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379B1 -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 - Google Patents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379B1
KR101328379B1 KR1020130041620A KR20130041620A KR101328379B1 KR 101328379 B1 KR101328379 B1 KR 101328379B1 KR 1020130041620 A KR1020130041620 A KR 1020130041620A KR 20130041620 A KR20130041620 A KR 20130041620A KR 101328379 B1 KR101328379 B1 KR 10132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roller
pulley
box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섭
최광균
Original Assignee
(주)한백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백,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filed Critical (주)한백
Priority to KR102013004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와 유성감속기를 벨트와 윈치기어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이 되며, 로라와 윈치로라 내부에 모터와 유성감속 매립하여 윈치의 부피와 무게를 줄이고, 로드셀를 윈치와 연결하여 장력을 측정하며 이도 값에 맞는 장력을 기계적으로 산출하여 철탑 상부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긴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어박스와 풀리박스의 사이에 설치하며 모터풀리가 풀리박스의 내부에 형성되어 벨트로 감속기 풀리에 연결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외경으로 설치하며 2차 감김홈을 형성하여 아이들 회전하는 가이드 로라와; 상기 감속기 풀리가 연결되며 기어박스와 풀리박스의 사이에 설치하여 동력을 감속 제공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감속기 기어와 연결된 윈치기어를 통하여 회전하며 외경으로 다수의 1차 감김홈이 형성되는 윈치로라와;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한 몸체에 꼬임방지 베어링으로 연결된 꼬임방지 축과 블록 연결고리가 형성된 트러스트를 연결하는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라의 2차 감김홈과 윈치로라의 1차 감김홈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스틸 와이어가 서로 감기어 당기도록 연결하되;
상기 가이드 로라에는 회전로라가 더 설치되고, 윈치로라에는 심부름 로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Tension measurement-type portable winches}
본 발명은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와 유성감속기를 벨트와 윈치기어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이 되며, 로라와 윈치로라 내부에 모터와 유성감속 매립하여 윈치의 부피와 무게를 줄이고, 로드셀를 윈치와 연결하여 장력을 측정하며 이도 값에 맞는 장력을 기계적으로 산출하여 철탑 상부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긴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송전철탑 건설공사의 긴선 작업이란, 연선 된 전력선을 내장형 철탑 간 에서 소정의 장력으로 인상하여 내장 애자장치에 취부하고 현수철탑은 전력선을 현수 애자장치에 고정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이다.
긴선 작업 시 내장철탑과 내장 철탑사이에서 전선을 규정된 장력(이도 값)으로 조정하여 전선을 내장 애자장치에 접속하는 일련의 작업 중에 전선의 적정 처짐을 결정하는 것이 이도 값(전선의 처짐량)이다. 이도 값의 산출기준은 전선의 굵기, 현장기온, 경간, 철탑 형, 지역 환경과 지형지세, 지역별 온도차이 등을 고려하여 이도 값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규정에 맞게 산출된 이도 값을 작업현장에 다음과 같은 적합한 이도 측정법 중에 선정하여 긴선 작업을 한다. 즉, 직접 전선을 관측해서 측정하는 직접법 (등장법, 이장법, 수평이도법, 각도법)과 계산 등으로 측정하는 간접법(장력계법, 진동주기측정법, 충격파 측정법)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직접법에 의한 측정방법을 긴선 작업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기존 긴선 작업공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형 철탑(100)에 지상에 연결하는 스틸 와이어(121)를 안내하기 위한 스내치 블록(220)을 각 위치에 결합하며, 지상부분의 철탑(100)에는 스트링잉 블록(210)을 설치한 후 애자련(120)의 끝 부분에 연결한 스틸 와이어(121)가 본선(150)의 단부를 연결한 스내치 블록(130)을 통과하여 철탑(100)에 연결한 각 위치의 스내치 블록(220)을 통과하고 상기 스트링잉 블록(210)을 통과하여 긴선 풀라(200)에 연결됨으로 많은 중간 설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기존의 긴선 작업은, 철탑 주변에 긴선 윈치(200) 자리를 선정하여 굴삭기로 지선 앙카 설치 후 긴선 윈치(200)를 사용하고 긴선 윈치를 조작하는 1명의 운전원과 