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785B1 - Construction Method of Core Part in Building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Core Part in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785B1
KR101327785B1 KR1020120042217A KR20120042217A KR101327785B1 KR 101327785 B1 KR101327785 B1 KR 101327785B1 KR 1020120042217 A KR1020120042217 A KR 1020120042217A KR 20120042217 A KR20120042217 A KR 20120042217A KR 101327785 B1 KR101327785 B1 KR 10132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ment
core
wall
construction
cor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9226A (en
Inventor
이정무
이봉래
김지혁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785B1/en
Publication of KR2013011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지하층에서 계단실, 화장실, 엘리베이터실 등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건물의 중앙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코어부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하층 형성을 위한 지반의 터파기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각 지하층에서의 코어부를 형성하고, 특히 지하층의 한 층내에서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하여 코어부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아래에서부터 위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콘크리트 벽체를 분할 시공하여 코어부를 구축함으로써, 코어부의 콘크리트 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구조물의 규모를 축소할 수 있으며 지하층의 시공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지하층에서의 코어부 시공방법으로서, 건물의 지하층 시공을 위한 터파기를 지하층의 각층 시공 진행에 맞추어서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각각의 지하층에서는, 연직한 코어용 강재기둥을 이용하여 코어부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일부분을 이루는 하부 지지벽체를 시공하고; 해당 지하층의 코어부를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코어벽체를 상기 하부 지지벽체의 상부에 일체화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부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re portion partition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building to be used in the basement floor of the building, such as stairs, toilets, elevators, etc. Forming the core part, especially in building the concrete wall in one layer of the basement layer to form the core part, by forming the core part by dividing the concrete wall from the bottom to the upward direction, formwork supporting structure for the concrete wall construction of the core pa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increase the construction speed of the basement floo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re part construction method in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while performing the trench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of each floor of the basement, in each basement, the core part using the vertical steel pillars for the core Constructing a lower support wall forming a part of the concrete wall corresponding to Provided is a core part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constructing an upper core wall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concrete wall forming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layer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upporting wall.

Description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Core Part in Building}Construction Method of Core Part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지하층에서 계단실, 화장실, 앨리베이터실 등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건물의 중앙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코어부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하층 형성을 위한 지반의 터파기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각 지하층에서의 코어부를 형성하고, 특히 지하층의 한 층내에서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하여 코어부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아래에서부터 위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콘크리트 벽체를 분할 시공하여 코어부를 구축함으로써, 코어부의 콘크리트 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구조물의 규모를 축소할 수 있으며 지하층의 시공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re part partitioned to the center of the building to be used for the use of stairs, toilets, elevator rooms, etc. in the basement floor of the building, specifically, the trench of the ground for the formation of the basement floor sequentially The core part in each basement layer is formed as it progresses, and in particular, when constructing a concrete wall in one layer of the basement layer and forming a core part, the concrete part is constructed by dividing and constructing a core part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upwar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verse construction of a core part of a building which can reduce the size of formwork supporting structures for construction and increase the construction speed of basement floors.

빌딩 등과 같은 건물에는 계단실, 화장실, 엘리베이터실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코어부가 건물의 중앙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코어부는 건물의 지상층 뿐만 아니라 지하층에도 형성된다. 건물의 시공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이러한 코어부는 우선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데, 코어부를 선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1873호(특허출원 제1994-11325호)에 개시되어 있다. In a building such as a building, a core part used for a staircase room, a toilet, an elevator room, etc. is partitioned and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and the core part is formed in the basement floor as well as the ground floor of the building.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uch a core part may be preferentially constructed. An example of the related art for the method of pre-installing the core p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71873 (Patent Application No. 1994-1325). It is.

