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286B1 -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286B1
KR101325286B1 KR1020130024208A KR20130024208A KR101325286B1 KR 101325286 B1 KR101325286 B1 KR 101325286B1 KR 1020130024208 A KR1020130024208 A KR 1020130024208A KR 20130024208 A KR20130024208 A KR 20130024208A KR 101325286 B1 KR101325286 B1 KR 101325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ription
content
smart
sliding
cont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희
Original Assignee
(주)핸드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핸드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핸드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3002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TV가, (1) 수신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2) 상기 추출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면, 상기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상기 콘텐츠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디스크립션이 상기 콘텐츠 이미지의 후면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 따르면,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TV가, 콘텐츠 이미지가 표시된 콘텐츠 탐색 과정에서 수신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면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디스크립션 표시를 위한 컨트롤러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디스크립션을 표시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디스크립션으로 유도하여 디스크립션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DESCRIPTION DISPLAY METHOD USING SLIDING FOR SMART TV}
본 발명은 스마트 TV에서 디스크립션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TV는 운영체제(OS)와 중앙처리장치(CPU)를 탑재하여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고, 쌍방향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인터넷 회선에 연결해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IPTV와 유사하다. 그러나 IPTV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영상 및 음성을 지상파나 케이블용 안테나가 아닌 인터넷 회선을 통해 전달받아 TV에 표시한다는 점에서 기존 TV와 차이를 보일 뿐, 스마트 TV와 같은 쌍방향, 다기능을 크게 강조하지는 않는다. 이에 비해 스마트TV는 기존의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 시청용 안테나와 인터넷 회선을 동시에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하며, 일반 방송을 시청할 때는 안테나 케이블, 그 외의 쌍방향 기능을 이용할 때는 인터넷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따라서 IPTV와 달리 스마트TV는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아도 일반 방송의 시청 자체는 가능하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가 급격히 보급되면서, 스마트 TV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각종 기업에서는 스마트 TV의 개발 이외에도 스마트 TV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다양하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를 통해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고 판매하기도 한다.
콘텐츠의 판매 또는 제공을 위해서는, 콘텐츠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콘텐츠 리스트에 상세 정보까지 함께 표시하게 되면, 콘텐츠 리스트를 탐색하는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주의를 흐리고, 집중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세 정보의 표시를 위해 컨트롤러의 버튼 등을 조작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수동적으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TV가, 콘텐츠 이미지가 표시된 콘텐츠 탐색 과정에서 수신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면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디스크립션 표시를 위한 컨트롤러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디스크립션을 표시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디스크립션으로 유도하여 디스크립션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은,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TV가,
(1) 수신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2) 상기 추출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면, 상기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상기 콘텐츠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디스크립션이 상기 콘텐츠 이미지의 후면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신호는,
메뉴 탐색 신호 또는 커서 이동 신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크립션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세 설명, 제작자, 출연자, 가격, 플레이 시간 및 관련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이전에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이미지와 디스크립션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디스크립션이 미리 정해진 속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디스크립션이 상기 콘텐츠 이미지의 상, 하,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디스크립션이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표시되면서, 상기 콘텐츠 이미지는 상기 디스크립션의 슬라이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TV에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 따르면,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TV가, 콘텐츠 이미지가 표시된 콘텐츠 탐색 과정에서 수신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면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디스크립션 표시를 위한 컨트롤러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디스크립션을 표시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디스크립션으로 유도하여 디스크립션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스마트 TV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트랙 패드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디스크립션이 표시되는 스마트 TV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디스크립션이 표시된 스마트 TV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스마트 TV(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평소에는 콘텐츠의 디스크립션 없이 콘텐츠 이미지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TV(100)를 통해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맞춤 영상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VOD 서비스에서 원하는 영상의 선택을 위해 콘텐츠 이미지가 나열된 콘텐츠 리스트를 탐색할 수 있다.
