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884B1 -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884B1
KR101322884B1 KR1020130079308A KR20130079308A KR101322884B1 KR 101322884 B1 KR101322884 B1 KR 101322884B1 KR 1020130079308 A KR1020130079308 A KR 1020130079308A KR 20130079308 A KR20130079308 A KR 20130079308A KR 101322884 B1 KR101322884 B1 KR 10132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ibration damper
rotating
vibration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박세진
이상근
김범중
이준
Original Assignee
(유)신일
박세진
이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일, 박세진, 이광호 filed Critical (유)신일
Priority to KR102013007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스크린을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이 수로의 유수를 따라 흘러 제진기의 스크린 하부와 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제진기의 불안한 작동 및 제진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VIBRATION DAMPER LOWER SPILL-RESISTANT DEVICE}
본 발명은 하부스크린을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이 수로의 유수를 따라 흘러 제진기의 스크린 하부와 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제진기의 불안한 작동 및 제진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등의 펌프장, 양수장, 상수도취수장, 하수처리장, 댐 및 소수력 발전소 등을 포함한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린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을 수거하여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진기는 크게, 로터리 제진기와 유압식 제진기로 대별되며, 최근에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수로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능함은 물론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는 멀티레벨제진기(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197537호)와; 설치, 보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제진기에 걸러진 오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스크린의 휘어짐을 방지할 뿐 아니라, 레이크를 회전시키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등 관리가 용이한 수로용 제진기 유니트(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 20-0323130호)와; 회전반경이 넓은 갈퀴부를 통해 협잡물의 인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스크린의 상측에 걸림빔을 구비하여 인양된 협잡물이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설치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하도록 한 갈퀴식 제진기(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 20-0333051호)가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와 수로의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으로 나무 등의 부피가 큰 이물질이 수로의 유수를 따라 흘러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일어나 상기 제진기의 불안한 작동 및 제진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197537호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 20-0323130호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 20-033305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하부스크린을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이 수로의 유수를 따라 흘러 제진기의 스크린 하부와 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제진기의 불안한 작동 및 제진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 전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수로의 바닥면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기 수로의 유속에 의해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에 접함으로서,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 하부와 상기 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스크린은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의 바닥면 일측과 상기 수로의 바닥면 타측에 각각 하측이 고정되는 일측브라켓 및 타측브라켓과; 상기 일측브라켓과 상기 타측브라켓에 각각 축결합되는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과; 상기 일측회전축과 상기 타측회전축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상부면에 상기 회동판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기 회동판의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수로의 유속에 의해 상부가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에 접하는 스크린 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하부스크린은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의 바닥면 일측과 상기 수로의 바닥면 타측에 각각 하측이 고정되는 일측브라켓 및 타측브라켓과; 상기 일측브라켓과 상기 타측브라켓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축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하측이 고정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상부면에 상기 회동판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기 회동판의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수로의 유속에 의해 상부가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에 접하는 스크린 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날개에 상기 수로의 유속의 저항을 받는 유속저항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스크린 날개의 상부 후측에 상기 스크린날개의 후측에서 상기 스크린날개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스크린 날개의 하부 전측방향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스크린 날개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가이드판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진기의 상측에서 상기 제진기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제진기의 복수의 레이크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진기의 복수의 레이크를 상기 제진기의 상측에서 상기 제진기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상기 제진기의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진기의 프레임에 전측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측에 축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진기의 복수의 레이크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터치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부스크린을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이 수로의 유수를 따라 흘러 제진기의 스크린 하부와 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제진기의 불안한 작동 및 제진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하부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하부스크린의 상측이 제진기의 스크린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 - A선에 따른 배면도이고,
도 7은 스크린 날개에 유속저항판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1는 터치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복수의 레이크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날개의 상측에 정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하부스크린(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하부스크린(10)의 상측이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스크린(51)의 하부에 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스크린(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스크린(10)의 하부는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수로(7)의 바닥면에 축결합된다.
상기 하부스크린(10)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스크린(10)의 상부는 상기 수로(7)를 따라 상기 수로(7)의 전측에서 상기 수로(7)의 후측방향으로 흐르는 유수의 유속에 의해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 하부 전측에 접하게 된다.