그런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1873호(특허출원 제1994-11325호)에 개시되어 있는 선행기술은 건물의 지하층을 형성할 공간을 모두 터파기를 한 후, 슬립폼 등을 이용하여 지하층에서부터 지상층으로 코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코어부 형성을 위해서는 지하층을 위한 공간을 모두 터파기를 해야 하므로, 그만큼 코어부 형성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코어부를 이용한 지상층 공사 개시 시점도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71873 (Patent Application No. 1994-1325) breaks all the spaces to form the basement floor of a building, and then forms a core part from the basement floor to the ground floor using slip foam or the like. It is supposed to. Therefore, in the prior art, since all the spaces for the basement layer need to be excavated in order to form the core part, it takes a lot of time for the core part to be forme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of delaying the ground layer construction start time using the core part.

한편, 위의 종래 기술과 달리 지하층을 모두 터파기한 후 코어부를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지반을 지하층의 높이에 맞추어서 순차적으로 터파기하면서 터파기된 부분에 코어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지하층의 한층 높이에 해당하는 코어부를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하층의 한층 높이에 해당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지지할 수 있는 거푸집 지지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즉,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지지구조물은 지하층 한층 높이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콘크리트 량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규모를 가져야 하는 것이고, 그에 따라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nstead of constructing the core part after destroying all the basement layers,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of forming the core part in the excavated portion while sequencing the 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basement layer, in this case, In order to construct a concrete wall forming the core par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asement level, formwork supporting structures for supporting the site-casting concret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asement level must be installed. That is, the formwork supporting structure for forming the concrete wall is to have a size that can support the amount of concrete of the concrete wall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asement floo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cost is consumed accordingl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873호(1999. 02. 18. 공고) 참조.Se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1873 (1999. 02. 18. notificatio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코어부를 시공함에 있어서, 지하층 전체의 터파기를 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지반을 터파기 하면서 각 지하층에서의 코어부를 구축함으로써, 지하층의 시공속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코어부의 콘크리트 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구조물의 규모를 축소함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코어부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specifically, in constructing the core part of a building, the core part in each basement layer is constructed while breaking the ground sequentially without breaking the entire basement layer.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re part, which reduces construction cost b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speed of the basement layer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formwork supporting structure for the concrete wall construction of the core part.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지하층에서의 코어부 시공방법으로서, 건물의 지하층 시공을 위한 터파기를 지하층의 각층 시공 진행에 맞추어서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각각의 지하층에서는, 연직한 코어용 강재기둥을 이용하여 코어부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일부분을 이루는 하부 지지벽체를 시공하고; 해당 지하층의 코어부를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코어벽체를 상기 하부 지지벽체의 상부에 일체화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부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re part construction method in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while performing a trench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of each floor of the basement, in each basement, the vertical core Constructing a lower support wall that forms part of the concrete wall corresponding to the core part by using the molten steel column; There is provided a core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n upper core wall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concrete wall forming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layer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wall.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지지벽체의 시공은, 코어용 강재기둥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설 수평빔을 연결 배치하고; 상기 가설 수평빔 사이에는 가설 수평지지보를 배치하며; 상기 가설 수평빔 및 상기 가설 수평지지보 위에 가설 바닥판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 바닥판부재 위로, 상기 가설 바닥판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동바리 및 상기 동바리에 의해 지지되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진 하부 지지벽체를 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가설 수평빔의 외측에는 가설 바닥판부재의 가장자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브라켓부재를 더 조립 설치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lower support wall is arranged to connect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connecting the steel pillars for the co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temporary horizontal support is disposed between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s; Installing a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on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and the temporary horizontal support; On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by installing the copper bar supported by the temporary floor plate member and the formwork supported by the copper bar can be made by constructing a lower support wall made of concrete wall, and further the outside of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The assembly may further install a bracket member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from the bottom.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코어부를 시공함에 있어서, 지하층 한층 높이의 코어부를 하부 지지벽체와 상부 코어벽체로 구분하여 아래에서 위쪽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시공하고, 더 나아가 코어용 강재기둥과 일체를 이루도록 하부 지지벽체를 구축하여, 이러한 하부 지지벽체로 하여금 상부 코어벽체를 지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코어부의 구축을 위하여 타설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동바리 설치 규모도 줄일 수 있게 되어, 동바리 설치비용은 물론이고 동바리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도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전체적인 건축물의 시공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the core part of the building,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floor is divided into the lower support wall and the upper core wall and sequentially installed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part, and further, the lower part is integrated with the steel pillar for the core. Since the support wall is constructed to allow the lower support wall to support the upper core wall, the load of the stiff concrete concret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re portion is relatively small, and thus the size of the installation of the club can be reduced.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costs,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clubs can be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construction speed of the entire building.

