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344B1 - 외장시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외장시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344B1
KR101326344B1 KR1020120062634A KR20120062634A KR101326344B1 KR 101326344 B1 KR101326344 B1 KR 101326344B1 KR 1020120062634 A KR1020120062634 A KR 1020120062634A KR 20120062634 A KR20120062634 A KR 20120062634A KR 101326344 B1 KR101326344 B1 KR 10132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inting
forming
digital imag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상
Original Assignee
황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상 filed Critical 황규상
Priority to KR102012006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256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the transferable ink pattern being obtained by means of a computer driven printer, e.g. an ink jet or laser printer, or by electrograph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시트를 정확한 형상과 문양으로 형성하고 물품의 외형에 외장시트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시트를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부착하고 외형라인을 형성하는 외형 추출단계, 상기 제1시트를 통하여 추출된 외형라인을 스캔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을 제3시트에 출력하는 인쇄시트 형성단계 및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물품의 외형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인쇄시트를 형성하고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장시트 형성방법{FORMING METHOD OF EXTERIOR SHEET}
본 발명은 물품 외관의 미관을 향상하고 보호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장시트를 정확한 형상과 문양으로 형성하고 물품의 외형에 외장시트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와 세탁기와 같은 가전기기나 자동차나 오토바이와 같은 이동장치들은 내장 장치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도 미관의 향상을 위한 커버 또는 하우징을 구비하는데, 상기 커버나 하우징은 다양한 색감이나 질감 또는 무늬를 나타내도록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 및 소비자의 선호에 따라 점차 제품이 고급화되고 디자인의 차별화되는 요소가 구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물품들의 외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커버나 하우징 등에 다양한 색상으로 도장을 하는 방식은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내구성을 향상하면서도 다양한 무늬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인쇄된 필름을 부착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소비자가 기성품을 구매한 이후에 자신의 개성에 맞추어 가진기기나 이동장치 등의 외관 색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도료를 도포하여 도장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상당히 고가일 뿐만 아니라 최종 결과물의 품질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이렇게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기성품의 외관을 변형하는 애프터마켓이 최근에는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렇게 도장을 이용하는 기법은 상기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인쇄시트나 필름을 부착하는 방식이 적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제품의 생산 과정이나 사후적인 변형 과정이 시트나 필름을 부착하기 위하여 사람이 직접 눈대중으로 재단을 하여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무늬를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물품의 외관의 곡면이나 입체적인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평면적인 시트나 필름을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일 뿐만 아니라 정확한 형상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잡한 형상을 가진 물품의 외관에 유연하게 적용되고 정확한 모양과 패턴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외장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의 내구성과 시트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대량의 적용이 가능한 외장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제1시트를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부착하고 외형라인을 형성하는 외형 추출단계, 상기 제1시트를 통하여 추출된 외형라인을 스캔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을 제3시트에 출력하는 인쇄시트 형성단계 및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물품의 외형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인쇄시트를 형성하고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외형 추출단계에서 가이드시트를 상기 접착영역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시트에 접착하는 가이드시트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외형라인의 형성 과정에서 가이드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외형 추출단계에서 상기 제1시트에 상기 접착영역의 변곡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변곡라인 및 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곡률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평면적인 디지털 영상에서 정확하게 물품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외형 추출단계에서 상기 제1시트에 제2시트를 결합하는 제2시트 결합단계와, 상기 외형라인을 따라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별도의 시트를 통하여 디지털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영상이 더욱 선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에서 상기 제2시트를 스캔함으로써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미지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외형 추출단계에서 상기 제2시트를 분할하여 스캔하는 경우 분할된 이미지의 결합을 위한 기준마킹을 하는 마킹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전체 이미지가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인쇄시트 형성단계에서 상기 외형라인의 외곽에서 이격되도록 인쇄오차 보정을 위한 마진라인을 더 형성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물품의 