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423B1 -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423B1
KR101320423B1 KR1020110127335A KR20110127335A KR101320423B1 KR 101320423 B1 KR101320423 B1 KR 101320423B1 KR 1020110127335 A KR1020110127335 A KR 1020110127335A KR 20110127335 A KR20110127335 A KR 20110127335A KR 101320423 B1 KR101320423 B1 KR 101320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communication
moving object
base stati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990A (ko
Inventor
이상문
홍순진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제이엠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12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4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간의 통신을 통하여 생성되며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교통 정보를 제 2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로 변환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한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제 2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로 변환하여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에 전송하는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의 일종인 UTIS(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시스템을 각 지자체별로 구축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UTIS 시스템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써 교통 서버, RSE(Roadside Equipment), OBE(Onboard Equipment)로 구성된다.
UTIS는 무선랜 통신 방식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나, 초기 접속시 암호화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무선랜 통신 방식과는 상이하고 기타 무선에 관련된 스펙도 상이하므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UTIS 시스템내의 모듈들은 일반적인 Wi-Fi 장치와는 통신을 수행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UTIS 시스템내의 RSE와 OBE는 자신만의 프로토콜을 가지고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Wi-Fi 장치와 호환이 불가능하므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고가의 OBE가 내장된 CNS(Car Navigation System)를 구매하여야 한다. 특히, CNS가 디자인이나 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더라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을 구매하여야 하므로 서비스의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UTIS 시스템에서는 긴급 정보 단추를 제공하여 차량 사고등과 같은 긴급 상황시에 경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외부에 돌출된 형태의 버튼으로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가 실수로 해당 버튼을 누를 수 있어 해당 서비스가 유명 무실해지고 있다. 따라서,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제 1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한 교통 정보를 변환하여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에 전송하는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간의 통신을 통하여 생성되며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교통 정보를 제 2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는, UTIS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탑재장치(OBE)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는, 상기 UTIS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변기지국(R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변환된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로 상기 변환된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부터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 또는 상기 변환된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간의 통신을 통하여 생성되며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교통 정보를 제 2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서는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제 2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상이한 지도 데이터에 적용되는 교통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서는 제 1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교통 정보를 변환한 후 제 2 통신 방식으로 다른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UTIS에 호환되지 않는 일반적인 단말에서도 UTI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서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제 2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후 제 1 통신 방식을 통하여 UTIS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고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TIS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에 관한 구체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시스템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은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 알맞은 신속, 안전, 쾌적한 차세대 교통체계를 구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ITS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먼저, ATMS(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는 도로상에 차량 특성, 속도 등의 교통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로 교통의 관리와 최적 신호 체계의 구현을 꾀하는 동시에 여행시간 측정과 교통사고 파악 및 과적 단속 등의 업무 자동화를 구현한다. ATMS의 일 예로는 요금 자동 징수 시스템과 자동단속시스템이 있다.
다음으로, ATIS(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는 교통 여건, 도로 상황,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 소요 시간, 주차장 상황 등 각종 교통 정보를 FM 라디오방송, 차량 내 단말기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신속,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최적 교통을 지원한다. ATIS의 일 예로는 운전자 정보 시스템, 최적 경로 안내 시스템, 여행 서비스 정보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APTS(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는 대중교통 운영체계의 정보화를 바탕으로 시민들에게는 대중 교통 수단의 운행 스케줄, 차량 위치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 편익을 극대화하고, 대중교통 운송 회사 및 행정 부서에는 차량관리, 배차 및 모니터링 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APTS의 일 예로는 대중 교통 정보 시스템, 대중 교통 관리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는 컴퓨터를 통해 각 차량의 위치, 운행상태, 차내 상황 등을 관제실에서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최적운행을 지시함으로써 물류 비용을 절감하고, 통행료 자동 징수, 위험물 적재 차량 관리 등을 통행 물류의 합리화와 안전성 제고를 도모한다. CVO의 일 예로는 전자 통관 시스템, 화물차량 관리 시스템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AVHS(Advanced Vehicle and Highway System)는 차량에 교통상황, 장애물 인식 등의 고성능 센서와 자동제어장치를 부착하여 운전을 자동화하며, 도로상에 지능형 통신시설을 설치하여 일정간격 주행으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도로소통의 능력을 증대시킨다.
