과 깊이가 같은 제7 높낮이조절홈(431)과, 제4 높낮이조절홈(414)과 깊이가 같은 제8 높낮이조절홈(432)이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7 높낮이조절홈(431)은 제1 가로변(41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어 위치해있고, 상기 제8 높낮이조절홈(432)은 제2 가로변(4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어 위치해 있는데 상기 두 일정간격은 동일 간격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제7, 8 높낮이조절홈(431)(432)의 각 하부에는 홈(431)(432)의 너비보다 큰 제3 ,4 원형홈(433)(4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높낮이조절홈(411)의 깊이 끝과 동일선상에 두 개의 제1 삽입공(435)과 제1a 삽입공(436)이 일정한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있고,
상기 제2 높낮이조절홈(412)의 깊이 끝과 동일선상에 두 개의 제 2삽입공(437)과 제 2a삽입공(438)이 상기와 동일한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있다.
제1 가로변(410)으로부터 상기 제1 삽입공(435)까지의 수평거리는 제2 가로변(420)으로부터 상기 제2a 삽입공(428)까지의 수평거리와 같고, 제2 가로변(420)으로부터 상기 제1a 삽입공(436)까지의 수평거리는 제1 가로변(410)으로부터 상기 제2 삽입공(437)까지의 수평거리와 같다.
상기 몸체석쇠(400)의 제2 세로변(440)에는 제1 높낮이조절홈(411)과 깊이가 같은 제5 높낮이조절홈(441)과, 제2 높낮이조절홈(412)과 깊이가 같은 제6 높낮이조절홈(4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5 높낮이조절홈(441)은 제2 가로변(4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어 위치해있고, 상기 제6 높낮이조절홈(442)은 제1 가로변(41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어 위치해 있는데 상기 두 일정간격은 동일 간격을 이루고 있다.
상기 제5, 6 높낮이조절홈(441)(442)의 각 하부에는 홈의 너비보다 큰 제1, 2 원형홈(443)(4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높낮이조절홈(413)의 깊이 끝과 동일선상에 두 개의 제3 삽입공(445)과 제3a 삽입공(446)이 일정한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높낮이조절홈(414)의 깊이 끝과 동일선상에 두 개의 제4 삽입공(447)과 제4a 삽입공(448)이 상기와 동일한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로변(420)으로부터 상기 제3 삽입공(445)까지의 수평거리는 제1 가로변(410)으로부터 제4a 삽입공(448)까지의 수평거리와 같고, 제1 가로변(410)으로부터 제3a 삽입공(446)까지의 거리는 제2 가로변(420)으로부터 제4 삽입공(447)까지의 수평거리와 같다.
또한 상기 제1, 2 세로변(430)(440)의 외곽면 중앙에는 고내에 형성된 회전체(310)와 축지지체(350)에 안착되도록 어느 한 변에는 종단면 형상이 반원인 반원축(439)과 다른 한 변에는 종단면 형상이 원인 원형축(4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2 세로변(430)(440)의 외곽면에는 호(弧) 형상의 널(knurl)부재(405)가 두께를 가지고 각각의 제1, 2, 3, 4 원형홈(443)(444)(433)(434) 바로 밑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석쇠(400)의 하부 개방부분에는 몸체석쇠에 수용된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석쇠(45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석쇠를 도시한 도 6과 도 12을 참조하여 덮개석쇠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1 가로변(501)에는 제1 고정돌기(52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가로변(502)에는 제2 고정돌기(5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 2 세로변(503)(504)으로부터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해 있다.
제1 세로변(503)에는 두 개의 제1 삽입돌기(511)와 제2 삽입돌기(51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삽입돌기(511)는 제1 가로변(501)과 가까운 위치에 있고, 제2 삽입돌기(512)는 제2 가로변(502)과 가까운 위치에 있다.
