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835U -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 Google Patents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835U
KR20140004835U KR2020130001312U KR20130001312U KR20140004835U KR 20140004835 U KR20140004835 U KR 20140004835U KR 2020130001312 U KR2020130001312 U KR 2020130001312U KR 20130001312 U KR20130001312 U KR 20130001312U KR 20140004835 U KR20140004835 U KR 201400048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ink
pipe
slide b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옥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노
Priority to KR2020130001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835U/ko
Publication of KR20140004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을 담아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개수대 및 요리를 할 수 있는 작업대가 구비된 씽크 보울의 개수대 상부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면서 개수대의 폭에 따라 선반의 길이가 가변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선반을 개수대 상단에 장착하도록 하여 설거지가 끝난 식기를 선반에 바로 올려놓도록 하여 설거지가 용이하고 개수대에 선반을 올려놓아 작업대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반을 냄비 받침대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받침대 사용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Slide rack}
본 고안은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담아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개수대 및 요리를 할 수 있는 작업대가 구비된 씽크 보울의 개수대 상부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면서 개수대의 폭에 따라 선반의 길이가 가변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선반을 개수대 상단에 장착하도록 하여 설거지가 끝난 식기를 선반에 바로 올려놓도록 하여 설거지가 용이하고 개수대에 선반을 올려놓아 작업대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선반을 냄비 받침대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받침대 사용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씽크 보울은 씽크대의 상면에 적층 구성되어 설거지를 하기 위한 개수대와 요리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작업대등을 포함하며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개수대는 그릇을 씻기 위해 물을 담거나 설거지 거리를 담아놓기 위해 상당면적의 체적을 지니며, 이러한 개수대 하부면으로는 오물이나 오수를 배수하기위한 배수구가 연장 설치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작업대는 개수대의 측부로 연결 형성되며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평면의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거지 작업을 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개수대 안쪽에서 설거지를 하고 설거지가 끝난 식기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통상 선반에 올려놓게 된다.
이때 선반은 통상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수납장에 형성되거나 또는 작업대에 비치된 선반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작업대에 비치된 선반은 2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라 물기가 있는 식기를 올려놓으면 물이 하부로 떨어지게 되므로 하부에 보관된 식기에 물이 뭍게 되므로 식기에 얼룩이 발생하는 주 요인이 되고 있다.
벽면에 부착된 선반은 씽크대를 설치할 때 함께 설치되어 물기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며, 설거지가 끝난 식기를 바로 올려놓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씽크대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식기에 묻어있는 물기가 떨어지면서 오히려 선반이 지저분해지는 폐단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반과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이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이동식 선반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작업대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고 작업대나 개수대의 폭에 따른 길이조절이 불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을 담아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개수대의 상부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면서 개수대의 폭에 따라 선반의 길이가 가변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선반을 제공하여 다양한 크기의 개수대에 적용 가능한 선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을 냄비 받침대로 사용가능하도록 씽크대 작업대가 뜨거운 냄비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이 가능하여 식탁이나 밥상등에도 사용이 용이한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을 원형으로 말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한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씽크 보울에 형성되는 개수대의 폭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큰 파이프 안쪽에 작은 파이프가 내재되는 슬라이드바의 작은 파이프가 슬라이드되면서 선반의 길이를 가변되도록 구성하고, 슬라이드바의 양단은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연결밴드를 형성하여 원형으로 말아둘 수 있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본 고안의 슬라이드바를 구성하는 2중 파이프 중 바깥쪽으로 구성되는 파이프는 큰 파이프 안쪽에 내재되는 작은 파이프가 큰 파이프의 외측단부에 걸리도록 스톱퍼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의 파이프는 금속재질이나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하여 뜨거운 냄비를 올려놓아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은 2중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슬라이드바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어 미끄럼운동을 하면서 폭이 가변되어 폭의 조절이 간편하여 씽크 보울에 형성되는 개수대의 폭에 따라 선반을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며, 슬라이드바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식기에 묻어있는 물기가 손쉽게 빠지는 효과가 있다.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선반은 슬라이드바가 연질의 연결밴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 구성되어 원형으로 말아둘 수 있어 그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슬라이드바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하여 뜨거운 냄비를 올려놓아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대에 올려놓거나 식탁 또는 밥상에 뜨거운 냄비를 올려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측면도.
도 4는 선반을 원형으로 말은 상태의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측면도, 도 4는 선반을 원형으로 말은 상태의 개략도.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은 씽크 보울에 형성된 개수대의 폭에 따라 선반(A)의 길이를 가변하여 개수대의 양쪽으로 걸쳐놓아 슬라이드바(2)에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선반(A)은 큰 직경의 파이프(4)에 작은 직경의 파이프(4a)가 내재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한 슬라이드바(2)와, 상기 슬라이드바(2)의 좌우 양단에 연결밴드(6)를 결합하여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연결밴드(6)는 파이프(4)(4a)의 결합을 위한 고정홈(8)이 형성된 돌출부(12)와 상기 돌출부에 띠상의 연결부(10)가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드바(2)를 일정간격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슬라이드바(2)는 2중 파이프로 구성되며 큰 파이프(4)의 안쪽에 내재되는 파이프(4a)에 스톱퍼(14)를 결합하면서 큰 직경의 파이프(4a)에 내재하고 큰 직경의 파이프(4) 끝단부는 안쪽으로 말아주어 최대한 벌렸을 경우 파이프가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때 스톱퍼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 슬라이드바(2)의 상하에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사용상태 및 설치상태를 설명하면 씽크 보울에 형성된 개수대에 맞추어 선반(A)의 좌우를 잡고 바깥쪽으로 당기면 큰 직경의 파이프(4)에 내재된 작은 직경의 파이프(4a)가 빠지면서 길이가 길어진 상태로 슬라이드바(2)가 구성된다.
따라서 개수대에 올려놓거나 씽크대 작업대에 올려놓고 물기가 있는 식기를 올려놓으면 물기가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드바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뜨거운 냄비를 올려놓아도 변형되지 않으므로 작업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선반(A)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을 원형으로 말아주면 부피가 작아지게 되므로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수납함의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슬라이드바 4, 4a: 파이프
6: 연결밴드