도 1은 건물의 지하층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각각 도 1의 A부분을 본 발명의 시공방법 순서에 따라 확대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 도 15 내지 도 17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하부 지지벽체를 구축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가설 수평빔의 외측에 가장자리 가설 바닥판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부재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원 B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a building.
2 to 11 are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s showing the enlarged portion A of FIG. 1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5 to 17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each step of constructing the lower support wall shown in FIG. 2, respectively.
FIG.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bracket member for supporting the edg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is installed outside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3.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에는 건물의 지하층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내지 도 11에는 각각 도 1의 A부분을 시공순서에 따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sement structure of a building, and FIGS. 2 to 11 are enlarged partial views showing part A of FIG. 1 according to a construction order, respectively.

본 발명의 코어부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건물의 지하층 시공을 위한 터파기를 지하층의 각층 시공 진행에 맞추어서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지하 1층(B1 층)에 대한 공사를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하 1층에 해당하는 깊이 이상으로 지반 굴착이 이루어진다. In the core part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trench for the basement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sequential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each floor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Therefore, for construction on the first basement floor (B1 floor), the ground excavation is made more than the dep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sement floor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지하 1층에 해당하는 정도의 깊이로만 지반 굴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반에 깊게 박혀 있는 코어용 강재기둥(101)을 이용하여 코어부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하 1층 깊이로 굴착된 지반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띄워진 상태로, 코어용 강재기둥(101)을 이용하여 코어부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일부분을 이루는 하부 지지벽체(1a)를 시공한다. 도 2에서 부재번호 코어용 강재기둥(101)의 주변에 설치되는 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수직강재(200)이다. 편의상 지하 1층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벽체는 부재번호 1a를 이용하여 "하부 지지벽체(1a)"라고 기재한다. 아울러, 후술하게 될 지하 2층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벽체는 부재번호 1b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지하 3층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벽체는 부재번호 1c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지하층의 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지하층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벽체에 대해서는 각각 아라비아 숫자 1에 알파벳 소문자를 붙여서 표시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ground excavation is made only to the dep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sement level, the core part is formed by using the steel pillars 101 for the core deeply embedded in the groun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lower support wall forming a part of the concrete wall corresponding to the core part by using the steel pillars 101 for the core in a state of being flo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excavated to a depth of one underground ( Construct 1a). In FIG. 2 is a vertical steel 200 for forming a column installed around the steel column pillar 101 for the member number core. For convenience, the lower support wall installed on the first basement floor is described as "lower support wall 1a" using the member number 1a. 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wall installed on the second basement floor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layed using the member number 1b, the lower support wall installed on the third underground floor is displayed using the member number 1c. As the number of basement floors increases, the lower support walls to be installed on the basement floors are displayed by attaching lowercase letters to Arabic numerals 1.