긴선 작업 시 긴선 윈치(200)에 감기는 스틸 와이어 (121)를 정리하기 위한 2명 등의 지상에 총 5명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인원 증원과 긴선 윈치(200)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작업장가지 도로가 없을 경우에는 작업장 부근까지 별도의 운반방법, 즉, 삭도나 헬기 운반, 또는 새로운 진입로개설로 인한 자연훼손, 긴선 윈치(200) 등의 운반에 따른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고 공사기간 연장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송전선로 유지보수 시 전선교체공사에는 진입로 개설이나 헬기, 삭도 등의 운반수단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인력과 고가의 비용과 자연훼손이 발생한다. 또한 철탑(100)에서 긴선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와 긴선 윈치(200) 운전자 간의 거리가 상단한 관계로 육성으로 작업을 지시할 수 없어 운전원은 철탑 위의 긴선 작업자와 무전기로 교신을 하면서 기존윈치 조작을 수행하여야 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철탑의 승탑작업자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긴선 작업 시 대체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이도측정 방법별 문제점으로 먼저 등장법은 측정방법이 간단하고 오차가 적고 정밀도도 높지만 이도자 수평실 취부점이 철탑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 그 점을 추출해야 하고, 전선의 이도 최저점이 철탑높이 범위 내에 있는 경간의 측정이 가능하고, 이장법은 이도자를 직접 취부 할 수 없을 때, 즉, 등장법에 의한 측정점이 철탑기초보다 낮은 경우 편리하나 철탑과 철탑 간의 고저 차가 극단적으로 다르면 오차가 크다. 수평이도법은 계산이나 측정기의 측정 잘못이 없으면 정밀도가 높으나 전선최저점이 측정 경간 내에 있어야하고 측정범위가 정해져 있어 측정에 제한이 있고, 각도법은 이도자를 철탑에 취부하지 않아도 측정이 가능하나 지지점 고저차, 경간이 정확해야하고 다도체로 전선이 요크에 취부 되지 않으면 전선 판별이 불가하고 전선이 횡진하면 오차가 크다. 장력계법은 산악지, 장 경간 등에서 안개, 햇빛, 수목 등에 의한 이도관측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 가능하나 전선과 직렬로 장력계를 탈 부착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위험성이 우려된다.
또한 이도 값을 맞추 과정에서 철탑 상부 작업자와 긴선 윈치 운전자 간의 거리가 멀고 긴선 윈치 운전자가 직접 이도 값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도 값 맞추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긴선 공사의 시공 품질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등 다양한 결점이 발생하였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974321호(2010. 07. 30.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987530호(2010. 10. 06.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859815호(2008. 09. 17. 등록) 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10-0108688호(2010. 10. 08. 공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전력선을 끌어당길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윈치를 철탑 상부 암 끝단의 스내치 블록 애자 플레이트에 결합하여 전력선을 끌어당기는 방법으로 기존 지상에서 긴선 윈치 작업보다 작업상 안전과 작업의 준비와 작업의 공정을 줄임에 있으며 로드셀을 장착하여 허용 장력을 유지 및 확인하면서 긴선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규정된 이도 값에 맞는 이도 측정법 중 직접법의 등장법과 간접법의 장력계법의 장점만을 적용함으로서 고품질의 송전선로 공사를 실현하고 지상 작업공간이 필요치 않아 송전선로 유지보수 공사 중 전선교체 공사에 필요한 진입로 개설이나 삭도, 헬기 등의 장비 등의 운반으로 인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긴선 작업 시 지상 작업자가 없으므로 상부에서의 낙하물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승탑 작업자만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윈치 조작원과 작업자들 간에 가까운 거리에서 긴밀하게 의사소통을 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력선, 케이블, 로프, 와이어 등 다양한 선 종류를 간편하게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며, 로드셀을 설치하고 컨트롤박스에 연결하여 장력을 측정하고 장력 값을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어박스와 풀리박스의 사이에 설치하며 모터풀리가 풀리박스의 내부에 형성되어 벨트로 감속기 풀리에 연결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외경으로 설치하며 2차 감김홈을 형성하여 아이들 회전하는 가이드 로라와; 상기 감속기 풀리가 연결되며 기어박스와 풀리박스의 사이에 설치하여 동력을 감속 제공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된 감속기 기어와 연결된 윈치기어를 통하여 회전하며 외경으로 다수의 1차 감김홈이 형성되는 윈치로라와; 상기 기어박스와 연결한 몸체에 꼬임방지 베어링으로 연결된 꼬임방지 축과 블록 연결고리가 형성된 트러스트를 연결하는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라의 2차 감김홈과 윈치로라의 1차 감김홈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스틸 와이어가 서로 감기어 당기도록 연결하되;