콘텐츠 탐색 과정에서 모든 콘텐츠의 디스크립션을 제공하게 되면, 각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가 저하되고, 콘텐츠 탐색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콘텐츠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제한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에도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콘텐츠 리스트의 탐색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사용자에게 해당 콘텐츠의 디스크립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은, 수신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S100) 및 추출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면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콘텐츠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콘텐츠 이미지와 디스크립션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종래에는, 콘텐츠 리스트 탐색 화면에서 디스크립션이 함께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디스크립션이 표시되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는 현재 위치가 굵은 테두리의 상자로 표시되었는데, 현재 선택된 항목인 ‘2012-11-09’메뉴에서 컨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개별 콘텐츠 화면으로 이동하여 콘텐츠를 선택하고, 컨트롤러의 버튼 중 ‘선택’ 또는 ‘확인’ 등의 미리 약속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선택된 콘텐츠의 디스크립션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텐츠 리스트의 탐색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여, 추출된 위치의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디스크립션 표시를 위한 컨트롤러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디스크립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10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콘텐츠의 콘텐츠 이미지와 디스크립션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스마트 TV(100)를 통해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위해, 콘텐츠 이미지와 콘텐츠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크립션은, 콘텐츠에 대한 상세 설명, 제작자, 출연자, 가격, 플레이 시간 및 관련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수신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는, 메뉴 탐색 신호 또는 커서 이동 신호 등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의 단계 S100에서는, 디스크립션 표시를 위한 별도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콘텐츠 리스트 탐색 과정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여, 디스크립션 표시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는데, 스마트 TV(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 트랙 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단계 S100에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의 단계 S100에서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방향키 등을 이용해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러(200) 조작에 의한 콘텐츠 탐색 과정에서, 선택된 콘텐츠의 이미지는 굵은 상자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굵은 상자로 표시된 부분이 입력 신호의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TV(100)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기능 또한 다양화되고 있으며, 더욱 복잡한 형태의 리모트 컨트롤러(200)도 출시되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컨트롤러와 유사한 형태의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스마트 TV(100)에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나, 쿼티 형태의 복잡한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 기능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등 휴대용 스마트 기기를 스마트 TV(100)용 리모트 컨트롤러(200)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트랙 패드(200´)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의 단계 S100에서는, 손가락의 터치를 이용해 원격으로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트랙 패드(200´)를 이용할 수도 있다. 트랙 패드(200´) 이외에도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스마트 TV(100)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트랙 패드(200´)나 마우스의 경우, 도 4의 스마트 TV(100) 화면에 표시된 바와 같은 커서의 위치가 입력 신호로 입력될 수 있으며, 단계 S100에서는 커서의 위치가 입력 신호의 위치로 추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의 단계 S100에서는, 스마트 TV(100) 화면이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고, 사용자가 직접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입력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입력 신호의 위치로 추출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추출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면, 스마트 TV(100)가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콘텐츠 이미지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단계 S100에서 추출한 입력 신호의 위치가 특정 콘텐츠의 이미지 표시 영역에 위치하면,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스마트 TV(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콘텐츠의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단계 S200에서는, 단계 S100에서 추출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 아니면, 매칭된 디스크립션이 없으므로 디스크립션이 표시될 수 없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위치가 날짜 메뉴 등의 표시 영역인 경우에는, 단계 S200의 디스크립션 표시 과정이 처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단계 S200에서는, 디스크립션이 콘텐츠 이미지의 후면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디스크립션이 하이드(hide) 되어 있다가 리모트 컨트롤러(200), 트랙 패드(200´),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입력 신호의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여 온 포커스(on-focus) 상태가 되면, 디스크립션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과 같은 애니메이션에 의해 디스크립션이 표시되므로, 사용자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디스크립션으로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단계 S200에서는, 디스크립션이 미리 정해진 속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속도는, 콘텐츠 제공자, 디스크립션 설정자, 스마트 TV(100) 제작자, 스마트 TV(100)의 사용자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단계 S200에서는, 디스크립션이 콘텐츠 이미지의 상, 하,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크립션이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표시되면서, 콘텐츠 이미지는 디스크립션의 슬라이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애니메이션 효과에 의해 스마트 TV(100)의 콘텐츠 리스트 표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디스크립션이 표시되는 스마트 TV(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콘텐츠 이미지의 후면으로부터 디스크립션이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이미지는, 디스크립션의 슬라이딩 방향의 반대 방향인 좌측으로 이동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증폭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 디스크립션이 표시된 스마트 TV(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이 완료되어 디스크립션이 콘텐츠 이미지의 우측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수신한 입력 신호의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벗어나면, 표시된 디스크립션이 숨겨질 수 있다. 이때, 디스크립션을 숨기는 과정은 단계 S200에서 디스크립션을 표시하는 과정과 반대 방향의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항목이 다른 콘텐츠 이미지로 이동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크립션은 숨겨지고, 이동한 다른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이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의 위치가 콘텐츠 리스트가 아닌 다른 목록으로 이동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립션의 표시는 모두 해제되고 콘텐츠 이미지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TV(10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100)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신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고, 입력 신호가 위치한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스마트 TV(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TV 200: 리모트 컨트롤러
