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749B1 -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749B1
KR101325749B1 KR1020110042974A KR20110042974A KR101325749B1 KR 101325749 B1 KR101325749 B1 KR 101325749B1 KR 1020110042974 A KR1020110042974 A KR 1020110042974A KR 20110042974 A KR20110042974 A KR 20110042974A KR 101325749 B1 KR101325749 B1 KR 101325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eramic ball
active water
liquor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991A (ko
Inventor
박경배
박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메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메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메자이텍
Priority to KR102011004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4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상체로 형성된 제1하우징(60) 내부 가장자리에 서로 동일한 각을 이루며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의 사이 공간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 상기 고정 자석봉(100)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이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체로 형성되는 제2하우징(65) 및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 및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연결플랜지(1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 각각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세라믹 볼을 구비하는 형태의 스테인리스 관으로 형성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자기력과 원적외선의 동시 처리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물에 용존 미네랄의 클러스터가 초소형화되어 흡수력이 빠르고 용해력이 향상된 활성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활성수를 희석용 주조용수로 사용할 수 있고 각종 주류를 병입 포장하기 직전에 재차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를 통과함으로서 순식간에 물과 알코올이 분자 수준에서 잘 혼합되어 숙성이 매우 빠르게 완성된다.

Description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vital water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nion, far infrared ray ceramic ball and alcoholic beverages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자화 활성수 제조장치 및 주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류는 일반적으로 알코올 성분이 함유된 음료의 총칭으로서 그 주된 성분은 대부분이 물이고 여기에 알코올(주로 에틸알콜) 및 기타 첨가물이 녹아 있는 형태이다. 주류로는 곡류나 과일을 효모로 발효 시킨 맥주, 청주, 탁주, 포도주 등의 발효주가 있다. 또한 이 발효주를 증류해서 제조하는 소주, 브랜드, 럼, 위스키, 보드카 및 고량주 등의 증류주가 있으며 이들 주류에 향료, 과실, 당분 등을 첨가하여 맛과 향을 좋게 하는 혼성주가 있다.
주류의 대부분이 물(60%~80%)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희석식 소주의 경우 75%이상이 물이고 20%정도가 알코올이다. 다라서 물과 알코올은 주류의 품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다.
물은 누룩을 제조하는 전 공정에서,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곡류를 씻고, 물에 담가 부풀리는 과정, 증자한 다음 곰팡이 균이나 효소에 의해 전분이 당화되는 발효공정, 증류주를 만든 다음 물로 희석하여 희석주를 만드는 공정 등에서 이용되며, 이러한 물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는다.
주조 용수는 무색투명하고 무미 무취하며 중성 또는 약 알칼리성으로서 중금속, 유기물 및 유해 미생물이 없어야 한다. 또한 유효성분인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등 미네랄이 적당히 함유되어야 상기 유익한 곰팡이균 및 효소의 활성이 높아져 발효가 잘되어 결과적으로 생산량이 많고 양질의 원주를 얻을 수 있다.
주조 용수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지하수는 대부분이 오염되어 있는 것이 많아 정수처리를 거친 다음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경수의 연수화, 역삼투압, 나노 여과 처리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물이 깨끗하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용존 천연 미네랄 성분이 인위적으로 제거되어 상기 양질의 주류를 제조하는데 문제점이 많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즉 미네랄 성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활성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자기력에 의한 물의 자화 처리,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처리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미생물의 살균이나 오염물질 제거는 완벽하지 못하여 음용수 수질 기준에 적합한 물을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618329호에는 물을 전기분해 하여 얻은 알칼리 환원수(전해 환원수)는 그 특징이 pH 7.5~8.5범위, 환원력(산화환원전위, ORP값)이 높고, 물의 클러스터가 작고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적정량 함유되어 소주 제조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점은 전기 분해량이 많을수록 pH는 상승하여 알칼리성으로 변하게 되고 ORP값은 (-)방향으로 증가한다. 