제2 세로변(504)에는 한 개의 잠금돌기(530)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12 ∼ 도 14b와 같이 상기 잠금돌기(530) 끝부위에는 내측면에 널(knurl)이 형성된 손잡이(5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돌기에는 또한 장경(長徑)과 단경(短徑)을 가진 타원형상을 하고 있는 제1 걸림편(531)과 제2 걸림편(5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경의 길이는 몸체석쇠(400)의 제5, 6, 7, 8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1, 2, 3, 4 원형홈(443)(444)(433)(434)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경의 길이는 몸체석쇠(400)의 제5, 6, 7, 8 높낮이조절홈(441)(442)(431)(432)의 너비보다는 크고 제1, 2, 3, 4 원형홈(443)(444)(433)(434)의 지름보다는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은 음식물(23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몸체석쇠(400)와 덮개석쇠(500)가 네 단계로 조립되어지는데 그 조립과정을 도 7∼도 14b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통닭과 같은 크기 및 형태를 가진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립과정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덮개석쇠(500)를 상·하로 뒤집어서 덮개석쇠(500)의 잠금돌기(530)를 몸체석쇠(400)의 제5 높낮이조절홈(441)에 끼움과 동시에 덮개석쇠(500)의 제1 고정돌기(521)를 몸체석쇠(400)의 제1a 높낮이조절홈(421)에 끼우고 덮개석쇠(500)의 제2 고정돌기(522)를 제1 높낮이조절홈(411)에 끼운다.
상기와 같이 끼워진 상태에서 덮개석쇠(500)의 손잡이(533)를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밀면 덮개석쇠(500)의 제1 삽입돌기(511)는 몸체석쇠(400)의 제1a 삽입공(436)에 삽입되고 덮개석쇠(500)의 제2 삽입돌기(512)는 몸체석쇠(400)의 제1 삽입공(435)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덮개석쇠(500)의 제1 고정돌기(521)는 몸체석쇠(400)의 제1a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1a 절곡부(425)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석쇠(500)의 제2 고정돌기(522)는 몸체석쇠(400)의 제1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제1 절곡부(415)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되면 도 13a와 도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석쇠(500)의 제1 걸림편(531)은 몸체석쇠(400)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제2 걸림편(532)은 몸체석쇠(400)의 제5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1 원형홈(443)에 안착되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석쇠(500)의 잠금돌기(530)에 설치된 손잡이(533)를 90。회전시키면 도 13b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편(531)의 장경부가 몸체석쇠(400)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석쇠(500)가 좌·우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제2 걸림편(532)의 장경부는 몸체석쇠(400)의 제5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1 원형홈(443)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석쇠(500)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손잡이(533) 내측면에 형성된 널(knurl)이 몸체석쇠(400)의 제1 원형홈(443) 밑에 형성된 널(knurl)부재(405)에 고정되어 손잡이(533)가 풀리는 것을 잡아주게 된다.
도 8은 고구마와 같은 크기 및 형태를 가진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립과정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덮개석쇠(500)를 그대로 몸체석쇠에 안착시켜 덮개석쇠(500)의 잠금돌기(530)를 몸체석쇠(400)의 제6 높낮이조절홈(442)에 끼움과 동시에 덮개석쇠(500)의 제1 고정돌기(521)를 몸체석쇠(400)의 제2 높낮이조절홈(412)에 끼우고 덮개석쇠(500)의 제2 고정돌기(522)를 제2a 높낮이조절홈(422)에 끼운다.
상기와 같이 끼워진 상태에서 덮개석쇠(500)의 손잡이(533)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밀면 덮개석쇠(500)의 제1 삽입돌기(511)는 몸체석쇠(400)의 제2 삽입공(437)에 삽입되고 덮개석쇠(500)의 제2 삽입돌기(512)는 몸체석쇠(400)의 제2a 삽입공(438)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덮개석쇠(500)의 제1 고정돌기(521)는 몸체석쇠(500)의 제2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2 절곡부(416)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석쇠(500)의 제2 고정돌기(522)는 몸체석쇠(400)의 제2a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2a 절곡부(426)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되면 도 13a와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석쇠(500)의 제1 걸림편(531)은 몸체석쇠(400)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제2 걸림편(532)은 몸체석쇠(400)의 제6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2 원형홈(444)에 안착되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석쇠(500)의 잠금돌기(530)에 설치된 손잡이(533)를 90。회전시키면 도 13b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편(531)의 장경부가 몸체석쇠(400)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석쇠(500)가 좌·우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제2 걸림편(532)의 장경부는 몸체석쇠(400)의 제6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2 원형홈(444)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석쇠(500)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손잡이(533) 내측면에 형성된 널(knurl)이 몸체석쇠(400)의 제2 원형홈(444) 밑에 형성된 널(knurl)부재(405)에 고정되어 손잡이(533)가 풀리는 것을 잡아주게 된다.
