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478A - 도어용 드로와 랫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드로와 랫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478A
KR20110096478A KR1020100089258A KR20100089258A KR20110096478A KR 20110096478 A KR20110096478 A KR 20110096478A KR 1020100089258 A KR1020100089258 A KR 1020100089258A KR 20100089258 A KR20100089258 A KR 20100089258A KR 20110096478 A KR20110096478 A KR 20110096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base
draw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563B1 (ko
Inventor
한형환
이희수
Original Assignee
한형환
이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형환, 이희수 filed Critical 한형환
Priority to PCT/KR2010/0062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02579A1/ko
Publication of KR2011009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드로와 랫치에 관한 것으로, 키박스를 구비한 레버, 상기 레버의 선단부에 힌지 고정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가 힌지 고정된 쪽 레버의 단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되게 조립된 베이스,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를 탄성복귀시키는 베이스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래치부와; 설치대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가 걸림되어 도어의 잠금/해제 기능을 유도하는 키퍼부;를 포함하는 도어용 드로와 랫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로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드로와 랫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용 드로와 랫치를 설치대상면에 고정시키는 주된 구성인 베이스를 벌려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간섭이 최소화되어 설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작업자 혼자서도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도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드로와 랫치{DRAW LATCH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드로와 랫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스너 핸들을 설치면에 고정할 때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도어용 드로와 랫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손잡이에는 간이 개폐를 위하여 도어손잡이와 래치(Latch)기구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도어를 열 때에는 손잡이에 래치기구와 연동하게 개방되고, 도어를 닫을 때에는 래치기구만이 전진하여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도어용 드로와 랫치(Draw Latch)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여닫이식 도어를 가지고 있는 가스오븐레인지나 온장고 및 냉장고 등에서는 손잡이가 별도로 있고, 도어와 본체가 만나는 부분에는 대부분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맞붙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손잡이에 래치기구가 연동하도록 하는 방식에서는 래치기구가 도어의 안쪽에 있어서 도어가 완전히 닫혔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가스오븐레인지나 온장고 등에서는 열 손실이 매우 크게 되고, 음식물이 익지 않거나 과열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영구자석에 의하여 도어와 본체를 맞붙이는 방식에 있어서는 도어를 여닫는 면에서 편의성을 갖지만 도어의 폐쇄실패율은 상기 경우보다도 매우 많아서 열 손실과 과열이 매우 심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점을 보완하면서 래치작용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손잡이 겸용 래치기구에 관한 기술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9-15781호 "도어용 손잡이"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도어용 손잡이는 안전한 결속상태로 유동체본체인 도어의 동작을 폐쇄하여 열 수 있게 하여서 온장고나 냉장고 등의 열 손실을 없게 하고, 손잡이의 조작으로 간단하고 용이한 해제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는 많은 부재들이 상호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제작의 어려움이 있게 됨과 동시에 빈번한 고정으로 제 사용을 다하지 못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한 기술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0034081호가 있으며, 이는 개폐형식의 도어손잡이와 대응하며 스트라이커의 길이조정을 자유롭게 하여 스트라이커와 도어손잡이의 조립위치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고 양호한 체결상태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또한 도어손잡이의 래치 전후로 탄력유동이 가능하게 손잡이 본체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를 스트라이커에 결합할 때 래치가 통제되지 못하고 자유롭게 탄력 유동되어 스트라이커의 선단부 상면에 부딪쳐서 스트라이커 도장 처리된 표면부가 벗겨지거나 손상되어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사용상의 문제가 있다.
이에, 등록실용 제0379281호 "도어용 손잡이"가 개시되어 이를 더욱 개선하고 있는데, 개시된 기술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본체면에 고정시키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상에서 힌지(20)로 결합되며 전후로 탄력 유동하면서 일정각도 만큼 후방으로 젖혀지는 래치(30)와, 상기 래치(30)의 전방선단이 타고 넘어 걸릴 수 있도록 도어면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50)로 이루어진 고정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래치(30)와 일체로 양단이 힌지(20) 결합되는 결속링(62,62a)에 연장되어 있는 내향고정돌기(64,64a)를 손잡이 본체(70)에 고정하고, 상기 결속링(62,62a)에서 상행과 횡행되어진 지지부(66)로 상기 래치(30)의 내면에 대응시킨 탄성스프링(60)을 설치하여 스트라이커(50)에 래치(30)가 부딪히거나 긁히지 않고 결속과 해제를 이루게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개시된 기술은 베이스(10)와 손잡이 본체(70)가 서로 분리된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조립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대상면에 상기 베이스(10)를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래치(30)를 포함한 손잡이 본체(70)를 고정해야 된다.