환원력이 있는 것은 활성수소원자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매우 불안정하여 공기와 접촉하거나 음용 후 위 내의 산성 조건하에서 수소가스로 즉시 변하기 때문에 그 효력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문이 많고 아직 검증되지 않았으며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것 중의 하나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541962호에는 주류 제조시 주조 용수로서 첨가한 희석액을 나노여과 처리함으로써 숙취성분 및 기타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서 양질의 주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나노 여과에 의한 미네랄이 인위적으로 제거되어 유익 미생물에 의한 발효 공정의 효율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숙취성분, 이치 물질 등은 대부분 발효 공정의 부산물로서 생산되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발효 공정 초기 또는 발효중에 그 생성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조 용수 중의 미네랄과 환원성을 중시하여 보고된 대한민국 특허 제 10-0702897, 10-0702897, 10-0673327에서는 미네랄이 풍부한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소주, 청주, 막걸리 제조 방법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취수 및 가온처리, 모래 여과, 정밀 여과, 한외 여과 등 전처리 여과 공정, 나노 여과 및 역삼투압 여과에 의한 탈염 처리, 직류 전기 분해에 의한 전해 환원수 제조, 최종 주류 제품에 고압의 교류 정전압을 인가하여 물 분자 집단(cluster)의 소형화 처리 등 전체 제조 공정의 복잡성과 낮은 경제성으로 인해 실제 주류 제조에 적용하기 에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주질 개선을 위한 죽탄수(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278877), 참나무숯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한국 공개 특허 제 2002-0082305, 발효주의 활성탄 흡착에 의한 개선된 증류수 소주의 제조 방법(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0458013), 순 산소가 함유된 희석식 소주의 제조 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664599), 전기 분해 방법이 아닌 인공의 알칼리 미네랄 용액과 정제수의 혼합에 의한 주조 용수 제조 방법(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9-0117415), 역삼투 처리수를 이용한 희석식 소주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458044), 마이크로 나노버블로 처리된 주조 용수 및 주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858278) 등의 다양한 제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모두 주질 개선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상기 전기분해, 인공 미네랄 첨가, 역삼투 처리법 등은 가혹한 인공적 처리법으로서 천연의 물 원래의 조성 및 특성은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변질시키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이면서 물 고유의 특성을 활성화시켜주는 방법으로서 물 또는 주류의 자화처리, 초음파처리, 원적외선 처리법이 숙성시간 단축 및 주질 개선과 순한 맛을 내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화 활성수 제조 장치는 자석의 배열(인력 또는 척력), 자석 수, 자석 간의 거리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그 효력이 천차만별이며, 또한 장치를 어떻게 수관 및 주류 생산 라인에 장착하여 사용하느냐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자화 활성수 제조 장치(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722302)는 상용화 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93905에서는 공기를 자화 시킨 활성공기를 수돗물 또는 지하수에 폭기 시키는 단계, 인공 미네랄 파우더를 혼합하는 반응 단계, 가열 수단,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석관, 자석관 및 유리관으로 구성되는 응축기를 통과한 응축수 제조단계, 첨가물을 수용하는 혼합단계, pH를 조절하는 단계 등 여러 공정을 거쳐 자화 활성수를 제조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자화처리 및 원적외선 처리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상기 자화 처리기의 구체적인 내용이 업급되지 않아 그 효력이 의문시 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 석관과 자석관이 유리관으로 구성된 응축기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석관을 가열하여도 외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상태에서 응축수를 처리함으로서 고온에서의 원적외선 방출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 이외에 원적외선 처리수를 이용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공고 특 1996-0004031) 원적외선 소재를 이용한 순한 소주 제종 방법(대한민국 특허공고 특2000-0036737)등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전기석, 옥돌, 맥반석 등 천연의 돌 또는 인공 세라믹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그 방사율이 흑체(black body)와 비교되는데 통상적으로 실온에서 91~95%정도 수준이다. 고온에서의 원적외선 방출 효과는 이미 잘 검증되어 산업적, 의료적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저온 또는 실온(4℃~25℃)에서의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 자체의 정확도, 제품 적용시의 효능 등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비교적 고온 조건 하에서 원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전구를 이용한 활성수 및 주류 제조 방법(대한민국 특허 공고 특 2003-0064015)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발효 및 숙성 공정에서 원거리 조사를 시켜야 함으로 원적외선 처리 시간이 길다. 원적외선의 특성상 물 및 주류에 잘 흡수되기 때문에 조사가 되는 물질의 표면에 대부분의 효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물량이 많을 때는 교반하면서 처리해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처리기간 중에 공기 및 주위로부터의 유해 물질에 오염될 수 있음으로 주위 위생 시설이 철저해야 양질의 주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해보면 죽탄 또는 활성탄처리, 한외여과, 나노여과, 역삼투압 처리 등 막처리법을 이용하여 각종 주류중의 이미, 이취, 숙취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는 할 수 있으나 좋은 향기 성분들도 동시에 제거 즉 비선택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양질의 주류를 제조 할 수는 없다.
