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437B1 -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437B1
KR101320437B1 KR1020110128834A KR20110128834A KR101320437B1 KR 101320437 B1 KR101320437 B1 KR 101320437B1 KR 1020110128834 A KR1020110128834 A KR 1020110128834A KR 20110128834 A KR20110128834 A KR 20110128834A KR 101320437 B1 KR101320437 B1 KR 101320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lock body
locking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533A (ko
Inventor
이영아
Original Assignee
이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아 filed Critical 이영아
Priority to KR102011012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4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닫이 도어의 전면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후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닫이 도어를 열거나 닫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상기 여닫이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여닫이 도어와 인접되는 인접부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여닫이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손잡이의 수용홈에 끼워맞추어지는 고정블럭; 및 상기 여닫이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손잡이와 상기 고정블럭이 서로 상대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손잡이의 일부분이 록킹수단에 의해 문틀에 마련된 고정블럭(20)에 구속됨에 따라 별개의 잠금부재를 도어나 문틀에 매립하지 않고도 도어를 록킹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도어의 제작공정이 단축될 수 있으며, 도어에 손잡이만이 설치됨에 따라 도어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므로 도어의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HANDLE TYPE LOCKING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에 부착되어 도어의 손잡이로 사용함과 동시에 도어를 잠글 수 있는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건물의 방이나 옷장과 같은 가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를 위하여 파지되는 손잡이(2)와, 상기 손잡이(2)와 분리된 잠금을 위한 잠금장치(3)가 마련된다.
통상적인 잠금장치(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에 매립설치되는 잠금본체(4)와, 상기 잠금본체(4)의 측방에서 상기 도어(1)의 측방으로 돌출가능하게 매립되는 걸림돌기(5)와, 문틀(1a)이나 또 다른 도어에 홈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2)에 걸리는 걸림구(6)로 구성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통상의 잠금장치(3)는 잠금본체(4)와 걸림돌기(5)가 도어(1)에 매립상태로 설치됨은 물론 걸림구(6)가 문틀(1a)에 매립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도어(1) 및 문틀(1a)에 별개의 매립홈을 성형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번거로우며, 도어(1)의 제작공정 및 제작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위의 잠금장치(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통(4)이 도어(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손잡이(2)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도어(1)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손잡이의 중앙에 잠금본체가 설치된 잠금장치가 제작되고 있으나, 이러한 잠금장치 역시 도어에 매립되는 구조이므로 제작 및 설치가 더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도어에 별개의 매립홈을 성형하지 않고도 도어에 설치하여 도어를 록킹할 수 있는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와 잠금장치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손잡이와 잠금장치를 하나의 유니트에 의해서 함께 형성할 수 있는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는, 여닫이 도어의 전면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후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닫이 도어를 열거나 닫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상기 여닫이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여닫이 도어와 인접되는 인접부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여닫이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손잡이의 수용홈에 끼워맞추어지는 고정블럭; 및 상기 여닫이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손잡이와 상기 고정블럭이 서로 상대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형성한 수용홈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여닫이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형성한 관통부에 위치하게 되는 걸쇠;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형성한 관통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쇠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와 상기 고정블럭이 서로 상대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는 잠금본체; 및 상기 잠금본체의 일단부에 형성한 열쇠공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잠금본체와 상기 걸쇠를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도록 하는 열쇠;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잠금본체의 외주에는 상기 잠금본체를 감싸는 함체형의 케이스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에 의하면, 도어를 개폐시키는 손잡이가 록킹수단에 의해 문틀에 마련된 고정블럭에 구속됨에 따라 별개의 잠금부재를 도어나 문틀에 매립하지 않고도 도어를 록킹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도어의 제작공정이 단축될 수 있으며, 도어의 잠금장치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도어의 손잡이만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도어의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는 도어의 손잡이와 잠금장치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손잡이와 잠금장치를 하나의 유니트에 의해서 함께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가 있고, 또 손잡이의 외관을 달리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구비하면서도 잠금장치가 설치된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에 의해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의 록킹수단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 고정블럭(20), 및 록킹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10)는 여닫이 도어(DR)를 열거나 닫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 도어(DR)의 전면 일측에 나사나 볼트, 또는 접착제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 고정결합되고, 후면에는 후술하는 고정블럭(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어떠한 형태이던지 후면에 고정블럭(2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1a)이 형성되면서 상기 여닫이 도어(DR)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라면 채택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일예로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와, 상기 파지부(13)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11)로 구분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그 이외에 상기 파지부(13)를 생략하고 몸체부(11)만으로도 손잡이(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럭(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닫혔을 때, 상기 여닫이 도어(DR)와 인접되는 인접부(FR)에 나사나 볼트, 또는 접착제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서 고정결합되고,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닫혔을 때, 상기 손잡이(10)의 수용홈(11a)에 끼워맞추어지게 된다.