상기 가이드 로라에는 회전로라가 더 설치되고, 윈치로라에는 심부름 로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윈치를 철탑 암 끝단의 스내치 블록 고정 플레이트에 윈치를 설치하여 기존 철탑 하부에 윈치를 세팅하기 위한 중간 과정(활차 등의 설치)을 줄임으로써 작업 준비 과정이 줄어들며 실제 작업이 진행되는 철탑 암 끝단부에 설치하면 윈치 조작원과 긴선 작업자 서로 철탑의 상부 근거리에서 서로 대화 및 작업 상태를 확인하면서 긴선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철탑 상부에서 승탑 작업자들 간에 서로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전동윈치의 조작이 용이하여 전력선을 연결하는 긴선 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지상에서 설치되는 대형 윈치를 이동하거나 설치 및 필요한 공간과 작업인원을 줄여 소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상 작업자가 없으므로 상부에서의 낙하물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승탑 작업자만으로 작업이 가능하고 규정에 맞게 산출된 이도 값에 좀 더 정밀한 이도(전선의 처짐) 시공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 유지보수 중 전선교체공사에는 진입로 개설이나 헬기 삭도 등의 운반수단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수의 인력, 고가의 비용과 자연훼손이 발생하는 것을 작업자들이 휴대 가능한 윈치로 해결할 수 있으며 공기의 단축으로 인한 비용절감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철탑에서 전동 윈치를 사용하여 스틸 와이어를 가이드 로라와 윈치로라에서 어긋나게 여러 바퀴 감아 당기는 과정에서 로라를 통과한 후에는 하측에 그대로 늘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필요한 와이어의 길이를 철탑의 높이와 지면간의 길이만큼 줄일 수 있으며 지상 작업 시 철탑에 복잡하게 늘어져 있는 와이어나 심부름 로프 등의 엉킴으로 인한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중량을 줄여 구동과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동 윈치는 철탑에서뿐만 아니라 지상에서도 다양한 작업과정에서 전력선, 케이블, 로프, 와이어 등 다양한 선 종류를 간편하게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며, 로드셀을 설치하고 컨트롤박스에 연결하여 장력을 측정하고 장력 값을 윈치 구동시스템에 표시하여 이를 확인하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기존 긴선 작업 상태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기존 긴선 작업 상태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윈치 구동시스템에 대한 설치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에 관한 것이다.
철탑(100)의 휴게소 부근에 발전기(112)와 메인콘트롤박스(113) 및 유압펌프(115)로 이루어진 윈치 구동시스템(110)을 설치하며, 사기 발전기(112)는 지상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윈치(10)에 전원 및 유압을 공급하는 공급라인(111)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휴게소 부근의 양쪽 단부에는 클램프 블록(119)이 설치되어 있어서 애자련(120)에 필요한 개수를 설치하여 전력선(150)에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 블록(119)의 주변에 설치한 윈치 클램프 블록(60)에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윈치(10)를 한쪽에 2개씩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전동윈치(10)에는 스틸 와이어(121)의 단부가 연결되어 스내치 블록(130)을 지나 애자련(120)에 연결되며, 상기 스내치 블록(130)에는 전력선(150)의 단부를 연결하되; 스내치 블록(130)과 가까운 위치에서 전력선(150)에 캄 아롱 (140)을 취부 설치함으로써 전동윈치(10)가 전력선(150)을 끌어당겨 애자련 (120)에 연결하는 긴선 작업 수행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동윈치(10)는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기어박스(11)와 풀리박스(12)를 설치하고, 상기 기어박스(11)와 풀리박스(12)의 사이에 모터 또는 엔진(20)을 설치하고, 상기 모터 또는 엔진(20)의 외경으로 2차 감김 홈(2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 로라(21)를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로라(21)의 한쪽에는 회전로라(23)가 설치되며, 풀리박스(12)의 내부에는 엔진(20)의 동력이 연결되는 모터풀리(24)가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 감속기 풀리(26)와 벨트(25)로 연결한다.