명세서 전체에서, UTIS는 도로상에서 차량탑재장치(OBE: Onboard Equipment)와 노변기지국(RSE : Roadside Equipment)간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교통 정보를 주고 받는 시스템으로써 ITS의 일 예이다. UTIS는 기존의 ITS 무선통신인 근거리 저속방식에서 진일보한 기술로써 중장거리 고속통신을 추구하며 이를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달리는 차내에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고, GPS등으로 측량된 차량의 위치 및 속도 등 구간 소통정보를 교통정보 센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전체등 넓은 지역에 걸쳐 동일한 콘텐츠를 방송하는 DMB등과는 달리 UTIS는 노변기지국 주변의 건물 주차장 상황 등 지역정보에 기반하여 특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노변기지국이 설치된 장소의 교통상황에 맞게 자원분배를 조절하게 되는데, 방송의 경우 교통정보센터에서 특정주기마다 보내주는 실시간 교통정보/공익정보등의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있으면서 업데이트되기 전까지는 동일한 내용을 계속 반복 송출하는 방식이며, 양방향 통신은 양방향통신을 원하는 단말의 요청을 수락하면서 시작되고 통신영역에서 벗어나면 자동으로 연결이 해제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노변 기지국(RSE:Road-Side Equipment)는 UTIS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설치된 기지국으로써 차량에 설치된 차량내통신장치(OBE:On Board Equipment)와 통신을 수행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거나 전송 및 수신한다.
차량내통신장치(OBE:On Board Equipment)는 UTIS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통신 장치로써 이동환경에서 IEEE802.11a/e를 근간으로 노변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거나, 전송 및 수신한다.
차내단말기(CNS:Car Navigation System)는 차량내장치와 연결되어 차량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교통 정보 및 돌발 정보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탐색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 104),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101) 및 서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UTIS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차량내통신장치 일 수 있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GPS 수신기(미도시) 및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 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검색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자신의 위치를 검색하는 과정을 링크 매칭으로 지칭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링크 매칭된 결과를 주기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중계 장치(101)와 통신을 수행하여 자신의 위치 및 속도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자신의 위치 및 속도는 중계 장치(101)를 거쳐 서버(102)로 전송된 후 가공되어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로 재전송될 수 있다. 가공된 교통 정보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차내 단말기(CNS)에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중계 장치(101)를 통하여 수신된 가공된 교통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저장하거나, 다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와 중계 장치(101)간의 통신 방식인 제 1 통신 방식과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와 다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4)간의 통신 방식인 제 2 통신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와 중계 장치(101)는 UTIS에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인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지만,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와 다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4)는 Wi-Fi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인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 장치(101)는 UTIS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노변기지국 일 수 있다. 중계 장치(101)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가 설치된 이동체의 위치 및 속도를 수신하여 서버(102)로 전달할 수 있다. 중계 장치(101)는 UTIS에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서버(102)와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102)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10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의 위치 및 속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취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서버( 102)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의 위치 및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정체 구역이나, 사고 구역등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102)는 생성된 교통 정보를 중계 장치(101)를 경유하여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달한다. 이 때, 생성된 교통 정보는 교통 방송의 형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TIS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TIS 시스템은 도 1에서 상술한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예이다.
UTIS 시스템은 교통 서버, RSE, OBE로 구성되며, 교통 서버, RSE, OBE는 도 1의 서버(102), 중계 장치(101),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에 각각 대응한다.
OBE는 자체적으로 GPS 수신기 및 건설 교통부 지도를 구비하고 있으며,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OBE가 설치된 이동체의 위치 및 속도를 주기적으로 생성 및 저장한다.
이동체가 RSE의 통신 영역에 진입하면 OBE는 저장된 이동체의 위치 및 속도를 RSE로 전송한다.
RSE는 이동체의 위치 및 속도를 교통 서버로 전송하며, 교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의 위치 및 속도를 취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교통 정보를 RSE를 거쳐 OBE로 전송된다.
OBE로 수신된 교통 정보는 OBE와 연결된 CNS에 전달되어 표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수신부(310) 및 변환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제 1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교통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간의 통신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는 UTIS 시스템을 구현하는 차량탑재장치를 포함하고,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는 UTIS 시스템을 구현하는 주변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320)는 수신된 제 1 교통 정보를 제 2 교통 정보로 변환한다. 일 예로, 수신부(310)는 건설 교통부 지도에 대응하는 제 1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변환부(320)는 수신된 제 1 교통 정보를 TPEG에 대응하는 제 2 교통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설 교통부 지도를 사용하지 않거나 UTIS와 호환되지 않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도 UTIS 시스템의 교통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는 변환된 제 2 교통 정보를 다른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송부의 통신 방식과 수신부(310)의 통신 방식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310)는 중계 장치(101)와 UTIS 시스템에 호환되는 통신 프로토콜인 제 1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310)와 중계 장치(101)간의 제 1 통신 방식은 무선랜 통신 방식을 근간으로 하기는 하나 초기 접속시 암호화 과정을 거치는 등의 방식에서 무선랜 통신 방식과는 상이하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므로 무선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Wi-Fi 장치와는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반면, 전송부는 무선랜 통신 방식인 제 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다른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UTIS 시스템을 구현하는 RSE와 OBE는 자신만의 프로토콜을 가지고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랜 방식과는 호환이 불가능하므로 UTIS 시스템의 교통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고가의 OBE가 내장된 CNS를 구매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UTIS 시스템에 호환되는 프로토콜인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OBE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UTIS 시스템의 교통 정보인 제 1 교통 정보를 수신하지만, 수신된 제 1 교통 정보를 변환한 후 무선랜 방식인 제 2 통신 방식을 통하여 다른 단말에 변환된 제 2 교통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선랜을 장착한 일반 단말에서도 UTIS 시스템의 교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에 관한 구체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 1 무선 모듈(410), 채널 스캔부(420), 신호 해석부(430), AP 접속부(440), 교통 방송 수신부(450), 교통 정보 생성부(460), 교통 정보 변환부(470), 데이터베이스(480) 및 제 2 무선 모듈(4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계 장치(101)를 UTIS RSE로, 서버(103)를 UTIS 교통 서버로 가정한다.