도 9는 통생선과 같은 크기 및 형태를 가진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립과정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덮개석쇠(500)를 좌·우로 뒤집어서 덮개석쇠(500)의 잠금돌기(530)를 몸체석쇠(400)의 제7 높낮이조절홈(431)에 끼움과 동시에 덮개석쇠(500)의 제1 고정돌기(521)를 몸체석쇠(400)의 제3 높낮이조절홈(413))에 끼우고 덮개석쇠의 제2 고정돌기(522)를 제3a 높낮이조절홈(423)에 끼운다.
상기와 같이 끼워진 상태에서 덮개석쇠(500)의 손잡이(533)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밀면 덮개석쇠(500)의 제1 삽입돌기(511)는 몸체석쇠(400)의 제3a 삽입공(446)에 삽입되고 덮개석쇠(500)의 제2 삽입돌기(512)는 몸체석쇠(400)의 제3 삽입공(445)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덮개석쇠(500)의 제1 고정돌기(521)는 몸체석쇠(400)의 제3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3 절곡부(417)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석쇠(500)의 제2 고정돌기(522)는 몸체석쇠(400)의 제3a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3a 절곡부(427)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되면 도 13a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석쇠(500)의 제1 걸림편(531)은 몸체석쇠(400)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제2 걸림편(532)은 몸체석쇠(400)의 제7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3 원형홈(433)에 안착되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석쇠(500)의 잠금돌기(530)에 설치된 손잡이(533)를 90。회전시키면 도 13b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편(531)의 장경부가 몸체석쇠(400)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석쇠(500)가 좌·우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제2 걸림편(532)의 장경부는 몸체석쇠(400)의 제7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3 원형홈(433)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석쇠(500)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손잡이(533) 내측면에 형성된 널(knu기)이 몸체석쇠(400)의 제3 원형홈(443) 밑에 형성된 널(knurl)부재(405)에 고정되어 손잡이(533)가 풀리는 것을잡아주게 된다.
도 10은 토스트나 스테이크와 같은 크기 및 형태를 가진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립과정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덮개석쇠(500)를 좌·우로 뒤집고, 다시 상·하로 뒤집어서 덮개석쇠(500)의 잠금돌기(530)를 몸체석쇠(400)의 제8 높낮이조절홈(432)에 끼움과 동시에 덮개석쇠(500)의 제1 고정돌기(521)를 몸체석쇠(400)의 제4a 높낮이조절홈(424))에 끼우고 덮개석쇠(500)의 제2 고정돌기(522)를 제4 높낮이조절홈(414)에 끼운다.
상기와 같이 끼워진 상태에서 덮개석쇠(500)의 손잡이(533)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밀면 덮개석쇠(500)의 제1 삽입돌기(511)는 몸체석쇠(400)의 제4 삽입공(447)에 삽입되고 덮개석쇠(500)의 제2 삽입돌기(512)는 몸체석쇠(400)의 제4a 삽입공(448)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덮개석쇠(500)의 제1 고정돌기(521)는 몸체석쇠(400)의 제4a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4a 절곡부(428)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석쇠(500)의 제2 고정돌기(522)는 몸체석쇠의 제4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4 절곡부(418)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되면 도 13a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석쇠(500)의 제1 걸림편(531)은 몸체석쇠(400)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제2 걸림편(532)은 몸체석쇠(400)의 제8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4 원형홈(434)에 안착되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석쇠(500)의 잠금돌기(530)에 설치된 손잡이(533)를 90。회전시키면 도 13b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편(531)의 장경부가 몸체석쇠(400)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석쇠(500)가 좌·우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제2 걸림편(532)의 장경부는 몸체석쇠(400)의 제8 높낮이조절홈에 형성된 제4 원형홈(434)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석쇠(500)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과 동시에 손잡이(533) 내측면에 형성된 널(knurl)이 몸체석쇠(400)의 제4 원형홈(434) 밑에 형성된 널(knurl)부재(405)에 고정되어 손잡이(533)가 풀리는 것을 잡아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덮개석쇠를 몸체석쇠에 결합한 후, 석쇠는 다음과 같이 동작하게 되는데 그 동작원리는 도 15와 같다.
몸체(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610)가 회전하면서 마이컴 스위치(620)를 이동시켜 반원 형상의 홈을 가진 회전체(310)의 위치를 초기화시켜 회전체(310)홈의 라운드부가 밑을 향하게 한다(S10).
또한 마이컴(도시생략)의 프로그램을 초기화시킨다(S10).
상기 회전체(310)가 초기화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석쇠(400)에 형성된 반원축(439)의 라운드부를 상기 회전체(310)의 라운드부에 끼우고, 그 맞은편에 원형축(449)을 고내(20)의 축지지체(350)에 안착시키면 석쇠(700)의 덮개석쇠(500)측이 히터(22)와 마주하게 된다(S20).