상기 감속기 풀리(26)에는 기어박스(11)와 풀리박스(12)의 사이에 감속기 (27)를 설치하여 엔진(20)의 동력을 감속시켜 감속기 기어(28)에 공급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감속기 기어(28)는 기어박스(11)의 내부에 설치하며, 감속기 기어(28)에는 윈치기어(31)가 연결되어 있고, 기어박스(11)와 풀리박스(12)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에 1차 감김홈(32)을 형성한 윈치 로라(30)를 설치하며, 상기 윈치 로라(30)의 일측으로 심부름 로라(33)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로라(21)에 형성한 2차 감김홈(22)과 윈치로라(30)에 형성한 1차 감김홈(32)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하고, 2차 감김홈(22)은 "
Figure 112013061301919-pat00011
"형이 되도록 하며, 1차 감김홈(32)은 "
Figure 112013061301919-pat00012
"형에 가깝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기어박스(11)에는 몸체(13)가 연결되어 있으며, 몸체(13)의 중앙에서 꼬임 방지축(52)이 꼬임방지 베어링(53)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꼬임 방지축(52)과 트러스트(50)를 로드셀(54)로 연결한 후 상기 트러스트(50)에는 블록 연결고리(51)를 형성하여 윈치 클램핑 블록(60)에 휴대용으로 이동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몸체(13)에는 단속대축(41)으로 회전가능하게 와이어 단속대(40)를 설치하되; 상기 와이어 단속대(40)에는 누름로라(34)가 설치되어 윈치로라(30)의 외경에 위치하며, 와이어 단속대(40)는 "ㄱ"형으로 형성되어 하측으로 단속부(42)를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동윈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와이어 단속대(40)의 우측 하단에 형성한 단속부(42)에는 고정대(44)가 스프링(45)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설치하고, 풀리박스(12)의 외측으로 고정핸들(43)이 돌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윈치 구동시스템에 대한 설치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윈치 구동시스템(110)은 동력을 제공하는 발전기(112)가 메인콘트롤박스(11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콘트롤박스(113)는 전동 윈치(10)의 각각 장력 값이 표기되고 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급라인(11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콘트롤박스(113)는 리모트 콘트롤러(114)와 유압펌프(115)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펌프(115)는 공급라인(111)을 통하여 윈치(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급 라인(111)은 유압펌프(115)와 전동 윈치(10)의 엔진(20)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메인콘트롤박스(113)와 로드셀(54)이 연결되어 있어 장력 값을 디지털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윈치 구동시스템(110)은 지면에 설치하거나 철탑(100)의 휴게소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동 윈치(10)는 휴대용으로 쉽게 작업자가 들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철탑(100)의 휴게소 부근에 설치한 윈치 클램핑 블록(60)에 블록 연결고리(51)를 사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블록 연결고리(51)를 통하여 연결한 전동 윈치(10)는 고정핸들(43)을 잡아당겨 고정대(44)에서 단속부(42)가 이탈되도록 한 후 와이어 단속대(40)를 상측으로 개방시켜 스틸 와이어(121)를 윈치로라(30)에 형성한 1차 감김홈(32)에서 기어박스(11) 방향의 첫 번째에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감고 가이드 로라(21)의 1차 감김홈(22)에서 기어박스(11) 방향의 첫 번째에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감아 돌린 후 윈치로라(30)에 형성한 1차 감김홈(32)의 두 번째 상측에서 감아 돌리는 방법으로 윈치로라(30)와 가이드로라(21)를 번갈아 감아 돌리며, 스틸 와이어(121)의 끝 부분 일부는 윈치로라(30)에서 하측으로 일부가 노출된 상태를 제공한다.
