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494B1 -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494B1
KR101325494B1 KR1020130009477A KR20130009477A KR101325494B1 KR 101325494 B1 KR101325494 B1 KR 101325494B1 KR 1020130009477 A KR1020130009477 A KR 1020130009477A KR 20130009477 A KR20130009477 A KR 20130009477A KR 101325494 B1 KR101325494 B1 KR 10132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bracket
block
head
steer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의
Original Assignee
이현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의 filed Critical 이현의
Priority to KR1020130009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제의 프레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차량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륜차 스티어링 헤드에 장착되어 레이크 각을 변경시키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로서, 상기 스티어링 헤드 상면에서 하부 블록과 결합되는 홈 및 상기 스티어링 헤드 전면으로 연장된 연장부에서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상부 블록; 상기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을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를 관통하는 엑슬; 상기 스티어링 헤드 하면에서 상기 엑슬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 후면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하부 블록; 상기 하부 블록의 연장부와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브라켓을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의 측면을 통과하도록 연장 형성된 윙브라켓; 및 상기 윙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블록의 연장부 하부에서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블록의 관통홀과 상기 브라켓의 관통홀에 의해서 형성된 스티어링 축이 이루는 레이크 각은 상기 스티어링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레이크 각보다 큰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Rake Angle Modifier}
본 발명은 이륜차의 스티어링 축을 변경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오토바이에서 전방 차륜을 대형 차륜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축의 위치와 선택적으로 그에 따른 레이크 각을 간편하게 바꾸면서도 안전도도 유지가능한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 에는 종래의 이륜차, 즉 오토바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서 보이듯이, 레이크 각(r1)은 포크의 연장선과 스티어링 헤드에서의 수직선과의 각을 의미한다.
한편, 최근에는 개인의 취향에 맞도록 오토바이를 개조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오토바이를 개조함에 있어서, 도 2 와 같이 전방 차륜으로 대형 차륜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대형 차륜을 사용하는 경우에, 기존 오토바이 부품을 유지하는 것은 간섭의 문제로 불가능하며, 그에 따라서, 도 2 와 같이 레이크 각(r2)을 크게 하거나, 트리플 트리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대형 차륜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개조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도 3 에는 종래의 개조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티어링 축 위치 변경 방식의 경우에 이륜차 프레임(1)에서 스티어링 헤드(100)를 절단한 후 중간 부재(150)를 사이에 두고 이륜차 프레임(1)에 스티어링 헤드(100)를 부착하여, 레이크 각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차량의 안전에 핵심 역할을 하는 프레임(1)을 절단, 용접하는 것이어서 차량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되며, 개조 차체가 불법으로 취급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 대형 차륜 사용이 아닌 단순히 레이크 각을 변경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과 같이 스티어링 헤드에 장착되어 레이크 각을 증대시키는 변경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 의 경우에 스티어링 헤드의 상하면에서 연장된 블록을 통하여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기 때문에, 새로운 스티어링 축이 스티어링 헤드와 대등한 위치에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스티어링 축은 레이크 각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스티어링 축과 스티어링 헤드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며, 높이 상의 변화가 없어서 대형 차륜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티어링 축은 스티어링 헤드에 블록을 통해서만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 강도가 확보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US7438306 B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티어링 헤드에 연결되어 스티어링 축을 형성함에 있어서, 주물제의 프레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차량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어링 축의 위치를 스티어링 헤드에 인접하면서도 상방에 위치하게 하여, 대형 차륜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스티어링 헤드의 측면에 연결되어 충격시 하중의 분산 및 조립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륜차 스티어링 헤드에 장착되어 레이크 각을 변경시키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로서, 상기 스티어링 헤드 상면에서 하부 블록과 결합하는 홈 및 상기 스티어링 헤드 전면으로 연장된 연장부에서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상부 블록; 상기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을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를 관통하는 엑슬; 상기 스티어링 헤드 하면에서 상기 엑슬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 후면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하부 블록; 상기 하부 블록의 연장부와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브라켓을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의 측면을 통과하도록 연장 형성된 윙브라켓; 및 상기 윙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블록의 연장부 하부에서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하면은 상기 하부 블록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윙브라켓은 상기 스티어링 헤드의 측면에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블록의 관통홀과 상기 브라켓의 관통홀에 의해서 형성된 스티어링 축이 이루는 레이크 각은 상기 스티어링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레이크 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윙브라켓은 브라켓과 연결되는 수평부, 하부 블록과 연결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곡부에서 상기 윙브라켓과 상기 스티어링 헤드가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윙브라켓과 상기 스티어링 헤드는 볼트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어링 축이 상기 스티어링 헤드와 인접하도록 상기 상부 블록의 연장부는 상방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된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윙브라켓은 원피스로 제공되며,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 및 상기 윙브라켓과 상기 하부 블록은 볼트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블록의 연장부는 상기 윙브라켓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윙브라켓은 상기 하부 블록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블록과 상기 윙브라켓이 결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엑슬의 외측에는 상기 엑슬을 감싸며,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스티어링 헤드에 연결되어 스티어링 축을 형성함에 있어서, 주물제의 프레임에 손상을 주지 않아서 차량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어링 축의 위치를 스티어링 헤드에 인접하면서도 상방에 위치하게 하여, 대형 차륜은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티어링 헤드의 측면에 연결되어 충격시 하중의 분산 및 조립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오토바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대형 차륜으로 오토바이를 개조한 개략도이다.