이로서,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 하부와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사이의 공간(S)으로 나무 등의 부피가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 - A선에 따른 배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스크린(10)은 일예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브라켓(110) 및 타측브라켓(120), 일측회전축(130) 및 타측회전축(140), 회동판(150) 및 스크린 날개(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상태인 상기 일측브라켓(110)의 하측 및 수직상태인 상기 타측브라켓(120)의 하측은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에 볼트고정된 고정판(100)의 상부 일측과 상기 고정판(100)의 상부 타측에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00)은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일측에서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축(130)의 일측은 상기 일측브라켓(110)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축(140)의 타측은 상기 타측브라켓(120)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동판(150)은 상기 일측회전축(130)과 상기 타측회전축(1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회전축(130) 및 상기 타측회전축(140)과 함께 정역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동판(150)은 바닥판(151)과 일측판(152) 및 타측판(1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51)은 상기 일측회전축(130)에서 상기 타측회전축(12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152) 및 상기 타측판(153)은 상기 바닥판(151)의 일측과 상기 바닥판(151)의 타측에서 상기 바닥판(15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152)은 상기 일측회전축(130)의 타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153)은 상기 타측회전축(140)의 일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날개(160)는 상기 회동판(150)의 바닥판(151)의 상부면에 상기 회동판(150)의 바닥판(151) 상부면 일측에서 상기 회동판(150)의 바닥판(151)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날개(160)의 상부는 상기 수로(7)를 흐르는 유수의 유속에 의해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에 접할 수 있다.
상기 하부스크린(10)은 다른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브라켓(110) 및 상기 타측브라켓(120), 회전축(170), 상기 회동판(150) 및 상기 스크린날개(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170)의 일측과 상기 회전축(170)의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브라켓(110)과 상기 타측브라켓(120)에 각각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동판(150)은 상기 바닥판(151), 상기 일측판(152), 상기 타측판(153) 및 고정브라켓(1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54)은 상기 바닥판(151)의 하부면에서 상기 바닥판(15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54)은 상기 바닥판(151)의 일측에서 상기 바닥판(15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70)은 상기 고정브라켓(154)의 중심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154)과 일체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스크린 날개(160)에 유속저항판(161)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스크린 날개(160)를 보다 용이하게 서로 연결시킴과 더불어 특히, 복수의 상기 스크린 날개(160) 모두가 상기 수로(7)를 흐르는 유수의 유속에 의해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기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에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스크린 날개(160)의 전측 중심부에는 상기 수로(7)를 흐르는 유수의 유속저항을 받는 유속저항판(161)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속저항판(161)은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일측에서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날개(160)의 상부 후측에는 상기 스크린날개(160)의 후측에서 상기 스크린날개(16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호형상의 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로(7)를 흐르는 유수를 따라 이동하는 부피가 큰 나무 등의 이물질을 상기 스크린 날개(160)의 전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안내(도 3 및 도 4의 점선화살표 참조.)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 날개(160)의 하부 전측방향에 가이드판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브라켓(110) 및 상기 타측브라켓(12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에 볼트고정된 상기 고정판(100)의 상부면 전측에는 수직프레임(19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90)은 상기 고정판(10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90)의 상측에 상기 가이드판부재(18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부재(180) 또한 상기 가이드판부재(180)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부재(180)의 하측에서 상기 가이드판부재(180)의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판부재(180)는 상기 스크린 날개(160)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도 8은 센서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센서부(20)와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제진기(5)의 상측에서 상기 제진기(5)의 하측방향으로 순환회전이동하는 상기 제진기(5)의 복수의 레이크(52)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는 근접센서(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센서부(2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진기(5)의 복수의 레이크(52)를 상기 제진기(5)의 상측에서 상기 제진기(5)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상기 제진기(5)의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부재(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진기(5)의 상측에서 상기 제진기(5)의 하측방향으로 순환회전이동하는 상기 제진기(5)의 복수의 레이크(52)가 상기 하부스크린(10)과 접한 상태로 상기 하부스크린(10)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스크린(10)의 상측방향으로 통과하는 과정 중에 상기 하부스크린(10)의 상측은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방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진기(5)의 복수의 레이크(52)가 상기 하부스크린(10)을 완전통과하게 되면, 상기 하부스크린(10)의 상측은 상기 수로(7)를 흐르는 유수의 유속에 의해 다시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과 접할 수 있다.
