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090B1 -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090B1
KR101326090B1 KR1020080103219A KR20080103219A KR101326090B1 KR 101326090 B1 KR101326090 B1 KR 101326090B1 KR 1020080103219 A KR1020080103219 A KR 1020080103219A KR 20080103219 A KR20080103219 A KR 20080103219A KR 101326090 B1 KR101326090 B1 KR 10132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engine
vibration
pressure chamber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951A (ko
Inventor
진봉만
공영모
허주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0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B63H21/305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with passive vibration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0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 or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여기에서는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에 의해, 엔진과 헐 사이의 진동을 감쇠하는 선박에 있어서의 진동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진동제어방법은, 초기 압력값을 갖는 고압챔버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라 달라지는 헐과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값을 재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탑브레이싱, 고압챔버, 엔진, 헐, 주거구, 선박, 진동, 압력

Description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OF SHIP}
본 발명은 엔진, 특히, 주 엔진의 횡방향 진동을 감쇠하는 탑브레이싱(top bracing)을 갖춘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의최적화된 압력 조정을 통해, 선박, 특히, 거주구가 있는 헐(hull)의 진동을 낮게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엔진은 그 작동 중에 심한 진동을 발생시키며, 그러한 엔진의 진동은 주거구(deck house)가 있는 헐(deck house)에 전해진다. 따라서, 헐에 존재하는 여러 구조물이 진동에 의해 손상되며, 특히, 주거구에서의 승선감이 진동에 의해 크게 저하된다.
이에 따라, 헐과 엔진 사이에 진동 감쇠 장치인 탑브레이싱이 연결된 선박이 만들어지고 있다. 통상의 탑브레이싱은, 실린더와 피스톤에 의해 한정된 고압챔버의 유체 압력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헐로 전달되는 횡방향 진동을 감쇠하도록 되어 있다.
대부분의 탑브레이싱은, 자체 고압챔버 내에 오일 또는 압축기체 등의 유체 가 특정 압력 상태로 충전된 채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탑브레이싱은 운항 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였다. 또한, 기존 탑브레이싱은, 선박의 연령, 즉, 연수가 증가함에 따라, 고압챔버로부터의 유체 누설이 발생하는데, 이는 탑브레이싱의 최초 진동 감쇠 특성을 원치 않는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한편, 종래에는 고압챔버로 공기튜브를 이용하는 탑브레이싱에서, 공기튜브의 압력 조절을 가능하게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한국 등록특허 제042160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측정된 엔진 RPM과 미리 설정된 임계 RPM을 비교하고, 측정 RPM이 임계 RPM 미만인 경우, 공기튜브의 압력 높이고, 측정 RPM이 임계 RPM 이상인 경우, 공기튜브의 압력을 낮추는 방식을 제안한다. 그러나, 선박은 운항 시작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엔진의 RPM이 거의 일정한 안정적인 운항 상태(즉, 정상 운항 조건)로 운항하므로, 위 종래의 기술의 실용성은 떨어진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RPM이 거의 일정한 선박의 운항시, 거주구에서 발생하는 진동 발생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거주구가 있는 헐 및/또는 엔진의 진동 정보가 직접 반영된 진동 정보를 기초로, 탑브레이싱의 고압챔버 압력을 조정하여, 헐의 진동을 최적의 상태로 억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에 의해, 엔진과 그 엔진 을 지지하는 헐의 일부 사이의 진동을 감쇠하는 선박에 있어서의 진동제어방법이며, 상기 진동제어방법은, 초기 압력값을 갖는 고압챔버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라 달라지는 헐과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값을 재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헐의 일부는 헐 본체 또는 그 헐 본체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의 진동제어방법은, 상기 엔진의 RPM이 안정적인지를 판단하는 운항조건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RPM이 안정적인 때, 상기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항조건 판단 단계는, 상기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로 유지되어 일정 기간을 초과할 때, 상기 RPM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은 상기 헐과 상기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값이 최소인 때의 압력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한 후, 상기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초기 압력값으로 복원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엔진과 헐 사이에 연결된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헐과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최소 진동값을 찾고, 그 최소 진동값에 상응하는 압력값이 되도록,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는 선박의 진동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로 유지된 채 