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404B1 -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404B1
KR101324404B1 KR20110018702A KR20110018702A KR101324404B1 KR 101324404 B1 KR101324404 B1 KR 101324404B1 KR 20110018702 A KR20110018702 A KR 20110018702A KR 20110018702 A KR20110018702 A KR 20110018702A KR 101324404 B1 KR101324404 B1 KR 101324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fixed
vinyl
rotating plat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1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359A (ko
Inventor
김현배
김연실
Original Assignee
김연실
김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실, 김현배 filed Critical 김연실
Priority to KR2011001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4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04B7/04Casings facilitat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2Inserts, e.g. armour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1Centrifugating, cycl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명칭] 폐비닐 및 폐그물 등의 이물질 분리장치
[구성] 흙이나 진흙이 고착되어 있고 각종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1미터 이내의 길이를 가지는 폐비닐이나 폐그물 등의 쓰레기를 회전원반장치로 공급하는 제 1 컨베어(4)와;
제 1 컨베어(4)로부터 공급받는 쓰레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사방으로 고속 이동을 시켜 비산되도록 하는 회전원반장치와;
상기 회전원반장치를 구동시키는 회전원반구동장치와;
상기 회전원반장치 상에서 폐비닐이나 폐그물로부터 분리되어 날아 간 흙이나 진흙,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을 모아서 제 2 컨베어(2)로 공급시키는 이물질 배출장치와;
흙이나 진흙, 각종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이 제거된 채 회전원반장치로부터 추락한 폐비닐이나 폐그물만을 모아서 제 3 컨베어(3)로 공급시키는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와;
프레임(1)에 고정된 채 상기 회전원반장치와 이물질 배출장치,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 위쪽에 설치되며, 회전원반장치 위로 투입되는 쓰레기와 이물질들이 공중으로 튕겨져 어지럽게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각종 소형의 이물질들이 이물질 배출장치로 추락하도록 안내하는 커버장치와;
회전원반장치로부터 추락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이 이물질 배출장치로 투입되 지 못하도록 막아줌과 동시에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 및 폐그물만을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로 추락하도록 안내하는 칸막이장치와;
상기 장치들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프레임(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110018702
가연성 쓰레기 연료봉, 이물질 분리장치

Description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Waste Separator Device from Refused Vinyl & Refused Net}
도 1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부분적으로 해칭 생략함).
도 2 는 도 1에서 회전판과 구동장치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도 2를 기준한 일부 확대도.
도 4 는 도 1을 기준한 평면도.
도 5 는 도 1에서 커버장치를 제외한 평면도.
도 6 은 도 5에서 중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원반장치의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에 따른 회전원반장치의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이물질 배출장치와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칸막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해칭은 생략함).
도 11 은 도 10을 기준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2 는 도 6을 기준한 일부 확대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쓰레기 걸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 14 는 본 발명의 회전판에 쓰레기 걸림장치가 추가된 상태에서의 작동상 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 는 도 14를 기준한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회전판에 쓰레기 걸림장치가 추가된 상태에서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7 은 도 16을 기준한 단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회전판에 쓰레기 걸림장치가 추가된 상태에서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 는 도 18을 기준한 단면도.
도 20 과 도 21은 본 발명의 쓰레기 걸림장치의 응용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2 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 23 은 본 발명의 회전원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 24 는 도 23에서 회전원반장치만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5 는 도 24를 기준한 평면도.
도 26 은 도 23에서 구동장치가 상부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은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 폐그물 등을 재료로 하여 쓰레기 연료봉(RPF: Refused Plastic Fuel)을 제조하는 장치에서, 폐비닐이나 폐그물 등에 묻어 있는 흙과 진흙(뻘)을 폐비닐이나 폐그물로부터 분리시킴과 아울러 폐비닐이나 폐그물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돌이나 금속 조각, 작은 금속 덩어리, 나무 조각 등을 폐비닐이나 폐그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전 세계적으로 자원의 고갈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책의 일환으로 전 분야에서 배출되는 폐기물과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거나 화석 에너지를 대체하는 연료로 사용하도록 정책적으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가연성의 재활용 쓰레기를 막대(직경 20∼25mm, 길이 30∼100mm) 형태의 연료봉(Refused Plastic Fuel)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 바, 상기 쓰레기 연료봉에 흙이나 금속 조각, 나무 조각 등의 이물질이 포함될수록 연료봉의 열량이 낮아지고 잘 부스러지는 폐단의 발생을 최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산업폐기물이나 농어촌 폐기물, 매립 완료가 된 폐기물, 해저의 폐기 처리가 된 그물, 생활 폐기물 등에서 쓰레기 연료봉의 재료가 되는 비닐이나 플라스틱, 합성수지류, 폐그물 등에는 흙이나 진흙이 다량 고착되어 있고, 작은 돌이나 나무 조각, 금속 조각, 작은 금속 덩어리 등의 이물질 또한 다량 포함이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재료들을 쓰레기 연료봉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최대한으로 상기 이물질들을 재료로부터 분리 및 제거를 시킨 다음, 쓰레기 연료봉 성형장치로 투입시켜야 양질의 쓰레기 연료봉을 제조할 수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은 수작업을 통하여 제거를 시키고 수작업을 통해서도 제거시키지 못하는 이물질이나 흙, 진흙, 작은 금속 조각, 작은 금속 덩어리, 나무 조각 등의 이물질에서, 금속 이물질은 마그네틱 컨베어 장치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분리를 시킬 수 있으나 상술한 폐·재료 속에 엉겨 있는 것은 제거를 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그 효율이 매우 낮으며, 이후의 공정에서 사이클론이나 풍력 선별기, 트롬-멜 등의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폐·재료 속에 엉겨 있는 상기 이물질들은 그 제거율이 50% 정도에 머물고 있다.