먼저,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가 설치된 이동체와 관련된 교통 정보를 서버(102)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교통 정보 생성부(460)는 이동체와 관련된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교통 정보 생성부(460)에서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가 설치된 이동체의 위치 및 속도를 교통 정보로써 생성할 수 있다.
제 1 무선 모듈(410)은 RSE와 통신을 수행하여 교통 정보 생성부(460)에서 생성한 교통 정보를 중계 장치(101)로 전송한다. 제 1 무선 모듈(410)은 복수 개의 프로토콜을 통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모듈(410)은 UTIS 시스템에 호환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RSE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무선랜 방식으로 일반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UTIS 시스템에 호환되는 프로토콜을 제 1 통신 방식으로 지칭하고, 무선랜 방식을 제 2 통신 방식으로 지칭한다. 이 경우, 제 1 무선 모듈(410)은 제 1 통신 방식으로 RSE와 통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가 교통 서버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채널 스캔부(420)는 주기적으로 UTIS RSE가 존재하는지를 스캔한다.
AP 접속부(440)는 사용 가능한 AP를 검색하고 통신을 수행할 AP를 선택한다. AP 접속부(440)는 사용 가능한 AP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하고 비컨 신호의 강도 또는 연결된 통신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AP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접속부(440)는 유선망에 연결된 AP를 통신을 수행할 AP로 선택할 수 있다.
채널 스캔부(420)가 UTIS RSE를 검색한 경우 제 1 무선 모듈(410)은 검색된 RSE와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채널 스캔부(420)가 RSE를 검색하지 못한 경우 제 1 무선 모듈(410)은 사용 가능한 AP를 검색하고 검색된 AP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제 1 무선 모듈(410)은 RSE와 통신을 수행하여 교통 방송을 수신하며, 교통 방송 수신부(450)에서는 수신된 교통 방송을 조립하여 완결한다. 완결된 교통 방송은 네비게인션 장치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지거나 데이터베이스(480)에 저장될 수 있다.
교통 정보 변환부(470)에서는 교통 방송을 변환한다. 예를 들면, 교통 정보 변환부(470)는 UTIS 정보를 TPEG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교통 정보 변환부(470)는 TPEG 정보를 Wi-Fi 신호로 변경하여 다른 장치로 전송하거나 데이터베이스(480)에 저장할 수 있다.
제 2 무선 모듈(490)은 엑세스 포인트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체내의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 2 무선 모듈(490)은 메쉬(mesh)기능의 단말기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2 무선 모듈(490)은 변환된 Wi-Fi 신호를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장치가 UTIS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UTIS 정보를 네비게이션 장치가 지원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무선 모듈(490)은 변환된 mesh 프로토콜 신호를 다른 mesh 가 지원되는 차량에 전송함으로써 차량간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 2 무선 모듈(490)은 이동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차량 진단 장치(OBD:Onboard Diagnosis Device)로부터 모니터링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된 정보는 제 1 무선 모듈(410)을 통하여 교통 서버에 전송되어 사고의 원인이나 경과를 정확하게 보고할 수 있다. 이동체의 상태 정보에는 에어백 작동 여부, 충격파 발생 여부, 급발진, 급정거 등과 같이 이동체의 상태와 관련된 어떠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종래에는 OBD에서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더라도 모니터링의 결과를 교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는 복수 개의 프로토콜을 지원함으로써 제 2 통신 방식을 통하여 OBD로부터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제 1 통신 방식을 통하여 서버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 진단 장치(510),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 중계 장치(101) 및 서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진단 장치(510)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차량 진단 장치(510)는 생성된 차량 상태 정보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UTIS에 호환되는 제 1 통신 방식 및 일반 AP에 호환되는 제 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으며, 차량 진단 장치(510)는 제 2 통신 방식을 통하여 차량 상태 정보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 1 통신 방식을 통하여 중계 장치(101)에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중계 장치(101)는 수신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서버(102)로 전송한다.