Claims (3)

  1. 개수대의 크기에 따라 선반의 길이를 가변하여 개수대의 전면 또는 측면에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도록 큰 직경의 파이프(4)에 작은 직경의 파이프(4a)가 내재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한 슬라이드바(2), 상기 슬라이드바(2)가 일정간격으로 유지하여 고정되도록 슬라이드바의 좌우 양단에 연결밴드(6)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6)는 파이프(4)(4a)의 결합을 위한 고정홈(8)이 형성된 돌출부(12)와 상기 돌출부에 띠상의 연결부(10)가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드바(2)를 일정간격으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슬라이드바(2)는 2중 파이프로 구성된 큰 파이프(4)의 안쪽에 내재되는 파이프(4a)에 스톱퍼(14)를 결합하면서 큰 직경의 파이프(4a)에 내재하고 큰 직경의 파이프(4) 끝단부는 안쪽으로 말아주어 최대한 벌렸을 경우 파이프가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KR2020130001312U 2013-02-20 2013-02-20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KR201400048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312U KR20140004835U (ko) 2013-02-20 2013-02-20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312U KR20140004835U (ko) 2013-02-20 2013-02-20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35U true KR20140004835U (ko) 2014-08-29

Family

ID=5244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312U KR20140004835U (ko) 2013-02-20 2013-02-20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8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86U (ko) 2016-12-29 2018-07-09 김종희 씽크대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086U (ko) 2016-12-29 2018-07-09 김종희 씽크대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2140B1 (en) Silverware container, especially silverware tray and/or silverware basket, as well as dishwasher with such a silverware container
EP2934277B1 (en) Cutlery rack
EP2554097A2 (en) Dishwasher rack comprising an extractable perimetric frame
US20170280966A1 (en) A dishwasher wire rack having an improved carrier adaptor tine assembly structure
US20040099617A1 (en) Over-the-sink organizer
JP6054619B2 (ja) 流し台用シンク
EP3594418B1 (en) Water sink having brackets
JP2012120740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20140004835U (ko)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WO2013092491A3 (de) Einspülanordnung für ein haushalt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sowie haushalt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CN106725219B (zh) 一种多功能沥水篮
CN210249741U (zh) 带沥水板的水槽及水槽式清洗机
WO2015000508A1 (en) Dishwasher basket
KR200465013Y1 (ko) 행주걸이가 부착된 식기건조대
WO2015000507A1 (en) Tableware supporting insert for a dishwasher basket and dishwasher basket comprising said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CN215899597U (zh) 置物架、承载篮和家用电器
KR20140004832U (ko)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CN211395856U (zh) 水槽及带有水槽的清洗设备
KR2014003369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바스켓
CN210300782U (zh) 一种活动组合碟架
CN210117760U (zh) 带沥水篮的水槽及水槽式清洗机
JP5927749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