한편, 수세장치를 이용하여 상술한 폐기된 재료에 묻어 있는 흙이나 진흙만을 제거시킨 후 탈수 및 건조 과정을 거쳐서 상술한 종래의 이물질 분리장치로 투입시키는 방법도 실시되기는 하였으나 이는 폐수의 발생과 함께 경제성과 작업효율이 극히 낮고 작업성이 불량한 등의 문제로 인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현존하는 장치로는 상술한 폐·재료 속에 엉겨 있는 다양한 이물질들을 거의 제거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없어 결과적으로 쓰레기 연료봉 성형장치의 성능이 아무리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밀도가 높고 고열량을 가지는 고부가성 양질의 쓰레기 연료봉을 제조하지 못하는 큰 난관에 봉착되어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이물질들을 거의 제거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쓰레기 연료봉 성형장치로 투입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밀도가 높고 고열량을 가지는 고부가성 양질의 쓰레기 연료봉을 생산하는 것은 엄두를 내지 못하고, 성형장치의 고장 발생률이 매우 높고 부품의 마모율이 너무 심하며 이와 함께 부품의 파손율이 너무 높아서 채산성이 지극히 불량해지는 폐단도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폐·재료에 묻어 있는 흙이나 진흙은 물론 다양한 이물질을 쓰레기(폐비닐 및 폐그물 등)로부터 탁월하게 분리 및 제거를 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흙이나 진흙이 고착되어 있고 각종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1미터 이내의 길이를 가지는 폐비닐이나 폐그물 류의 쓰레기를 회전원반장치로 공급하는 제 1 컨베어(4)와;
제 1 컨베어(4)로부터 공급받는 쓰레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사방으로 이동을 시켜 비산되도록 하는 회전원반장치와;
상기 회전원반장치를 구동시키는 회전원반구동장치와;
상기 회전원반장치 상에서 폐비닐이나 폐그물로부터 분리되어 날아 간 흙이나 진흙,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을 모아서 제 2 컨베어(2)로 공급시키는 이물질 배출장치와;
흙이나 진흙, 각종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이 제거된 채 회전원반장치로부터 추락한 폐비닐이나 폐그물만을 모아서 제 3 컨베어(3)로 공급시키는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와;
프레임(1)에 고정된 채 상기 회전원반장치와 이물질 배출장치,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 위쪽에 설치되며, 회전원반장치 위로 투입되는 쓰레기와 이물질들이 공중으로 튕겨져 어지럽게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각종 소형의 이물질들이 이물질 배출장치로 추락하도록 안내하는 커버장치와;
회전원반장치로부터 추락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이 이물질 배출장치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막아줌과 동시에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 및 폐그물만을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로 추락하도록 안내하는 칸막이장치와;
상기 장치들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프레임(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원반장치는,
회전원반 구동장치의 샤프트와 볼트로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판(18)과;
쓰레기에 회전 충격을 가하여 회전판(18)의 원주방향으로 비산시켜 주는 베인(vane)들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베인(vane)은,
회전판(18)의 상면에 사방 대칭형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며, 또한 그 형태는 곡선을 이루고, 상기 회전판(18)의 중심을 향하는 쪽에는 쓰레기가 걸렸다가 미끄러져 이탈할 수 있도록 경사면(19a)이 형성된 베인(1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베인은,
회전판(18)의 상면에 사방 대칭형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며, 또한 그 형태는 직선을 이루고, 상기 회전판(18)의 중심을 향하는 쪽에는 쓰레기가 걸렸다가 미끄러져 이탈할 수 있도록 경사면(19-1a)(19-2a)이 형성된 베인(19-1)(19-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판(18)의 상면에는 길이가 긴 베인(19-1) 및 길이가 긴 베인(19-1) 보다 길이가 짧은 베인(19-2)이 교대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원반장치를 구동시키는 회전원반 구동장치는,
프레임(1)에 고정되는 모터(7)와,
모터(7)의 축(7a)에 고정된 제 1 풀리(8)와,
프레임(1)에 고정되는 지지관(11)과,
상기 지지관(11)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회전원반장치의 회전판(18)을 제1 볼트(20)로 고정시키는 샤프트(12)와,
상기 샤프트(12)를 지지한 채 회전토록 하는 제 1 베어링(13) 및 제 2 베어링(14)과,
상기 샤프트(12)에 고정되는 제 2 풀리(10)와,
상기 제 1 풀리(8)와 제 2 풀리(10)를 연결하는 V-벨트(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물질 배출장치는,
각각의 구동모터(5b)(5c)에 의해 작동되고, 대칭으로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되, 일측의 끝 부분은 상하로 겹치게 하고, 그 반대쪽에는 틈새(G)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틈새(G)를 통해 이물질이 제 2 컨베어(2)로 추락하도록 하는 2개 1조의 반원형 벨트컨베어(5)(5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는,
각각의 구동모터(6b)(6c)에 의해 작동되고, 대칭으로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되, 일측의 끝 부분은 상하로 겹치게 하고, 그 반대쪽에는 틈새(G1)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틈새(G1)를 통해 폐비닐과 폐그물이 제 3 컨베어(3)로 추락하도록 하는 2개 1조의 반원형 벨트컨베어(6)(6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버장치(30)는,
상면 중앙에 쓰레기 투입구멍(30a)이 형성되고, 상단 가장자리 전체에는 이물질이 부딪혀서 하방으로 추락하도록 유도하는 경사면(30b)이 형성되며, 하부가 오픈(open) 된 원반 형태의 관체(3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칸막이장치는,
프레임(1)에 고정되는 제 1 관체(21)와,
상기 제 1 관체(21)의 외부에서 제 1 관체(21)에 끼워지며, 방사상으로 상하에 장공(22a)들이 형성되고, 각 장공(22a)들의 아래쪽에는 돌출단(22b)들이 형성된 제 2 관체(22)와,
상기 제 1 관체(21)를 관통하여 제 2 관체(22)의 각 장공(22a)들을 관통하는 볼트(23)들과,
상기 볼트(23)들에 조립되어 제 1 관체(21)와 제 2 관체(22)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24)들과,
제 1 관체(21)의 외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제 2 관체(22)의 돌출단(22b)의 아래쪽에 각기 위치하는 지지턱(25)들과,
상기 지지턱(25)을 관통한 채 제 2 관체(22)의 돌출단(22b)을 떠받히는 조정볼트(26)들과,