도 3 은 종래의 개조시 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가 스티어링 헤드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통하여 개조한 오토바이의 스티어링 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 에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의 사시도가, 도 5 에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의 측면도가, 도 6 에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는 스티어링 헤드(100) 상면에 배치된 상부 블록(10), 상기 스티어링 헤드(100)의 하면에 배치된 하부 블록(20), 상기 상부 블록(10)과 상기 하부 블록(20)을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100)를 관통하는 엑슬(70),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 사이에서 두 블록(10, 20)을 정렬시키는 홀더(60), 상기 하부 블록(20)과 연결된 브라켓(50) 및 상기 브라켓(50)과 상기 상부 블록(10)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40) 및 상기 브라켓(50)과 상기 하부 블록(20)을 연결하는 윙브라켓(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블록(10)은 하부 블록(20)과 결합하는 홈(11) 및 상기 스티어링 헤드(100)의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3)에서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관통홀(12)을 포함한다. 후에 스티어링 축에는 스티어링 샤프트(80)가 삽입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블록(10)의 저면에는 상기 홀더(60)의 정렬 돌기(61)에 삽입되도록 정렬 홈(미도시)이 형성되며, 그 형상의 하부 블록(20)의 정렬 홈(25)과 유사하다. 본 상부 블록(10)에서 상기 스티어링 축이 상기 스티어링 헤드(100)와 인접하도록 상기 상부 블록(10)의 연장부(13)는 상방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티어링 헤드(100)와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스티어링 축이 가능한 한 스티어링 헤드(100) 측에서 형성되면서, 브라켓(50)의 저면이 하부 블록(20)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13)는 상방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하부 블록(20)은 상기 엑슬(70)에 의해서 상기 상부 블록(10)과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 후면으로 연장된 연장부(2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블록(20)은 상기 엑슬(70)이 장착되며, 상기 엑슬(70)의 외주면에서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을 정렬하는 홀더(60)의 정렬 돌기(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정렬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블록(20)의 연장부(22)의 양 측면에는 상기 윙브라켓(30) 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3)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23)에는 윙브라켓(30)과 볼트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 구멍(24)이 복수 개 형성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볼트 구멍(24)이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을 연결하는 엑슬(70)은 볼트 결합 방식으로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을 연결한다.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은 스티어링 헤드(10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엑슬(70)은 상기 스티어링 헤드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을 연결하기 때문에, 본 발명인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헤드(10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연결에도, 충격시 안정성은 문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윙브라켓(30)을 통하여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와 스티어링 헤드(100)를 연결한다. 윙브라켓(30)의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 상기 엑슬(70)의 외주에는 상기 엑슬(70)과 마찬가지로 상기 스티어링 헤드(100)를 관통하며,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의 정렬 홈(25)에 연결되어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의 정렬을 확보하는 홀더(60)가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하부 블록(20)은 윙브라켓(30)을 통하여 브라켓(50)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브라켓(50)의 저면은 상기 하부 블록(20)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브라켓(50)의 관통홀(53)과 상부 블록(10)의 관통홀(12)에 의해서 형성되는 스티어링 축이 스티어링 헤드(100)의 기존 스티어링 축에 대하여 경사각(θ)을 가지도록 구성되기 위하여, 윙브라켓(30)은 브라켓(50)과 연결되는 수평부(32), 하부 블록(20)과 연결되는 수직부(33) 및 상기 수평부(32)와 수직부(33)를 연결하는 절곡부(31)를 포함하여 대략 'ㄱ'자 형상 평판으로 구성된다.
