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590B1 -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590B1
KR101324590B1 KR1020110137974A KR20110137974A KR101324590B1 KR 101324590 B1 KR101324590 B1 KR 101324590B1 KR 1020110137974 A KR1020110137974 A KR 1020110137974A KR 20110137974 A KR20110137974 A KR 20110137974A KR 101324590 B1 KR101324590 B1 KR 101324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abin unit
ship
cabin
moun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776A (ko
Inventor
장효정
조원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4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living sp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제1 데크 및 제2 데크, 상측면과 제2 데크와의 사이에 일정 공간이 존재하도록 상기 제1 데크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된 다층 구조를 갖는 캐빈 유닛 및 상기 일정 공간에 설치되는 덕트, 케이블용 거치수단 또는 파이프용 거치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SHIP INCLUDING CABIN UNI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승무원이나 승객이 주거할 수 있는 캐빈(cabin)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대형 유람선을 이용한 크루즈 여행 산업이 발달함으로써 선박에 설치되는 캐빈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들 중에는 캐빈의 설치되는 데크와 데크 사이의 높이와 관련된 요구가 있다. 캐빈을 설치하기 위한 데크와 데크 사이의 높이가 증가하면 선박의 전체 높이가 증가될 수 잇다.
선박의 높이가 증가하면 선박의 복원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상쇄하기 위해 선박의 폭이 증가하거나 복원력을 높일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선박에 설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조선회사들은 데크들 사이의 높이를 가능하면 낮추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데크와 데크 사이에는 캐빈뿐만 아니라 캐빈에 연통되는 덕트나, 캐빈 내부의 여러 설치물(예를 들어, 싱크대, 세면대, 또는 전등 등)에 물이나 전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데크와 데크 사이의 높이는 무작정 줄이기 힘들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데크들 사이의 높이를 줄여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제1 데크 및 제2 데크, 상측면과 제2 데크와의 사이에 일정 공간이 존재하도록 상기 제1 데크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된 다층 구조를 갖는 캐빈 유닛 및 상기 일정 공간에 설치되는 덕트, 케이블용 거치수단 또는 파이프용 거치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거치수단은 거치함 또는 거치대일 수 있다.
상기 제1 데크 및 상기 제2 데크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데크 및 상기 제2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데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빈 유닛은 상기 제3 데크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층들을 연결하는 이동수단이 상기 캐빈 유닛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은 계단 또는 사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용 거치수단에 거치된 파이프는 상기 캐빈 유닛의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되는 제1 설치물과 제2 설치물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제1 설치물이 설치되는 영역은 상기 제2 설치물이 설치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캐빈 유닛의 높이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다층형 캐빈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데크와 데크 사이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선박의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을 나타낸다.
도 2는 단층 구조를 갖는 캐빈 유닛이 설치된 선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거치수단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캐빈 유닛의 각 층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캐빈 유닛 내부의 공간 배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제1 데크(deck)(110), 제2 데크(120), 캐빈 유닛(cabin unit)(130) 및 덕트(duct)(140), 또는 케이블(cable)용이나 파이프(pipe)용 거치수단(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데크(110) 및 제2 데크(120)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다.
캐빈 유닛(130)은 캐빈 유닛(130)의 상측면과 제2 데크(120)와의 사이에 일정 공간이 존재하도록 제1 데크(110)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덕트(140), 케이블용 거치수단(150) 또는 파이프용 거치수단(150) 중 적어도 하나는 캐빈 유닛(130)의 상측면과 제2 데크(120)와의 사이에 일정 공간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박의 선체(160) 상부에 다수 개의 데크를 포함하는 갑판구조물(170)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갑판구조물(170)은 선박의 선체(160) 상부에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160) 내부에도 다수의 데크를 포함하는 갑판구조물(170)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캐빈 유닛(130)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캐빈 유닛(130)은 복층 구조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다층 구조를 갖는 캐빈 유닛(130)을 포함하여 다층 구조의 캐빈 유닛(130)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데크 사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층 구조를 갖는 캐빈 유닛(130a)의 설치를 위하여 필요한 데크(125)와 데크(125) 사이의 높이는 단층 구조의 캐빈 유닛(130a)의 높이(h4)와, 다양한 시설물이 설치될 공간의 높이(h3)의 합일 수 있다.
