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620B1 -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620B1
KR101327620B1 KR1020130117166A KR20130117166A KR101327620B1 KR 101327620 B1 KR101327620 B1 KR 101327620B1 KR 1020130117166 A KR1020130117166 A KR 1020130117166A KR 20130117166 A KR20130117166 A KR 20130117166A KR 101327620 B1 KR101327620 B1 KR 10132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k composition
transparent solid
fluorescent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연
Original Assignee
김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연 filed Critical 김창연
Priority to KR102013011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09D11/17Wri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러운 필기감과 선명한 색상을 가지며 특히 단단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사용시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고,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오일에 지방 유기산, 가성소다, 알콜류 및 형광염료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에 있어서,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Transparent solid type fluorescence ink composition}
본 발명은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단단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필기감이 부드럽고 사용시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선명한 색상을 가지고, 특히, 내열성이 우수하고 사용기한이 길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필기하는 데에 쓰는 여러 종류의 물건을 뜻하는 필기도구는, 크게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쓰기용 필기도구와 기록된 내용에 강조 표시를 하기 위한 표시용 필기도구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는 사무자동화로 인하여 출력물의 주요한 부분을 표시하는 표시용 필기도구의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표시용 필기도구는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잉크 필터 형태의 형광 펜이 표시용 필기도구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잉크 필터 형태의 형광 펜은 잉크젯 프린트 문서 및 펜글씨와 같은 잉크를 이용한 출력물 위에 사용할 경우, 색상의 번짐 현상이 발생하고, 주요한 부분을 표시한 끝 부분에 잉크자국이 남거나 종이 뒷면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잉크의 수분 증발로 인하여 쉽게 건조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개봉 후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제한적이고, 사용자의 실수로 형광 펜의 뚜껑을 분실할 경우, 잉크 필터의 잉크가 종이나 옷감에 스며들어 오염을 시키거나 잉크 필터가 완전 건조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의 형광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체형 형광펜이 하기의 특허문헌과 같이 제안되었다. 하기의 특허문헌의 경우 필기감이 우수하고 필기시 찌거기 발생율이 적은 이점이 있으나, 65℃ 미만에서 용융되는 등 내열성이 좋지 못하여 보존성이 좋지 못하고 건조속도가 빠르는 등 사용기한이 짧은 문제가 있다.
1. 공개특허 제2013-0037134호 2. 공개특허 제2009-0123631호 3. 공개특허 제2003-0026002호 4. 등록특허 제1028769호 5. 등록특허 제1064393호 6. 일본 특개 제2002-088293호 7. 일본 특개 제1994-313146호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단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필기감이 부드럽고 사용시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선명한 색상을 가지고, 특히, 내열성이 우수하고 사용기한이 길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오일에 지방 유기산, 가성소다, 알콜류 및 형광염료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에 있어서,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0.02 내지 15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칼륨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또는 상기 폴리아크릴산칼륨은 분자량이 3,000 내지 1,0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인산나트륨 0.02 내지 2중량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당류가 10~30중량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지방 유기산은 탄소원자수가 10 내지 20이고, 라우르 산(Lauric acid), 미리스트 산(Myristic acid), 팔미트 산(Palmitic acid), 스테아르 산(Stearic acid),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및 히아루론 산(Hyaluronic acid)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은 베이스오일에 지방 유기산, 가성소다, 알콜류, 형광염료 및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오일은 돼지기름, 소기름과 같은 동물성 기름과 팜유, 코코넛유, 피마자유와 같은 식물성 지방 또는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방 유기산은 탄소원자수가 10 내지 20인 지방족 카르복실 유기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방족 카르복실 유기산으로는 라우르 산(Lauric acid), 미리스트 산(Myristic acid), 팔미트 산(Palmitic acid), 스테아르 산(Stearic acid),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및 히아루론 산(Hyaluronic acid)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방 유기산은 탄소원자수가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원자수가 10 미만인 경우 고형화물의 단단함이 충분하지 못하고, 20중량부 초과인 경우 지방 유기산의 녹는점이 높아져 에스테르 반응시 교반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지방 유기산은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20~100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방 유기산을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강도가 약하여 사용시 찌꺼기가 많이 발생하고, 100중량부 초과로 혼합될 경우 투명성이 저하되어 선명한 색상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상기 가성소다는 상기 베이스오일과 비누화반응하여 고상베이스를 생성시킨다. 상기 가성소다는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40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성소다가 1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베이스오일과 비누화반응이 충분치 못하여 고형화에 문제가 있고, 40중량부 초과로 혼합될 경우 베이스오일과 반응하지 못한 가성소다 용액으로 인하여 고형화물이 강알칼리성을 나타낼 우려가 있다.