외형에 정확한 외장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인쇄시트 형성단계에서 상기 제3시트에 상기 디지털영상으로 구현된 외형라인을 따라 인쇄하는 제3시트 인쇄단계와, 상기 제3시트의 전면에 투명한 재질의 제4시트를 결합하는 제4시트 결합단계와, 상기 제3시트와 제4시트를 상기 외형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커팅단계로 이루어지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인쇄시트와 물품 외관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제3시트 인쇄단계에서 복수의 접착영역에 대한 디지털 영상들이 하나의 제3시트에 배열되어 인쇄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시트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접착단계에서 상기 인쇄시트의 모서리부위에 접착되어 접착기간 동안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5시트가 부착되는 마감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접착의 확실성과 내구성이 담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제1시트를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제1시트 접착단계, 상기 제1시트에 상기 접착영역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가이드시트를 접착하는 가이드시트 접착단계, 상기 가이드시트를 따라 상기 제1시트에 외형라인을 그리는 외형라인 형성단계, 상기 제1시트에 제2시트를 결합하는 제2시트 결합단계, 상기 제1시트의 외형라인을 따라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제2시트를 스캐너를 통하여 스캔하는 제2시트 스캔단계, 디지털 영상장치를 통하여 상기 스캔된 이미지를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이미지 형성단계, 상기 이미지를 제3시트에 출력하는 제3시트 인쇄단계, 상기 제3시트에 제4시트를 결합하는 제4시트 결합단계, 상기 제3시트와 제4시트를 함께 재단하여 인쇄시트를 형성하는 커팅단계 및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복수의 작업이 분할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공정에서 정확한 형상의 추출 및 이미지의 정확한 구현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물품의 외장이 형성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상기 이미지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대상물의 다른 접착영역에 대해 상기 제1시트 접착단계로부터 상기 이미지 형성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이미지가 하나의 시트에 출력되도록 배열하는 배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재료가 절감될 수 있고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제1시트를 통하여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대한 모양을 추출한 이후에 이를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작업을 거치고 이를 제3시트에 인쇄하고 커팅하여 대상물에 접착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외장시트의 부착 과정에서 가능한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보의 장기간 저장 및 반복 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형라인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접착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인쇄시트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물품의 외장의 미관과 수명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장시트 형성방법의 일실시예의 개념도.
도 2a 내지 2g는 본 발명의 외장시트 형성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외장시트의 모서리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시트 형성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장시트 형성방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부착방법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외형의 형성, 패턴화, 절단, 접착 또는 부착 등 물품의 외장에 시트를 부착하는 다양한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외장시트는 반드시 배면에 접착물이 형성되는 시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름과 같은 부착 또는 접착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과 구조의 유연한 재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장시트 형성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기본적으로 외형 추출단계(S100),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S200), 인쇄시트 형성단계(S300) 및 접착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외형 추출단계(S1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대상물의 접착영역의 형상에 맞도록 모양을 만드는 단계이다.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S200)는 상기 외형 추출단계(S100)에서 형성되는 모양을 스캔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캔은 스캐너에 의한 스캔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다양한 영상 입력 장비를 통한 영상의 디지털화가 가능한 장치라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의 외형 또는 접창영역의 외형에 대응되는 모양이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된 이후에 상기 모양에 소정의 그림이나 색상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인쇄시트 형성단계(S300)는 상기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S200)에서 형성된 모양을 소정의 시트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인쇄시트에 소정의 코팅 또는 절단과 같은 공정이 더 부가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시트에 출력하는 과정은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된 외형만이 인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외형과 소정의 패턴이 결합되어 인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접착단계(S400)는 상기 인쇄시트 형성단계(S300)에서 형성된 인쇄시트를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맞게 접착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시트는 배면에 접착물이 형성될 수도 있고, 물품의 외관에 접착물이 도포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접착 또는 부착 방법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대상물(10)은 물품의 외형 또는 내장 등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부위라면 다양한 장치의 부위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및 2b에서는 대상물(10)이 곡면이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대상물(10)에 작업자는 소정의 접착영역(20)을 미리 설정한다. 상기 접착영역(20)은 가상의 영역일 수도 있고, 미리 도장되거나 표시가 된 영역일 수도 있다.