한편, 관리실 등의 특정장소에는 상기 센서부(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미도시)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20)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210), 회전축(220), 터치부재(230), 회전부재(240)와 상기 근접센서(2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전측은 상기 제진기(5)의 한쌍의 프레임(50) 중 어느 하나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타측면 중심부에는 고정편(26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60)의 일측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후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전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60)의 일측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타측면 중심부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60)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편(260)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편(26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2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60)에는 상기 근접센서(250)를 상기 고정편(260)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27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봉(271), 고정볼트(272) 및 와셔(2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봉(271)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고정봉(271)의 후측에는 상기 근접센서(250)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봉(271)의 후측 외주면에는 나사산(2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봉(271)의 후측은 상기 고정편(260)의 가이드슬릿(26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272)는 상기 가이드슬릿(261)의 전측방향과 상기 가이드슬릿(261)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고정봉(271)의 나사산(274)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편(260)의 일측 전면 및 상기 고정편(260)의 일측 후면에 각각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와셔(273)는 상기 고정볼트(272)와 상기 고정편(2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와셔(273)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봉(271)의 후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상기 회전축(220)의 중심부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후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재(230)와 상기 회전부재(240)는 단면형상이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관체 또는 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부재(230)는 상기 회전축(220)의 일측에 상기 회전축(220)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등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재(230)는 상기 제진기(5)의 복수의 레이크(52) 중 어느 하나와 접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40)는 상기 회전축(220)의 타측에 상기 회전축(220)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등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250)는 상기 회전부재(240)의 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고정편(260)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회전부재(240)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은 터치부재(23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일예로, 관리자가 상기 작동스위치를 ON상태로 조작할 경우, 상기 근접센서(250)가 복수의 상기 회전부재(240) 중 상기 근접센서(250)와 인접한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부재(240)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전원이 상기 근접센서(250)로 공급될 수 있다.
관리자가 상기 작동스위치를 OFF상태로 조작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근접센서(250)로의 상기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이로 인해 상기 근접센서(250)가 복수의 상기 회전부재(240) 중 상기 근접센서(250)와 인접한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부재(240)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관리자가 상기 작동스위치를 ON상태로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제진기(5)의 상측에서 상기 제진기(5)의 하측방향으로 순환회전이동하는 복수의 상기 레이크(52) 중 어느 하나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진기(5)의 하측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복수의 상기 터치부재(230) 중 어느 하나의 터치부재(230a)와 접하여 어느 하나의 상기 터치부재(230a)와 함께 상기 회전축(220) 및 회전부재(240)를 가령 반시계방향으로 90°로 점차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터치부재(230a)와 90°를 이룬 상태로 상기 회전축(22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터치부재(230b)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근접센서(250)는 복수의 상기 회전부재(240)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터치부재(230b)와 마주보면서 다른 하나의 상기 터치부재(230b)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90°로 점차 회전한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도 8의 240a)를 감지하게 된다.
도 12는 복수의 레이크(52) 중 어느 하나가 스크린 날개(160)의 상측에 정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상기 근접센서(250)가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도 8의 240a)를 감지할 경우,
복수의 상기 레이크(52) 중 다른 하나의 레이크(52)의 상측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스크린(10)의 상측에 정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진기(5)의 복수의 상기 레이크(52)를 상기 제진기(5)의 상측에서 상기 제진기(5)의 하측방향으로 순환회전이동시키는 상기 제진기(5)의 구동부재(미도시)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로서, 상기 제진기(5)의 작동정지 중에 상기 하부스크린(10)의 상측과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 사이로 나무 등의 부피가 큰 이물질이 통과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하부스크린(10)을 통해 부피가 큰 이물질이 수로(7)의 유수를 따라 흘러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 하부와 수로(7)의 바닥면(71) 사이의 공간(S)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여 상기 제진기(5)의 불안한 작동 및 제진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5; 제진기, 10; 하부스크린.