따라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에 상기 손잡이 본체(70)를 끼워 걸고 누르면서 볼트나 나사로 체결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난해하였다.
이를 더욱 개선한 예로 도 4를 예시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베이스(10)를 손잡이 본체(7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하고, 스프링(80)으로 탄성복귀되게 구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 경우에는 베이스(10)와 손잡이 본체(70)가 하나의 부품처럼 연결되어 있어 작업성은 향상되었지만 베이스(10)를 설치대상면에 고정하기 위해 손잡이 본체(70)로부터 벌릴 때 스프링(80) 때문에 자꾸 원래 위치로 복귀되려고 하므로 래치(30), 손잡이 본체(70)와 간섭이 일어나 베이스(10)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또다른 문제를 야기시켰다.
여기에서, 상기 도어용 드로와 랫치는 래치부(latch part)와 키퍼부(keeper part)로 구성되어 래치부의 구성이 키퍼부에 잠금/해제되도록 구성되는데, 선행기술에 개시된 용어를 그대로 차용해서 사용함으로 인해 후술되는 용어와 혼동이 있을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래치(30)는 래치부의 구성중 하나로서 블레이드(blade)로 불리기도 하며, 스트라이커(50)는 키퍼부와 동일한 것이고, 손잡이 본체(70)는 레버(lever)로 불리기도 하므로 용어상 혼동을 가질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회전유동되는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베이스를 일정각도 내에서 걸림되게 구성하여 설치 작업시에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설치 후에는 걸림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쉽게 원위치시킬 수 있어 많은 작업인력을 요구하지도 않으면서 간편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드로와 랫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박스를 구비한 레버, 상기 레버의 선단부에 힌지 고정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가 힌지 고정된 쪽 레버의 단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되게 조립된 베이스,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를 탄성복귀시키는 베이스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래치부와; 설치대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가 걸림되어 도어의 잠금/해제 기능을 유도하는 키퍼부;를 포함하는 도어용 드로와 랫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로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드로와 랫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힌지에는 상기 로커를 탄성복귀시키는 로커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용 드로와 랫치를 설치대상면에 고정시키는 주된 구성인 베이스를 벌려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간섭이 최소화되어 설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작업자 혼자서도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도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설치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래치부 외관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는 앞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였듯이, 래치부와 키퍼부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는 래치부의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부는 블레이드(blade)(100)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100)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였듯이 키퍼부(종래 기술에서는 스트라이커)에 걸림되어 잠금되거나 혹은 해정됨으로써 도어(미도시)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00)의 일단, 즉 잠금되는 부위의 타단 양측은 레버(200)의 양측에 힌지(400)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버(200)의 양측 일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사선형태로 경사지게 단턱 형상의 스토퍼(2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블레이드(100)의 개방각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400)에는 로커(locker)(41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로커(410)는 베이스(300)의 걸림턱(330)에 걸려 상기 베이스(300)가 탄성복귀되지 않고 걸림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로커(410)는 상기 힌지(400)에 끼움되는 로커토션스프링(420)의 일단에 걸려 탄성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더욱 좋다.
즉, 상기 로커토션스프링(420)은 상기 힌지(4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로커(410)에 걸림되고, 타단은 레버(200)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로커(410)에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로커(410)가 항상 언로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게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레버(200)의 상면 중앙에는 키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키홈(220)에는 키박스(미도시)가 장착되어 후술되는 베이스(300)의 락킹홈(310)에 잠그고 풀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시에만 상기 레버(200)를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200)의 하측에는 베이스(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베이스(300)는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유동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300)의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앞서 설명한 로커(41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턱(330)이 형성되어 상기 로커(410) 조작시 이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도 8과 같이 상기 베이스(300)를 설치면에 고정할 때에는 상기 베이스(300)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젖혀 일정각도로 벌린 상태에서 설치대상면에 대고 앵커, 나사, 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하고, 고정이 완료되면 걸림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로커(410)를 해제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300)를 레버(200)에 수평하게 원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320)에는 베이스토션스프링(340)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토션스프링(34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300)의 일단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200)의 선단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베이스(300)를 원위치로 탄성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300)의 일단은 수직 절곡되고 그 절곡된 부위에는 락킹홈(310)이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키박스(미도시) 설치시 상기 레버(200)를 락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300)의 절곡되지 않은 수평면 상에는 다수개의 고정공(350)이 형성되어 이를 관통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300)가 설치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블레이드(100)와 레버(200) 및 베이스(300)가 상호 조립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가 설치장소에 배치된다.
그 상태에서, 래치부의 고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아주 편리한 작업성을 제공한다.