상기 인접부(FR)는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설치되는 문틀이 될 수도 있고, 상기 여닫이 도어(DR)와 대칭상태로 개폐되는 다른 여닫이 도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블럭(20)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잠금본체(33)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부(20a)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수단(30)은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닫혔을 때, 상기 손잡이(10)와 상기 고정블럭(20)이 서로 상대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31)와, 잠금본체(33)와, 열쇠(K)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쇠(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0)의 내부에 형성한 수용홈(11a)에 봉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측에는 후술하는 잠금본체(33)에 끼워져서 체결될 수 있는 요홈부(31a)가 형성되며,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닫혔을 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럭(20)의 내부에 형성한 관통부(20a)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고정블럭(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20a)의 일측에 절개부(21)가 마련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닫히게 될 때, 상기 걸쇠(31)가 상기 절개부(21)를 통하여 상기 관통부(20a)의 내부로 위치되게 된다.
상기 잠금본체(33)는 상기 고정블럭(20)의 내부에 형성한 관통부(20a)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관통부(20a)에 삽입되어 상기 걸쇠(31)에 체결되었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0)와 상기 고정블럭(20)이 서로 상대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도록 한다.
상기 잠금본체(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는 걸쇠(31)가 끼워져서 걸쇠(31)를 체결시키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열쇠(K)를 끼우기 위한 열쇠공(H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잠금본체(33) 자체는 본 발명의 출원 이전에 공지된 잠금본체, 즉, 열쇠를 돌려서 잠금고리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잠금본체(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10-2010-59718호에 개시된 잠금본체나, 실용신안공고번호 1990-0002574호에 개시된 자물쇠)를 그대로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잠금본체 내부의 구조 자체는 본 발명의 요지도 아니므로 여기에서는 공지된 잠금본체 자체의 내부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잠금본체(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4)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잠금본체(33)가 내장됨에 따라 잠금본체(33)의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잠금본체(33)에 형성한 체결공(미도시)과 연통되는 체결공(H1)과, 열쇠공(H2)에 연통하는 연통공(H3)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열쇠(K)는 상기 잠금본체(33)의 일측에 형성한 열쇠공(H2)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잠금본체(33)와 상기 걸쇠(31)를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여닫이 도어(DR)가 열려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여닫이 도어(DR)의 전면 일측에는 후면에 수용홈(11a)이 형성된 손잡이(10)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인접부(FR) 즉, 문틀 또는 다른 여닫이 도어의 전면 일측에는 관통부(20a)와 절개부(21)가 형성된 고정블럭(20)이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10)의 수용홈(11a)에는 요홈부(31a)가 형성된 걸쇠(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잠금본체(33)는 상기 고정블럭(20)에서 분리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여닫이 도어(DR)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0)를 밀게 되면,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히게 되면서 상기 여닫이 도어(DR)의 수용홈(11a)에 문틀 또는 다른 여닫이 도어에 고정결합된 고정블럭(20)이 끼워맞추어지게 된다.
이때, 걸쇠(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와 함께 이동하면서 고정블럭(20)의 절개부(21)를 통해 고정블럭(20)의 관통부(20a)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DR)를 폐쇄상태로 록킹할 경우,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상태로 보관된 잠금본체(33)를 고정블럭(20)의 관통부(20a)에 삽입한다.
이때, 잠금본체(33)는 관통부(20a)에 삽입되면서 걸쇠(31)에 체결되고, 잠금본체(33) 외주를 감싸는 케이스(34)의 외주면이 관통부(20a)의 내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잠금본체(33)는 상기 손잡이(10)와 상기 고정블럭(20)이 서로 상대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여닫이 도어(DR)는 폐쇄된 상태로 록킹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여닫이 도어(DR)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K)를 통해 잠금본체(33)의 잠금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잠금본체(33)가 걸쇠(31)와 분리되면서 잠금본체(33)가 고정블럭(20)의 관통부(20a)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잠금본체(33)를 상기 고정블럭(20)의 관통부(20a)에서 분리하게 되면, 상기 손잡이(10)와 상기 고정블럭(20)은 서로 상대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잡아 당기게 되면, 손잡이(10)가 고정블럭(20)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여닫이 도어(DR)가 열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는, 여닫이 도어(DR)를 개폐시키는 손잡이(10)가 록킹수단(30)에 의해 문틀(FR)에 마련된 고정블럭(20)에 구속됨에 따라 별개의 잠금부재를 여닫이 도어(DR)나 문틀(FR)에 매립하지 않고도 여닫이 도어(DR)를 록킹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제작공정이 단축될 수 있으며, 도어에는 손잡이(10)만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도어(DR)의 미관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손잡이(10)와 고정블럭(20)이 록킹수단(30)에 의해 도어를 록킹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손잡이(10)와 잠금수단을 도어에 별도로 각각 형성하여야 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한, 잠금본체(33)가 케이스(34)에 내장됨에 따라 잠금본체(33)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잠금본체(33)의 표면을 장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 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손잡이 11a : 수용홈