이 때 다양한 시설물은 덕트(140)이거나, 파이프(151), 전력 케이블(153) 또는 통신 케이블(155)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150)일 수 있다. 이 때, 덕트(140)는 캐빈 유닛(130) 내부의 냉난방을 위한 공기나 캐빈 유닛(130) 내부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파이프(151)는 싱크대, 욕조 또는 세면대와 같은 캐빈 유닛(130) 내부의 설치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케이블(153)은 전기 콘센트(electric socket)나 전등과 같은 설치물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통신 케이블(155)은 통신용 커넥터(connector)와 같은 설치물에 연결되어 통신 라인(communication line)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거치수단(150)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수단(150)은 거치대(150a) 또는 거치함(150b)일 수 있다. 거치대(150a) 및 거치함(150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데크(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거치함(150b)은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데크(120)에 고정된 지지수단(150c)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시설물은 단층 구조를 갖는 캐빈 유닛(130a)마다 필요하므로 다양한 시설물이 설치될 공간 역시 각 캐빈 유닛(130a)마다 필요하다. 따라서 단층 구조를 갖는 2개의 캐빈 유닛(130a)의 설치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의 높이는 2*(h3+h4)이다.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다층형 캐빈 유닛(130)은 다층 구조를 지니며, 다층형 캐빈 유닛(130)의 1층 공간과 2층 공간은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단층형 캐빈 유닛(130a)과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층형 캐빈 유닛(130)은 1층 공간과 2층 공간을 갖는 복층형 캐빈 유닛(130)이라고 가정한다.
단층형 캐빈 유닛(130a)의 경우 모든 설치물이 단층형 캐빈 유닛(130a) 내부에 설치되나, 다층형 캐빈 유닛(130)의 경우 전체 설치물들 중 일부 설치물은 캐빈 유닛(130)의 1층 공간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캐빈 유닛(130)의 2층 공간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설치물들이 싱크대와 같은 주방 관련 설치물, 변기나 세면대와 같은 욕실 관련 설치물, 침대나 옷장과 같은 주거공간 관련 설치물을 포함할 때 모든 설치물들은 단층형 캐빈 유닛(130a)의 1층 공간에 설치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형 캐빈 유닛(130)의 경우, 주방 관련 설치물은 캐빈 유닛(130)의 1층 공간에 설치되고, 욕실 관련 설치물 및 주거 공간 관련 설치물은 캐빈 유닛(130)의 2층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덕트(140)나 거치수단(150)과 같은 시설물이 설치되는 공간은 도 1에 도시된 다층형 캐빈 유닛(130)마다 필요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단층형 캐빈 유닛(130a)이 설치되는 경우 역시 덕트(140)나 거치수단(150)과 같은 시설물이 설치되는 공간은 단층형 캐빈 유닛(130a)마다 필요하다.
따라서 2개의 단층형 캐빈 유닛(130a)이 설치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h3+2*h4의 높이를 지닌 공간이 필요하다. 반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층형 캐빈 유닛(130a)의 전체 높이 2*h4와 동일한 높이를 지닌 1개의 다층형 캐빈 유닛(130)이 설치될 경우 h3+2*h4의 높이를 지닌 공간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다층형 캐빈 유닛(130)을 포함하여 다층형 캐빈 유닛(130)과 관련 시설물이 설치될 공간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층형 캐빈 유닛(130)에 대한 설치 공간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선박이 수면에 대하여 기울어졌을 때 선박이 복원되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다층형 캐빈 유닛(130)은 1층 공간과 2층 공간과 같이 내부 공간이 분리되어 있으나 사용자는 1층 공간과 2층 공간을 모두 사용해야 하므로 서로 다른 층들을 연결하는 이동수단(135)이 다층형 캐빈 유닛(1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이동수단(135)은 계단 또는 사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제1 데크(110) 및 제2 데크(120)에 인접하며 제1 데크(110) 및 제2 데크(120)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데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다층형 캐빈 유닛(130)은 제3 데크(410)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층형 캐빈 유닛(130)은 단층형 캐빈 유닛(130a)의 설치를 위하여 이미 제1 데크(110) 내지 제3 데크(410)의 설치가 완료된 선박에도 설치될 수 있다. 즉, 다층형 캐빈 유닛(130) 1개의 높이는 단층형 캐빈 유닛(130a) 1개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단층형 캐빈 유닛(130a)이 설치되는 선박의 경우 제1 데크(110)와 제3 데크(410) 사이의 높이가 다층형 캐빈 유닛(130) 1개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층형 캐빈 유닛(130)은 제3 데크(410)를 관통하도록 제1 데크(110) 상에 설치됨으로써 단층형 캐빈 유닛(130a)의 설치를 위하여 데크들의 설치가 완료된 선박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층형 캐빈 유닛(130)이 제3 데크(4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면 기계실이나 스토어(store)와 같은 다양한 설비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3 데크(4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캐빈 유닛의 각 층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캐빈 유닛 내부의 공간 배치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치물(510)은 다층형 캐빈 유닛(130)의 2층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설치물(530)은 다층형 캐빈 유닛(130)의 1층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설치물(510)과 제2 설치물(530)은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설치물(510) 및 제2 설치물(530)은 변기, 욕조, 또는 세면대와 같은 욕실 관련 설치물이나 싱크대와 같은 주방 관련 설치물일 수 있다.