상기 알콜류는 조성물의 투명성을 위한 것으로서,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보습성과 안전성을 위하여 글리세린과 에탄올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고,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상기 글리세린 10 내지 50중량부 및 상기 에탄올 2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형광염료로는 적절한 형광 및 발색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광염료이 종류는 베이직 옐로우-40, 베이직 레드-1, 베이직 레드-59, 베이직 바이올렛-10 등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형광염료는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4.0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형광염료가 0.2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적절한 형광 및 발색을 나타내지 못하고, 4.0중량부 초과로 혼합될 경우 형광 및 발색에 대하여 더욱 향상되지 않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단단한 강도를 부여하여 사용시 찌꺼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내열성을 향상시켜 70℃ 이상에서 녹지 않아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제조시 용해되는 과정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해리되고 고분자 사슬들이 서로 엉키게 되며, 이온결합을 통해 외부의 열로부터 사슬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내열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안정적인 콜로이드를 형성하여 가용성 당류물질의 침출을 방지한다.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칼륨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0.02 내지 15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를 0.02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향상된 단단한 강도와 내열성을 얻기 곤란하고, 15중량부 초과로 혼합될 경우 점도의 급격한 상승으로 제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또는 상기 폴리아크릴산칼륨은 우수한 내열성과 강도를 얻기 위하여 분자량이 3,000 내지 1,0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폴리인산나트륨은 금속이온의 결합능력을 향상시켜 종이뿐만 아니라 금속판 등에서도 효과적으로 형광색을 발현시킬 수 있고,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의 혼합에 의한 점도가 상승하더라도 형광염료 등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폴리인산나트륨은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0.02 내지 2.0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인산나트륨이 0.02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충분한 분산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중량부 초과로 혼합될 경우 분산성은 향상되나 함량대비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폴리인산나트륨에 트리인산나트륨 및 테트라인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이 용해되기 전에 투명화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당류를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당류로서 수크로스, 말티톨, 솔비톤, 물엿, 만니톨, 자일리톨 중 선택된 1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류를 1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효과적으로 투명화를 향상시키지 못하고, 20중량부 초과로 혼합할 경우 점도 상승 및 보존성에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오일에 상기 지방 유기산, 상기 가성소다를 혼합한 다음, 상기 알콜류,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 상기 폴리인산나트륨 및 상기 형광염료를 혼합하고, 80~90℃에서 1~3시간동안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냉각시켜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80℃ 미만으로 1시간 미만으로 교반할 경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 첨가로 인해 내열성이 상승하여 교반시간이 길어져 완전 용해되지 못하고, 90℃ 초과로 3시간 초과로 교반할 경우 형광염료가 열분해될 우려가 있고, 경제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은 74℃ 이상에서 녹는 등 내열성이 우수하여 보존성이 우수하고, 단단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사용시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고, 필기감이 우수하며, 제품 개봉 후 건조속도가 낮아 사용기한이 길어 장시간동안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지방 유기산 60중량부, 25% 가성소다용액 20중량부를 중탕용기에 혼합하여 80℃에서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 25중량부, 에탄올 35중량부,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및 형광염료 0.25중량부를 혼합하여 85℃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냉각시켜 실시예 1인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시 잉크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되기까지 3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때, 상기 베이스오일은 팜유, 코코넛유, 피마자유를 20:14: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지방 유기산은 스테아르 산을 사용하였으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로서 분자량이 200,000~500,000인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지방 유기산으로서 라우르 산, 팔미트 산, 아라키드 산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로서 분자량이 3,000~10,000인 폴리아크릴산칼륨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실시예 2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시 잉크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되기까지 3시간이 소요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지방 유기산으로서 스테아르 산, 미리스트 산, 히아루론 산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로서 분자량이 50,000~100,000인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실시예 3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시 잉크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되기까지 3시간이 소요되었다.