이와 같이 하부 지지벽체(1a)가 시공되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지하 1층의 코어부를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코어벽체(2a)를 상기 하부 지지벽체(1a)의 위쪽으로 하부 지지벽체(1a)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한다. 즉, 이미 시공된 하부 지지벽체(1a)에 의해 상부 코어벽체(2a)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부 코어벽체에 대해서도 하부 지지벽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재번호를 표시하는데, 구체적으로 지하 2층에 설치되는 상부 코어벽체는 부재번호 2b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지하 3층에 설치되는 상부 코어벽체는 부재번호 2c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지하층의 층수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지하층에 설치되는 상부 코어벽체에 대해서는 각각 아라비아 숫자 2에 알파벳 소문자를 붙여서 표시한다. When the lower support wall 1a is construct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3, the upper core wall 2a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concrete wall forming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1 floor is moved upward of the lower support wall 1a. It is formed to be integral with the lower support wall (1a). That is, the upper core wall 2a is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wall 1a that has already been constructed. For reference, the member number is also displayed on the upper core wall in the same manner as the lower support wall. Specifically, the upper core wall installed on the basement 2 floor is indicated using the member number 2b, and the upper core installed on the basement 3 floor. As the wall is displayed by using the member number 2c, as the number of basement floors increases, the upper core wall installed in the basement floor is displayed by attaching lowercase letters to Arabic numerals 2 respectively.

앞서 살펴본 것처럼 지하 1층에서 하부 지지벽체(1a) 위에 상부 코어벽체(2a)를 시공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코어용 강재기둥(101)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기둥(200)을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 코어벽체(2a)의 횡방향으로 지상 1층의 바닥면이 되는 지상 1층 바닥판(3a)을 시공한다. 상기 바닥판은 데크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바닥판을 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core wall 2a on the lower support wall 1a is completed in the basement 1 floor, the vertical pillar 200 installed around the core steel pillar 101 may be used. As shown in Fig. 4, the ground one-floor bottom plate 3a serving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und one lay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core wall 2a is constructed. The bottom plate may be constructed using a deck plate or the like, or the bottom plate may be constructed by various other known methods.

이와 같이 지하 1층의 하부 지지벽체(1a)와 상부 코어벽체(2a)를 형성하고 지상 1층의 바닥판(3a)을 시공한 후에는, 지하 2층의 시공을 위한 터파기를 수행한다. 지하 2층의 코어부 시공을 위한 충분한 깊이로 추가적인 지반 굴착이 이루어지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또다시 지하 2층의 코어부 일부를 이루게 되는 추가적인 지하 2층의 하부 지지벽체(1b)를 코어용 강재기둥(101)을 이용하여 시공한다. 후속하여 수직기둥(200)을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하 1층의 바닥면이 되는 지하 1층 바닥판(3b)을 시공하고, 상기 지하 2층의 하부 지지벽체(1b)의 위쪽으로 지하 2층의 상부 코어벽체(2b)를 상기 지하 2층의 하부 지지벽체(1b)와 연속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이 지하 2층의 상부 코어벽체(2b)가 시공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지하 1층의 하부 지지벽체(1a) 하부와 지하 2층의 상부 코어벽체(2b)의 상부 사이에 콘크리트 연결벽체(5)를 형성하여 일체로 연결시킨다. 즉, 지하 1층의 코어부와 지하 2층의 코어부를 서로 콘크리트 연결벽체(5)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As such, after forming the lower support wall 1a and the upper core wall 2a of the first basement floor and the bottom plate 3a of the first floor above ground, the trench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econd floor is performed. When additional ground excavation is made to a sufficient depth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2 floor, as shown in FIG. 5, the lower support wall 1b of the additional basement 2 floor which forms part of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2 floor is again formed. The construction using the steel pillars 101 for the core.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6, a vertical pillar 200 is used to construct a basement floor plate 3b which becom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ment 1 floor, and is located above the lower support wall 1b of the basement 2 floor. The upper core wall 2b of the second basement floor is construct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support wall 1b of the second basement floor. When the upper core wall 2b of the second basement floor is construct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7, the concrete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pport wall 1a of the first basement floo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re wall 2b of the second basement floor. The connecting wall 5 is formed and connected integrally. That is,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1 floor and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2 floor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the concrete connecting wall 5.