근본적으로 미네랄이 적정량 함유되어 있고 염소, 오존 등의 화학 약품 처리, 전기 분해 등 인공의 가혹한 처리법이 아닌 청정에너지의 일종인 원적외선 또는 자기력 처리(자화처리)등의 친환경적이고 처리 후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가장 경제적인 처리법으로 물을 활성화시킨 활성수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활성수를 주류 제조시 누룩 또는 입국(개량 누룩), 효모, 곡물 등의 전분 물질의 전 처리 과정에서부터 발효, 숙성, 희석 공정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이미, 이취, 숙취성분의 최소화와 더불어 쓴맛이 없고 부드러우며 기호도가 높은 양질의 주류 원액을 물론 최종 주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오염되지 않은 천연의 지하 암반수는 미네랄이 풍부하며 주조용수로 적합하지만 환경오염으로 인해 깨끗한 물을 얻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안으로 깨끗한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수도 고도처리 과정에서 화학제품, 소독제인 염소, 오존 등을 처리함으로서 물 자체는 깨끗하지만 산화 처리됨으로서 상기 산화환원전위(ORP)가 높아 그 전위를 낮추어 원래의 자연수 수준 또는 그 이하로 조정해 주어야 한다. 이것 역시 기존의 환원제처리, 물의 전기 분해 등 가혹한 처리법 대신 온화하고 친환경적인 처리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이 물 분자(H2O)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물 분자간의 수소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물 집단(cluster)에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자기력과 원적외선 에너지를 동시에 부여함으로써 그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순식간에 수고결합의 절단과 더불어 안정된 상태로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소집단(cluster)의 물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활성수를 제조할 수 있는 활성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음용수 및 주조 용수로서 활성화를 위한 물의 클러스터 소집단화는 물론이고 발효 공정에 있어서 누룩 또는 입국, 균주, 효모 등의 활성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물속의 적절한 미네랄 함량 유지, 약 알칼리성(pH7.4부근), 낮은 산화환원전위(ORP) 등의 최적의 물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양질의 주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는 원통형상체로 형성된 제1하우징(60) 내부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로부터 여유 공간이 발생 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의 사이 공간에서 서로 다른 거리를 두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 상기 고정 자석봉(100)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이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체로 형성되는 제2하우징(65) 및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 및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연결플랜지(1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로 구성된 자석다발의 중심으로 상기 고정 자석봉(100)들 각각은 서로 간에 동일한 각을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 각각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세라믹 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자석과 세라믹볼을 최대한 근접시킴으로서 실온에서도 자기력에 의한 세라믹의 활성화가 이루어져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1하우징 상부는 상측에 유로를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입구연결니블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자석봉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자석봉은 그 내부에 동일한 극이 마주보도록 상호 대칭되는 펠렛(Pellet) 형태의 영구 자석이 다수 개 적층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자석봉은 네오디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연결플랜지는 원판형상체로서, 다수개의 설치공이 규칙적으로 관통형성되되, 그 일측면에 스프링와셔를 갖는 다수개의 설치홈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설치공에 고정 자석봉이 삽입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세라믹볼층들은 상기 제2하우징 내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구연결니블은 제1외통연결플랜지 및 제2외통연결플랜지를 이용하여 제1하우징과 체결되며, 상기 제1외통연결플랜지와 제2외통연결플랜지 사이에는 우레탄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은 취수원으로부터 주류 용수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주류 용수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주류 용수를 활성수 제조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주류 용수를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수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활성수를 희석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수를 발효, 증류, 주정, 희석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희석된 활성수에 알코올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 농도가 조정된 활성수를 숙성시키는 단계 및 병입 및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주류 용수를 활성수 제조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는 이후, 상기 주류 용수의 정수 단계 및 상기 주류 용수의 미네랄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주류 용수를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수로 제조하는 단계이 후,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에 브라운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희석 단계 이후, 탈취 단계 및 여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희석된 활성수에 알코올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이 후, 상기 알코올 농도가 조정된 활성수에 첨가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이고 청정에너지인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기력과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파동에너지가 동시에 물 또는 주류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 물 클러스터의 소집단화에 따른 물의 활성화가 순식간에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주류의 주성분인 에틸알코올의 소집단화도 빠르게 효율적으로 진행되어 물과 알코올이 분자 수준에서 완전히 혼합되는 과정인 주류의 숙성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양질의 주류 생산은 물론 그 생산비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주류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활성수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하우징 내에 구비된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들 