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292B1 -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의 메뉴 탐색 방법 - Google Patents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의 메뉴 탐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292B1
KR101313292B1 KR1020130024209A KR20130024209A KR101313292B1 KR 101313292 B1 KR101313292 B1 KR 101313292B1 KR 1020130024209 A KR1020130024209 A KR 1020130024209A KR 20130024209 A KR20130024209 A KR 20130024209A KR 101313292 B1 KR101313292 B1 KR 10131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item
direction key
menu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희
Original Assignee
(주)핸드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핸드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핸드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3002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뉴 및 상기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스마트 TV가, (1) 컨트롤러의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수신한 방향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3) 자동 스크롤에 의해 상기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 따르면, 메뉴 및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스마트 TV가, 컨트롤러의 방향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되,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컨트롤러의 복잡한 조작 없이 방향키를 이용하여 메뉴에 따른 하위 항목을 탐색할 수 있고,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이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과 무관하게 적극적으로 하위 항목 및 정보 등을 제공하고 메뉴 탐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의 메뉴 탐색 방법{MENU SEARCH METHOD FOR SMART TV USING DIRECTION KEY AND AUTOMATIC SCROLL}
본 발명은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TV는 운영체제(OS)와 중앙처리장치(CPU)를 탑재하여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고, 쌍방향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인터넷 회선에 연결해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IPTV와 유사하다. 그러나 IPTV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영상 및 음성을 지상파나 케이블용 안테나가 아닌 인터넷 회선을 통해 전달받아 TV에 표시한다는 점에서 기존 TV와 차이를 보일 뿐, 스마트 TV와 같은 쌍방향, 다기능을 크게 강조하지는 않는다. 이에 비해 스마트TV는 기존의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 시청용 안테나와 인터넷 회선을 동시에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하며, 일반 방송을 시청할 때는 안테나 케이블, 그 외의 쌍방향 기능을 이용할 때는 인터넷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따라서 IPTV와 달리 스마트TV는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아도 일반 방송의 시청 자체는 가능하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가 급격히 보급되면서, 스마트 TV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각종 기업에서는 스마트 TV의 개발 이외에도 스마트 TV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다양하고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마트 TV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출시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스마트 TV를 구매한 사용자들도 스마트 TV를 기존의 TV 시청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스마트 TV의 다양한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스마트 TV는 컴퓨터 마우스나 키보드 등이 아닌,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컨트롤하게 되므로, 다양한 기능의 활용을 위해 메뉴를 탐색하기가 불편하고, 메뉴의 탐색을 위하여 방향키와 확인키 등 여러 키를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이 야기되어 스마트 TV 기능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의 복잡한 조작 없이도 편리하게 메뉴를 탐색하고, 사용자에게 능동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메뉴 및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스마트 TV가, 컨트롤러의 방향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되,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컨트롤러의 복잡한 조작 없이 방향키를 이용하여 메뉴에 따른 하위 항목을 탐색할 수 있고,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이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과 무관하게 적극적으로 하위 항목 및 정보 등을 제공하고 메뉴 탐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은, 메뉴 및 상기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스마트 TV가,
(1) 컨트롤러의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수신한 방향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3) 자동 스크롤에 의해 상기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 이전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자동 스크롤에 의한 하위 항목 변경과 관계없이, 상기 하위 항목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른 자동 스크롤에 의해 상기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 이전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하위 항목이 스크롤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변경되어 표시되면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 따르면, 메뉴 및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스마트 TV가, 컨트롤러의 방향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되,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컨트롤러의 복잡한 조작 없이 방향키를 이용하여 메뉴에 따른 하위 항목을 탐색할 수 있고,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이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과 무관하게 적극적으로 하위 항목 및 정보 등을 제공하고 메뉴 탐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휴대용 스마트 기기로 구현된 컨트롤러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단계 S200이 구현된 스마트 TV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하위 항목이 변경되어 표시된 스마트 TV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애니메이션에 의해 하위 항목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스마트 TV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를 이용하여 하위 항목을 변경하는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스마트 TV(100) 및 컨트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메뉴 및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스마트 TV(100)가, 컨트롤러(200)의 방향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되,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컨트롤러(200)의 복잡한 조작 없이 방향키를 이용하여 메뉴에 따른 하위 항목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이 변경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과 무관하게 적극적으로 하위 항목 및 정보 등을 제공하고 메뉴 탐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스마트 TV(100)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TV를 가리키는 것이다. 