서버(102)에서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 사고의 원인, 대응 방안 등을 확인하여 사고에 대처할 수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는,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간의 통신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는 UTIS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탑재장치일 수 있으며, 고정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는 UTIS 시스템에 적용되는 노변기지국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는 UTIS 시스템에 호환되는 통신 방식을 통하여 수신된다.
단계 s620에서는, 수신된 교통 정보를 제 2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로 변환한다. 변환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다른 장치에 전송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AP와 호환되는 통신 방식을 통하여 다른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이동체에 탑재되고 복수의 무선 모듈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제 1 무선 모듈을 통하여, 특정 주기로 생성된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속도를 노변 기지국(Road Side Equipment;RSE)으로 전송하고 상기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제 1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제 1 교통 정보를 제 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 2 교통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제 2 무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변환된 제 2 교통 정보를 상기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는, 엑세스 포인트 기능의 프로토콜 및 매쉬 기능의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하나 이상의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c) 단계는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로 상기 제 2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하나 이상의 노변 기지국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d) 상기 이동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부터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방법.
  7. 삭제
  8. 이동체에 탑재되어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특정 주기로 생성된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속도를 노변 기지국(Road Side Equipment;RSE)으로 전송하는 제 1 무선 모듈;
    상기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제 1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 1 교통 정보를 제 2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제 2 교통 정보로 변환하는 교통 정보 변환부; 및
    상기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제 2 교통 정보를 상기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무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이동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부터 모니터링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무선 모듈은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노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하나 이상의 노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무선 모듈은
    하나 이상의 이동체에 탑재된 통신 장치로 상기 제 2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KR1020110127335A 2011-11-30 2011-11-30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2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335A KR101320423B1 (ko) 2011-11-30 2011-11-30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335A KR101320423B1 (ko) 2011-11-30 2011-11-30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990A KR20130060990A (ko) 2013-06-10
KR101320423B1 true KR101320423B1 (ko) 2013-10-22

Family

ID=4885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335A KR101320423B1 (ko) 2011-11-30 2011-11-30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670B1 (ko) * 2013-08-06 2015-04-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일인용 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029B1 (ko) 1999-12-01 2002-03-13 노성대 에프.엠 디.에이.알.씨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전송 시스템및 방법
KR20090110677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코어벨 u―TSN 망 내에서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5773A (ko) * 2009-09-30 2011-04-06 전자부품연구원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복합기지국의 긴급메시지 전달방법
KR101058124B1 (ko) * 2010-06-01 2011-08-24 이나루티앤티(주)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029B1 (ko) 1999-12-01 2002-03-13 노성대 에프.엠 디.에이.알.씨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전송 시스템및 방법
KR20090110677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코어벨 u―TSN 망 내에서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5773A (ko) * 2009-09-30 2011-04-06 전자부품연구원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복합기지국의 긴급메시지 전달방법
KR101058124B1 (ko) * 2010-06-01 2011-08-24 이나루티앤티(주)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990A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2721B (zh) 基于gps的交通监视系统
US10249204B2 (en) Connected vehicle traffic safety system and a method of predicting and avoiding crashes at railroad grade crossings
WO2018082390A1 (zh) 一种基于v2x技术的车载通信装置及方法
CN102484493B (zh) 通过远程无钥匙进入系统的车辆到x通信
KR100737805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US20020198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vehicle communication
US20080042876A1 (en) Advisory System For Previewing Local Conditions On A Highway
CN104584593A (zh) 用于传达安全消息信息的方法和装置
JP4586563B2 (ja) 車載機
CN104574563A (zh) 专有车辆的车载终端、车载终端、信息发布方法及系统
CN103606270A (zh) 一种车路协同通信方法及系统
US7831348B2 (en) Failure detection device, failure detection system and failure detection method
JP2007219588A (ja) 移動端末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の交通情報抽出方法、移動端末装置の到着時間算出方法および交通情報処理方法
Liu et al. Dedica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pplications: State of the art
JP5397463B2 (ja) 路側運転支援装置、車載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CN112441087A (zh) 列车控制系统、列车控制方法
Tahir et al. Deployment and analysis of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pilot service alerts in real environment
CN105407170A (zh) 一种具有链路保护的车联网系统
JP2013182490A (ja) 交通情報変換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中央サーバ、サービスサーバ、及び、交通情報提供方法
JP2013214225A (ja) 交通情報システム、中央サーバ、サービスサーバ、及び、交通情報提供方法
KR20110035643A (ko) Wave 기반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시스템
WO201602438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携帯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持続的有形記録媒体
KR101320423B1 (ko)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63497A (ko) 자율주행차량의 운행 제어 방법
KR20040039762A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안내 시스템 및 그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