상기 조정볼트(26)들에 조립되며 조정볼트(26)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27)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원반장치에는 쓰레기를 걸어서 회전판 위에서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쓰레기 걸림장치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쓰레기 걸림장치는,
상측은 개방되고 저면은 막힌 채 제 2 볼트(430)에 의해 회전원반장치의 회전판(18)의 저면에 고정되며, 회전원반 구동장치의 샤프트(12)가 저면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는 원반 형태의 지지관체(40)와,
상기 회전원반장치의 회전판(18)의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구멍(18a)을 관통하는 피스톤로드(41a)를 가지며 상기 지지관체(40)의 바닥 면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41)들 및 회전판(18)의 가장자리 쪽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구멍(18a')을 관통하는 피스톤로드(41a')를 가지며 상기 지지관체(40)의 바닥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41')들과,
상기 지지관체(40)의 내부에 고정되며 에어실린더(41)(41')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51)(51')들과,
구동장치의 샤프트(12)의 하방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12)에 형성된 공기통로(12a)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로터리 조인트(15)와,
상기 샤프트(12)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1)(51')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슬립-링(42)과,
상기 지지관체(40)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12)의 공기통로(12a)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를 회전판(18)의 중심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에어실린더(41)에 공급 및 회수시키기 위한 제 1 고압공기 분배헤드(45) 및 상기 샤프트(12)의 공기통로(12a)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를 회전판(18)의 가장자리와 가까운 위치하는 에어실린더(41')에 공급 및 회수시키기 위한 제 2 고압공기 분배헤드(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원반 구동장치는,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 2 구동모터(600)와,
제 2 구동모터(600)의 축(600a)과 커플링으로 연결되며 회전원반장치의 회전판(18) 중앙에 형성된 나사구멍(18c)에 하단부가 조립되는 연결축(601)으로 된 것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살피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과 실시예를 도면을 근거로 하여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구성품들을 볼트(또는 볼트와 너트)로 조립하는 것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것은 상식적인 수준이므로 도면에는 생략한 부분이 있으며, 기타 도면을 제시하지 않고 설명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로 도시화 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비닐이나 폐그물 등의 쓰레기에 고착되 어 있는 이물질과 이들 쓰레기에 섞여 있는 각종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을 상기 쓰레기로부터 거의 완전하게 분리시키고, 이물질이 분리된 폐비닐이나 폐그물을 쓰레기 연료 봉 제조장치로 공급하기 위하여의 사용되는 이물질 분리장치인 바,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에 해당한다.
먼저 상기 제 1 구동모터(7)를 작동시키게 되면 회전판(18)이 고속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데, 제 1 구동모터(7)는 회전속도 가변형을 선택하여 가동 초기에는 저속으로 가동을 시키다가 서서히 회전수를 높여서 회전판(18)이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제 1 구동모터(7)를 회전속도 가변형이 아닌 일반적인 전기모터를 사용할 경우 전기모터의 축과 통상의 변속기의 입력축을 연결시키고 변속기에 구비된 출력축에 제 1 풀리(8)를 고정시키고 V-벨트(9)를 제 2 풀리(10)와 연결시켜서 샤프트(12)를 회전시킬 수도 있음을 밝힌다.
위와 같이 제 1 구동모터(7)를 회전속도 가변형 또는 변속기와 일반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제 1 컨베어(4)를 통해 회전판(18) 위로 공급되는 쓰레기의 종류가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장 경제적인 운용을 하기 위함인 바, 폐비닐이나 폐그물에 진흙이나 뻘 등의 이물질이 덜 고착된 것은 회전판(18)의 회전속도를 비교적 낮추어서 경제적으로 운용하고, 반면 폐그물이나 폐비닐에 상기 이물질이 심하게 고착되어 있을수록 회전판(18)의 회전속도를 높여서 폐비닐이나 폐그물로부터 이물질이 잘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판(18)을 초기부터 고속으로 회전을 시키고자 하면 전기 에너지의 소모가 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회전판(18)은 500rpm, 800rpm, 1,200rpm, 2,000rpm 등으로 회전속도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에너지의 소모도 최저화하면서 이물질의 분리 및 제거 작용도 합리적으로 도모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이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적정한 속도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면서 직경이 2∼3미터 정도인 회전판(18)이 회전하게 되면 제 1 컨베어(4)를 통해 상술한 이물질을 포함하는 폐비닐이나 폐그물(이하 쓰레기라 칭함)을 커버장치의 쓰레기 투입구멍(30a)을 통해 투입시키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투입된 쓰레기는 회전판(18)에 구비되어 있는 곡선형 베인(19) 또는 직선형의 길고 짧은 베인(19-1)(19-2)에 부딪히면서 회전판(18)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베인은 쓰레기를 회전판(18)의 원주방향으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쓰레기에 충격을 가하면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소형의 중량 이물질과 진흙, 뻘 등은 강한 원심력을 받아서 쓰레기로부터 분리가 되어 회전판(18)의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날아가 추락하게 되고, 소형의 중량 이물질과 진흙, 뻘 등이 분리가 되어 중량이 가벼워진 쓰레기는 회전판(18)의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날아가지 못하고 회전판(18)의 가장자리 주변으로 날아가 추락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베인(19)(19-1)(19-2)에는 도면과 같이 각각 경사면(19a)(19-1a)(19-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쓰레기는 상기 경사면(19a)(19-1a)(19-2a)에 순간적으로 결려서 회전을 하다가 원심력을 이기지 못하고 상기 경사면을 벗어나서 회전판(18)을 벗어나게 된다.