스틸 와이어(121)를 가이드로라(21)와 윈치로라(30)에 연결한 후에 와이어 단속대(40)를 닫으면 단속부(42)가 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한 단속부(42)를 누르면서 안으로 진입되고, 단속부(42)가 후방으로 이동한 후에는 스프링(45)의 탄성력으로 다시 복귀되며 단속부(42)를 고정시켜 와이어 단속대(4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와이어 단속대(40)에 설치한 누름로라(34)는 윈치로라(30)의 외경에 형성되어 1차 감김홈(32)에 감겨진 스틸 와이어(12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틸 와이어(121)를 전동윈치(10)에 연결한 후에는 스내치 블록(130)을 관통하여 애자련(120)에 연결한다.
상기 스내치 블록(130)에는 전력선(150)이 캄아롱(140)을 지나 전력선(150)의 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긴선 작업 준비를 완료한 상태에서 철탑(100)의 휴게소에 전동 윈치(10)를 구동하기 위한 작업자가 있고, 전력선(150)을 애자련(120)에 연결할 작업자 간에 가까운 거리에 있으므로 서로 의사소통을 하면서 전동 윈치(10)를 구동시켜 전력선(150)을 당기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전력선(150)을 당기는 작업은, 발전기(112)의 동력이 메인콘트롤박스(113)를 통하여 유압펌프(115)가 공급라인(111)으로 모터 또는 엔진(20)을 구동시켠 모터풀리(24)와 벨트(25)를 통하여 감속기 풀리(26)를 구동시키게 되고, 감속기(27)에서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된 후 감속기 기어(28)를 회전시켜 윈치기어(31)를 통하여 윈치로라(30)를 구동시킨다.
상기 윈치로라(30)에는 스틸 와이어(121)에 일정한 간격의 1차 감김홈(3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윈치로라(30)가 회전하면서 스틸 와이어(121)를 풀어 공급하거나 당기게 되는 것이며, 1차 감김홈(22)을 형성한 가이드로라(21)는 아이들 로라로 윈치로라(30)의 회전에 따라 회전방향을 달리하며 스틸 와이어(121)를 감거나 풀어주는 것이다.
상기 스틸 와이어(121)는 가이드로라(21)의 2차 감김홈(22)과 윈치로라(30)의 1차 감김홈(31)에 감겨진 이후에는 그대로 하측으로 늘어지게 공급되어 스틸 와이어(121)를 보관함에 따른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윈치로라(30)의 구동에 따라 스틸 와이어(121)를 당기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전력선(150)을 당겨 애자련(120)에 서서히 가까운 거리로 당겨지게 되고, 윈치로라(30)로 전력선(150)을 당겨 이도조정 후 애자련(120)에 전력선(150)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긴선작업을 종료하는 것이다.
상기 긴선 작업 수행할 때, 트러스트(50)와 꼬임 방지축(52)의 사이에 연결한 로드셀(54)은 안정된 힘이 제공되도록 하고, 꼬임 방지축(52)이 꼬임방지 베어링(53)에 설치한 몸체(13)에서 회전을 자유롭게 설치하여 전동 윈치(10)와 스틸 와이어(121)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긴선 작업이 완료되면 스틸 와이어(121)를 풀고 블록 연결고리(51)를 해제하여 철탑(100)에서 전동윈치(10)를 분리한 다음 다른 작업장소로 이동하여 또 다른 긴선 작업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윈치(10)를 사용하여 긴선 작업 수행할 때, 메인콘트롤박스(113)의 화면을 통하여 윈치(10)의 로드셀을 통하여 장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리모트 콘트롤러(114)를 소지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작업의 진행 상태를 파악하면서 최소의 인원으로 작업의 진행 상태를 체크 및 확인할 수 있고, 작업자 간에 의사를 소통하면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 긴선 공법에서는 지상 윈치에 1명의 운전자와 특별인부 2명, 보통 인부 2명과 상탑자 7명을 필요로 하고 등 총 12명의 인부를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승탑자 5명만 필요하므로 인력이 크게 절감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 긴선 공법에서 장비는 3톤 윈치풀라 2대, 스내치블럭 10개 캄아롱 4개, 100톤 압축기 2대, 다이스 2개를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휴대용 윈치 4대, 스내치블럭 2개, 캄아롱 4개 유압세트 1대가 필요한 것이다.