및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의 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자성봉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세라믹볼층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기재된 제1외통연결플랜지 및 제2외통연결플랜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기재된 내부연결플랜지 및 외통폐쇄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활성수 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a는 수돗물의 O-17 NMR 스펙트럼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b는 수돗물을 활성수 제조장치를 통과한 물의 O-17 NMR 스펙트럼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c는 먹는 샘물을 본 장치에 통과시킨 후의 O-17 NMR 스펙트럼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활성수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하우징 내에 구비된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들 및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들의 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자성봉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세라믹볼층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기재된 제1외통연결플랜지 및 제2외통연결플랜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1에 기재된 내부연결플랜지 및 외통폐쇄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수 제조장치(1)는 입구연결니블(10), 제1외통연결플랜지(20), 제2외통연결플랜지(30), 우레탄 가스켓(40), 플랜지 연결볼트(50), 제1하우징(60), 제2하우징(65), 외통폐쇄관(70), 출구연결니블(80), 내부연결플랜지(120), 자석외통파이프앤드캡(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60) 및 상기 제2하우징(65)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65)은 상기 제1하우징(60)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1하우징(60)은 상기 제1외통연결플랜지(20)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설치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외통연결플랜지(20)의 표면에는 상기 설치공(미도시)과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입구연결니블(10)은 유로가 형성된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된 관으로 형성되며,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하우징(60)과 상기 입구연결니블(10)은 제1 및 제2외통연결플랜지를 통해 기계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제1 외통연결플랜지(20) 및 제2 외통연결플랜지(30)는 플랜지 연결볼트(50)를 통해 기계적으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외통연결플랜지(20) 및 제2 외통연결플랜지(30) 사이 공간에는 상기 우레탄 가스켓(40)이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65)은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 및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이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자석봉 및 외관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은 상기 원통형상체로 형성된 제2하우징(60) 내부 가장자리에 서로 동일한 각을 이루며 구비된다.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 각각은 사이 공간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어 구비되어 상기 제2하우징(65) 내부에 구비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연결플랜지(120)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 및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원형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자석봉(100)들이 배치된 배열과 동일한 배열로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자석봉(100)은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봉상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 하측 단부에는 상, 하부 봉단마개(100d,100e)가 접합구비된다.
여기서 상, 하부 봉단마개(100d,100e)는 각 고정 자석봉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봉단마개(100d,100e)는 기밀 용접 방식을 통해 상기 고정 자석봉의 외관(100c)과 결속된다.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 각각은 그 내부에 펠렛(Pellet)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영구 자석을 상호 동일한 극이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적층배열되어 있다. 예를들어, N극은 N극 끼리, S극은 S극끼리 상호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적층배열된다.
여기서, 적층배열된 영구자석(100a)은 대략 10개 이상으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영구자석(100a)은 코발트/니켈계 또는 네오디뮴(5,000 ~10,000 G)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영구 자석의 맞닿는 틈새 부분에서 방출되는 높은 자기장 영역을 자석봉의 길이당 많게 하는 반면에 자장이 낮게 형성되는 영구 자석의 본체 길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 자석봉(100) 내부에 적층배열되는 영구 자석(100a)은 가능한 한 길이가 짧은(5mm ~10mm) 자석을 사용하되, 여러 개(10 ~20개) 장착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적층배열되는 펠렛 형태의 영구 자석 사이에는 각 영구 자석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자석 간격판(100b)이 개재된다.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 각각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세라믹 볼(91)들로 구성되며, 하부에 세라믹볼 차단막(90b)을 설치하여 다수개의 세라믹 볼(91)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세라믹볼 차단막(90b)은 그물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세라믹볼층(90)은 입구연결니블(10)에서 유입되는 물을 출구연결니블(80)로 이동시키는 수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세라믹 볼(91)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천연석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활성수 제조장치(1)의 자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의 결합이 완료된 활성수 제조장치를 수도관 등에 적용할 경우, 상기 입구연결니블(10)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고, 유입되는 물이 제2하우징(65)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을 통과하면서 자화된 후 출구연결니블(80)을 통해 토출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볼층(90) 사이의 공간을 거쳐 통과하는 물은 얇은 층을 형성하면서 곡선운동을 하게 되고 원적외선에 의한 활성화와 더불어 동시에 고정 자석봉(100) 내에 동일한 극이 마주보도록 적층 배열된 영구 자석(100a)의 접합부에서 발산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효율적인 자화처리가 된다.