도 2b는 도 1의 외형 추출단계(S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작업자는 대상물(10)의 소정의 접착영역(20)을 전부 커버할 수 있도록 제1시트(31)를 덮는다. 상기 제1시트(31)는 접착 시트지 또는 필름일 수 있으며 물품의 외형이 투과되어 나타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시트(31)가 접착영역(20)을 완전히 덮은 상태로 대상물(10)의 면에 밀착하게 되면, 작업자는 원하는 외곽선 또는 접착영역(20)의 외곽을 따라 외형라인(40)을 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외형라인(40)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라인의 형성의 정확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가이드시트(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시트(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일종의 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접착영역(20)의 외곽선 또는 소정의 패턴을 따라 제1시트(31) 상면에 접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시트(30)는 외형라인(40)을 펜 등을 통하여 제1시트(31)에 그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접착영역(20)이 드러날 수 있을 정도로 접착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시트(30)는 외형라인(40)의 형성의 정확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제1시트(31)보다 더 솔리드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시트(30)가 제1시트(31)의 상면에 소정의 모양으로 접착되면 작업자는 가이드시트(30)가 배치되는 모서리 내주측을 따라 외형라인(40)을 형성하게 된다. 다만, 작업자는 선택에 따라 가이드시트(30)가 배치되는 외주측이 접착영역(20)에 대응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가이드시트(30)의 외주측을 따라 외형라인(40)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시트(31)에는 외형라인(40)에 부가하여 변곡라인(41)과 곡률라인(4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대상물(10)은 반드시 평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절곡되는 부위가 있거나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입체적인 모양을 후술할 디지털 영상 상에서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곡률이 변화하는 부위 또는 절곡 부위에 변곡라인(41)을 형성할 수 있고, 곡면 또는 절곡된 부위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곡률라인(4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변곡라인(41)은 점선으로 표시되고 곡률라인(42)은 점선으로 이루어지는 화살표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대상물(10)의 접착영역(20)에 대한 외형라인(40)을 제1시트(31)에 그리는 과정을 마치게 되면, 상기 제1시트(31)를 대상물(10)로부터 분리하여 디지털 영상 구현을 위한 전단계를 거치게 된다.
종래기술의 시트를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1시트(31)가 바로 접착시트가 되어 작업자가 외형라인을 절단하고 바로 접착영역(20)에 부착하게 되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1시트(31)는 외형을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전단계에 사용되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c는 이러한 제1시트(31)의 외형라인(40)을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준비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제1시트(31)에 디지털 영상으로의 추출을 위한 제2시트(32)가 부착된다. 상기 제2시트(32)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시트로서 제1시트(31)에 형성된 외형라인(40)을 스캔 장비 등을 통하여 스캔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제2시트(32)가 생략되고 제1시트(31)가 직접 스캔의 대상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시트(32)는 스캔할 수 있다면 다양한 색상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미지 편집의 효율성을 위하여 흰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시트(31)의 접착면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재질로 면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상기 제1시트(31)와 제2시트(32)를 결합한 상태에서 외형라인(40)을 따라 함께 절단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시트(32)의 외형이 접착영역(20)에 부착될 시트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한편, 접착영역(20)이 소정의 시트 또는 스캔할 수 있는 넓이의 한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외형을 추출하는 작업이나 스캔하는 작업을 분할하여 진행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과정에서 하나의 영역을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분할되는 경계의 영역에서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있고, 결합과정에서 형상의 왜곡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추후 디지털 영상에서 분할된 영역의 결합을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기준마킹(4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마킹(43)은 작업자가 임의로 도시하는 모양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자 형상이 마킹되는 예가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d는 디지털 영상으로 상기 외형라인(40)이 구현되는 예가 도시되는데, 상기 제2시트(32)를 통하여 스캔을 완료하게 되면 소정의 디지털 영상 구현장치를 통하여 접착영역(20)의 외형을 따른 형상이 구현되는 것이다.
제2시트(32)의 스캔은 일반적인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 등 실제 형상 또는 라인을 디지털 영상으로 인식하여 전자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장비라면 다양한 장비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시트(32)가 분할되어 스캔되는 예를 도시하면, 도 2d에서는 두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디지털 영상화된 제2시트(32)의 영상이 화면상에 구현된다.