또한 기존 긴선 공법은 작업시간이 8시간 정도 소요되었고 작업공간으로 윈치와 지상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5시간으로 단축되었고 승탑작업만으로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기존 긴선 공법은 윈치가 필요하여 진입로의 개설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진입로의 개설이 여의치 않은 경우 삭도를 설치하여 운반하며 진입로를 개설할 수 없거나 삭도의 설치가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헬기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윈치의 사용으로 진입로의 개설과 삭도설치 및 헬기 운반이 필요 없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 윈치(10)는 철탑(100)과 같은 지상에서뿐만 아니라 지면의 다양한 작업위치와 같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력선, 케이블, 로프, 와이어 등 다양한 선 종류를 간편하게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며, 로드셀(54)을 설치하고 윈치 구동시스템(110)의 컨트롤박스(113)에 연결하여 장력을 측정하여 표시하고 이를 확인하면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송전철탑 긴선공사 시 부피 중량이 크고 와이어와 심부름 로프의 복잡함, 그로 인한 작업인원 증가, 충분한 작업 공간과 비용증가, 안전상의 위험성, 작업의 비효율성을 최소화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기존의 산출된 이도 값을 좀 더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또한, 송전선로 유지보수 공사 중에 전선교체공사 시 철탑부지까지 장비 및 인원의 이동에 필요한 진입로개설이나 삭도설치, 헬기운반 등 그에 따른 자연훼손과 고비용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다.
철탑의 휴게소 부근에 설치한 윈치 클램핑 블록에 전동 윈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전력선에 연결된 스내치 블록과 캄아롱을 통과하여 애자련에 스틸 와이어를 연결한 후 전동윈치의 작업자와 전력선의 설치 작업자 간에 근접 거리에서 원활한 소통으로 작업 과정을 서로 확인하면서 전동윈치를 철탑의 상층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전력선을 끌어당겨 규정된 이도 값으로 압축인류 크람프 압축 후 애자련에 전력선을 연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 : 전동윈치 11 : 기어박스
12 : 풀리박스 13 : 몸체
20 : 엔진 21 : 가이드로라
22 : 2차 감김홈 23 : 회전로라
24 : 모터풀리 25 : 벨트
26 : 감속기 풀리 27 : 감속기
28 : 감속기 기어 30 : 윈치로라
31 : 윈치기어 32 : 1차 감김홈
33 : 심부름로라 34 : 누름로라
40 : 와이어 단속대 41 : 단속대축
42 : 단속부 43 : 고정핸들
44 : 고정대 45 : 스프링
50 : 트러스트 51 : 블록 연결고리
52 : 꼬임 방지축 53 : 꼬임방지 베어링
54 : 로드셀 60 : 윈치 클램핑 블록
100 : 철탑 110 : 윈치 구동시스템
111 : 공급라인 112 : 발전기
113 : 메인콘트롤박스 114 : 리모트 콘트롤러
115 : 유압펌프 119 : 클램핑 블록
120 : 애자련 121 : 스틸 와이어
130 : 스내치 블록 140 : 캄아롱
150 : 전력선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기어박스(11)와 풀리박스(12)의 사이에 설치하며 모터풀리(24)가 풀리박스(12)의 내부에 형성되어 벨트(25)로 감속기 풀리(26)에 연결하는 엔진(20)과; 상기 엔진(20)의 외경으로 설치하며 2차 감김홈(22)을 형성하여 아이들 회전하는 가이드 로라(21)와; 상기 감속기 풀리(26)가 연결되며 기어박스(11)와 풀리박스(12)의 사이에 설치하여 동력을 감속 제공하는 감속기(27)와; 상기 감속기(27)에 연결된 감속기 기어(28)와 연결된 윈치기어(31)를 통하여 회전하며 외경으로 다수의 1차 감김홈(32)이 형성되는 윈치로라(30)와; 상기 기어박스(11)와 연결한 몸체(13)에 꼬임방지 베어링(53)으로 연결된 꼬임방지 축(52)과 블록 연결고리(51)가 형성된 트러스트(50)를 연결하는 로드셀(54)로 이루어지는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라(21)의 2차 감김홈(22)과 윈치로라(30)의 1차 감김홈(31)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스틸 와이어(121)가 서로 감기어 당기도록 연결하되;
    상기 가이드 로라(21)에는 회전로라(23)가 더 설치되고, 윈치로라(30)에는 심부름 로라(33)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