주방 관련 설치물이나 욕실 관련 설치물은과 같은 제1 설치물(510)과 제2 설치물(530)은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151)와 연결되고, 파이프(151)는 파이프용 거치수단(150)에 거치될 수 있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치물(510)이 설치되는 영역(511)은 제2 설치물(530)이 설치되는 영역(531)의 적어도 일부와 캐빈 유닛(130)의 높이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캐빈 유닛(130)은 다층 구조를 가지며, 1층 공간 및 2층 공간에 설치되는 제1 설치물(510) 및 제2 설치물(530)은 거치수단(150)에 걸쳐진 파이프(151)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파이프(151)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는 제1 설치물(510)과 제2 설치물(530)이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되는 경우, 제1 설치물(510)이 설치되는 영역(511)이 제2 설치물(530)이 설치되는 영역(531)과 중첩되지 않고 떨어져 있으면 파이프(151)의 배관이 번잡스럽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151) 배관의 번잡스러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제1 설치물(510)이 설치되는 영역(511)은 제2 설치물(530)이 설치되는 영역(531)의 적어도 일부와 캐빈 유닛(130)의 높이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공간 배치는 하나의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공간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설치물(510)과 제2 설치물(530)이 주방 관련 설치물 또는 욕실 관련 설치물인 경우, 제1 설치물(510)이 설치되는 영역(511)과 제2 설치물(530)이 설치되는 영역(531)은 다층형 캐빈 유닛(130)의 설계시 주방 및 욕실로 정의된 영역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제1 데크 및 제2 데크;
    상측면과 제2 데크와의 사이에 일정 공간이 존재하도록 상기 제1 데크 상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된 다층 구조를 갖는 캐빈 유닛; 및
    상기 일정 공간에 설치되는 덕트, 케이블용 거치수단 또는 파이프용 거치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로 다른 층들을 연결하는 이동수단이 상기 캐빈 유닛에 설치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거치함 또는 거치대인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크 및 상기 제2 데크에 인접하며 상기 제1 데크 및 상기 제2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데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빈 유닛은 상기 제3 데크를 관통하는 선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계단 또는 사다리를 포함하는 선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거치수단에 거치된 파이프는 상기 캐빈 유닛의 서로 다른 층에 설치되는 제1 설치물과 제2 설치물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제1 설치물이 설치되는 영역은 상기 제2 설치물이 설치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캐빈 유닛의 높이 방향으로 중첩되는 선박.
KR1020110137974A 2011-12-20 2011-12-20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KR101324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74A KR101324590B1 (ko) 2011-12-20 2011-12-20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974A KR101324590B1 (ko) 2011-12-20 2011-12-20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776A KR20130070776A (ko) 2013-06-28
KR101324590B1 true KR101324590B1 (ko) 2013-11-01

Family

ID=4886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974A KR101324590B1 (ko) 2011-12-20 2011-12-20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5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94U (ja) * 1992-08-31 1994-03-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船室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194U (ja) * 1992-08-31 1994-03-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船室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776A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1246B1 (en) Aircraft interior lavatory
RU23912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линий к санитарно-бытовым модулям в пассажирском салоне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9284036B2 (en) Floor plate for covering a floor framework in an aircraft
JP2009526687A (ja) システムコンポーネントに適応するための移動手段用の二重壁構造床部材
WO2017090357A1 (ja) 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海洋構造物、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の建造方法、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設計方法、及び、海洋構造物の設計方法
EP1871656B1 (en) Method and building system for manufacturing a floating structure
KR101324590B1 (ko) 캐빈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US20060202084A1 (en) Under floor housing system for aircraft passenger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s systems
JP2008507448A (ja) 航空機の客室上部空間の改造
JP2017154702A (ja) 生産設備を備える浮体構造物
CN105480383B (zh) 一种船舱室分隔壁的结构及船舶
JP7472002B2 (ja) 船舶、船舶へのユニットキャビンの設置方法
CN110730853A (zh) 一种管线与主体结构分离的住宅的施工方法
KR20100064790A (ko) 선박 거주구획의 배전시스템
CN101636316A (zh) 用于飞行器的地板下系统
KR20060127583A (ko) 선박의 사이드 통로 제작 방법 및 그 설치 구조
KR20110118409A (ko) 화장실 유닛을 장착한 데크 하우스
KR102044267B1 (ko) 컨테이너선의 배전시스템
EP1558490B1 (en) Method of installing and connecting prefabricated room units to a ship or other watercraft
CN201391807Y (zh) 一种带有附件盒的主龙骨灯
US20150030942A1 (en) Crew rest powered by a fuel cell system
CN108203938A (zh) 轨道交通侧式站台高架车站复合管道系统
CN202686689U (zh) 集装箱船
JP7354786B2 (ja) コンセント付きテーブル及び居室
KR101053213B1 (ko) 선박용 조립식 화장실의 일체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