이때, 도면과 같이 회전판(18)에 구비된 상기 베인의 상단 면은 커버장치의 관체(30)의 천장 면과 3∼10cm 정도의 공차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장치의 쓰레기 투입구멍(30a)을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는 회전판(18)으로부터 강한 원심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비산을 하게 되더라도 커버장치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고 회전판(18)을 벗어나게 되며, 쓰레기 투입구멍(30a)으로 역류하여 날아가거나 하는 현상이 없이 이물질 배출장치 및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 쪽을 향하여 사방으로 날아갈 수밖에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곡선형의 베인(19)과 길이가 길고 짧은 직선형의 베인(19-1)(19-2)을 제시하고 있는데, 곡선형의 베인(19)은 쓰레기에 이물질이 비교적 적게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사용하기에 좋고, 직선형은 쓰레기에 이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사용하기에 좋기 때문임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다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장치의 쓰레기 투입구멍(30a)을 통해서는 계속하여 쓰레기가 투입이 되고 회전하는 회전판(18)과 상술한 베인에 의하여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소형의 중량 이물질과 진흙, 뻘 등은 비중이 무거워서 멀리 날아가게 되는데, 이들은 커버장치의 경사면(30b)에 가까운 천장 면과 상기 경사면(30b)에 부딪혀 이물질 배출장치의 반원형 벨트컨베어(5)(5a) 위로 추락을 하게 된다.
여기서 이물질 배출장치의 반원형 벨트컨베어(5)(5a)는 틈새(G)를 향하여 마주보는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하고 있으므로 상기 벨트컨베어(5)(5a) 위에 추락하는 상술한 중량 이물질들은 결국 틈새(G)를 통해 제 2 컨베어(2) 위로 추락하게 되며, 제 2 컨베어(2)에는 마그네틱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금속성 이물질은 별도로 수거하고 비철금속의 이물질과 진흙 등의 이물질 그리고 소량이나마 포함되어 있는 폐비닐이나 폐그물은 별도의 이물질 선별장치(예: 사이클론, 풍력 선별기 등)로 투입되어 각기 분리가 되고, 이때 다시 선별된 폐비닐이나 폐그물은 수거되어 후술하는 분쇄장치로 투입이 되는바, 이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도면으로는 나타내지 않았다.
다음, 소형의 중량 이물질과 진흙, 뻘 등이 제거가 된 폐비닐이나 폐그물은 자체적으로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회전판(18)으로부터 먼 거리를 날아가지 못하고 회전판(18)의 가장자리를 벗어나면 칸막이장치를 벗어나지 못한 채 바로 아래에 있는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의 반원형 벨트컨베어(6)(6a) 위로 추락을 하게 되며, 틈새(G1)를 향하여 마주보고 회전하고 있는 상기 벨트컨베어(6)(6a) 위에 추락하는 폐비닐이나 폐그물은 틈새(G1)를 통해 제 2 컨베어(3) 위로 추락하게 되고, 이는 풍력선별기 또는 사이클론 등의 장치로 다시 투입되어 만일의 경우 포함될 수 있는 소형의 중량 이물질이나 흙,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다시 분리시킨 후, 통상 10∼20cm 정도의 크기로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공지의 분쇄장치로 투입이 된 다음 연료봉 제조장치의 압축실린더 안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벨트컨베어(6)(6a) 위로 추락하는 폐비닐이나 폐그물이 구동장치 쪽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관체(17)를 프레임(1)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반원형 벨트컨베어(5)(5a)(6)(6a)는 도면과 같이 각기 구비된 구동모터(5b)(5c)(6b)(6c)에 의해 구동이 되며, 반원형 벨트컨베어의 구조와 제작 기술 등은 공지의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간단히 도시하였음을 밝힌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반원형 벨트컨베어 대신에 원형의 벨트컨베어를 사용하고 이물질 또는 폐비닐이나 폐그물을 원형의 벨트컨베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가이드 판을 구비한 형태로도 대체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이물질 배출장치와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실용적이지 못하며 벨트 표면의 마모율이 높은 등의 단점이 있어 본 발명에 비하여 하위개념에 머무는 벨트컨베어 구조에 지나지 않음을 밝힌다.
이어서 살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이나 폐그물이 회전판(18)을 벗어나서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 위로 추락을 할 때, 폐그물의 직경이 큰 것이거나 또는 폐비닐에 물이 묻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칸막이장치의 제 2 관체(22)를 벗어나는 거리로 날아가서 이물질 배출장치의 반원형 벨트컨베어(5)(5a)위로 추락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칸막이장치에서 제 2 관체(22)는 제 1 관체(21)로부터 수직으로 높이조절이 되도록 하였다.
즉, 제 2 관체(22)가 제 1 관체(21)로부터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볼트(23)를 푼 다음, 조정볼트(26)의 고정너트(27)를 풀고 조정볼트(26)를 정회전시키면 제 2 관체(22)는 제 1 관체(2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승을 하게 되고, 조정볼트(26)를 역회전시키면 제 2 관체(22)는 제 1 관체(2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하강을 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관체(21)로부터 제 2 관체(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요령에 따라 제 2 관체(22)의 높이를 높여주면 멀리 날아가는 폐비닐이나 폐그물이 제 2 관체(22)에 걸려서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의 반원형 벨트컨베어(6)(6a) 위로 추락하게 되는 것인 바, 이와 같이 제 2 관체(22)의 높낮 이를 조절하여 이물질과 폐비닐 및 폐그물의 분리를 거의 완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형의 중량 이물질이나 돌, 나무 조각, 진흙 등은 비중이 무거우므로 상기의 제 2 관체(22)의 상단부 가장자리의 높이가 회전판(18)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지 않으면 관체(22)에 부딪히지 않고 커버장치 쪽으로 날아가게 된다. 그러므로 관체(22)가 최대로 상승할 수 있는 높이는 회전판(18)의 높이와 동일한 위치가 될 것이다.