윙브라켓(30)은 수평부(32)에서 볼트 구멍(34)을 통하여, 브라켓(50)과 연결되며, 수직부(33)에서는 복수 개의 볼트 구멍(36)을 통하여 하부 블록(20)과 연결된다. 수직부(33)의 볼트 구멍(36)의 반대 측에는 상기 하부 블록(20)의 돌출부(23)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37)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홈(37)으로 인하여, 볼트 체결 전에도 윙브라켓(30)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변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볼트 연결부에서 돌출부(23)와 홈(37)의 구조로 인하여, 볼트에 전단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막으며, 그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약한 볼트의 전단 강도가 상기 돌출부(23)와 홈(37) 구조로 보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윙브라켓(30)은 하부 블록(20)과 브라켓(50)을 연결하는 구성일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헤드(100)의 측면을 감싸며, 스티어링 헤드(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31)에 볼트 구멍(35)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 구멍(35)을 통하여, 조립시 윙브라켓(30), 브라켓(50), 상부 블록 및 하부 블록(20, 10)의 위치를 임시 고정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에는 윙브라켓(30)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의 일부를 스티어링 헤드(100)를 통하여 프레임으로 분산할 수 있다.
프레임(1)의 경우에 주물로서 강성뿐만 아니라 충분한 인성을 가지고 있는데,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에 전달되는 하중의 일부는 상기 윙브라켓(30)을 통하여 프레임(1)으로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에 큰 하중이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하중의 일부가 윙브라켓(30)을 통하여 프레임(1)에 전달되고, 일부의 하중이 프레임(1)의 변형으로 흡수될 수 있어서,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의 파손이 예방될 수 있으며, 이는 개조된 오토바이의 안정성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브라켓(50)은 상기 윙브라켓(30)의 수평부(32)와 볼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에 형성된 볼트 구멍(51)과, 상면에 튜브(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착면(52)을 포함하며, 중앙에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도록 관통홀(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50)은 하면이 하부 블록(20)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즉, 도 5 에서 보이듯이, 브라켓(50)의 하면은 하부 블록(20)의 하면보다 소정 길이(H)만큼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때 길이(H)는 적어도 1 인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브라켓(50)의 경우에 하면이 하부 블록(20)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며, 스티어링 축이 스티어링 헤드(100)에 인접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블록(20)에 윙브라켓(30)을 통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크기의 제한을 가질 수밖에 없다. 즉, 평판형 윙브라켓(30)과 연결되기 위하여 폭이 제한되고, 하부 블록(20)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기 위하여 브라켓(50)의 길이가 제한되며, 브라켓(50)의 관통홀에 의해 형성되는 스티어링 축이 스티어링 헤드(100)에 인접하기 위하여 브라켓(50)의 두께가 제한된다.
따라서, 브라켓(50)과 윙브라켓(30)의 결합을 위한 볼트 구멍(51)이 양측에 각각 복수 개 형성되기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조립시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양측에 각각 하나의 볼트 구멍(51)을 포함하며, 볼팅된 윙브라켓(30)과 브라켓(50)은 용접을 통하여 결합시켜, 연결 강도를 확보한다.
한편, 브라켓(50)의 관통홀(53)과 상부 블록(10)의 관통홀(12) 사이에는 관통공(42)을 포함하는 튜브(40)가 배치된다. 이때 튜브(40)는 상부 블록(10)과 브라켓(50)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될 뿐 별도의 결합관계를 가지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다만, 튜브(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향 돌출되며 상부 블록(10) 및 브라켓(50)에 안착되는 안착면(41)을 가진다.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는 상기 상부 블록(10) 및 하부 블록(20)을 홀더(60) 및 엑슬(70)을 통하여 스티어링 헤드(100)에 결합시킨 후 윙브라켓(30) 및 브라켓(50)을 하부 블록(20)에 연결시킨다. 이때, 브라켓(50)과 상부 블록(10) 사이에는 튜브(40)를 배치시킨다. 그 후, 상부 블록(10), 하부 블록(20), 윙브라켓(30) 및 브라켓(50)을 적정 토크로 볼팅하고, 윙브라켓(30)과 브라켓(50)은 볼팅된 부분은 다시 용접하여,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장착한다.