[실시예 4~5]
실시예 1에서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로서 분자량이 50,000~100,000인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베이스 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10중량부로 각각 혼합하여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실시예 4 및 5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시 잉크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되기까지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경우 2.5시간 및 3.5시간이 각각 소요되었다.
[실시예 6]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지방 유기산 60중량부, 25% 가성소다용액 20중량부를 중탕용기에 혼합하여 80℃에서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 25중량부, 에탄올 35중량부,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폴리인산나트륨 0.25중량부 및 형광염료 0.25중량부를 혼합하여 85℃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냉각시켜 실시예 6인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시 잉크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되기까지 2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때 베이스 오일, 지방 유기산 및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 당류로서 수크로스를 베이스 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실시예 7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시 잉크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되기까지 2시간이 소요되었다.
[비교예 1]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지방 유기산 60중량부, 25% 가성소다용액 20중량부를 중탕용기에 혼합하여 80℃에서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 25중량부, 에탄올 35중량부, 형광염료 0.25중량부를 혼합하여 85℃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냉각시켜 비교예 1인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시 잉크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되기까지 1.5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때 베이스 오일, 지방 유기산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에 대하여 녹는점, 건조시간, 용융시간, 투명도 및 필기 찌꺼기 발생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녹는점 측정]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Round-bottom Tube에 10g을 넣고 캡을 닫은 후 오븐에 넣고 12시간 마다 1℃를 상승시켜 12시간 이상을 녹지 않은 온도를 녹는점으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예를 들어 70℃에서 12시간 녹지 않았고 71℃에서 3시간 만에 녹았다면 녹는점을 70℃로 표시한다.
[건조시간 측정]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오븐에 넣은 후 강제 배기팬을 작동한 상태에서 40℃로 건조시켰고, 각 시료의 중량이 10% 감소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일수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투명도 평가]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용해된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투명유리 재질의 Round-bottom Tube에 넣고 고형화시킨 후 육안으로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투명도가 매우 우수한 경우 '★★★', 우수한 경우 '★★', 그리고 보통인 경우 '★'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필기찌꺼기 평가]
10대에서 50대에까지 각 연령대별로 5명씩 총 5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투명 고체형 형광잉크조성물을 각각 10회씩 20cm 길이로 백지에 일직선을 그어 발생한 찌꺼기 숫자의 전체 평균을 계산하여 판정하였다. 판정방법은 찌거기가 4개 이상 발생한 경우 '★', 찌꺼기가 2~3개 발생한 경우 '★★, 그리고 찌거기가 1개 이하로 발생한 경우 '★★★'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표 1로 나타냈다.
[필기감 평가]
필기찌꺼기 평가한 실험자 50명을 대상으로 필기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평가하였고, 필기감이 매우 우수한 경우 '★★★', 우수한 경우 '★★', 그리고 보통인 경우 '★'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녹는점, 건조시간 등 평가결과
녹는점 건조시간 투명도 필기찌꺼기 필기감
실시예 1 76℃ 20일 ★★★ ★★★ ★★★
실시예 2 74℃ 19일 ★★★ ★★★ ★★★
실시예 3 75℃ 20일 ★★★ ★★★ ★★★
실시예 4 74℃ 19일 ★★★ ★★★ ★★★
실시예 5 77℃ 23일 ★★★ ★★★ ★★★
실시예 6 76℃ 20일 ★★★ ★★★ ★★★
실시예 7 76℃ 20일 ★★★ ★★★ ★★★
비교예 1 64℃ 10일 ★★★ ★★★ ★★★
표 1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녹는점이 74℃ 이상으로 비교예 1에 비하여 녹는점이 10℃ 이상 높게 평가되는 등 고온 분위기에서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보존성 및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건조시간이 비교예 1의 경우 10일로 매우 짧게 측정되었으나,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19일 이상으로 매우 높게 평가되는 등 보존성이 우수하고, 사용기한이 크게 연장된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교반시 완전용해되기까지 3시간이 소요되었으나, 폴리인산나트륨이 포함된 실시예 6의 경우 2시간으로 시간이 단축되는 등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Claims (9)