이어서 살피면, 쓰레기의 형상과 형태별 조건은 실로 다양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100%에 이르도록 쓰레기로부터 이물질을 완전히 분리시키기는 어려운 것이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 및 선별이 된 이물질과 폐비닐 그리고 폐그물은 2차 또는 3차의 분리 및 선별단계를 거치도록 하는 것인 바,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이물질 선별장치는 폐비닐과 폐그물로부터 상술한 이물질이 분리되는 효율이 종래의 수단과는 크게 달리 보통 95% 정도에 이른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음을 밝힌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의 응용 실시예를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즉, 폐비닐이나 폐그물에 이물질이 심하게 고착되거나 뒤엉켜서 소형의 중량 이물질이 폐비닐이나 폐그물로부터 잘 분리가 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제시되는 것이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에 해당되고 이를 본 발명에서는 쓰레기 걸림장치로 명명한 것인데, 이는 도면과 같이 회전판(18)의 하방에 지지관체(40)를 제 2 볼트(430)로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관체(40) 내부에는 도 2, 도 3, 도14, 도16 등과 같이 샤프트(12)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2열이 되도록 에어실린더(41)(41')들을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에어실린더(41)(41')에는 각기 피스톤로드(41a)(41a')가 구비되어 있으며, 피스톤로드(41a)(41a')는 회전판(18)에 형성된 구멍(18a)(18a')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피스톤로드(41a)(41a')의 상단은 회전판(18)의 구멍(18a)(18a')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회전판(18)의 중심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에어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1a)는 회전판(18)의 중심에서 가까운 곳에 형성된 구멍(18a)에 삽입이 되고, 회전판(18)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에어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1a')는 회전판(18)의 가장자리와 가까운 곳에 형성된 구멍(18a') 안으로 삽입이 된다.
상기 에어실린더(41)(41')에는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어야만 피스톤로드(41a)(41a')가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됨은 당연한 것인 바, 공지의 고압공기 공급 및 제어장치에 연결된 에어호스(16)가 구동장치의 샤프트(12)의 하방에 조립되어 있는 로터리 조인트(15)에 연결이 됨에 따라 샤프트(12)에 형성된 공기통로(12a)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진입하게 되고, 이는 도 13과 같이 제 1 에어호스(43)와 제 2 에어호스(44)를 통해 제 1 고압공기분배헤드(45)와 제 2 고압공기분배헤드(46)로 진입하게 된다.
참고로 설명하면, 제 1 고압공기분배헤드(45)는 도 14를 기준하여 볼 때 회전판(18)의 중심에서 가까운 곳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에어실린더(41)에 고압 공 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고압공기분배헤드(46)는 도 14를 기준하여 볼 때 회전판(18)의 가장자리와 가까운 곳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에어실린더(41')에 고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살피면, 제 1 고압공기분배헤드(45)에 제 3 에어호스(47)가 연결되고 제 3 에어호스(47)에는 제 4 에어호스(48)가 연결되며, 제 4 에어호스(48)는 솔레노이드 밸브(51)에 연결이 되고, 솔레노이드 밸브(51)에는 제 5 에어호스(52)와 제 6 에어호스(53)가 연결되며, 제 5 에어호스(52)와 제 6 에어호스(53)는 에어실린더(41)에 연결이 된다.
이와 같은 요령에 따라 제 2 고압공기분배헤드(46)에 제 3 에어호스(47')가 연결되고 제 3 에어호스(47')에는 제 4 에어호스(48')가 연결되며, 제 4 에어호스(48')는 솔레노이드 밸브(51')에 연결이 되고, 솔레노이드 밸브(51')에는 제 5 에어호스(52')와 제 6 에어호스(53')가 연결되며, 제 5 에어호스(52')와 제 6 에어호스(53')는 에어실린더(41')에 연결이 된다.
그리고 샤프트(12)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슬립-링(42)에는 제 1 전선(49)이 연결되고 제 1 전선(49)에는 각각 제 2 전선(50)이 연결되며, 제 2 전선(50)은 상술한 각 솔레노이드 밸브(51)(51')에 연결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쓰레기 걸림장치는, 제 1 컨베어(4)로부터 쓰레기가 추락하여 회전판(18)으로 추락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모든 피스톤로드(41a)(41a')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폐비닐이나 폐그물[쓰레기(500)(501)]은 도 14와 같이 각 피스톤로드(41)(41a')에 걸려서 회전판(18)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쓰레기(500)(501)는 앞서 설명한 기본 실시예와는 달리 피스톤로드(41a)(41a')에 걸려서 회전판(18)을 즉시 벗어나지 못하게 되고 회전판(18) 위에서 머물 수밖에 없으므로, 이때 쓰레기(500)(501)에 심하게 고착되어 있는 진흙이나 오일찌꺼기, 뻘 등은 소형의 중량 이물질과 함께 더욱 원활하게 쓰레기로부터 분리가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4와 같이 모든 피스톤로드(41)(41a')에 쓰레기(500)(501)가 걸려 있게 되는 시간은 1초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는데, 그 이유는 쓰레기는 제 1 컨베어(4)를 타고 계속 회전판(18) 위로 추락을 하기 때문에 1초 이상 적체를 하게 되면 커버장치의 쓰레기 투입구멍(30a)으로 쓰레기가 역류할 수가 있으며,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8)의 원심력에 의하여 피스톤로드(41)(41a')에 걸려 있는 쓰레기는 1초 정도의 시간이지만 매우 강한 원심력을 받기 때문에 쓰레기(500)(501)로부터 상술한 이물질이 충분히 분리 및 제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상태 즉,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판(18)의 가장자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피스톤로드(41a')를 먼저 원위치시키게 되면, 도 16과 같이 피스톤로드(41a')에 걸려 있던 쓰레기(501)는 회전판(18)을 벗어나 상기의 벨트컨베어(6)(6a) 위로 추락을 하게 되며, 그 이전에 쓰레기(501)에 포함되어 있던 상술한 이물질들은 분리가 되어 상기의 벨트컨베어(5)(5a) 위로 추락하게 된다.