화면상에서는 제2시트(32)의 외곽을 따른 외형라인(40)과 기준마킹(43)이 표시되는데, 상기 두 개의 분할된 조각을 작업자는 상호 이동 및 회전하여 기준마킹(43) 부위가 상호 일치하도록 결합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도2e는 이러한 외형라인(40)을 디지털 영상에서 편집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외형라인(40)의 내측의 면에 원하는 패턴이나 사진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후술할 인쇄시트가 외면에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고 기성의 단일의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패턴(50)의 입력은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색상의 조합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의 시트를 상호 분할하여 출력한 이후에 접착단계에서 상호 밀착되게 대상물(10)에 접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패턴(50)이 형성된 이후에 바로 출력을 진행할 수도 있지만, 인쇄오차를 고려하여 마진라인(44)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진라인(44)은 인쇄단계에서 접착영역(20)의 외곽에 일치하지 않게 인쇄되는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인쇄된 시트가 접착영역(20)보다 큰 경우에는 재단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정이 가능하지만 모자란 경우에는 상기 작업들을 다시 진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상의 오차 또는 외형 추출단계에서의 오차를 보완하기 위한 마진라인(4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외형라인(40)과 마진라인(44)의 간격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3㎜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f 및 2g는 인쇄시트를 출력하여 접착하기 위한 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실질적으로 대상물(10)에 부착되어 외형 및 패턴을 구현하는 제3시트(33)에 상기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되는 외형라인(40)과 패턴(50)이 출력된 결과물이 도 2f에 나타난다.
제3시트(33)는 전면에 색상 또는 인쇄가 구현되고 배면에는 접착영역이 형성되는 일종의 접착시트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소정의 인쇄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영상화한 외형과 패턴을 제3시트(33)에 인쇄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물품의 다양한 부위를 하나의 영상 안에서 구현하여 적절히 배치한 상태로 하나의 시트에 출력하게 되면 종래의 수작업으로 재단하여 진행하는 경우와는 달리 제3시트(33)의 접착되는 영역 외의 낭비되는 부위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제제3시트(33)의 인쇄영역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제3시트(33)의 전면에는 외장 보호를 위한 제4시트(34)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시트(34)는 일종의 투명 보호필름으로서 인쇄도료의 내구성을 보장하고 외부 오염이나 충격으로부터 제3시트(33)는 물론 대상물(10)을 보호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4시트(34)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면에는 상기 제3시트(33)와의 접착을 고려하여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쇄 및 제4시트(34)의 접착이 완료되면 외형라인(40)에 맞도록 커팅단계를 더 거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커팅 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할 수도 있지만 디지털 신호를 받아 외형대로 절단하는 자동 커팅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 커팅장치는 도 2e에서 작업된 외형라인(40)을 따라 제3시트(33)와 제4시트(34)를 형상에 맞게 커팅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인쇄오차를 커버하기 위한 마진라인(44)의 내측에 커팅라인이 형성되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자동 커팅장치는 커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기성의 접착시트로 제3시트(33)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동 또는 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접착물질이 도포되는 배면에는 보호용 필름이 접착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커팅단계에서 상기 보호용 필름까지 재단되면 추후 접착 과정에서 제3시트(33)와 보호용 필름의 분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자동 커팅장치는 제3시트(33)와 제4시트(34)의 두께에 해당되는 깊이까지만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3시트(33)와 제4시트(34)가 결합된 인쇄시트(60)의 형성이 완료된다.
이때, 특정한 대상물(10)의 외형에 해당되는 정보가 디지털화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을 거치는 경우 동일한 물품이 작업될 필요가 있을 때는 도2a 내지 도 2d까지의 작업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의 작업도 보다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2h는 상기한 대상물(10)에 인쇄시트(60)가 부착되는 예를 나타낸다.