즉, 상기 고정 자석봉(100) 내에 동일 극끼리 상호 최단거리로 적층배열되는 다수개의 영구 자석(100a)의 접합부에서 생성되는 반발력에 의한 강력한 자력에 의하여 세라믹볼층(90) 사이에 유입되는 물이 자화되며, 각 고정 자석봉(100)의 자력 발산 방향과 근접하여 물이 유동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유동한 물에 균일한 자력이 발산되어 물이 활성화된다.
또한, 세라믹볼층(90)들 내로 유입된 물은 세라믹볼(91)들을 통해 활성화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세라믹볼(91)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천연석과 혼합되어 상기 세라믹볼층(9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활성수 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은 취수원으로부터 주류 용수를 제공받는 단계(S10), 상기 주류 용수의 이물질을 제거(여과)하는 단계(S20),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주류 용수를 활성수 제조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S50), 상기 주류 용수를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수로 제조하는 단계(S60), 상기 활성수를 발효, 증류, 주정, 희석 단계(S80,S90,S100,S110)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희석된 활성수에 알코올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S140), 상기 알코올 농도가 조정된 활성수를 숙성시키는 단계(S160) 및 병입 및 포장단계(S170)를 포함한다.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주류 용수를 활성수 제조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이 후, 상기 주류 용수의 정수(막여과) 단계 및 상기 주류 용수의 미네랄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주류 용수를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수로 제조하는 단계 이후,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에 브라운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희석 단계 이후, 탈취(활성탄 처리) 단계 및 여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희석된 활성수에 알코올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이 후, 상기 첨가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막여과) 단계(S30), 미네랄 농도 조정 단계(S40), 탈취(활성탄 처리) 단계(S120), 브라운 가스 주입단계(S70)는 수질 및 주류의 질에 따라서 적용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생략할 수 있는 경우는 수질이 음용수 기준에 적합하고 용존 미네랄이 적정량(50~200㎎/ℓ) 바람직하게는 70~150㎎/ℓ 함유되어 있을 때 가능하다. 단 수돗물일 경우는 브라운가스로 처리하여 ORP를 가능한 한 -200mV ~ +100mV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좋다.
발효 공정 단계(S80)는 전반에 걸쳐 자세히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곡류의 세정, 침윤, 증자 등 발효의 전처리 공정도 활성수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 주질을 좌우하는 핵심 단계는 발효시키는 단계인데 여기서 양질의 주류 원액이 생산되면 상기 탈취, 여과, 첨가물 첨가 단계(S120,S130,S150)는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어 시간 단축은 물론 경제적 이득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숙성시키는 단계(S160)는 발효 공정 및 숙성 공정을 거침으로서 더욱 빠르게 진행되어도 저온의 도기, 오크통 내에서 장기간 숙성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양질의 주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기력과 원적외선 에너지를 동시에 물 또는 주류에 작용시켜 이들의 클러스터를 소집단화시킬 수 있는 간편하고 콤팩트한 장치(이하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이들 액체가 본 장치를 단순히 통과함으로서 순간적으로 활성수 또는 숙성주가 되도록 구현된다.
자기력은 자력원(자석)으로부터 물체가 멀면 멀수록 그 효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따라서 자화 처리되는 물은 자장대의 영향을 받는 최소한의 근접 거리 이내로 통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활성수 제조장치(1)에 사용되는 펠렛 형의 자석은 영구 자석으로서 그 두께가 가능한 한 얇고 같은 극을 서로 마주보게 배열함으로써 발생되는 척력에 의한 자기력이 원주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원통형 스테인리스관 내에 이러한 배열로 여러 개 자석으로 구성된 고정 자석봉과 복수 개의 세라믹봉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되도록 구성된 자석 다발이 원통형 스테인리스관(2차 하우징)에 내장 되도록 하고, 이를 수용할 수 있는 1차 하우징 양단은 수관 등의 관로에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깔때기 형상의 입구, 출구연결니블이 구비되어, 물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2차 하우징의 물 유입구를 통과한 물은 판의 여러 개 구멍을 통과하면서 분산되고 자석 봉 사이를 얇은 층을 이루는 동안 방사형으로 방사되는 자기력과 일부는 수직으로 만나게 되어 효율적인 자화 처리가 된다.