도 7 에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가 스티어링 헤드(100)에 부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의 윙브라켓(30)은 스티어링 헤드(100)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 구멍(105)을 볼트가 관통한 후 반대측에서 너트(미도시)를 통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는 레이크 각을 변경하면서도 종래의 프레임과 동등 수준의 안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 에는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를 통하여 개조한 오토바이의 스티어링 부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의 스티어링 축에 상부 트리플 트리(110) 및 하부 트리플 트리(120) 가 연결되며, 상부 트리플 트리(110)와 하부 트리플 트리(120)는 포크(fork, 140)를 통하여 차륜과 연결된다.
도 8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에서 하부 트리플 트리(120)는 브라켓(50)이 하부 블록(20)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개조 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대형 차륜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도 4 내지 도 8 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9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 구성은 도 4 내지 도 8 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도 9 에서 보이듯이, 도 9 의 실시예에서 윙브라켓(30)과 브라켓(50)은 볼트 결합 없이 단일의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의 부재란 제작 초기부터 단일 금속으로 제작된 경우 뿐만이 아니라, 용접을 통하여 두 부재가 단일화된 것을 모두 포함한다. 즉, 사용자에게 제공되었을 때 원피스, 즉 한 부재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9 의 실시예에서, 윙브라켓(30)과 브라켓(50)은 단일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윙브라켓(30)에는 홈(3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일 부재는 전방에서부터 하부 블록(20)과 조립된다. 이와 같은 도 9 의 실시예의 경우 윙브라켓(30)과 브라켓(50)이 단일 부재로 형성되며, 나머지 부품, 즉, 상부 블럭(10)과 하부 블럭(20) 및 상기 윙브라켓(30)과 상기 하부 블럭(20)의 연결이 볼트로만 달성가능하다.
따라서, 도 9 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접과 같은 어려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볼팅만으로 스티어링 축을 변경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스티어링 축 변경이 용이하다.
한편, 도 10 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의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도 4 내지 도 8 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스티어링 축이 스티어링 헤드(100)의 기존 스티어링 축에 대하여 경사각을 가지지 않고, 기존의 스티어링 축과 평행한 스티어링 축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브라켓(50)은 상기 하부 블럭(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그로 인하여, 브라켓(50)의 하부 공간에 하부 트리플 트리(120; 도 8 참고)가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높이 만큼 반경이 더 큰 차륜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상부 블록 12: 관통홀
13: 연장부 20: 하부 블록
22: 연장부 23: 돌출부
30: 윙브라켓 34, 35, 36: 볼트 구멍
37: 홈 40: 튜브
50: 브라켓 51: 볼트 구멍
53: 관통홀 60: 홀더
70: 엑슬 80: 스티어링 샤프트
100: 스티어링 헤드

Claims (10)

  1. 이륜차 스티어링 헤드에 장착되어 스티어링 축을 변경시키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로서,
    상기 스티어링 헤드 상면에서 하부 블록(20)과 결합되는 홈(11) 및 상기 스티어링 헤드 전면으로 연장된 연장부(13)에서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관통홀(12)을 포함하는 상부 블록(10);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을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를 관통하는 엑슬(70);
    상기 스티어링 헤드 하면에서 상기 엑슬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 후면으로 연장된 연장부(22)를 포함하는 하부 블록(20);
    상기 하부 블록(20)의 연장부(22)와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브라켓(50)을 연결하며, 상기 스티어링 헤드의 측면을 통과하도록 연장 형성된 윙브라켓(30); 및
    상기 윙브라켓(30)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블록(10)의 연장부(13) 하부에서 스티어링 축을 형성하는 관통홀(53)을 포함하는 브라켓(50)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50)의 하면은 상기 하부 블록(20)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브라켓(30)은 상기 스티어링 헤드의 측면에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10)의 관통홀(12)과 상기 브라켓(50)의 관통홀(53)에 의해서 형성된 스티어링 축이 이루는 레이크 각은 상기 스티어링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레이크 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윙브라켓(30)은 브라켓(50)과 연결되는 수평부(31), 하부 블록과 연결되는 수직부(33) 및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3)를 연결하는 절곡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곡부(32)에서 상기 윙브라켓(30)과 상기 스티어링 헤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윙브라켓(30)과 상기 스티어링 헤드는 볼트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축이 상기 스티어링 헤드와 인접하도록 상기 상부 블록(10)의 연장부는 상방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록(10)과 상기 브라켓(50)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된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과 상기 윙브라켓(30)은 원피스로 제공되며,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은 볼트로 연결되며,