상기 인쇄시트(60)의 접착 과정에서는 정확한 위치에의 접착, 내부 기포의 제거 또는 접착력의 보장 등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인쇄시트(60)는 내부에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어 기포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기포제거기능을 갖는 시트(air free sheet)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제거기능을 갖는 시트는 일반적으로 습기가 제거된 접착영역(20)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또 다른 예로서 습식으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시트도 존재한다. 이러한 습식 접착 방식은 대상물(10) 또는 시트의 배면에 IPA용제가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용제는 시트의 표면을 연질화하고 접착능력을 향상하게 되며 용제가 휘발되면 소정의 경화가 일어나면서 접착능력이 점차적으로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인쇄시트(60) 더욱 구체적으로 제3시트(33)는 소정의 기간 경과나 손상에 따라 교체 또는 제거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바, 접착물질의 대상물(10)에 잔류가 되지 않는 탈부착형 접착물질이 도포된 시트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인쇄시트(60)의 모서리부의 접착력 강화를 위한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쇄시트(60)의 형성을 완료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모서리 부위가 각이 져서 날카롭게 나오게 되는데 이 부위의 접착력이 떨어지므로 사용상 걸림이나 이물질 유입에 따라 외장시트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접착 이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야 접착 물질의 경화가 이루어져서 접착의 신뢰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모서리 부위의 접착부위의 보호의 필요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쇄시트(60)의 모서리부위를 곡면처리 하는 개념을 추가적으로 제시한다. 곡면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면 인접되는 부위간에 접착의 협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서리부(61)의 접착력 약화에 의한 이탈 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위의 경우 물품의 사용에 따라 손상되거나 접착력이 형성되는 동안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모서리부(61)에는 제5시트(35)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시트(35)는 대략 모서리부(61)를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크기와 형상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시트(35)는 소정 기간 동안만 모서리부(61)에 접착하여 접착물질의 경화가 완료된 이후에는 제거될 수 있는 바, 인쇄시트(60)의 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외장시트의 부착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의 외형 추출단계(S100)는 제1시트(31)를 대상물(10)의 접착영역(20)에 접착하는 제1시트 접착단계(S102)와 외형라인(40)을 형성하는 외형라인 형성단계(S1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시트 접착단계(S102) 전에 대상물의 외관 더욱 구체적으로는 접착영역(20)의 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접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단계(S10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101)는 접착단계(S401) 이전에도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 공정의 중간마다 반복되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101)는 물이나 다양한 종류의 세정제를 사용할 수 있고, IPA용제와 같은 휘발성을 가진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시트 접착단계(S102) 이후에 외형라인(40)을 형성하기 전에 라인 형성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시트 접착단계(S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시트(30)의 접착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외형라인 형성단계(S105)가 완료되면 대상물(10)로부터 제1시트(31)를 탈거하여 디지털화를 위한 제2시트 결합단계(S105)를 더 거칠 수 있다. 제2시트(3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캔을 위한 배경으로 역할을 하며, 다만 제1시트(31)가 직접 스캔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시트 결합단계(S105)가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시트 결합단계(S105)가 완료되면 상기 제1시트(31)에 형성된 외형라인(40)을 따라 제1시트(31)와 제2시트(32)가 함께 재단되고 분할 스캔시의 기준점을 마련하기 위한 기준마킹(43)이 이루어지는 절단 및 마킹단계(S10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화를 위한 준비를 완료하게 되면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S200)가 진행되는데, 상세하게는 제2시트 스캔단계(S201)가 진행된 후에 화상 모니터로 이미지 형성단계(S202)를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시트 스캔단계(S201)는 분할된 영상을 디지털화할 수 있고, 이 경우 이미지 형성단계(S202)에서는 기준마킹(43)을 상호 교차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외형을 완성할 수 있다.