200´: 트랙 패드
S10: 콘텐츠 이미지와 디스크립션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S100: 수신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S200: 추출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면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콘텐츠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Claims (8)

  1.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TV가,
    (1) 수신된 입력 신호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2) 상기 추출된 위치가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면, 상기 콘텐츠 이미지와 매칭된 디스크립션을 상기 콘텐츠 이미지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디스크립션이 상기 콘텐츠 이미지의 후면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표시되면서, 상기 콘텐츠 이미지는 상기 디스크립션의 슬라이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단계 (1)에서 추출된 위치가 상기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디스크립션을 표시하는 과정과 반대 방향의 슬라이딩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상기 디스크립션을 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메뉴 탐색 신호 또는 커서 이동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션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세 설명, 제작자, 출연자, 가격, 플레이 시간 및 관련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이전에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이미지와 디스크립션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디스크립션이 미리 정해진 속도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디스크립션이 상기 콘텐츠 이미지의 상, 하,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TV에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를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TV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KR1020130024208A 2013-03-06 2013-03-06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KR10132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208A KR101325286B1 (ko) 2013-03-06 2013-03-06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208A KR101325286B1 (ko) 2013-03-06 2013-03-06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286B1 true KR101325286B1 (ko) 2013-11-13

Family

ID=4985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208A KR101325286B1 (ko) 2013-03-06 2013-03-06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8356A (zh) * 2018-12-19 2019-05-21 深圳市金锐显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遥控器的智能电视滑屏方法、装置及智能电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8079A (ja) * 2005-07-14 2007-02-0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110104690A (ko) * 2010-03-17 201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44057A (ko) * 2010-10-27 2012-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칠판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칠판 메뉴를 제어하는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8079A (ja) * 2005-07-14 2007-02-0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20110104690A (ko) * 2010-03-17 201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44057A (ko) * 2010-10-27 2012-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칠판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칠판 메뉴를 제어하는 방법, 클라이언트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8356A (zh) * 2018-12-19 2019-05-21 深圳市金锐显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遥控器的智能电视滑屏方法、装置及智能电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52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9113193B1 (en) Video content item timeline
KR101839927B1 (ko) 미디어 데이터에 있는 아이템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234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a search request
US201402820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user input interfaces
KR20130091783A (ko) 신호-구동 상호작용 텔레비전
JP2018521378A (ja) インタラクティブ・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インタラクティブ・メディアを生成するシステム、インタラクティブ・メディア方法、インタラクティブ方法およびインタラクティブ・メディア表示システム
US93635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product data
US20180310066A1 (en) Moving image reproduction device, moving image reproduction method, moving image distribution system, storage medium with moving image reproduction program stored therein
CN111510753A (zh) 显示设备和内容显示方法
GB2547750A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media viewing experiences
CN110168541A (zh) 基于静态和时间知识图消除词语歧义的系统和方法
US20190339831A1 (en) Moving image reproduction device, moving image reproduction method, moving image distribution system, storage medium with moving image reproduction program stored therein, and metadata creation method
US119152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coupon and vendor data
US10061482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nnotations across multiple videos
JP2014236391A (ja) 表示制御装置、文書管理サーバ、及び放送送出装置
KR101325286B1 (ko)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를 위한 디스크립션 표시 방법
KR20130088662A (ko) 디지털 미디어 콘텐트를 통한 부가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15739A (ko)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US1135400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nnotations across multiple videos
JP2018026801A (ja) 動画再生プログラム、動画再生装置、動画再生方法及び動画配信システム
KR101313292B1 (ko)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의 메뉴 탐색 방법
JP2018026799A (ja) 動画再生プログラム、動画再生装置、動画再生方法、動画配信システム及びメタデータ作成方法
JP6270086B1 (ja) 動画再生プログラム、動画再生装置、動画再生方法及び動画配信システム
US201601920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media as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