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712B1 - 설겆이대 - Google Patents

설겆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712B1
KR101323712B1 KR1020100120829A KR20100120829A KR101323712B1 KR 101323712 B1 KR101323712 B1 KR 101323712B1 KR 1020100120829 A KR1020100120829 A KR 1020100120829A KR 20100120829 A KR20100120829 A KR 20100120829A KR 101323712 B1 KR101323712 B1 KR 10132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water
cradle
drainage
rotar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186A (ko
Inventor
안경주
Original Assignee
안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주 filed Critical 안경주
Priority to KR102010012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7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물기 묻은 그릇을 올려놓는 망 구조로 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대에서 흘러내린 물이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구멍이 형성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내부에 고인 물을 상기 배수 구멍으로 유도하거나 상기 배수 구멍을 통하여 상기 받침판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수단; 을 포함하는 설겆이대를 기재한다.

Description

설겆이대{DISH STAND}
본 발명은 씽크대의 개수대 옆에 위치하며 설겆이가 끝난 그릇들을 거치해두는 설겆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겆이가 완료된 그릇은 설겆이대에 수납된다. 종래의 설겆이대는 그릇이 수납되는 거치대와 거치대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다. 거치대는 그릇에 묻은 물기가 잘 빠지도록 망 구조로 되어 있고, 받침판은 가장 자리가 돌출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된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받침판은 거치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거치대의 그릇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을 수용하며, 사용자는 받침판에 물이 고인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고인 물이 많으면 약 2~3일의 간격으로 받침판을 빼내서 고인 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일일이 받침판을 꺼내어 고인 물을 제거하는 것이 번거롭기도 하며, 사용자가 거치대의 하부에서 받침판을 빼내어 물을 제거하기 전까지, 받침판은 항상 고인 물을 담고 있게 되므로 세균의 번식이나 악취 발생 또는 이물질이 용해되어 비위생적이고 미관에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판의 물빠짐을 좋게 하여 위생 및 미관상 양호한 설겆이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물기 묻은 그릇을 올려놓는 망 구조로 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대에서 흘러내린 물이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구멍이 형성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내부에 고인 물을 상기 배수 구멍으로 유도하거나 상기 배수 구멍을 통하여 상기 받침판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수단; 을 포함하는 설겆이대를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릇이 적치된 거치대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받침판으로 받을 때, 받침판의 배수 구조에 대하여 새로운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배수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세균 번식의 문제를 해결하여 위생상 양호하며 이물질이 퇴적될 염려가 없어 미관을 해치지 않는 설겆이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겆이대와 인접한 씽크대의 개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겆이대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설겆이대의 받침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선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절단선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배수 수단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설겆이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설겆이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설겆이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설겆이대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와 인접되는 씽크대의 개수대(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개수대(2)는 서로 이어진 상판(10)과 하판(20)으로 되어 있으며, 수세미통(11)과 세제 공급기(12)가 마려된다. 개수대(2)의 바닥에는 바닥 배수구(21)가 마련되며 개수대(2)의 측면에는 측면 배수구(22)가 마련되고, 바닥 배수구(21) 또는 측면 배수구(22)를 통하여 물이 배수된다.
도 1의 개수대(2) 옆에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가 비치된다. 개수대(2) 안에서 그릇의 세척이 이루어지며, 세척 완료된 그릇은 설겆이대(100)에 놓여져 자유 낙하에 의하여 물이 빠진다. 그릇에서 흘러내린 물은 거치대(110) 하부의 받침판에 수용된다.
이때, 그릇에서 흘러내린 물의 양은 많지 않은 양이므로 받침판은 적은 양의 물을 오랜 시간동안 받아 두고 있고, 사용자가 2~3일 주기로 받침판의 물을 비우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법이므로, 받침판의 물은 세균 번식에 의하여 부패되거나 이물질 누적에 의하여 오염된 상태라서 위생상 문제가 대두된다.
이하에는 받침판을 거치대(110)에서 통째로 빼내는 작업을 할 필요없이 배수 수단(200)을 동작시키는 것만으로 받침판의 물을 쉽게 빼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가 설명된다.