일정 기간을 초과하면, 엔진과 헐 사이에 연결된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헐과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최소 진동값을 찾고, 그 최소 진동값에 상응하는 압력값이 되도록,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는 선박의 진동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의 압력에 의해, 엔진과 헐 사이의 진동을 감쇠하는 선박에 있어서의 진동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진동제어장치는,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 변화 및 조정을 위해, 상기 고압챔버에 연결되는 압력조절유닛과, 상기 압력조절유닛에 의해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이 변화될 때, 그에 따라 달라지는 헐과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정보를 획득하는 진동정보 획득유닛과, 상기 진동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값을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압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의 RPM을 측정하는 RPM 측정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RPM 측정유닛으로부터의 RPM을 기초로, 진동정보 획득시점을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고압챔버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와, 상기 압력조절기와 상기 고압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온/오프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조절기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유체의 역류 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거구가 있는 헐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으로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여 줄 수 있으므로, 헐 내의 여러 구조물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승선감을 좋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고압챔버의 유체 누설 등과 같은 진동 감쇠 조건에 열화에도 불구하고, 선박의 정상 운항 조건에서의 헐 진동을 최적의 상태로 감쇠시켜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탑브레이싱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탑브레이싱(100)은 선박의 엔진 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102)와 선박의 헐 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10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102)에는 피스톤(112)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연결부(104)에는 실린더(114)가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112)과 상기 실린더(114)에 의해 댐핑 유체가 채워지는 고압챔버(113)가 한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탑브레이싱은 시중에서 구매 가능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핑 유체로는 오일이 이용되지만, 압축공기와 같은 다른 유체가 이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02)에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112)을 미세 이동시켜, 고압챔버(113)를 미세 조정하는 공압 액츄에이터가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공압 액츄에이터는 에어 공급원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상기 고압챔버(113)는 유압 관로를 통해 압력조절유닛(120)과 연결된 다. 상기 압력조절유닛(120)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 고압챔버(113) 내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동 또는 자동의 압력조절기와, 고압챔버(113)와 압력조절기 또는 그와 연결된 탱크 사이의 관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120) 내에는 고압챔버(113) 내로의 유체 공급시 유체의 역류를 막도록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브레이싱(100) 및 그와 연결된 압력조절유닛(120)을 이용한 선박의 진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진동 제어방법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진동 제어방법은, 선박의 운항조건 판단 단계(S1), 헐 및/또는 엔진의 진동 정보 획득 단계(S2), 탑브레이싱의 압력값 재설정 단계(S3), 그리고, 탑브레이싱의 압력 조정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운항조건 판단 단계(S1)에서는 선박의 엔진(특히, 주 엔진)이 거의 일정한 RPM으로 작동되는 정상 운항 조건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통상, 선박은 운항 초기와 운항 말기, 그리고, 위급한 상황을 제외하면, 거의 일정한 RPM으로 엔진이 작동하는 정상 운항 조건이 된다. 운항 기간 중, 위의 정상 운항 조건에 해당하는 기간이, 즉, 정상 운항 기간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이 정상 운항 기간 내에서 헐(특히, 주거구)의 진동을 작게 제어하는 것이 특히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운항조건 판단 단계(S1)는, 선박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로 유지되어 일정 기간을 초과할 때, RPM이 안정적인 정상 운항 조건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RPM의 일정 범위는 미리 설정된 RPM의 상한치와 하한치에 의해 정 해지는 것으로, 정밀한 판단을 위해서는, 상기 상한치와 하한치를 좁게 한다. 이상적으로는, 상한치와 하한치가 같은, 즉, RPM이 일정한 것을 상기 일정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일정 기간은, 예를 들면, 엔진의 RPM이 증가되기 시작하는 운항 초기로부터 전술한 것과 같이 RPM이 거의 일정해지는 시점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기간이 지난 직후가 정상 운항 조건이 되는 것이다.