20 : 고정블럭 20a : 관통부
21 : 절개부 30 : 록킹수단
31 : 걸쇠 33 : 잠금본체
34 : 케이스 DR : 도어
FR : 인접부 K : 열쇠

Claims (3)

  1. 삭제
  2. 여닫이 도어(DR)의 전면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후면에는 수용홈(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닫이 도어(DR)를 열거나 닫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0);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닫혔을 때, 상기 여닫이 도어(DR)와 인접되는 인접부(FR)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는 관통부(20a)가 형성되며,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닫혔을 때, 상기 손잡이(10)의 수용홈(11a)에 끼워맞추어지는 고정블럭(20); 및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닫혔을 때, 상기 손잡이(10)와 상기 고정블럭(20)이 서로 상대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는 록킹수단(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수단(30)은,
    상기 손잡이(10)의 내부에 형성한 수용홈(11a)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여닫이 도어(DR)가 닫혔을 때, 상기 고정블럭(20)의 내부에 형성한 관통부(20a)에 위치하게 되는 걸쇠(31);
    상기 고정블럭(20)의 내부에 형성한 관통부(20a)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관통부(20a)에 삽입되어 상기 걸쇠(31)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10)와 상기 고정블럭(20)이 서로 상대운동하지 못하도록 록킹시키는 잠금본체(33); 및
    상기 잠금본체(33)의 일단부에 형성한 열쇠공(H2)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잠금본체(33)와 상기 걸쇠(31)를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도록 하는 열쇠(K);로 이루어지는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본체(33)의 외주에는 상기 잠금본체(33)를 감싸는 함체형의 케이스(34)가 더 부착되는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KR1020110128834A 2011-12-05 2011-12-05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KR101320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834A KR101320437B1 (ko) 2011-12-05 2011-12-05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834A KR101320437B1 (ko) 2011-12-05 2011-12-05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533A KR20130062533A (ko) 2013-06-13
KR101320437B1 true KR101320437B1 (ko) 2013-10-23

Family

ID=4886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834A KR101320437B1 (ko) 2011-12-05 2011-12-05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74B1 (ko) 2020-02-27 2020-11-13 유연순 자동 단속구조의 가구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4389B3 (de) 2018-08-27 2019-10-10 Kermi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zum Sperren einer Tü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344U (ko) * 2008-03-05 2008-03-26 강호중 안전강재(鋼材)사물함
KR20100004051U (ko) * 2008-10-09 2010-04-19 정옥교 통합 기능 도어 손잡이와 잠금 고리의 긴 옷장 체결구조
KR20110115753A (ko) * 2010-04-16 2011-10-24 이영아 자물쇠용 장식케이스
KR20110127302A (ko) * 2010-05-19 2011-11-25 이영아 빗장형 자물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344U (ko) * 2008-03-05 2008-03-26 강호중 안전강재(鋼材)사물함
KR20100004051U (ko) * 2008-10-09 2010-04-19 정옥교 통합 기능 도어 손잡이와 잠금 고리의 긴 옷장 체결구조
KR20110115753A (ko) * 2010-04-16 2011-10-24 이영아 자물쇠용 장식케이스
KR20110127302A (ko) * 2010-05-19 2011-11-25 이영아 빗장형 자물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74B1 (ko) 2020-02-27 2020-11-13 유연순 자동 단속구조의 가구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533A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6844A1 (en) Knob for an electronic locking cylinder
JP4875738B2 (ja) 鍵穴隠れ式解錠装置
KR200436620Y1 (ko)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US7475579B2 (en) Lock with a limiting slide assembly
KR101320437B1 (ko)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JP2010084501A (ja) 引戸用錠
US9003841B2 (en) Lever type handle and lock assembly for the same
US20140223977A1 (en) Burglarproof lock core assembly
US20190323261A1 (en) Improved door lock
TW443389U (en) Door lock structure with mechanism of locking while closing
KR200437756Y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110139562A (ko) 조립형 자물쇠
KR20150084697A (ko) 매립형 도어록
KR101125716B1 (ko) 빗장형 자물쇠
CN212201798U (zh) 一种便于组装的防爆型防盗门
KR100798154B1 (ko) 강화유리 도어용 내장형 잠금장치
KR200448633Y1 (ko) 차량용 공구함의 잠금장치
KR101018557B1 (ko) 출입문용 잠금장치
KR101250554B1 (ko) 강화유리 도어의 락킹장치
JP6633880B2 (ja) 電気錠を備えたドア装置
CN106285234A (zh) 一种启闭机箱外壳的锁具
CN203856283U (zh) 密码锁
KR20170067113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394570Y1 (ko) 커버가 설치된 기계식 다이얼 자물쇠의 결합구조
KR20110096478A (ko) 도어용 드로와 랫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