    상기 윙브라켓과 상기 하부 블록은 볼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블록(20)의 연장부(22)는 상기 윙브라켓(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3)를 포함하며,
    상기 윙브라켓(30)은 상기 하부 블록(20)의 돌출부(23)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37)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3)와 상기 홈(37)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블록(20)과 상기 윙브라켓(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슬(70)의 외측에는 상기 엑슬을 감싸며, 상기 상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KR1020130009477A 2013-01-28 2013-01-28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KR101325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477A KR101325494B1 (ko) 2013-01-28 2013-01-28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477A KR101325494B1 (ko) 2013-01-28 2013-01-28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494B1 true KR101325494B1 (ko) 2013-11-07

Family

ID=4985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477A KR101325494B1 (ko) 2013-01-28 2013-01-28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4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400A1 (en) 2014-01-20 2015-07-23 Lee Hyun-Eui Steering shaft modifier
US9434442B2 (en) 2014-01-20 2016-09-06 Hyun-Eui Lee Steering shaft modifier
KR101875433B1 (ko) * 2016-02-01 2018-07-09 이현의 스티어링 조절 세트
USRE48786E1 (en) 2014-01-20 2021-10-26 Hyun-Eui Lee Steering shaft modif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981U (ja) * 1997-05-28 1998-01-23 株式会社横浜ライニング 自動二輪車のフォークトリプル
US7438306B2 (en) * 2006-10-27 2008-10-21 Matthew Mrdeza Motorcycle rake and trail adju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981U (ja) * 1997-05-28 1998-01-23 株式会社横浜ライニング 自動二輪車のフォークトリプル
US7438306B2 (en) * 2006-10-27 2008-10-21 Matthew Mrdeza Motorcycle rake and trail adjust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400A1 (en) 2014-01-20 2015-07-23 Lee Hyun-Eui Steering shaft modifier
KR101560546B1 (ko) * 2014-01-20 2015-10-16 이현의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US9211933B2 (en) 2014-01-20 2015-12-15 Hyun-Eui Lee Steering shaft modifier
US9434442B2 (en) 2014-01-20 2016-09-06 Hyun-Eui Lee Steering shaft modifier
JP2017503719A (ja) * 2014-01-20 2017-02-02 ヒュンユイ リー ステアリング軸変更装置
EP3097005A4 (en) * 2014-01-20 2017-12-20 Lee, Hyun-Eui Steering shaft modifier
USRE48786E1 (en) 2014-01-20 2021-10-26 Hyun-Eui Lee Steering shaft modifier
KR101875433B1 (ko) * 2016-02-01 2018-07-09 이현의 스티어링 조절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494B1 (ko)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DE102014016455B4 (de) Schwinge
EP2361825B1 (en) Scooter-type motorcycle frame
US7431374B2 (en) Wheeled vehicle with covers
JP5825596B2 (ja) 走行練習用自転車
US10625802B2 (en) Rear fender supporting structure of saddle-type vehicle
US9499037B2 (en) Mounting structure for power unit of utility vehicle and utility vehicle employing same mounting structure
JP6507554B2 (ja) 車両の荷箱マウントブラケット
US9067640B2 (en) Straddle type vehicle
EP2933175B1 (en) Side mirror for straddled vehicle
EP2489581B1 (en) Screen attachment structure for saddle riding type vehicle
KR102062876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지지대
JP6325133B2 (ja) ステアリング軸変更装置
JP6287258B2 (ja) 自動二輪車のスイングアーム
US9663160B2 (en) Towing tractor
KR102031905B1 (ko) 오토바이용 리어셋 어셈블리
JP2021062724A (ja) 鞍乗型車両
US9701357B2 (en) Straddle-type vehicle
JP2016088231A (ja) 鞍乗型車両
US20110017541A1 (en) Small Vehicle
KR102327380B1 (ko) 자전거용 프레임의 제조방법
CN211107843U (zh) 一种带横向减震作用的减震器稳定装配组件
EP3305641B1 (en) Straddled vehicle
CN207580057U (zh) 一种易装配的摩托车后摇架
JP2006205985A (ja)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