도 3은 엔진 RPM에 대한 엔진 측의 진동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3으로부터, 탑브레이싱(100)의 압력 변화에 따라 엔진 측의 진동 곡선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는 엔진 RPM에 대한 헐 주거부 측 진동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4로부터, 탑브레이싱(100)의 압력 변화에 따라 헐 주거부의 진동 곡선도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로부터,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 또는 일정치로 고정된 경우, 선박의 헐 및/또는 엔진의 최소 진동수에 상응하는 탑브레이싱(100)의 압력값을 찾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 정보 획득 단계(S2)에서는 압력조절유닛(120)을 이용해 탑브레이싱(100) 내 고압챔버(113) 압력을 임의로 변화시킨다. 고압챔버(113)의 압력변화에 따라, 선박의 헐 측 및 엔진 측의 진동은 변화된다.또한,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 또는 일정치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RPM에 대하여, 상기 변화되는 압력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헐 측 및/또는 엔진 측의 진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 탑브레이싱의 압력값 재설정 단계(S3)는, 상기 진동 정보로부터 얻은 헐 측 및/또는 엔진 측 최소 진동값에 상응하는 탑브레이싱(100) 내 고압챔버(113)의 압력값을 찾아 그 압력값으로 탑브레이싱의 압력값을 재설정한다.
다음, 탑브레이싱의 압력 조정 단계(S4)는, 초기 압력값으로부터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이 되도록, 상기 탑브레이싱(100) 내 고압챔버(113)의 압력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초기 압력값은 선박 운항 전 또는 운항 초기에 설정된 고압챔버(113)의 압력값을 의미한다. 초기 압력값은 정상 운항 조건 외의 다양한 조건에서 진동 흡수성이 좋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정 단계(S4)는 압력조절유닛(120)의 자동 또는 수동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며, 압력조절유닛(120)은 고압챔버(113)의 압력을 전술한 재설정 압력값으로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헐 측의 진동값은 헐의 주거구의 측벽에서 계측되며, 엔진 측의 진동값은 메인 엔진의 상부에서 계측된다. 통상, 헐 측과 엔진 측의 최소 진동값에 대한 탑브레이싱의 압력값이 같게 정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진동을 줄이는 것이 더 요구되는 헐 측 주거구의 최소 진동값에 상응하는 압력값을 취한다.
예를 들어, 선박 운항의 말기 또는 기타 돌발적 상황에 의해, 선박 엔진의 RPM이 전술한 일정 범위, 즉, 적정 RPM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탑브레이싱(100)의 압력을 초기 압력값으로 복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도, 전술한 압력조절유닛(120)의 조작이 요구된다.
도 5는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의 압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선박의 진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선박 진동 제어장치는, 헐과 엔진 사이의 진 동 감쇠를 위해 고압챔버(113)를 구비한 탑브레이싱(100)과, 상기 고압챔버(113)의 압력 변화 및 조정을 위해, 상기 고압챔버(113)에 연결되는 압력조절유닛(120)과, 선박 엔진의 RPM 획득을 위한 RPM 획득유닛(130)과, 상기 엔진 측 및/또는 헐 측의 진동 정보 획득을 위한 진동정보 획득유닛(140)과, 상기 RPM과 상기 진동 정보를 이용해 탑브레이싱(100) 내 고압챔버(113)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탑브레이싱(100)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된 바 있다.