위와 같은 과정 즉, 지하층의 추가 터파기, 해당 지하층의 하부 지지벽체 구축, 해당 지하층의 바로 위쪽 지하층에 해당하는 바닥판 시공, 해당 지하층의 상부 코어벽체 구축 및 해당 지하층의 상부 코어벽체와 위쪽 지하층 하부 지지벽체 사이의 콘크리트 연결벽체에 의한 일체화 작업을, 설계된 지하층 깊이에서 2개 층을 남겨두고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지하층에서의 코어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지하 4층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지하 1층과 지하 2층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하게 되는 것이고 지하 6층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지하 1층부터 지하 4층까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코어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The above process, that is, the additional excavation of the basement, the construction of the lower support wall of the basement,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plate corresponding to the basement just above the basement,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core wall of the basement, and the upper core wall and the lower basement of the basement. The integration work by the concrete connecting wall between the supporting walls is repeatedly performed leaving two layers at the designed basement depth, thereby continuously forming the core part in the basement layer. 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if the basement 4 floors are constructed, the basement 1 floor and the basement 2 floors will be constructed in the same way as above. In the same way, the core portion is formed continuously.

최저층과, 그 바로 윗층 즉, 차상위층에서의 코어부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한다. The core part in the lowest layer and the upper layer, ie, the next upper layer, is constructed in the following manner.

도 8에는 도 9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최저층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최저층 하부 지지벽체(1d)를 시공한다. 최저층 하부 지지벽체(1d)의 시공에 앞서, 코어용 강재기둥(101)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기둥(200)을 이용하여 지하 2층의 바닥면이 되는 지하 2층 바닥판(3c) 및 차상위층의 바닥면이 되는 차상위층 바닥판(3d)을 각각 먼저 시공해둘 수도 있다. FIG. 8 shows a step following the state shown in FIG. 9, and as shown in FIG. 8, the lowest layer lower supporting wall 1d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lowest layer.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the lowest supporting wall 1d, the basement 2 floor plate 3c serving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ment 2 floor using the vertical column 200 provided around the core steel pillar 101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the first upper layer bottom plate 3d,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upper layer, first.

최저층 하부 지지벽체(1d)가 시공되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그 위쪽으로 최저층 상부 코어벽체(2d)를 연속되도록 시공하고,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차상위층에 대해서는 하부 지지벽체와 상부 코어벽체의 구분 없이 일체화된 콘크리트 벽체를 상기 최저층 상부 코어벽체(2d)와 연속되도록 시공하여 차상위층의 코어부를 구축한다. 최종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차상위층의 코어부와, 그 위쪽의 지하층에 이미 구축되어 있던 하부 지지벽체(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하 2층의 하부 지지벽체) 사이에 콘크리트 연결벽체(5)를 시공하여 서로 일체화시키게 된다. When the lowermost layer lower supporting wall 1d is constructed, the lowermost layer upper core wall 2d is constructed to be continuous upward as shown in FIG. 9, and as shown in FIG. 10, the lower support wall and the upper core wall of the lower upper layer are shown. The concrete wall integrated without division is construct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lowest layer upper core wall 2d to construct the core part of the next upper layer. Finally, as shown in FIG. 11, the concrete connecting wall 5 is disposed between the core part of the next upper layer and the lower supporting wall (the lower supporting wall of the second basement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already built in the basement above it. Constructed to integrate with each other.

다음에서는 각 지하층에서 하부 지지벽체와 상부 코어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lower support wall and the upper core wall in each base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2 내지 도 17에는 각각 앞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하부 지지벽체를 구축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굴착된 지반면 위쪽으로 코어용 강재기둥(101)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설 수평빔(110)을 연결 배치한다. 이 때 가설 수평빔(110) 사이에도 추가적인 가설 수평지지보(111)를 더 배치한다. 도 13에는 가설 수평빔(110)의 외측에 가장자리 가설 바닥판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부재(130)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원 B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용 강재기둥(101) 사이를 연결하는 가설 수평빔(110)의 외측에는 가설 바닥판부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부재(130)가 조립된다. 12 to 17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each step of constructing the lower support wall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First, as shown in FIG. 12, a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for connecting the steel pillars 101 for the co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disposed above the excavated ground surface. At this time, additional temporary horizontal support 111 is also disposed between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s 110. FIG.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tallation of a bracket member 130 for supporting the edg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outside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and FIG. 14 is a schematic view of a circle B portion of FIG. 13. 13 and 14, the bracket member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connecting between the steel pillars 101 for the core, as shown in Figure 13 and 14 130 is assembled.