크게 보아 배수 수단(200)의 구성상 차이에 따라 설겆이대(100)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분되며 도 2 내지 도 11에는 제1 실시예부터 제6 실시예가 예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의 받침판(1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선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절단선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의 제1 실시예에 마련된 배수 수단(200)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이하는 제2 실시예를 포함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며, 각 실시예의 공통적인 특징적 구성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각 도면을 참조하며 각 실시예별 특징적 구성을 설명한다.
받침판(120)에는 그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배수 구멍(201)을 구비하며, 배수 수단(200)은 받침판(12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배수 구멍(201)으로 집중시키거나 배수 구멍(201)을 통하여 상기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 수단(200)이 마련되면 받침판(120)을 통째로 들어 뒤집지 않아도 받침판(120) 내부에 고인 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위생적인 설겆이대(100)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배수 수단(200)으로서, 본 발명은 거치대(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거치대 레그(112)를 포함한다. 거치대 레그(112)는 거치대(110)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받침판(120)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거치대(110)의 하부가 받침판(12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거치대(110)의 하중을 지지한다.
거치대 레그(112)는 거치대(110)와 받침판를 이격시킴으로써 받침판의 오염된 물에 의하여 거치대(110)의 그릇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거치대(110)에 놓여진 그릇으로부터 받침판으로 일단 물이 흘러내리면 받침판의 수위가 점차 높아져도 그릇이 받침판의 물에 닿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거치대 레그(112)는 1차적인 배수 수단(200)이 된다.
한편, 배수 수단(200)은 거치대 레그(112)가 접촉되는 받침판의 바닥면에 형성된 경사면(121)을 포함한다. 경사면(121)은 받침판에 고인 물이 배수 구멍(201) 쪽으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는 경사를 갖는다. 배수 구멍(201)은 개수대(2) 쪽으로 인접하여 설치된다.
받침판에 마련되는 경사면(121)은 일방향의 경사 구배만을 갖도록 할 수 있지만, 제1 방향의 경사 구배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의 경사 구배를 함께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배수 구멍(201)이 연장되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수 구멍(201)의 타측에 해당하는 경사면(121)의 상부(121b)는 높고 배수 구멍(201)에 인접한 측에 해당하는 경사면(121)의 하부(121a)는 경사면(121)의 상부(121b)보다 낮은 제1 방향의 경사 구배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살펴 보면 배수 구멍(201)에 접근할수록 낮아지고 배수 구멍(201)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제2 방향의 경사 구배라고 정의한다. 도 5에 도시된 제1 방향의 경사 구배와 도 6에 도시된 제2 방향의 경사 구배가 연속적으로 중첩됨으로써, 받침판의 경사면(121)은 배수 구멍(201)을 향하여 수렴되는 오목한 경사 구배를 갖게 되어 배수 성능이 향상된다.
받침판에 경사면(121)이 형성되면 거치대 레그(112)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받침판의 경사면(121)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거치대(1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거치대 레그(112)는 서로 다른 길이의 제1 레그(112a)와 제2 레그(112b)를 구비하며, 제1 레그(112a)는 제2 레그(112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고 경사면(121)의 하부(121a) 쪽에 배치된다. 제2 레그(112b)는 경사면(121)의 상부(121b) 쪽에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받침판의 배수 구멍(201)에 고정관(211)을 설치하고, 고정관(211)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한 회전관(210)을 연결하며, 고정관(211)과 회전관(210)은 패킹관(212)으로 밀봉하고, 고정관(211)에는 고정관 개구(2119)를 형성하고 회전관(210)에는 회전관 개구(2109)를 형성하며, 회전관(210)의 단부가 받침판의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관(210)이 회전되면 고정관 개구(2119) 및 회전관 개구(2109)가 연통되고 받침판에 고인 물이 배수 구멍(201), 고정관 개구(2119) 및 회전관 개구(210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회전관(210)의 단부가 받침판의 하측에서 벗어나도록 회전관(210)이 회전되면 고정관 개구(2119) 및 회전관 개구(2109)가 어긋나고 받침판에 고인 물의 배출이 차단된다.