이어서 원위치가 되었던 피스톤로드(41a')가 다시 상승함과 동시에 회전판(18)의 중심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피스톤로드(41a)가 하강하여 원위치를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41a)에 걸려 있던 쓰레기(500)는 도 18과 같이 또 다시 회전판(18)의 가장자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피스톤로드(41a')에 걸리게 되고, 하강하였다가 다시 상승되는 피스톤로드(41a)에는 투입되고 있는 다른 쓰레기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도 16과 같은 상태로 다시 도 18과 같은 상태에 이어서 다시 도 14와 같은 상태가 1초의 간격을 두고 실시되는 것인 바, 결국 피스톤로드(41a)(41a')가 교대로 상승 및 하강을 하는 시간 간격이 1초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쓰레기 걸림장치는 계속 투입되는 쓰레기를 1초의 간격으로 걸었다가 놓는 작용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41a)(41a')의 상승 및 하강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쓰레기 걸림장치를 적용하게 되면 쓰레기에 고착된 이물질과 쓰레기 속에 고약하게 엉켜있는 이물질들을 보다 원활하게 쓰레기로부터 분리를 시킬 수가 있는 것인데, 참고로 부언하면 도 20, 도 21과 같이 지지관체(40) 내부에 또 다른 제 2 에어실린더(410)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 2 에어실린더(410)의 피스톤로드(410a)의 끝에는 슬라이더 하우징(411)을 고정시키며, 슬라이더 하우징(411)의 안쪽 바닥에는 제 3 에어실린더(419)를 고정시키고, 제 3 에어실린더(419)의 피스톤로드(420)의 끝에는 제 1 슬라이더(414)를 고정시키며, 제 1 슬라이더(414)는 제 2 슬라이더(412)와 분리되지 않도록 공지의 슬라이딩 베드 및 요크 방식으로 결합을 시킨다.
한편, 상기 제 2 슬라이더(412)의 측면에는 몇 개의 니들(needle)(413)이 고 정되도록 하고 상기 니들(413)은 슬라이더 하우징(411)의 외부로 돌출하고 원위치를 하도록 한다.
이어서 슬라이더 하우징(411)을 회전판(18)에 형성된 또 다른 구멍(18b) 안으로 삽입시키되 제 2 에어실린더(410)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 즉, 도 20과 같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더 하우징(411)의 상면이 회전판(18)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판(18) 위로 쓰레기가 투입되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쓰레기 걸림장치와 같이 제 2 에어실린더(410)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410a)를 상승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 3 에어실린더(419)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420)를 상승시키면 도 21과 같이 슬라이더 하우징(411)이 회전판(18)의 구멍(18b) 위로 돌출되면서 제 2 슬라이더(412)의 니들(413)은 슬라이더 하우징(411)의 외부로 돌출이 된다. 즉, 제 1 슬라이더(414)가 상승하면 제 2 슬라이더(412)는 수평으로 이동을 하기 때문에 니들(413)이 돌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니들(413)이 돌출되면 회전판(18) 위로 투입된 쓰레기가 니들(413)에 걸려서 결국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쓰레기 걸림장치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인 바, 다시 제 2 에어실린더(410)와 제 3 에어실린더(419)가 작동하여 슬라이더 하우징(411)이 하강함과 동시에 제 2 슬라이더(412)의 니들(413)은 도 20과 같이 원위치를 하게 되어 니들(413)에 걸려 있던 쓰레기는 회전판(18)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이러한 작용은 역시 1초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실시되게 된다.
한편, 도 20, 도 21과 같은 변화된 구조는 실제 적용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조금 까다로운 문제는 있다 할 것이다.