또한 6~11㎛파장의 원적외선은 일명 “생육광선”으로서 직진성이 있고 물, 알코올 등의 유기물에 잘 흡수되어 공명하기 때문에 물의 활성화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흡수 물질이 두껍거나 정지된 상태에서는 그 표면만 활성화되는 단점이 있다. 낮은 온도 및 실온에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에서 방사되는 방사율은 고온에 비하여 낮고 그 효과도 미미하다. 따라서 실온 이하에서 처리되는 물의 클러스터를 소집단화하여 활성화를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은 열 이외의 에너지로서 온도에 무관한 자기력으로 세라믹을 활성화시키면 방출 효율이 향상되고 물 또는 알코올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활성수 제조 장치 내의 고정 자석봉 사이의 공간에 세라믹볼이 구비된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을 구비한 적층된 활성수 제조 장치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활성수 제조장치를 통과하는 물 또는 주류는 세라믹 볼을 스쳐 지나가면서 일종의 파동운동을 하게 되고 얇은 층의 물이 자석봉과 세라믹 볼 사이를 통과할 때 자기력과 원적외선 에너지를 동시에 받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물의 활성화(소집단화)가 순식간에 일어나게 된다.
또한 자석봉내의 N극과 S극이 교차적으로 여러 개가 배열됨으로써 N극에서는 물이 좌회전, S극에서는 우회전 운동을 여러 번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하기 때문에 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처리된 물은 물속의 용존 미네랄이 나노 입자화되고 제타포텐셜(ZP)이 (-)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사실로 미루어보아 이들이 소집단의 물 사이에 끼어들어 수소 결합에 의한 대집단으로 재편되는 현상을 방해한다.
따라서 증류수 및 역삼투압 처리수(R/O수)처럼 용존 미네랄이 없는 경우에는 본 활성화 장치를 통과하여도 ZP의 증가가 아주 미미하게 나타나 물의 소집단 자체가 불안정하여 다시 대집단으로 변하게 됨으로서 물의 활성화를 오래도록 유지하기 어렵다.
ZP의 증가와 더불어 나노 입자화된 미네랄(양, 음이온 포함)은 인체 및 미생물에 흡수가 잘 되고 효소에 의한 각종 가수분해도 효율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주류 제조에 있어서 전분의 당화 및 알코올로 분해되는 일련의 발효 효율이 높게 되어 주류의 생산량 증가 및 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음용수 및 주조 용수로 사용되고 있는 물은 그 취수원의 위치 및 정수 방법에 따라서 용존 미네랄의 함량이 천차만별이다. 따라서 미네랄이 부족한 물에는 미네랄이 골고루 풍부하에 함유된 탈염 처리 해양심층수 또는 해안 육지 심층수, 용암수 등을 일정량 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돗물의 경우는 고도 정수 처리된 물로서 깨끗하지만 염소, 오존 처리 등의 산화처리에 의한 미생물의 살, 멸균이 이뤄짐에 따라 물의 산화환원전위(ORP)가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를 중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환원제 처리가 아닌 친환경적이면서 무독한 브라운가스(Brown Gas)를 수중에 폭기 또는 버블링시켜 잔류 염소 및 오존 가스가 제거됨에 따라 ORP를 낮출 수 있다.
브라운가스는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하여 음극과 양극에서 발생되는 수소와 산소의 2:1 혼합기체로서(2H2O 전기분해 2H2 + O2) 연소 특성이 순수 수소가스와 완전히 다르게 나타나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이 브라운가스를 본 자화활성수 제조 장치를 통과하면 산소는 물과는 달리 자성체이고, 수소는 핵스핀의 운동이 일어나 가스의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활성화된 브라운가스로 물을 처리하면 ORP를 낮추는 효과 이외에 산소 및 수소가 균형 잡힌 채로 물속에 녹아들어 생리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한 알칼리 환원수는 그 원리상 물의 pH가 알칼리성으로 변하게 되고 전기분해 정도에 따라서 ORP도 (-)방향으로 증가하게 된다. 반면에 브라운 가스로 처리된 물의 pH는 변화가 없는 것이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도 9a는 수돗물의 O-17 NMR 스펙트럼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b는 수돗물을 활성수 제조장치를 통과한 물의 O-17 NMR 스펙트럼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c는 먹는 샘물을 본 장치에 통과시킨 후의 O-17 NMR 스펙트럼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실시 예>
본 활성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수돗물을 상압에서 1회 통과시킨 후의 산소-17 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을 얻었다.