상기 압력조절유닛(120)은, 상기 고압챔버(113)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121)와, 상기 압력조절기(121)와 상기 고압챔버(113) 사이에 설치되는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122)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기(121)는 상기 제어유닛(150)에 의해 제어되어 공급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122)는 상기 제어유닛(150)의 제어 하에 상기 고압챔버(113)로 향하거나 상기 고압챔버(113)로부터 나오는 유체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120)은, 고압챔버(113)에 유체를 공급하는 동안, 상기 고압챔버(113)로부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1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크밸브(123)는 상기 온/오프 솔레이드 밸브(122)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유닛(120)은, 상기 고압챔버(113) 내의 압력 조정을 위해 이용됨은 물론이고, 진동 정보의 획득을 위해, 고압챔버(113)의 압력을 임의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조절유닛(120)에 의해 상기 고압챔버(113)의 압력이 변화될 때, 상 기 진동정보 획득유닛(140)은 상기 압력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헐 측 및/또는 엔진 측의 진동정보를 획득하는 진동센서(142, 144)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헐 측과 엔진 측 모두에 진동센서(142, 144)가 설치되지만, 헐 측과 엔진 측 중 어느 하나의 진동을 측정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헐의 주거구 내 진동을 낮게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 헐 측의 진동 정보가 엔진 측의 진동 정보에 비해 더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50)은, RPM 획득유닛(130)으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 정보의 획득 시점 및 고압챔버(113)의 압력 재설정 시점을 판단하며, 고압챔버(113)의 압력을 임의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압력조절유닛(12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50)은, 상기 고압챔버(113)의 압력이 변화되는 동안 획득된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최소 진동값에 상응하는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113)의 압력값을 재설정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유닛(150)은,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113)의 압력을 조정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어유닛(150)은 상기 압력조절유닛(120)의 압력 조절기(121) 및 솔레노이드 온/오프 밸브(122)를 제어한다.
도 6은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의 압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선박의 진동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탑브레이싱 내 고압챔버 압력이 초기 압력인 상태에서, 일정범위를 만족하는 엔진의 적정 RPM이 일정기간을 지났는지에 따라, 선박의 운항 조건이 정상 운항 조건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1). 적정 RPM이 일정기간을 지났 다면, 엔진 RPM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상 운항 조건으로 판단한다. 상기 일정범위는 상한치와 하한치로 정해지는 RPM 범위이거나, 하한치 이상의 RPM 범위이거나, 상한치와 하한치가 같은, 즉, 일정치의 RP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기간은 미리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기존 선박의 운항 정보를 고려하거나 또는 선박의 성능 또는 특성 등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선박 엔진의 적정 RPM이 일정기간을 지난 경우, 즉, 정상 운항 조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탑브레이싱(100) 내 고압챔버(113)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헐 측의 진동 정보 및/또는 엔진 측의 진동 정보를 획득한다(S12). 다음, 헐 측의 진동 정보 및/또는 엔진 측의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고압챔버(113)의 압력값을 재설정한다(S13). 다음, 재설정된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113) 내의 압력을 조정한다(S14). 상기 조정에는 전술한 압력조절유닛(120)이 이용된다. 고압챔버(113)의 압력이 조정된 다음에는, RPM이 적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고압챔버(113)의 압력을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나, RPM이 적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RPM이 적정범위를 벗어난 기간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RPM이 적정범위를 벗어난 회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고압챔버(113)의 압력을 초기 압력값으로 복원한다.
상기 고압챔버(113)의 압력값 재설정에는, 헐 측 진동 정보와 엔진 측 진동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헐 측 진동과 고압챔버 압력과의 관계와, 엔진 측 진동과 고압챔버 압력과의 관계가 크게 상이한 경우에는, 헐 측 진동 정보만을 이용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엔진 측 진동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만, 전술한 고압챔버(113)의 압력 조정 제어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진동 감쇠용 탑브레이싱 및 그것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유닛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브레이싱 및 압력조절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진동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순서도.