외형이 완성된 이후에는 패턴 형성단계(S203)를 더 거치게 되는데, 소정의 문양이나 색상 등을 미리 결정하여 제3시트(33)에 인쇄될 외관을 미리 결정하게 된다. 다만, 제3시트(33)가 단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와 같은 패턴 형성단계(S20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형라인(40)과 패턴의 형성이 완료되면 대상물(10)의 또 다른 부위의 형상 디지털화를 위하여 상기 외형 추출단계(S100)와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S200)를 더 거칠 수 있는 바, 이때 복수의 이미지를 하나의 제3시트(33)에 인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하나의 시트의 적절한 위치에 배열하는 배열단계(미도시)를 더 거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물품에 하나의 시트로서 복수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배열하는 경우 시트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형과 패턴이 완료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 오차나 외형라인 오차를 고려하여 마진라인(44)이 더 형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S200)가 완료되면, 인쇄시트 형성단계(S300)가 진행되는데, 구체적으로 제3시트 인쇄단계(S301)에서 상기 디지털화한 외형라인(40)과 패턴(50)을 따라 인쇄가 진행된다. 그러면 제3시트(33)의 전면 보호를 위하여 대략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4시트(34)가 전면에 결합되는 제4시트 결합단계(S302)가 진행된다.
제3시트(33)와 제4시트(34)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커팅단계(S303)를 더 거치게 되는데, 상기 커팅단계(S303)는 자동 커팅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형라인(40)을 따라 커팅이 이루어지되 상기 커팅이 이루어지는 깊이는 제3시트(33)의 접착부위와 제4시트(34)의 두께에 맞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인쇄시트 형성단계(S300)를 마치게 되면, 대상물(10)에 인쇄시트(60)를 접착하는 접착단계(S400)를 거치게 되는데, 상기 접착단계는 마감단계(S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시트(60)의 모서리부위는 곡면처리되어 사용에 따른 손상이나 접착기간 중의 접착력 약화를 방지할 수도 있지만, 제5시트(35)를 모서리부(61)에 부착함으로써 접착기간 동안의 접착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단계(S402)는 인쇄시트(60)의 기포제거나 가압 등의 마무리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시트 형성방법은 제1시트를 통하여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대한 모양을 추출한 이후에 이를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작업을 거치고 이를 제3시트에 인쇄하고 커팅하여 대상물에 접착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외장시트의 부착 과정에서 가능한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보의 장기간 저장 및 반복 생산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외형라인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접착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인쇄시트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물품의 외장의 미관과 수명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대상물 20...접착영역
30...가이드시트 31...제1시트
32...제2시트 33...제3시트
34...제4시트 40...외형라인
41...변곡라인 42...곡률라인
43...기준마킹 44...마진라인
50...패턴 60...인쇄시트

Claims (12)

  1. 제1시트를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부착하고 외형라인을 형성하는 외형 추출단계;
    상기 제1시트를 통하여 추출된 외형라인을 스캔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을 제3시트에 출력하는 인쇄시트 형성단계; 및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 추출단계는,
    가이드시트를 상기 접착영역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시트에 접착하는 가이드시트 접착단계와, 상기 제1시트에 상기 접착영역의 변곡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변곡라인 및 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곡률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
  2. 제1시트를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부착하고 외형라인을 형성하는 외형 추출단계;
    상기 제1시트를 통하여 추출된 외형라인을 스캔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을 제3시트에 출력하는 인쇄시트 형성단계; 및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 추출단계는,
    상기 제1시트에 제2시트를 결합하는 제2시트 결합단계와, 상기 외형라인을 따라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제2시트를 분할하여 스캔하는 경우 분할된 이미지의 결합을 위한 기준마킹을 하는 마킹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는,
    상기 제2시트를 스캔함으로써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
  3. 제1시트를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부착하고 외형라인을 형성하는 외형 추출단계;
    상기 제1시트를 통하여 추출된 외형라인을 스캔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영상 구현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을 제3시트에 출력하는 인쇄시트 형성단계; 및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시트 형성단계는,
    상기 제3시트에 상기 디지털영상으로 구현된 외형라인을 따라 인쇄하는 제3시트 인쇄단계와, 상기 제3시트의 전면에 투명한 재질의 제4시트를 결합하는 제4시트 결합단계와, 상기 제3시트와 제4시트를 상기 외형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커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시트 인쇄단계는,
    복수의 접착영역에 대한 디지털 영상들이 하나의 제3시트에 배열되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시트 형성단계는,
    상기 외형라인의 외곽에서 이격되도록 인쇄오차 보정을 위한 마진라인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단계는,
    상기 인쇄시트의 모서리부위에 접착되어 접착기간 동안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5시트가 부착되는 마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시트를 대상물의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제1시트 접착단계;
    상기 제1시트에 상기 접착영역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가이드시트를 접착하는 가이드시트 접착단계;
    상기 가이드시트를 따라 상기 제1시트에 외형라인을 그리는 외형라인 형성단계;
    상기 제1시트에 제2시트를 결합하는 제2시트 결합단계;
    상기 제1시트의 외형라인을 따라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제2시트를 스캐너를 통하여 스캔하는 제2시트 스캔단계;
    디지털 영상장치를 통하여 상기 스캔된 이미지를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하는 이미지 형성단계;
    상기 이미지를 제3시트에 출력하는 제3시트 인쇄단계;
    상기 제3시트에 제4시트를 결합하는 제4시트 결합단계;
    상기 제3시트와 제4시트를 함께 재단하여 인쇄시트를 형성하는 커팅단계; 및
    상기 인쇄시트를 상기 접착영역에 접착하는 접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대상물의 다른 접착영역에 대해 상기 제1시트 접착단계로부터 상기 이미지 형성단계를 반복하여, 복수의 이미지가 하나의 시트에 출력되도록 배열하는 배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트 형성방법.