이어서 살피면,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도 22와 같이 프레임의 상부에 제 2 구동모터(600)를 고정시키고, 축(600a)에는 연결축(601)을 커플링 방식으로 연결을 시킨 후, 연결축(601)의 하단부를 회전판(18)에 형성된 나사구멍(18c)에 결합을 하는 타입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연결축(601)은 커버장치의 쓰레기 투입구멍(30a)을 통과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장치의 변화예는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회전판(18)은 도 23, 도 24, 도 25와 같은 구조로 변화시킬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변화될 경우 상술한 커버장치의 관체(30)에는 도 23과 같이 천장 부분이 생략되고 가장자리로 경사면(30-1b) 만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살피면, 회전원반 구동장치의 샤프트(12)와 볼트(20)로 고정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80)과, 상기 회전판(180)과 한 몸을 이룬 채 쓰레기에 회전 충격을 가하여 회전판(180)의 원주방향으로 신속하게 비산시켜 주는 베인들과, 상기 베인들과 한 몸을 이루며 중앙에는 쓰레기 투입구멍(182)이 형성된 천장(181)으로 된 구조인데, 주조작업을 통해 전체가 한 몸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용접작업을 통해 전체가 한 몸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응용예의 회전판(180)은, 자체적으로 천장(181)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장치의 관체(30) 구조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회전판(180)은 앞서 설명한 기본 실시예의 회전판(18)에 비하여 작용상으로 약간 미흡하기는 하나 이와 같이 구조변화가 가능하고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투입되는 쓰레기의 크기가 50cm 미만이고 쓰레기에 이물질의 함량이 낮을 경우 상기 회전판(180)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데, 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양질의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의 회전판(18)에 비하여 작용 상으로 낮은 수준에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변형예의 회전판(180)에 적용되는 베인(183)에도 회전판(180)의 중심을 향하는 쪽에 경사면(183a)을 형성시켜야 하며 곡선 타입의 베인이나 직선 타입의 베인 모두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8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도 26과 같이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토록 하는 타입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때 연결축(601)은 회전판(180)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구멍(180a)에 조립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 회전판(18)에 구비되는 베인의 숫자와 고정 위치는 변화될 수 있으며, 베인의 높이 또한 얼마든지 변화가 될 수 있고 회전판(18)의 직경 또한 자유롭게 변화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아울러 상기의 베인은 회전판(18)과 볼트로 조립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며,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베인이 회전판(18)에 직각으로 고정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베인은 회전판(18)에서 경사지게 고정될 수도 있고, 베인의 높낮이가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임을 밝힌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회전판과 베인을 이용하여 회전판 위로 투입되는 쓰레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비산시킴으로서 비중이 가벼운 폐비닐과 폐그물로부터 각종 소형의 중량 이물질과 진흙, 뻘, 기름 찌꺼기 등을 별도로 수거 및 배출을 시킬 수 있는 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쓰레기로부터의 이물질 분리수단에 비하여 이물질 분리 및 이물질이 분리된 쓰레기의 수거효과가 월등하게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흙이나 진흙이 고착되어 있고 각종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1미터 이내의 길이를 가지는 폐비닐이나 폐그물 류의 쓰레기를 회전원반장치로 공급하는 제 1 컨베어(4)와;
    제 1 컨베어(4)로부터 공급받는 쓰레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사방으로 이동을 시켜 비산되도록 하는 회전원반장치와;
    상기 회전원반장치를 구동시키는 회전원반구동장치와;
    상기 회전원반장치 상에서 폐비닐이나 폐그물로부터 분리되어 날아 간 흙이나 진흙,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을 모아서 제 2 컨베어(2)로 공급시키는 이물질 배출장치와;
    흙이나 진흙, 각종 소형의 중량 이물질들이 제거된 채 회전원반장치로부터 추락한 폐비닐이나 폐그물만을 모아서 제 3 컨베어(3)로 공급시키는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와;
    프레임(1)에 고정된 채 상기 회전원반장치와 이물질 배출장치,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 위쪽에 설치되며, 회전원반장치 위로 투입되는 쓰레기와 이물질들이 공중으로 튕겨져 어지럽게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각종 소형의 이물질들이 이물질 배출장치로 추락하도록 안내하는 커버장치와;
    회전원반장치로부터 추락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이 이물질 배출장치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막아줌과 동시에 이물질이 제거된 폐비닐 및 폐그물만을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로 추락하도록 안내하는 칸막이장치와;
    상기 장치들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프레임(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원반장치는,
    회전원반 구동장치의 샤프트와 볼트로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판(18)과;
    쓰레기에 회전 충격을 가하여 회전판(18)의 원주방향으로 비산시켜 주는 베인(vane)들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베인(vane)은,
    회전판(18)의 상면에 사방 대칭형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며, 또한 그 형태는 곡선을 이루고, 상기 회전판(18)의 중심을 향하는 쪽에는 쓰레기가 걸렸다가 미끄러져 이탈할 수 있도록 경사면(19a)이 형성된 베인(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베인(vane)은,
    회전판(18)의 상면에 사방 대칭형으로 용접으로 고정되며, 또한 그 형태는 직선을 이루고, 상기 회전판(18)의 중심을 향하는 쪽에는 쓰레기가 걸렸다가 미끄러져 이탈할 수 있도록 경사면(19-1a)(19-2a)이 형성된 베인(19-1)(1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회전판(18)의 상면에는 길이가 긴 베인(19-1) 및 길이가 긴 베인(19-1) 보다 길이가 짧은 베인(19-2)이 교대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원반장치를 구동시키는 회전원반 구동장치는,
    프레임(1)에 고정되는 모터(7)와,
    모터(7)의 축(7a)에 고정된 제 1 풀리(8)와,
    프레임(1)에 고정되는 지지관(11)과,
    상기 지지관(11)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회전원반장치의 회전판(18)을 제1 볼트(20)로 고정시키는 샤프트(12)와,
    상기 샤프트(12)를 지지한 채 회전토록 하는 제 1 베어링(13) 및 제 2 베어링(14)과,
    상기 샤프트(12)에 고정되는 제 2 풀리(10)와,
    상기 제 1 풀리(8)와 제 2 풀리(10)를 연결하는 V-벨트(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이물질 배출장치는,
    각각의 구동모터(5b)(5c)에 의해 작동되고, 대칭으로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되, 일측의 끝 부분은 상하로 겹치게 하고, 그 반대쪽에는 틈새(G)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틈새(G)를 통해 이물질이 제 2 컨베어(2)로 추락하도록 하는 2개 1조의 반원형 벨트컨베어(5)(5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폐비닐 및 폐그물 배출장치는,