이와 같이 가설 수평빔(110)과 가설 수평지지보(111) 사이에 장선(미도시) 등을 설치한 후에는, 가설 바닥판부재(120)를 올려놓아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도 15에는 가설 바닥판부재(120)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설 바닥판부재(120)는 그 하면에 배치된 장선 등에 의해 지지되므로, 가설 바닥판부재(120)에 작용하는 하중은 가설 수평빔(110)과 가설 수평지지보(111)로 전달되고, 결국 코어용 강재기둥(101)으로 전달된다. In this way, after installing a joist (not shown) between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and the temporary horizontal support 111, the temporary base plate member 120 is placed to secure a working space. 1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is installed. Since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is supported by a joist or the lik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the load acting on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is transmitted to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and the temporary horizontal support 111. Eventually it is delivered to the steel pillars 101 for the core.

상기 가설 수평빔(110)은 나중에 철거되어 재활용되는데, 가설 수평빔(110)의 측면에서 브라켓부재(130)가 조립될 위치에 미리 볼트결합공을 형성해두어서, 브라켓부재(130)를 볼트에 의해 가설수평빔(110)의 측면에 조립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설수평빔(110)의 측면에 브라켓부재(130)를 배치하고, 그 위에 가설 바닥판부재(120)를 올려놓으므로써, 코어부의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e hypothetical horizontal beam 110 is later demolished and recycled, by forming a bolt coupling hole in advance in the position where the bracket member 130 will be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hypothetical horizontal beam 110, the bracket member 130 to the bolt By assembling and installing on the side of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By arranging the bracket member 130 on the side of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and placing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thereon, a work space for installing the formwork for building the concrete wall of the core part is provided. It can be easily obtained.

이와 같이 코어용 강재기둥(101)을 가로질러 가설 바닥판부재(120)를 설치한 후에는 바닥판부재(120) 위에 공지의 동바리 장치를 세우고, 상기 동바리 장치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거푸집을 세우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 지지벽체를 구축하게 된다. 도 16에는 하부 지지벽체(1a)를 구축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철근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진 하부 지지벽체(1a)는 코어용 강재기둥(101)을 가로질러 상기 코어용 강재기둥(101)과 일체로 구축되는데, 상기 하부 지지벽체(1a)는 그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시공되는 상부 코어벽체(2a)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앞서 도 3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처럼, 하부 지지벽체(1a)가 구축되면 그 위쪽으로 철근 콘크리트 벽체를 연속하게 시공하여 상부 코어벽체(2a)를 구축하게 된다. 도 17에는 하부 지지벽체의 위쪽으로 상부 코어벽체(2a)를 연속화시켜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this way, after installing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across the core steel pillars 101, a well-known copper bar device is placed on the bottom plate member 120, and the formwork is supported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copper bar device. Concrete is poured to build the lower support wall. FIG. 1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pport wall 1a is construc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ower support wall (1a) made of reinforced concrete wall is built integrally with the core steel pillar (101) across the core steel pillar (101), the lower support wall (1a) is It functions to support the upper core wall (2a)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nstruction. Tha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when the lower support wall 1a is constructed, the reinforced core wall is continuously constructed to construct the upper core wall 2a. FIG. 1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re wall 2a is constructed in a continuous manner above the lower support wall.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부 코어벽체(2a)가 하부 지지벽체(1a)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부 코어벽체(2a)를 시공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은 상기 하부 지지벽체(1a)로 전달되고, 결국 하부 지지벽체(1a)의 모서리에 일체화되어 있는 코어용 강재기둥(101)으로 전달된다. 미리 코어용 강재기둥(101)을 가로질러 하부 지지벽체(1a)를 구축하고, 이러한 하부 지지벽체(1a)가 상부 코어벽체(2a)를 지지하게 만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성 즉, 지하층 한층 높이의 코어부를 분할하여 시공하되 아래에서부터 위쪽을 향하여 역순으로 구축하는 구성은, 지하층 한층 높이의 코어부를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구축하는 것에 비하여, 거푸집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 지지를 위한 동바리 설치량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가진다.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core wall 2a is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wall 1a, the load of concrete poured to construct the upper core wall 2a is transmitted to the lower support wall 1a. Finally, it is transmitted to the steel pillars 101 for the core which are integrated at the edges of the lower support wall 1a. The structure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ower support wall 1a is constructed in advance across the steel pillars 101 for the core and the lower support wall 1a supports the upper core wall 2a, that is, the basement layer The construction of dividing the core part of the height and constructing it in the reverse order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part is more expensive than the construction of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level of one level by one concrete pouring.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ified.