스마트 TV(100)는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이용할 수 있고, 일반적인 TV와 같이 TV 프로그램 시청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TV(100)는, 메뉴와 하위 항목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컨트롤러(200)로부터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고,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뉴의 하위 항목까지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TV(10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컨트롤러(200)로부터 수신한 방향키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변경된 하위 항목을 자동 스크롤 되도록 표시함으로써, 방향키 한 번의 조작으로 하위 항목까지 변경되면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원격으로 스마트 TV(100)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 TV(100)에 방향키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200)는, 일반적인 TV 컨트롤러(200)가 구비하는 음량 및 채널의 변경을 위한 키 이외에도, 상, 하, 좌 또는 우를 가리키는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 하, 좌 또는 우 이외의 방향을 가리키는 방향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향키는, 스마트 TV(100)를 위한 컨트롤러(200)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향키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친숙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은, 컨트롤러(200)의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S200) 및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컨트롤러(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추후 상세히 설명할 단계 S300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하위 항목을 자동 스크롤에 의해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단계 S10에서는 이와 같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은 단계 S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직접 설정할 수도 있으나, 스마트 TV(100)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자, 콘텐츠 제공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단계 S10은 단계 S3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하위 항목을 자동 스크롤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반드시 단계 S100 이전에 처리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스크롤 속도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계 S300 이전이나 단계 S300의 수행 중에도 얼마든지 처리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컨트롤러(200)의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향키 입력 신호는, 컨트롤러(200)의 상, 하, 좌 또는 우를 가리키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른 방향을 가리키는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계 S100에서 방향키 입력 시에는, 스마트 TV(100)에서의 현재 위치가 메뉴를 구성하는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뉴 항목의 이동을 위한 방향키 입력 신호를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스마트 TV(100)에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휴대용 스마트 기기로 구현된 컨트롤러(2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는, 컨트롤러(200) 기능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등 휴대용 스마트 기기를 스마트 TV(100)용 컨트롤러(200)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방향키 입력 신호를 스마트 TV(100)에 전송하는 컨트롤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 기기 형태뿐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TV 컨트롤러(200)와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되 방향키를 포함하는 컨트롤러(200)일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쿼티 형태의 복잡한 컨트롤러(200)도 출시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형태의 컨트롤러(200)를 이용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의 단계 S100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키를 구비한 다양한 컨트롤러(200)로부터 스마트 TV(100)가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컨트롤러(200)를 구성하는 키의 많고 적음이나 복잡도 등은 문제되지 않으며, 방향키를 구비하고 방향키 입력 신호를 스마트 TV(100)에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컨트롤러(2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수신한 방향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단계 S200에서는, 단계 S100에서 수신한 방향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이동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키를 누르는 등으로 컨트롤러(200)를 조작할 필요 없이,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하위 항목까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단계 S200이 구현된 스마트 TV(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방향키 입력 신호를 통해 컨트롤러(200)로 메뉴를 구성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항목의 변경에 따라 하위 항목도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스마트 TV(100)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 메뉴인 날짜 항목이 컨트롤러(200)에 의한 방향키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향키 입력 신호에 따라 도 4의 상단에 도시된 스마트 TV(100)에서 선택된 날짜 항목이 하단에 도시된 스마트 TV(100)에서 선택된 날짜 항목으로 변경됨에 따라, 스마트 TV(100)의 메인 화면에 표시된 하위 항목인 개별 프로그램도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단계 S200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는데, 단계 S300에서는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추가적인 컨트롤러(200) 조작 없이도, 복수의 하위 항목을 능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S300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른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되, 단계 S10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자동 스크롤이 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은 10초, 20초, 30초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호 없이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하위 항목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하위 항목이 변경되어 표시된 스마트 TV(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의 단계 S300에서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하위 항목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하위 항목의 목록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롤 방식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단에 도시된 도면에서 중앙에 위치한 하위 항목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우측에 위치한 하위 항목이 중앙으로 이동하여, 하단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300에서는, 하위 항목이 스크롤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변경되어 표시되면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되,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에 의해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애니메이션에 의해 하위 항목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스마트 TV(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의 단계 S300에서는, 하위 항목이 하나씩 표시될 수도 있는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하위 