사용된 측정기는 "INOVA-500 Varian-NMR"이며, 측정온도는 25℃였다.
스펙트럼상의 높이의 반에 해당되는 선폭(half width)은 단위로 표시하였다. 선폭이 좁으면 좁을수록 물의 클러스터가 작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도 9a는 수돗물의 O-17 NMR 스펙트럼으로서 반가치 선폭은 140.62로 나타났다. 도 9b는 수돗물을 활성수 제조장치를 통과한 물의 O-17 NMR으로서 반가치 선폭은 101.69로서 38.53 만큼 감소하여 물의 클러스터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물의 활성화는 유속이 빠른 조건하에서 통과하면 더 효과적임으로 펌프를 이용하여 빠르게 통과시키면 더 큰폭의 차가 예상된다. 도 9c는 먹는 샘물을 본 장치에 통과시킨 후의 O-17 NMR 스펙트럼으로서 반가치 폭은 94.99로 나타나 수돗물에 비하여 45.63 감소하였다.
반가치 선폭은 물을 어떤 방법으로 처리 하든지 처리 전후의 pH 변화가 있으면 정확한 클러스터 크기를 알수가 없다. pH가 처리 후 중성(7.0)에서 산이나 알칼리 쪽으로 변하면 선폭은 좁게 나타난다. 따라서 전기 분해에 의한 알칼리 이온수 또는 환원수의 선폭은 대부분 좁게 나타나지만 이에 따라 물의 클러스터가 작아졌다고 보기 어렵다.
반면에 본 장치를 통과한 물의 pH는 거의 변화가 없기에 더욱 신빙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 : 자화 활성수 제조장치
10 : 입구연결이경니블 20 : 제1 외통연결플랜지
30 : 제2 외통연결플랜지 40: 우레탄가스켓
50 : 플랜지 연결볼트 60: 제1하우징
65: 제2하우징 70 : 외통 폐쇄관
80 : 출구연결니블 90 : 세라믹볼층
90a,100c: 외관 91 : 세라믹 볼 100: 고정 자석봉 100a : 영구 자석 100b : 자석 간격판 100c,100d: 봉간마개 120 : 자석다발연결플랜지 130 : 자석외통파이프 140 : 자석외통파이프앤드캡

Claims (13)

  1. 원통형상체로 형성된 제1하우징(60) 내부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로부터 여유 공간이 발생 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의 사이 공간에서 서로 다른 거리를 두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
    상기 고정 자석봉(100)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이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체로 형성되는 제2하우징(65); 및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 및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연결플랜지(1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 자석봉(100)들로 구성된 자석다발의 중심으로 상기 고정 자석봉(100)들 각각은 서로 간에 동일한 각을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세라믹볼층(90)들 각각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세라믹 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상부는,
    상측에 유로를 갖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입구연결니블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석봉은 그 내부에 동일한 극이 마주보도록 상호 대칭되는 펠렛(Pellet) 형태의 영구 자석이 다수 개 적층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석봉은 네오디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볼층의 각 세라믹볼은 외주연이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천연석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연결플랜지는 원판형상체로서, 다수개의 설치공이 규칙적으로 관통형성되되, 그 일측면에 스프링와셔를 갖는 다수개의 설치홈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설치공에 고정 자석봉 및 세라믹볼층이 삽입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세라믹볼층들은 상기 제2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상기 세라믹볼층들 상부 유공의 직경의 크기는 상기 제2하우징 직경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연결니블은,
    제1외통연결플랜지 및 제2외통연결플랜지를 이용하여 제1하우징과 체결되며, 상기 제1외통연결플랜지와 제2외통연결플랜지 사이에는 우레탄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9. 제1항에 따른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취수원으로부터 주류 용수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주류 용수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주류 용수를 활성수 제조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주류 용수를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수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활성수를 희석시키는 단계;
    상기 활성수를 발효, 증류, 주정, 희석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희석된 활성수에 알코올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 농도가 조정된 활성수를 숙성시키는 단계; 및
    병입 및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주류 용수를 활성수 제조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이 후, 상기 주류 용수의 정수 단계 및 상기 주류 용수의 미네랄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주류 용수를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수로 제조하는 단계 이후, 상기 활성수 제조 장치에 브라운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희석 단계 이후, 탈취 단계; 및
    여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 제조 방법은,
    상기 희석된 활성수에 알코올 첨가하여 알코올 농도를 조정하는 단계이 후,