제1 실시예의 장점은 회전관(210)의 회전 위치에 의하여 물의 배출이 온오프되므로 받침판이 개수대(2)에 근접 배치된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물이 계속 배출되는 것을 원할 때 회전관(210)을 간단하게 회전시킴으로써 물이 항상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받침판이 개수대(2)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와 같이 물의 배출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회전관(210)을 돌려 물의 배출을 차단시킴으로써 씽크대 주변에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관(210)이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돌려 놓으면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회전관(210) 단부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배수 수단(200)의 동작 신뢰성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받침판의 배수 구멍(201)에 고정관(211)을 설치하고, 고정관(211)에 대하여 자유 변형이 가능한 주름을 갖는 주름관(220)을 연결한다. 주름관의 단부(2201)가 받침판의 하측을 향하도록 주름관(220)이 탄성 변형되면 받침판의 배수 구멍(201)으로부터 주름관의 단부(2201)를 향하여 물이 자유 낙하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주름관의 단부(2201)가 받침판의 하측을 벗어나도록 주름관(220)이 탄성 변형되면 주름관의 단부(2201)를 통한 물의 배출이 차단된다.
제2 실시예는 배수 수단(200)의 부품수가 절감되는 장점과, 주름관(220)에 무리한 힘을 가하더라도 주름관(220)의 탄성 변형 구조로 인하여 주름관(220)이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받침판의 배수 구멍(201)으로부터 받침판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230)를 설치하고 받침판 내부의 물이 배수 구멍(201) 및 가이드(230)를 통하여 자유 낙하로 항시 배출되도록 한다.
가이드(230)는 상측이 개구되며 양측면이 절곡되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가이드(230)의 폭(W)은 가이드(230)의 높이(H)의 0.5~3배 사이의 형상 비율을 갖도록 설계되므로 물빠짐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배수 구멍(201)의 크기와 가이드(230)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다른 실시예에 비하여 원활한 물빠짐이 가능하며, 모든 부분이 개방된 형상이므로 배수 수단(200) 및 받침판의 세척이 쉽고, 배수 수단(200)의 오염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가이드(230)가 받침판과 일체로 고정된 형태이므로 받침판과 배수 수단(200)을 일체로 한 번에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를 보완한 것으로서, 받침판에 대하여 돌출된 형상인 가이드(230)의 부러짐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부러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 구멍(201)을 통한 물빠짐 여부를 가이드(230)의 회동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가이드(230)는 상측이 개구되며 양측면이 절곡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가이드(230)는 피봇(2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물빠짐을 허용하는 위치 또는 물빠짐을 차단하는 위치로 가이드(230)가 쉽게 회전된다. 따라서, 받침판과 개수대(2)의 위치 또는 받침판의 장기 보관시 가이드(230)를 접철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물빠짐 온오프 모드의 선택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설겆이대(100)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 실시예는 받침판의 바닥면으로 가이드(230)가 슬라이딩 형식으로 수납되는 구조를 취한다. 받침판의 배수 구멍(201)과 인접한 바닥면에 슬롯(240)을 형성하고, 가이드(230)가 슬롯(24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받침판의 바닥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가이드(230)가 슬롯(240)으로부터 돌출되면 가이드(230)의 단부(2301)가 개수대(2)에 물을 배출하고 가이드(230)가 슬롯(240) 내부에 수납되면 가이드(230)가 은폐되므로 받침판의 점유 공간이 줄어든다.
따라서, 회동 방식에 비하여 가이드(230)나 피봇(23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230)를 접었을 때 받침판의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2...개수대 21...바닥 배수구
100...설겆이대 110...거치대
112...거치대 레그 112a...제1 레그
112b...제2 레그 120...받침판
121...경사면 121a...경사면의 하부
121b...경사면의 상부 200...배수 수단
201...배수 구멍 210...회전관
2109...회전관 개구 211...고정관
2119...고정관 개구 212...패킹관
220...주름관 2201...주름관의 단부
230...가이드 2301...가이드의 단부
235...피봇 240...슬롯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물기 묻은 그릇을 올려놓는 망 구조로 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대에서 흘러내린 물이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구멍이 형성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내부에 고인 물을 상기 배수 구멍으로 유도하거나 상기 배수 구멍을 통하여 상기 받침판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수단은, 상기 거치대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받침판의 바닥면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상기 거치대가 이격된 상태로 상기 거치대의 하중을 지지하는 거치대 레그와, 상기 거치대 레그가 접촉되는 상기 받침판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 레그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수 구멍에 인접한 제1 레그 및 상기 배수 구멍에서 이격된 제2 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의 경사면에 불구하고 상기 거치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레그의 길이는 상기 제2 레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설겆이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배수 구멍에 고정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관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관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관과 상기 회전관은 패킹관으로 밀봉되고,