만일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지하층 한층 높이의 코어부를 일시에 구축한다면, 지하층 한층 높이에 해당하는 코어부를 만들기 위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당한 규모의 동바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지하층 한층 높이의 코어부를 하부 지지벽체와 상부 코어벽체로 구분하여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즉, 시공순서를 역방향으로 하여 시공하고, 더 나아가 코어용 강재기둥(101)과 일체를 이루도록 하부 지지벽체(1a)를 구축하여, 이러한 하부 지지벽체(1a)로 하여금 상부 코어벽체(2a)를 지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코어부의 구축을 위하여 타설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동바리 설치 규모도 줄일 수 있게 되어, 동바리 설치비용은 물론이고 동바리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도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전체적인 건축물의 시공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If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level is temporarily constructed by concrete placement, a considerable amount of copper barges should be install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unconsolidated concrete to make the core part corresponding to the basement level.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re part of the height of the basement floor is divided into the lower support wall and the upper core wall, and is constructed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direction, that is, the construction order is reversed, and further integrated with the core steel pillar 101 for the core. The lower support wall (1a) is built to achieve this, so that the lower support wall (1a) to support the upper core wall (2a), so that the load of the stiffened concrete to build the core portion is relatively smal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installation of the dongbari, as well as the cost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dongbari installation costs,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speed of the overall building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increased.

코어부의 구축을 위하여 사용되었던 가설 수평빔(110), 가설 수평지지보(111), 가설 바닥판부재(120) 등은 철거하여 다른 지하층 시공에 재활용하게 된다.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the temporary horizontal support 111, and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which we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re part, are removed and recycled to another basement construction.

101: 코어용 강재기둥
110: 가설 수평빔
121: 가설 바닥판부재
130: 브라켓부재
101: steel column for core
110: hypothetical horizontal beam
121: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30: bracket member

Claims (3)

삭제delete 건물의 지하층에서의 코어부 시공방법으로서, 건물의 지하층 시공을 위한 터파기를 지하층의 각층 시공 진행에 맞추어서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각각의 지하층에서는, 연직한 코어용 강재기둥(101)을 이용하여 코어부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일부분을 이루는 하부 지지벽체를 시공하고; 해당 지하층의 코어부를 이루는 콘크리트 벽체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상부 코어벽체를 상기 하부 지지벽체의 상부에 일체화되도록 시공하되;
상기 하부 지지벽체의 시공은,
코어용 강재기둥(101)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설 수평빔(110)을 연결 배치하고;
상기 가설 수평빔(110) 사이에는 가설 수평지지보(111)를 배치하며;
상기 가설 수평빔(110) 및 상기 가설 수평지지보(111) 위에 가설 바닥판부재(120)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 바닥판부재(120) 위로, 상기 가설 바닥판부재(120)에 의해 지지되는 동바리 및 상기 동바리에 의해 지지되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진 하부 지지벽체가 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부 시공방법.
As the core part construction method in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the core part is constructed by using the vertical steel pillars 101 in each basement while sequentially performing the trench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of each floor of the basement. Constructing a lower support wall that forms part of the concrete wall corresponding to Constructing an upper core wall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concrete wall forming the core part of the basement layer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upporting wall;
Construction of the lower support wall,
Connecting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s 110 for connecting the steel pillars 101 for the co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temporary horizontal support 111 is disposed between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s 110;
Installing a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on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and the temporary horizontal support (111);
On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a core supported by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and a formwork supported by the copper bar is installed to be a lower support wall made of concrete walls. Construction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수평빔(110)의 외측에는 가설 바닥판부재(120)의 가장자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브라켓부재(130)를 조립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부 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Core portion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bracket member 130 to support the edge of the temporary bottom plate member 120 from the outside of the temporary horizontal beam (110).
KR1020120042217A 2012-04-23 2012-04-23 Construction Method of Core Part in Building KR1013277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217A KR101327785B1 (en) 2012-04-23 2012-04-23 Construction Method of Core Part in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217A KR101327785B1 (en) 2012-04-23 2012-04-23 Construction Method of Core Part in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226A KR20130119226A (en) 2013-10-31
KR101327785B1 true KR101327785B1 (en) 2013-11-11