  4. 기어박스(11)와 풀리박스(12)의 사이에 설치하며 모터풀리(24)가 풀리박스(12)의 내부에 형성되어 벨트(25)로 감속기 풀리(26)에 연결하는 엔진(20)과; 상기 엔진(20)의 외경으로 설치하며 2차 감김홈(22)을 형성하여 아이들 회전하는 가이드 로라(21)와; 상기 감속기 풀리(26)가 연결되며 기어박스(11)와 풀리박스(12)의 사이에 설치하여 동력을 감속 제공하는 감속기(27)와; 상기 감속기(27)에 연결된 감속기 기어(28)와 연결된 윈치기어(31)를 통하여 회전하며 외경으로 다수의 1차 감김홈(32)이 형성되는 윈치로라(30)와; 상기 기어박스(11)와 연결한 몸체(13)에 꼬임방지 베어링(53)으로 연결된 꼬임방지 축(52)과 블록 연결고리(51)가 형성된 트러스트(50)를 연결하는 로드셀(54)로 이루어지는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3)는 단속대축(41)으로 형성되며 윈치로라(30)의 일측으로 누름로라(34)를 더 설치하며, 풀리박스(12)의 내부에 단속부(42)가 돌출되어 고정핸들(43)에 스프링(45)을 형성한 고정대(44)로 단속되는 와이어 단속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
  5. 삭제
KR1020130041620A 2013-04-16 2013-04-16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 KR10132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620A KR101328379B1 (ko) 2013-04-16 2013-04-16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620A KR101328379B1 (ko) 2013-04-16 2013-04-16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379B1 true KR101328379B1 (ko) 2013-11-13

Family

ID=4985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620A KR101328379B1 (ko) 2013-04-16 2013-04-16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2110A (zh) * 2020-09-29 2021-01-08 李德元 电力检修自行走预绞丝缠绕装置、安装设备及操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917Y1 (ko) 2001-10-05 2002-01-09 김성평 중량물의 신속한 운반작업과 안전을 위한 전동윈치
KR101069840B1 (ko) 2009-04-06 2011-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윈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917Y1 (ko) 2001-10-05 2002-01-09 김성평 중량물의 신속한 운반작업과 안전을 위한 전동윈치
KR101069840B1 (ko) 2009-04-06 2011-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윈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2110A (zh) * 2020-09-29 2021-01-08 李德元 电力检修自行走预绞丝缠绕装置、安装设备及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7664C (en) Wind turbine blade removal and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KR101627291B1 (ko)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JP5812325B2 (ja) 電線張力低減装置及び電線張力低減工法
KR20150087786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N103872622B (zh) 架空放缆牵引车及其专用提升工具
KR101972405B1 (ko) 송전선용 장력측정식 상탑 이도공법과 그 장치
CN112582938B (zh) 架空地线更换方法
KR20130027175A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101328379B1 (ko)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
KR101328378B1 (ko) 장력 측정형 휴대용 윈치를 이용한 송전선로 긴선 공법
CN203536862U (zh) 输电线路高空作业工具提升装置
CN107732789B (zh) 架空线架线紧线装置
KR100928346B1 (ko)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디지털 풀링머신
JP2004023858A (ja) 架線の移線工法及び移線装置
KR20090129249A (ko) 휴대용 전동윈치를 활용한 긴선공법
CN201191731Y (zh) 电动绞磨
KR100632056B1 (ko) 가공선 가설용 자주기
CN201260052Y (zh) 塔上液压紧线系统
CN210326718U (zh) 一种配电网跨公路放线结构
KR100987530B1 (ko) 현수 애자 장치 긴선 작업 전선 인상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긴선 작업 공정
CN112290457A (zh) 一种碳纤维复合芯导线的施工方法
CN110690664A (zh) 一种配电网跨公路放线结构及放线方法
CN110282486A (zh) 电力施工用放线装置
KR102220513B1 (ko) 멀티 케이블 설치 및 철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