    상기 알코올 농도가 조정된 활성수에 첨가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KR1020110042974A 2011-05-06 2011-05-06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KR101325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974A KR101325749B1 (ko) 2011-05-06 2011-05-06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974A KR101325749B1 (ko) 2011-05-06 2011-05-06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991A KR20120124991A (ko) 2012-11-14
KR101325749B1 true KR101325749B1 (ko) 2013-11-08

Family

ID=4751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974A KR101325749B1 (ko) 2011-05-06 2011-05-06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320B1 (ko) 2021-08-11 2022-04-19 원용학 기능성 활성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231B1 (ko) * 2016-08-18 2018-06-04 서승완 차량용 원적외선 방사장치
WO2020148157A1 (en) * 2019-01-15 2020-07-23 Dus Ivan Combined water filtration system for enhancing drinking water properties for human heal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963A (ja) 1999-05-24 2000-11-28 Sansui Kogyo Kk 活性水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7181817A (ja) * 2005-12-31 2007-07-19 Korea Atom Energ Res Inst 磁化活性水製造装置
KR20090066594A (ko) * 2007-12-20 2009-06-24 황해선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여과장치를 부착한 자화수 제조기
KR20100030541A (ko) * 2008-09-10 2010-03-18 손형모 자화 활성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963A (ja) 1999-05-24 2000-11-28 Sansui Kogyo Kk 活性水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7181817A (ja) * 2005-12-31 2007-07-19 Korea Atom Energ Res Inst 磁化活性水製造装置
KR20090066594A (ko) * 2007-12-20 2009-06-24 황해선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여과장치를 부착한 자화수 제조기
KR20100030541A (ko) * 2008-09-10 2010-03-18 손형모 자화 활성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320B1 (ko) 2021-08-11 2022-04-19 원용학 기능성 활성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991A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925480A1 (fr) Procede d&#39;enrichissement d&#39;une eau en oxygene par voie electrolytique, eau ou boisson enrichie en oxygene et utilisations
Zhang et al. Photolytic quorum quenching: a new anti-biofouling strategy for membrane bioreactors
CN101456642A (zh) 一种高磁活化水的生产方法
KR101325749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볼이 장착된 활성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CN107683261A (zh) 液体处理系统和方法
CN1882383A (zh) 用于分配饮用的液体产品的方法和装置
EP1359126B1 (en) Free atom aqueous solution producing apparatus and free-atom aqueous solution producing method
Liu et al. Potential of UV/H2O2 oxidation for enhancing the biodegradability of municipal reverse osmosis concentrates
CN107651789A (zh) 一种大别山区刮水的生产工艺
CN111072193A (zh) 一种超滤矿泉水生产系统
CN1810684B (zh) 饮用水的三合一处理工艺及其装置
CN204737838U (zh) 纯净水生产装置
KR100833458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환원성 소주를 제조하는 방법
García-Morales et al. Treatment of soft drink process wastewater by ozonation, ozonation-H2O2 and ozonation-coagulation processes
CN102531264A (zh) 三项物理技术组合式灭菌增氧活性水器
Wang et al. Factors controlling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from dissolved organic matter
CN107515254B (zh) 一种降低水中邻苯二甲酸酯含量的方法
KR101419333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증류식 소주를 제조하는 방법
KR20080079116A (ko) 마이크로나노버블 처리된 주조용수를 이용한 주류의제조방법
CN203985588U (zh) 一种水产品保活运输系统
KR200229903Y1 (ko) 광촉매 살균기를 이용한 공동 정수 장치
EP18574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rinking waters
KR101206187B1 (ko) 마이크로나노 산소활성수의 특성을 가지는 황토지장수 제조방법과 원적외선의 특성을 활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JP2008017778A (ja) アルコール飲料の処理方法
Inan et al. Performance of ozonation/biofiltration for disinfection by-products control on eutrophicated water source, Tur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