도 3은 탑브레이싱의 압력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선박의 엔진 RPM 대비 엔진 상부 측의 진동 곡선들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탑브레이싱의 압력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선박의 엔진 RPM 대비 헐 주거구 측벽 측의 진동 곡선들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자동 진동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자동 진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Claims (11)

  1. 탑브레이싱 내에 배치된 고압챔버에 의해, 엔진과 그 엔진을 지지하는 헐의 일부 사이의 진동을 감쇠하는 선박에 있어서,
    초기 압력값을 갖는 고압챔버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라 달라지는 헐과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값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RPM이 안정적인지를 판단하는 운항조건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RPM이 안정적인 때, 상기 진동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항조건 판단 단계는, 상기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로 유지되어 일정 기간을 초과할 때, 상기 RPM이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은 상기 헐과 상기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이 최소인 때의 압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한 후, 상기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초기 압력값으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6. 엔진과 헐 사이에 연결된 탑브레이싱 내에 배치된 고압챔버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헐과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최소 진동을 찾고, 그 최소 진동에 상응하는 압력값이 되도록,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7.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로 유지된 채 일정 기간을 초과하면, 엔진과 헐 사이에 연결된 탑브레이싱 내에 배치된 고압챔버의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헐과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최소 진동을 찾고, 그 최소 진동에 상응하는 압력값이 되도록,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8. 탑브레이싱 내에 배치된 고압챔버의 압력에 의해, 엔진과 그 엔진을 지지하는 헐의 일부 사이의 진동을 감쇠하는 선박에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 변화 및 조정을 위해, 상기 고압챔버에 연결되는 압력조절유닛;
    상기 압력조절유닛에 의해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이 변화될 때, 그에 따라 달라지는 헐과 엔진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정보를 획득하는 진동정보 획득유닛; 및
    상기 진동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값을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압력값으로 상기 고압챔버의 압력을 조정하도록 상기 압력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RPM을 획득하는 RPM 획득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RPM 획득유닛으로부터 RPM을 기초로, 진동정보 획득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고압챔버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와, 상기 압력조절기와 상기 고압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온/오프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기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고압챔버로부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진동제어장치.
KR1020080103219A 2008-10-21 2008-10-21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2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19A KR101326090B1 (ko) 2008-10-21 2008-10-21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19A KR101326090B1 (ko) 2008-10-21 2008-10-21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51A KR20100043951A (ko) 2010-04-29
KR101326090B1 true KR101326090B1 (ko) 2013-11-06

Family

ID=4221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219A KR101326090B1 (ko) 2008-10-21 2008-10-21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308A (ko)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구조물의 능동형 진동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27B1 (ko) * 2010-12-10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형 거주구
KR102383769B1 (ko) * 2020-10-07 2022-04-06 주식회사 진원하이드로릭 능동형 진동제어 시스템을 갖는 메인엔진 탑브레이싱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609B1 (ko) * 1998-10-02 2004-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탑브레이싱
JP2006137336A (ja) * 2004-11-12 2006-06-0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振動低減方法及び低振動船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609B1 (ko) * 1998-10-02 2004-06-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탑브레이싱
JP2006137336A (ja) * 2004-11-12 2006-06-01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振動低減方法及び低振動船舶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Countermeasure of Ship vibration due to M/E excitation by Automatic Control of Hydraulic Top bracing(1999.5.13) *
A Countermeasure of Ship vibration due to M/E excitation by Automatic Control of Hydraulic Top bracing(1999.5.1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308A (ko) 2014-09-03 2016-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구조물의 능동형 진동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51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297B2 (en)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US7216637B2 (en) Evaporative fuel handling apparatus
KR101326090B1 (ko) 선박의 진동제어방법 및 장치
BRPI1103486A2 (pt) processo para frenagem de motor
JP2009519406A (ja) ポンピングされる媒体内の排出の脈動を減衰させるための気体容積減衰装置
JP2007127080A (ja) 蓄圧式燃料システムの制御装置
WO2009067434A1 (en) Pump suction pressure limiting speed control and related pump driver and sprinkler system
JP2004150535A (ja) 油圧調整弁
JP2008157460A (ja) クラッチ液圧回路
US5765540A (en) Method of diagnosing an evaporative system
EP3918201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ressor towards and unloaded state
EP0733793B1 (en) An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50099826A (ko) 액추에이터 유닛
JP2007285176A (ja) 発電機兼用電動機および液圧式テンショナを備えるエンジン
JP2001207930A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
JP6483372B2 (ja) 燃料供給装置のための弁アセンブリ及び燃料供給装置
JP2005264942A (ja) 弁戻し装置および弁戻し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
JP5150586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JPH0437911A (ja) 給水制御装置
JP2004068663A (ja) 圧力発生装置
JP4674563B2 (ja) 動弁装置
JP2006002698A (ja) 燃料噴射装置
KR101836630B1 (ko) 차량의 연료압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JP2004084671A (ja) 内燃機関の少なくとも1つのガス交換弁を制御する装置
JP3319660B2 (ja) 油圧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