Family

ID=4963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217A KR101327785B1 (en) 2012-04-23 2012-04-23 Construction Method of Core Part in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7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5092B (en) * 2015-06-02 2017-03-15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The method that a kind of interim lattice column of inner support is used as permanent structure post
CN106351331A (en) * 2016-08-30 2017-01-25 正太集团有限公司 Multi-floor basement reverse and normal combined construction process
KR102320104B1 (en) * 2017-12-20 2021-11-02 양경옥 Method for Alternate Basement Vertica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in Top Down Construction Project
US20220243418A1 (en) * 2019-06-27 2022-08-04 Kyeongok YANG Method for alternately constructing underground vertical members using top-down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873B1 (en) * 1994-05-24 1999-02-18 최훈 Constructive method of a high building
KR100615149B1 (en) 2005-12-02 2006-08-22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A method of construction top-down for the ground fabric construction
KR100856723B1 (en) 2007-03-28 2008-09-04 박무용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using cantilever type steel frame
KR20120096605A (en) * 2011-02-23 2012-08-31 (주)한국건설공법 Bracket support type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873B1 (en) * 1994-05-24 1999-02-18 최훈 Constructive method of a high building
KR100615149B1 (en) 2005-12-02 2006-08-22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A method of construction top-down for the ground fabric construction
KR100856723B1 (en) 2007-03-28 2008-09-04 박무용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using cantilever type steel frame
KR20120096605A (en) * 2011-02-23 2012-08-31 (주)한국건설공법 Bracket support type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226A (en)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85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re Part in Building
JP2009127231A5 (en)
KR100694493B1 (en) Downward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using bracket support type temporary structure as working table
JP5038170B2 (en) How to rebuild a structure
KR101566528B1 (en) Basement extens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underground structure
KR20150135659A (en) slope reta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and method therefore
JP5228862B2 (e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KR20130100878A (en) Architecture using a complex steel pile and a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5171902B2 (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under construction
JP2023011057A (en) Foundation structure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KR101383817B1 (en) Top down method
KR20160064745A (en) Prefabricated multifunction safety step constructed at slope
KR101159097B1 (en) Precast abutment for longitudinal continuous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827381B1 (en) Multi-layer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structure using double-wall PC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833949B2 (en) Concrete integrated structure pillar
JP665593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KR100877596B1 (en) Building repairing method using column reinforcing member
KR20210090100A (en) In a building where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a wall structure, the shortened construction type top down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that enables early ground frame start using temporary transfer structures
JP6252860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eismic isolation building
JP6368551B2 (en) Seismic isolat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JP2007154503A (en) Mechanical parking garage in building basement
JP2003003690A (en) Base isolation building and method for base isolation of exisiting building
JP6083788B2 (en) Temporary support method for foundation
KR101707376B1 (en) Structure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using composite beam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8255636A (en) Construction method for rc gi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