그 후 구이 버튼(도시생략)을 눌러(S30), 히터(22)를 발열시킨다(S40).
그 후 상기 음식물의 구이를 수동으로 하는 수동구이모드를 선택할 것인지, 자동으로 하는 자동구이모드를 선택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00).
상기 자동구이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다시 두 가지의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음식물 종류에 따라 180。뒤집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전구이모드를 선택할 것인지, 계속회전을 요하는 통구이모드를 선택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S110).
첫째, 소비자가 반전구이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음식물이 초기화된 위치에서 실험 값에 의해 이미 설정된 반전주기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히터의 복사열을 흡수하게 된다(S210).
상기 반전주기에 도달되면 석쇠는 180。회전하여 상기 음식물을 뒤집게 된다(S220).
상기 음식물이 뒤집어진 상태에서 실험 값에 의해 이미 설정된 구이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히터의 복사열을 흡수하게 된다(S230).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에 맞게 설정된 실험 값에 의해 상기 세 단계(S210)(S220)(S230)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반복이 끝나면 히터가 꺼지고(S50), 음식물 구이가 완료된다.
둘째, 소비자가 통구이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석쇠는 실험 값에 의해 이미 설정된 구이시간에 도달할 때까지(S320)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310).
상기 설정된 구이시간에 도달하면 석쇠는 정지하게 된다(S330).
그리고 히터가 꺼지고(S50), 음식물 구이가 완료된다.
셋째, 소비자가 수동구이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수동인 관계로 우선 소비자는 설정키를 눌러 구이 시간을 설정하고(S410), 원하는 음식물의 회전각을 설정한다(S420).
상기 설정된 회전각까지 석쇠가 회전하게 되고(S430), 회전각에 도달하면 석쇠는 정지하게 된다(S440).
그리고 소비자는 음식물에 알맞게 회전각을 반복적으로 재 입력할 수 있다(S450).
상기 설정된 구이시간에 도달(S460)하면 히터가 꺼지고(S50), 음식물 구이가 완료된다.
그 외 요리에 따라 회전과 정지를 주기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의 크기에 알맞게 석쇠가 조절되어 음식물을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구이시 수축등의 변형으로 음식물이 석쇠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 및 형태에 알맞게 복사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임의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알맞은 복사열을 줌으로써 조리시간을 40% ∼ 60% 정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7)

  1. 고내의 일 측면부에 설치되어 마이컴에 의해 정, 역구동이 제어되는 모터와, 고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이 기능시 발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를 가짐과 함께 음식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에 높낮이조절홈부를 가지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반전 또는 계속회전이 가능하도록 고내에 설치된 사각 형상의 몸체석쇠와,
    상기 몸체석쇠의 하부 개방부분에 고정되어 공간부로 수용되는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석쇠와,
    상기 몸체석쇠의 높낮이조절홈부에 다단계로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간부의 체적을 가변 시키면서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사각 형상의 덮개석쇠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석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정지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몸체석쇠의 서로 대향되는 가로변에 형성되어 동일한 깊이를 가지며 하단은 어느 한 쪽으로 절곡된 제1 높이조절홈과,
    몸체석쇠의 서로 대향되는 가로변에 형성되어 동일한 깊이를 가지며 하단은 어느 한 쪽으로 절곡되고, 제1 높이조절홈과 깊이가 다른 제2 높이조절홈과,
    몸체석쇠의 서로 대향되는 가로변에 형성되어 동일한 깊이를 가지며 하단은 어느 한 쪽으로 절곡되고, 제1, 2 높이조절홈과 깊이가 다른 제3 높이조절홈과,
    몸체석쇠의 서로 대향되는 가로변에 형성되어 동일한 깊이를 가지며 하단은 어느 한 쪽으로 절곡되고, 제1, 2, 3 높이조절홈과 깊이가 다른 제4 높이조절홈과,
    몸체석쇠의 일 측 세로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2 높낮이조절홈의 깊이와 각각에 대해서 동일한 제5, 6 높낮이조절홈과,
    몸체석쇠의 타 측 세로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4높낮이 조절홈의 깊이와 각각에 대해서 동일한 제7, 8 높낮이조절홈과,
    상기 일 측 세로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4 높낮이조절홈의 하단과 각각에 대해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한 제1, 2 삽입공과,
    상기 타 측 세로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2 높낮이조절홈의 하단과 각각에 대해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한 제3, 4 삽입공과,
    덮개석쇠를 상, 하 또는 좌, 우로 뒤집어서 상기 몸체석쇠의 제1, 2, 3, 4 높낮이조절홈의 어느 한 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덮개석쇠의 가로변에 형성된 제1, 2 고정돌기와,