    각각의 구동모터(6b)(6c)에 의해 작동되고, 대칭으로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되, 일측의 끝 부분은 상하로 겹치게 하고, 그 반대쪽에는 틈새(G1)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틈새(G1)를 통해 폐비닐과 폐그물이 제 3 컨베어(3)로 추락하도록 하는 2개 1조의 반원형 벨트컨베어(6)(6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장치는,
    상면 중앙에 쓰레기 투입구멍(30a)이 형성되고, 상단 가장자리 전체에는 이물질이 부딪혀서 하방으로 추락하도록 유도하는 경사면(30b)이 형성되며, 하부가 오픈(open) 된 원반 형태의 관체(3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칸막이장치는,
    프레임(1)에 고정되는 제 1 관체(21)와,
    상기 제 1 관체(21)의 외부에서 제 1 관체(21)에 끼워지며, 방사상으로 상하에 장공(22a)들이 형성되고, 각 장공(22a)들의 아래쪽에는 돌출단(22b)들이 형성된 제 2 관체(22)와,
    상기 제 1 관체(21)를 관통하여 제 2 관체(22)의 각 장공(22a)들을 관통하는 볼트(23)들과,
    상기 볼트(23)들에 조립되어 제 1 관체(21)와 제 2 관체(22)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24)들과,
    제 1 관체(21)의 외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제 2 관체(22)의 돌출단(22b)의 아래쪽에 각기 위치하는 지지턱(25)들과,
    상기 지지턱(25)을 관통한 채 제 2 관체(22)의 돌출단(22b)을 떠받히는 조정볼트(26)들과,
    상기 조정볼트(26)들에 조립되며 조정볼트(26)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27)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원반장치에는 쓰레기를 걸어서 회전판 위에서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쓰레기 걸림장치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쓰레기 걸림장치는,
    상측은 개방되고 저면은 막힌 채 제 2 볼트(430)에 의해 회전원반장치의 회전판(18)의 저면에 고정되며, 회전원반 구동장치의 샤프트(12)가 저면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는 원반 형태의 지지관체(40)와,
    상기 회전원반장치의 회전판(18)의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구멍(18a)을 관통하는 피스톤로드(41a)를 가지며 상기 지지관체(40)의 바닥 면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41)들 및 회전판(18)의 가장자리 쪽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구멍(18a')을 관통하는 피스톤로드(41a')를 가지며 상기 지지관체(40)의 바닥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41')들과,
    상기 지지관체(40)의 내부에 고정되며 에어실린더(41)(41')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51)(51')들과,
    구동장치의 샤프트(12)의 하방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12)에 형성된 공기통로(12a)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로터리 조인트(15)와,
    상기 샤프트(12)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1)(51')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슬립-링(42)과,
    상기 지지관체(40)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12)의 공기통로(12a)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를 회전판(18)의 중심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에어실린더(41)에 공급 및 회수시키기 위한 제 1 고압공기 분배헤드(45) 및 상기 샤프트(12)의 공기통로(12a)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를 회전판(18)의 가장자리와 가까운 위치하는 에어실린더(41')에 공급 및 회수시키기 위한 제 2 고압공기 분배헤드(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원반 구동장치는,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 2 구동모터(600)와,
    제 2 구동모터(600)의 축(600a)과 커플링으로 연결되며 회전원반장치의 회전판(18) 중앙에 형성된 나사구멍(18c)에 하단부가 조립되는 연결축(601)으로 된 것으로 대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KR20110018702A 2011-02-28 2011-02-28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324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8702A KR101324404B1 (ko) 2011-02-28 2011-02-28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8702A KR101324404B1 (ko) 2011-02-28 2011-02-28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359A KR20120098359A (ko) 2012-09-05
KR101324404B1 true KR101324404B1 (ko) 2013-11-01

Family

ID=4710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18702A KR101324404B1 (ko) 2011-02-28 2011-02-28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55B1 (ko) * 2012-10-26 2014-01-16 김연실 폐비닐에 엉겨 붙은 이물질분리장치
CN109591223B (zh) * 2018-12-07 2021-02-1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用于土壤中分离泥土与微塑料的分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532A (en) 1987-05-21 1988-08-30 Smith & Loveless, Inc. Apparatus for removing grit
JPH08183032A (ja) * 1994-12-28 1996-07-16 Aisin Seiki Co Ltd プラスチック廃品の粉砕及び洗浄方法
KR19980019165U (ko) * 1998-04-09 1998-07-06 조선덕 마사모래분리기
KR20100087984A (ko) * 2009-01-29 2010-08-06 서정수 폐비닐세척용 이물질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532A (en) 1987-05-21 1988-08-30 Smith & Loveless, Inc. Apparatus for removing grit
JPH08183032A (ja) * 1994-12-28 1996-07-16 Aisin Seiki Co Ltd プラスチック廃品の粉砕及び洗浄方法
KR19980019165U (ko) * 1998-04-09 1998-07-06 조선덕 마사모래분리기
KR20100087984A (ko) * 2009-01-29 2010-08-06 서정수 폐비닐세척용 이물질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359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055B1 (ko) 밀폐형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스크린 장치
CN102960833B (zh) 一种油茶籽脱壳机
CN101823048B (zh) 一种垃圾分选装置及方法
CN102369049A (zh) 受阻沉降式分级机
CN106345558B (zh) 大米抛光装置
CN206415212U (zh) 带有分选功能的砂料清洗装置
CN205949077U (zh) 一种固液分离装置
CN109331921B (zh) 一种多功能建筑垃圾轻物质处理装置
CN206009251U (zh) 一种种子精选装置
CN203578020U (zh) 砂金选矿离心机
KR101324404B1 (ko) 폐비닐 및 폐그물 류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071464B1 (ko) 퇴비용 이물질 선별장치
KR100667709B1 (ko) 음식물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선별을 위한 선별기
CN207013255U (zh) 一种大米分选装置
CN109049421A (zh) 一种带有减震底座的塑料垃圾破碎装置
KR101237835B1 (ko) 가축 배설물 선별 및 수거장치
CN108993738A (zh) 一种选矿机
CN203015797U (zh) 一种油茶籽脱壳机
CN104815792A (zh) 一种柔性轻质薄片的杂质去除装置及方法
CN204638508U (zh) 一种柔性轻质薄片的杂质去除装置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CN107185950B (zh) 一种分拣粉碎一体机
KR101296257B1 (ko) 함수율 높은 토사 선별용 가변 이중 디스크 선별기
CN108993739A (zh) 一种多功能选矿设备
CN107321494A (zh) 一种用于河沙采矿设备上的无动力自动除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