  1. 베이스오일에 지방 유기산, 가성소다, 알콜류 및 형광염료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에 있어서,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0.02 내지 15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칼륨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또는 상기 폴리아크릴산칼륨은 분자량이 3,000 내지 1,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인산나트륨 0.02 내지 2중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당류가 10~20중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오일은 동물성 기름, 식물성 지방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유기산은 탄소원자수가 10 내지 20이고, 라우르 산(Lauric acid), 미리스트 산(Myristic acid), 팔미트 산(Palmitic acid), 스테아르 산(Stearic acid),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및 히아루론 산(Hyaluronic acid)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오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지방 유기산 20~100중량부, 상기 가성소다 10~40중량부, 상기 알콜류로서 글리세린 10~50중량부 및 에탄올 20~70중량부, 상기 형광염료 0.2~4.0중량부, 상기 금속염 폴리아크릴레이트 0.02~15중량부와, 폴리인산나트륨 0.02~2.0중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KR1020130117166A 2013-10-01 2013-10-01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KR10132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166A KR101327620B1 (ko) 2013-10-01 2013-10-01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166A KR101327620B1 (ko) 2013-10-01 2013-10-01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620B1 true KR101327620B1 (ko) 2013-11-13

Family

ID=4985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166A KR101327620B1 (ko) 2013-10-01 2013-10-01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2999A1 (en) * 2020-06-30 2022-01-05 Société BIC Refillable writing tool for a water-based ink composi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3634A (zh) 1998-04-28 1999-11-03 北京圣哲黑板笔科技有限公司 黑板笔墨水
JP2008031371A (ja) 2006-07-31 2008-02-14 Pentel Corp 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筆記具
KR101028769B1 (ko) 2010-04-05 2011-04-14 김영옥 고체형 투명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4393B1 (ko) 2011-07-15 2011-09-14 김선목 투명 고체형 형광마카잉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3634A (zh) 1998-04-28 1999-11-03 北京圣哲黑板笔科技有限公司 黑板笔墨水
JP2008031371A (ja) 2006-07-31 2008-02-14 Pentel Corp 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筆記具
KR101028769B1 (ko) 2010-04-05 2011-04-14 김영옥 고체형 투명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4393B1 (ko) 2011-07-15 2011-09-14 김선목 투명 고체형 형광마카잉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2999A1 (en) * 2020-06-30 2022-01-05 Société BIC Refillable writing tool for a water-based ink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6602T2 (de) Laserbeschriftung
CN104893425A (zh) 一种微胶囊温敏可擦中性墨水及其制备方法
KR101327620B1 (ko) 투명 고체형 형광 잉크조성물
CN105801908B (zh) 一种复合热稳定剂及其制备方法
KR101064393B1 (ko) 투명 고체형 형광마카잉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660668A (zh) 一种低酒精润版液及其制备方法
DE102009022552B4 (de) Transparenter fester Marker
CN103498337B (zh) 一种环保型精练剂的应用
JP5827557B2 (ja) 水性絵具組成物
CN107556424B (zh) 一种水性3d打印油墨用丙烯酸树脂及其制备方法
CN102898751A (zh) 一种环保钙锌复合热稳定剂在pvc制品中的应用
JP4317674B2 (ja) 枠練り透明固形石鹸
CN103865195A (zh) 深色硬质pvc用复合热稳定剂及其制备方法
KR101028769B1 (ko) 고체형 투명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558967A (zh) 一种白板书写墨水
KR100875265B1 (ko) 무독성 마커펜용 백색 또는 유색의 잉크 제조방법
US6352965B1 (en) Transparent solid detergent composition
CN103498336B (zh) 一种环保型精练剂
JP4614496B2 (ja) 油性消去性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キ組成物
CN103911046A (zh) 一种可水解褪色的绿色墨水及其制备方法
CN102627838B (zh) 一种可激光标记pet聚酯切片及其制备方法
CN102533006A (zh) 一种高熔点固体荧光笔
CN108329754A (zh) 一种可褪色消失的墨水及其制备方法、含其的墨水笔
KR20010068200A (ko) 녹색 마커 칠판용 잉크의 제조방법.
KR20110079933A (ko) 수용성을 갖는 소거성 고형상 마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