Claims (9)

  1.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수로(7)의 바닥면(71)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기 수로(7)의 유속에 의해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에 접함으로서,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 하부와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사이의 공간(S)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스크린(10)과;
    상기 제진기(5)의 상측에서 상기 제진기(5)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제진기(5)의 복수의 레이크(52)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제진기(5)의 프레임(50)에 전측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10)과;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후측에 축결합되는 회전축(220)과;
    상기 회전축(220)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진기(5)의 복수의 레이크(52)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터치부재(230)와;
    상기 회전축(220)의 타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부재(240)와;
    상기 회전부재(240)의 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210)에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회전부재(240)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근접센서(2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크린(10)은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일측과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타측에 각각 하측이 고정되는 일측브라켓(110) 및 타측브라켓(120)과;
    상기 일측브라켓(110)과 상기 타측브라켓(120)에 각각 축결합되는 일측회전축(130) 및 타측회전축(140)과;
    상기 일측회전축(130)과 상기 타측회전축(140) 사이에 구비되는 회동판(150)과;
    상기 회동판(150)의 상부면에 상기 회동판(15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기 회동판(150)의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수로(7)의 유속에 의해 상부가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에 접하는 스크린 날개(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크린(10)은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일측과 상기 수로(7)의 바닥면(71) 타측에 각각 하측이 고정되는 일측브라켓(110) 및 타측브라켓(120)과;
    상기 일측브라켓(110)과 상기 타측브라켓(120)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축결합되는 회전축(170)과;
    상기 회전축(170)에 하측이 고정되는 회동판(150)과;
    상기 회동판(150)의 상부면에 상기 회동판(150)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기 회동판(150)의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수로(7)의 유속에 의해 상부가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진기(5)의 스크린(51)의 하부에 접하는 스크린 날개(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날개(160)에 상기 수로(7)의 유속의 저항을 받는 유속저항판(16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날개(160)의 상부 후측에 상기 스크린날개(160)의 후측에서 상기 스크린날개(16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홈(1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날개(160)의 하부 전측방향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스크린 날개(160)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가이드판부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진기(5)의 복수의 레이크(52)를 상기 제진기(5)의 상측에서 상기 제진기(5)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상기 제진기(5)의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30079308A 2013-07-05 2013-07-05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KR10132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308A KR101322884B1 (ko) 2013-07-05 2013-07-05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308A KR101322884B1 (ko) 2013-07-05 2013-07-05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884B1 true KR101322884B1 (ko) 2013-10-29

Family

ID=4963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308A KR101322884B1 (ko) 2013-07-05 2013-07-05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8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930A (ja) * 1994-10-14 1996-05-07 Ebara Corp 除塵装置
JPH11280043A (ja) * 1998-03-30 1999-10-12 Marusei Heavy Industry Works Ltd 大型塵芥掻揚拒否部材をもつレ−キ付除塵機
JP2007056473A (ja) * 2005-08-22 2007-03-08 Fujiken:Kk 除塵機
KR20080022156A (ko) * 2008-02-14 2008-03-10 윤병화 자동제진기의 근접센서를 이용한 멈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3930A (ja) * 1994-10-14 1996-05-07 Ebara Corp 除塵装置
JPH11280043A (ja) * 1998-03-30 1999-10-12 Marusei Heavy Industry Works Ltd 大型塵芥掻揚拒否部材をもつレ−キ付除塵機
JP2007056473A (ja) * 2005-08-22 2007-03-08 Fujiken:Kk 除塵機
KR20080022156A (ko) * 2008-02-14 2008-03-10 윤병화 자동제진기의 근접센서를 이용한 멈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623B1 (ko) 제진기의 협잡물 감지장치
KR101695462B1 (ko)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
KR101355194B1 (ko) 수력을 이용한 제진기
KR101177923B1 (ko) 제진장치
KR101544800B1 (ko) 조, 세목 협잡물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로터리제진기
KR101373531B1 (ko) 협잡물 찌꺼기 자동제거유닛을 갖는 로터리식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02516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427980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922149B1 (ko) 제진기
KR101856997B1 (ko) 로킹형 전위스크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101322884B1 (ko) 제진기 하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KR101331968B1 (ko) 커터장치가 설치된 로타리 제진기
KR102184790B1 (ko) 선회가능한 레이크 평면스크린장치
KR101074826B1 (ko)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KR102042384B1 (ko) 수류 유도장치를 구비한 제진기
KR20140033613A (ko)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CN112065734B (zh) 一种污水泵的流量控制方法
KR101885742B1 (ko) 제진기 스크린용 스크린 바
CN212690479U (zh) 一种污水泵
KR200310478Y1 (ko)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
KR101427981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20140124939A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365038B1 (ko)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JP4834717B2 (ja) 除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