KR1020120062634A 2012-06-12 2012-06-12 외장시트 형성방법 KR10132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634A KR101326344B1 (ko) 2012-06-12 2012-06-12 외장시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634A KR101326344B1 (ko) 2012-06-12 2012-06-12 외장시트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344B1 true KR101326344B1 (ko) 2013-11-11

Family

ID=4985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634A KR101326344B1 (ko) 2012-06-12 2012-06-12 외장시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3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57A (ko) * 2003-09-03 2003-09-29 (주)엠앤제이코퍼레이션 판형문화재 복원 제작 방법
KR200407236Y1 (ko) * 2005-10-01 2006-01-26 김태성 요요아트시트
KR20090095872A (ko) * 2008-03-06 2009-09-10 최재호 장식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KR20100136664A (ko) * 2009-06-19 2010-12-29 설진영 메시지 보호 스티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957A (ko) * 2003-09-03 2003-09-29 (주)엠앤제이코퍼레이션 판형문화재 복원 제작 방법
KR200407236Y1 (ko) * 2005-10-01 2006-01-26 김태성 요요아트시트
KR20090095872A (ko) * 2008-03-06 2009-09-10 최재호 장식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KR20100136664A (ko) * 2009-06-19 2010-12-29 설진영 메시지 보호 스티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8424A3 (en) A method and a software program for creating an image product having predefined criteria
JP2017018158A (ja) 3dネイルアートモデリング方法
KR101326344B1 (ko) 외장시트 형성방법
JP2010191925A (ja) 印刷装置
EP109329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a hard copy image digitally in accordance with instructions provided by consumer
CN106163150A (zh) 一种终端壳体的处理方法、终端壳体及终端
US20060172071A1 (en) Method of applying paint
US5484495A (en) Method for carving wood accurately, artistically, and in a time efficient manner
KR101692344B1 (ko) 보호필름 제조방법
CN206010629U (zh) 适用于金属加工的雕铣设备
JP6910676B2 (ja) 立体造形物及び平面画像の立体化法
KR20150009683A (ko) 가이드라인이 구비된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0094B1 (ko) 보릿대 공예품 제작방법
US20030041959A1 (en) Pattern for glass cutting and method for using the pattern
WO2004075697A3 (ja) 額縁
KR20080037807A (ko) 다기능 명찰 케이스의 제작방법
JP2002193332A (ja) 電子機器筐体及び情報表示方法
CN104260594B (zh) 一种具有装裱效果的陶瓷装饰画及其制作方法
TW201640447A (zh) 輸出可銜接圖樣之處理方法
JP2607861Y2 (ja) 布表装台紙
CN108163367A (zh) 一种背面按键手机的双面出厂膜
US8819974B2 (en) Photo framing template and mounting bracket assembly
CN212021907U (zh) 一种复合式pet保护膜
CN101085590A (zh) 木嵌书画及其制作方法
KR100635155B1 (ko) 주차장 벽면에 도안을 페인트 작업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