항목이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다음 하위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하위 항목을 표시하고 자동 스크롤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TV(100) 화면에 한 번에 표시될 수 있는 하위 항목의 개수를 셋 또는 하나 이외에도 다양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를 이용하여 하위 항목을 변경하는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는, 컨트롤러(200)로부터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400) 및 변경 신호에 따라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하위 항목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는, 단계 S300에서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이 변경되어 표시되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자동 스크롤 속도보다 빠르게 다른 하위 항목을 탐색하고자 할 수 있고, 이미 지나간 하위 항목을 다시 열람하고자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스마트 TV(100)는 컨트롤러(200)로부터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신호에 따라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100)의 메뉴 탐색 방법에서,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를 이용하여 하위 항목을 변경하는 과정을 구성하는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400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컨트롤러(200)로부터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는 방향키 입력 신호일 수 있으나, 하위 항목의 변경을 위하여 미리 약속된 신호라면 구체적인 신호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트롤러(200)가 아닌 트랙 패드, 터치스크린 등에 의해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스마트 TV(100)가 자동 스크롤에 의한 하위 항목 변경과 관계없이, 하위 항목 변경 신호에 따라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단계 S300에서는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게 되나, 단계 S400에서 하위 항목 변경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동 스크롤 속도 등과는 상관없이 단계 S400에서 수신한 신호에 따라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 TV 200: 컨트롤러
S10: 컨트롤러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S100: 컨트롤러의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200: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S300: 자동 스크롤에 의해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S300`: 변경 신호에 따라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S400: 컨트롤러로부터 하위 항목의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laims (6)

  1. 메뉴 및 상기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스마트 TV가,
    (1) 컨트롤러의 방향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수신한 방향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뉴에서 선택되는 항목을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항목을 구성하는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3) 자동 스크롤에 의해 상기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하위 항목이 스크롤 방식의 애니메이션에 의해 변경되어 표시되면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른 자동 스크롤에 의해 상기 하위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 이전에는,
    상기 스마트 TV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의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TV의 메뉴 탐색 방법.
  6. 삭제
KR1020130024209A 2013-03-06 2013-03-06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의 메뉴 탐색 방법 KR10131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209A KR101313292B1 (ko) 2013-03-06 2013-03-06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의 메뉴 탐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209A KR101313292B1 (ko) 2013-03-06 2013-03-06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의 메뉴 탐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292B1 true KR101313292B1 (ko) 2013-10-04

Family

ID=4963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209A KR101313292B1 (ko) 2013-03-06 2013-03-06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의 메뉴 탐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2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177A (ko) * 2000-03-17 2002-01-04 요트.게.아. 롤페즈 멀티-레벨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050054503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리스트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177A (ko) * 2000-03-17 2002-01-04 요트.게.아. 롤페즈 멀티-레벨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050054503A (ko) * 2003-12-05 2005-06-10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리스트 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JP5547216B2 (ja) 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RU26894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CN107736031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488975B1 (ko)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20140144104A (ko)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EP3024220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40133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RU2013136410A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озволяющая обойтись без визуа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устройства управления и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визуальную обратную связь
KR2021015175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20160124582A1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661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50046294A1 (en) Display apparatus, the method thereof and item providing method
KR2017005924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6014266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212629A1 (en) Television system operated with remote touch control
KR2016007957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11099731B1 (en) Techniques for content management using a gesture sensitive element
EP260552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visual display screens to touch screens
KR201601343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8782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US20210326010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navigating user interfaces
KR201600988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13292B1 (ko) 방향키 및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의 메뉴 탐색 방법
KR201600842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