    상기 고정관에는 고정관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관에는 회전관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관의 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관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관 개구 및 상기 회전관 개구가 연통되고 상기 받침판에 고인 물이 상기 배수 구멍, 상기 고정관 개구 및 상기 회전관 개구를 통하여 상기 받침판의 외부로 물을 계속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관의 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하측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회전관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관 개구 및 상기 회전관 개구의 정렬이 어긋나게 되고 상기 받침판에 고인 물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는 설겆이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상기 배수 구멍에 고정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관에 대하여 자유 변형이 가능한 주름을 갖는 주름관이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의 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주름관이 탄성 변형되면 상기 받침판의 상기 배수 구멍으로부터 상기 주름관의 단부를 향하여 물이 자유 낙하되면서 상기 받침판의 외부로 상기 물이 배출되고,
    상기 주름관의 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하측을 벗어나도록 상기 주름관이 탄성 변형되면 상기 주름관의 단부를 통한 상기 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설겆이대.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측이 개구되며 양측면이 절곡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가 상기 받침판에 피봇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물빠짐을 허용하는 위치 또는 물빠짐을 차단하는 위치로 상기 가이드가 접철식으로 회전되는 설겆이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상기 배수 구멍과 인접한 바닥면에 평행하게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구멍에서 배출되는 물을 개수대에 안내하도록 상기 슬롯에 슬라이딩 형식으로 받침판의 점유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조립 설치되는 가이드를 슬롯 내부에 수납시켜 둘 수 있는 설겆이대.
KR1020100120829A 2010-11-30 2010-11-30 설겆이대 KR10132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29A KR101323712B1 (ko) 2010-11-30 2010-11-30 설겆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29A KR101323712B1 (ko) 2010-11-30 2010-11-30 설겆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86A KR20120059186A (ko) 2012-06-08
KR101323712B1 true KR101323712B1 (ko) 2013-10-30

Family

ID=4661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829A KR101323712B1 (ko) 2010-11-30 2010-11-30 설겆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320B1 (ko) * 2021-04-12 2022-11-03 창신리빙(주)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품 수납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7756U (ko) * 1974-05-22 1975-12-08
JPH09299259A (ja) * 1996-05-13 1997-11-25 Fumie Nishikawa 水切り食器収納器
KR19980033621A (ko) * 1998-05-01 1998-07-25 김성은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
KR200429635Y1 (ko) * 2006-07-08 2006-10-25 이호상 주방 식기 건조대 위생 배수 물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7756U (ko) * 1974-05-22 1975-12-08
JPH09299259A (ja) * 1996-05-13 1997-11-25 Fumie Nishikawa 水切り食器収納器
KR19980033621A (ko) * 1998-05-01 1998-07-25 김성은 싱크대의 부엌용품 드레이너
KR200429635Y1 (ko) * 2006-07-08 2006-10-25 이호상 주방 식기 건조대 위생 배수 물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86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059B2 (en) Drying storage rack
CA2610322C (en) Dish rack having adjustable spout and removable drip tray
US9138124B2 (en) Table top dishwasher
EP2934277B1 (en) Cutlery rack
CA2714776C (en) Dish rack
US20220378252A1 (en) Foldable drain pad for faucet and draining method thereof
KR101323712B1 (ko) 설겆이대
KR101232833B1 (ko) 토출수 반전구
KR200470156Y1 (ko)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WO2009079923A1 (fr) Évier de cuisine équipé d'un égouttoir escamotable et réversible
KR20140004603U (ko) 싱크대에 설치되는 식기건조대용 물받이대
KR20090033570A (ko) 배수 트랩을 포함하는 싱크대
KR101754313B1 (ko)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KR20220001801U (ko) 싱크대의 개수대
WO2013109799A1 (en) Dishwashing machine with movable basket holder device
US20220369894A1 (en) Dish drying rack
KR200408195Y1 (ko) 식기 건조대
CN216907623U (zh) 集水装置及烹饪设备
CN213155733U (zh) 一种供水装置的加水结构
KR20140004835U (ko)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CN209750849U (zh) 一种可伸缩厨房沥水架
KR101397034B1 (ko) 식기세척기
JP3333820B2 (ja) キッチンのカウンター構造
KR20230032764A (ko) 식기세척기
KR101556720B1 (ko) 싱크대용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