    상기 몸체석쇠의 제5, 6, 7, 8 높낮이조절홈의 어느 한 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어느 한 세로변에 형성된 잠금돌기와,
    상기 몸체석쇠의 제1, 2, 3, 4 삽입공의 어느 한 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석쇠의 잠금돌기측 세로변과 대향되는 세로변에 형성된 삽입돌기로 구성됨에 따라 덮개석쇠가 몸체석쇠에 다단계로 상, 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석쇠의 공간부가 덮개석쇠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수단을 더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몸체석쇠의 제5, 6, 7, 8 높낮이조절홈의 각 하부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이들 높낮이조절홈의 상부 폭 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진 제1, 2, 3, 4 원형홈과,
    상기 잠금돌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 2, 3, 4 원형홈을 통과할 수 있는 단경(短徑)과, 제1, 2, 3, 4 원형홈을 통과할 수 없는 장경(長徑)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잠금돌기를 90。로 회전시키면 장경부의 크기가 상기 원형홈의 크기보다 커서 상기 덮개석쇠가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타원형의 제1 걸림편과,
    상기 잠금돌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5, 6, 7, 8 높낮이조절홈을 통과할 수 있는 단경과, 제1, 2, 3, 4 원형홈과 연통된 제5, 6, 7, 8 높낮이조절홈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는 장경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잠금돌기를 90。로 회전시키면 상기 덮개석쇠가 상·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타원형의 제2 걸림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의 외측 끝단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걸림편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석쇠와 손잡이가 접촉하는 각각의 면에 널(knurl)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KR10-1999-0033953A 1999-08-17 1999-08-17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KR100370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53A KR100370056B1 (ko) 1999-08-17 1999-08-17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953A KR100370056B1 (ko) 1999-08-17 1999-08-17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32A KR20010018132A (ko) 2001-03-05
KR100370056B1 true KR100370056B1 (ko) 2003-01-29

Family

ID=1960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953A KR100370056B1 (ko) 1999-08-17 1999-08-17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417B1 (ko) * 2007-12-27 2013-11-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전자레인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96B1 (ko) * 2004-07-30 2011-08-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의 그릴 조리망
KR100801643B1 (ko) * 2006-04-06 2008-02-11 박주영 쓰리디콘티 제작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931U (ja) * 1984-04-13 1985-11-07 株式会社 藤沢製作所 リ−ルオ−ブンのト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931U (ja) * 1984-04-13 1985-11-07 株式会社 藤沢製作所 リ−ルオ−ブンのト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417B1 (ko) * 2007-12-27 2013-11-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32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6260B2 (ja) 高周波加熱装置
JP5310741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器
US20060289436A1 (en) Multi-mode convection oven with flow control baffles
US6362459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roaster oven with digital control assembly
EP0660646A1 (en) Microwave ovens
KR100370056B1 (ko) 전자레인지의 구이장치
CN213721531U (zh) 烹饪装置
KR20070066429A (ko) 전기 오븐
KR200157110Y1 (ko) 전자 렌지용 그릴 석쇠
KR100593060B1 (ko) 전자 레인지 도어의 안전 개폐 구조
KR200253275Y1 (ko) 전자렌지용 선반홀더의 설치구조
KR100685987B1 (ko) 전자 레인지
KR200154589Y1 (ko) 구이 겸용 전자렌지
KR200342080Y1 (ko) 전자렌지용 가습식 찜 조리용기
KR0130586Y1 (ko) 전자렌지
KR200390576Y1 (ko) 전자레인지의 출력 조절장치
KR100672456B1 (ko) 전자 레인지
KR19980013686A (ko) 전자렌지 꼬치구이용 보조장치
KR19990002358U (ko) 전자 렌지용 트레이 높이 조절 장치
KR200268851Y1 (ko) 전자레인지용 타이머
KR200157113Y1 (ko) 전자렌지용 그릴 석쇠
KR200211567Y1 (ko) 전자렌지의 콘트롤패널
KR0170113B1 (ko) 다기능 전자렌지
KR100403501B1 (ko) 전자렌지용 바베큐봉의 결합구조
KR930005327Y1 (ko) 전자레인지의 음식물 재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