예컨대, 래치부의 고정작업을 위해 베이스(300)를 레버(200)에 대하여 대략 90°정도 베이스(300)가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로커(410)를 조작하여 로커(410)로 하여금 베이스(300)의 걸림턱(330)에 걸리게 하면 상기 베이스(300)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벌어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커(410)에 로커토션스프링(420)이 더 구비된 경우라면 작업 후 복귀작업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베이스(300)가 벌어진 상태로 고정되면 고정공(350)이 블레이드(100)나 레버(200)와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통한 설치면상에서의 설치작업, 즉 고정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되며, 단시간에 한 명의 작업자 만으로도 쉽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베이스(300)가 설치면에 고정되면 걸림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로커(410)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베이스토션스프링(34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베이스(300)는 원래 상태로 쉽게 복귀하게 된다.
이후, 키퍼부(500, 도 7 참조)를 설치하여 블레이드(100)와 최적의 걸림 고정상태에 맞게 위치선정한 후 이를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드로와 랫치는 래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300)의 구조 개선을 통해 작업의 편의성 및 용이성 향상, 작업의 효율성 극대화, 작업시간 단축, 작업인원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 블레이드 200 : 레버
210 : 스토퍼 220 : 키홈
300 : 베이스 310 : 락킹홈
320 : 회전축 330 : 걸림턱
340 : 베이스토션스프링 350 : 고정공
400 : 힌지 410 : 로커
420 : 로커토션스프링 500 : 키퍼부

Claims (2)

  1. 키박스를 구비한 레버, 상기 레버의 선단부에 힌지 고정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가 힌지 고정된 쪽 레버의 단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되게 조립된 베이스,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를 탄성복귀시키는 베이스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래치부와; 설치대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블레이드가 걸림되어 도어의 잠금/해제 기능을 유도하는 키퍼부;를 포함하는 도어용 드로와 랫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로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드로와 랫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에는 상기 로커를 탄성복귀시키는 로커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드로와 랫치.
KR1020100089258A 2010-02-22 2010-09-13 도어용 드로와 랫치 KR10124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6204 WO2011102579A1 (ko) 2010-02-22 2010-09-13 도어용 드로와 랫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5778 2010-02-22
KR1020100015778 2010-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478A true KR20110096478A (ko) 2011-08-30
KR101246563B1 KR101246563B1 (ko) 2013-03-25

Family

ID=4493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258A KR101246563B1 (ko) 2010-02-22 2010-09-13 도어용 드로와 랫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7351A1 (de) 2011-09-23 201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zeigevorrichtungs-Treiberschaltung mit geteiltem Multifunktions-Rückkanal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US11642934B2 (en) 2017-07-27 2023-05-09 Hanon Systems Vehicle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17294U1 (ko) 1990-12-21 1991-03-14 F. Hesterberg & Soehne Gmbh & Co Kg, 5828 Ennepetal, De
JP4127353B2 (ja) 2001-12-06 2008-07-30 株式会社日乃本錠前 錠前
JP4393894B2 (ja) 2004-03-09 2010-01-06 株式会社日乃本錠前 把手兼用ロック体
JP2009203604A (ja) 2008-02-26 2009-09-10 Takigen Mfg Co Ltd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7351A1 (de) 2011-09-23 201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zeigevorrichtungs-Treiberschaltung mit geteiltem Multifunktions-Rückkanal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US11642934B2 (en) 2017-07-27 2023-05-09 Hanon Systems Vehicle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563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7241B2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US9482035B2 (en) Recessed lock actuating device for sliding doors
TWI611089B (zh) 裝設於雙扇門的鎖具構造
CA2806376C (en) Door lock with removable handle and puck lock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EP3800313A2 (en) Movable front panel for home appliance
TWI745334B (zh) 可逆之可左右安裝閂鎖及安裝一閂鎖總成之方法
JP4777136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101246563B1 (ko) 도어용 드로와 랫치
KR100807590B1 (ko) 방향전환 기능을 가지는 이단 돌출식 도어록 모티스
KR200451017Y1 (ko) 매립형 가구 손잡이
US10982472B1 (en) Appliance lock assembly
JP6351462B2 (ja) キャビネットの扉ロック構造
KR200446666Y1 (ko) 창호의 자동 로킹장치
US20080256992A1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WO2011102579A1 (ko) 도어용 드로와 랫치
KR200452121Y1 (ko) 도어용 손잡이
KR200370941Y1 (ko) 중장비용 도어록킹장치
KR200478346Y1 (ko) 래치볼트의 좌우수 전환 구조체
KR20120055953A (ko) 드로우 래치 록킹장치
KR101174041B1 (ko) 도어용 드로와 래치
JP4127353B2 (ja) 錠前
KR200447447Y1 (ko)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KR20090061121A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JP2004211400A (ja) 扉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