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376B1 -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0376B1 KR101320376B1 KR1020130098418A KR20130098418A KR101320376B1 KR 101320376 B1 KR101320376 B1 KR 101320376B1 KR 1020130098418 A KR1020130098418 A KR 1020130098418A KR 20130098418 A KR20130098418 A KR 20130098418A KR 101320376 B1 KR101320376 B1 KR 1013203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material
- support surface
- lower support
- diffuser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1—Perforated, resilient plastic diffusers, e.g. membranes, sheets, foils, tubes, h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4—Diffusers consisting of flexible porous or perforated material, e.g.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5—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y are assembled or mounted; Fabricating the parts of the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 및 그 설치방법은 하나 이상의 앵커를 이용하여 탄성재질면을 수면(22)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처리조(21)에 공기 공급 중단 시 기공(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슬러지가 탄성재질면(10) 위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기공(1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처리조의 하부 바닥의 조건에 무관하게 원하는 경사각을 산기장치에 형성시켜, 하폐수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이 강화되어 산기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또는 폐수처리장의 처리조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산기장치의 표면에 슬러지 등 고형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조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폐수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사용하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주로 산기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산기장치는 대기 중의 공기를 작은 기포로 만들어 처리조에 공급함으로써 접촉면적을 넓히고 산소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산기장치는 대부분 디스크 타입, 파이프 타입과 판형 타입이 있는데, 탄성재질로 된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작은 구멍을 타공하고, 도입된 공기가 타공된 구멍으로 배출되며 작은 기포를 만든다. 구멍은 탄성재질면의 직각으로 타공되어, 산기장치로 공기가 유입되어 산기장치 내부압력이 증가되면 탄성재질면이 부풀며 막혔던 기공이 열리게 된다. 이 열린 기공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며 공기방울을 형성하게 된다. 공기의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는 산기장치 내부 압력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부풀었던 탄성재질면이 원상회복되며 기공이 닫히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디스크 타입이나 판형 타입의 산기관 또는 산기장치는 일반적으로 그 형태상 탄성재질면이 평평하고, 기공이 타공된 탄성재질면이 수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산기장치의 탄성재질면 전체에걸쳐 골고루 기포가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치 방법은 공기공급 중에 대부분의 기공이 중력의 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이 경우 산기장치에 공급되던 공기가 차단될 경우, 처리조 내의 슬러지 등이 하강하게 되며 기공사이로 들어가 탄성재질면(10)과 산기장치 하부지지면(11) 사이에 쌓이게 되고, 기공을 막아 기공이 열리지 않게 될 수 있다. 더욱이 탄성재질면이 처리조 수면(22)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어 슬러지가 탄성재질면(10)의 상부에 쌓이게 되는데, 공기 공급시에 기공이 열리면서 쌓였던 상부의 슬러지로 인하여 기공이 쉽게 막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처리조 내의 미생물이나 고형분의 농도가 크고 간헐적으로 폭기시킬 경우 더욱 심각하게 발생된다. 또한 산소전달효율을 높여 동력비를 줄이기 위해 탄성재질면(10)에 미세하게 기공을 형성시킬 경우에도 이러한 막힘 현상은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10-1060247에서는 처리조 내 슬러지로 인하여 산기장치의 기공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의 바닥에 대행되는 타측이 30 내지 120도의 내각을 갖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산기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산기장치는 제작 시부터 이미 일정한 각도를 부여하여 처리조의 특성에 따라 바닥면과의 각도를 조절하기 불가능하고, 처리조의 바닥에 고정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처리조의 하부면이 균일하지 않거나 슬러지 등의 불순물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 종래의 경사면이 제조 시에 형성되어 있는 산기장치에 의해서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각도를 줄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처리조 하부면에 설치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처리조의 슬러지량 이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설치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디스크형 또는 판형 산기장치의 설치에 적용이 가능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디스크 타입이나 판형 타입의 일반적인 산기장치의 경우, 산기장치에 공급되던 공기가 차단되면, 처리조 내의 슬러지 등이 하강하게 되면서 기공사이로 들어가 기공을 막아 공기 공급 시 기공(12)이 열리지 않게 되고, 더욱이 탄성재질면이 처리조(21) 수면(22)과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어 슬러지가 탄성재질면(10)의 상부에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공기 공급 시에 기공(12)이 열리면서 쌓였던 상부의 슬러지로 인하여 기공(12)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불어 처리조 하부 바닥의 조건에 무관하게 설치가 가능한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처리조(21)의 수면(22)과 30 내지 75도인 경사각(14)을 갖는 하부지지면(11); 상기 하부지지면(11)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기공(12)을 포함하는 탄성재질면(10); 상기 하부 지지면(11)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재질면과 하부지지면 사이의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20);을 포함하는 산기장치 본체, 상기 탄성재질면(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앵커삽입구멍(15)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결부(30); 상기 하부 지지면(11)의 하면에 위치하고, 앵커삽입구멍(15)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체결부(31); 일단은 상기 상부 및 하부체결부(30, 31)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처리조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재질면(10) 및 상기 하부지지면(11)을 처리조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25, 26);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면(11)의 경사각은 상기 앵커의 길이에 의해서 조절되는 하폐수의 처리조에 산소 공급을 위해 구비된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체결부(30, 31)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중의 하나 이상의 재질일 수 있으며, 산기장치 체결부(27)는 상부체결부(30) 및 하부체결부(31)를 포함하고, 상부체결부(30) 및 하부체결부(31)는 상기 산기장치 본체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일면과 상부체결부(30) 및 하부체결부(31)를 관통하는 앵커 삽입 구멍(15)을 포함하며, 상부체결부(30)의 상기 일면은 탄성재질면(10)의 상면과 하부체결부(31)의 상기 일면은 하부지지면(11)의 하면에 접촉되어, 앵커가 상부체결부(30), 탄성재질면(10), 하부지지면(11), 하부체결부(31)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폐수의 처리조의 하부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관(29)을 설치하는 단계; 기공(12)을 포함하는 탄성재질면(10)이 하부지지면(11)의 상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고정되고, 처리조(21)의 수면(22)과 30 내지 75도인 경사각(14)을 갖는 하부지지면(11)에 공기공급관(26)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외부공기공급관(29)에 연결하는 단계; 앵커의 일단은 상기 하부지지면(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처리조 하부의 체결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 및 그 설치방법은 탄성재질면을 수면(22)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처리조(21)에 공기 공급 중단 시 기공(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슬러지가 탄성재질면(10) 위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기공(1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처리조의 하부 바닥의 조건에 무관하게 원하는 경사각을 산기장치에 형성시켜, 하폐수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산기장치의 표준산소전달율과 표준폭기효율을 향상시키며, 내구성이 강화되어 산기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위해 설치된 산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방법에 의해 설치된 산기장치의 기포 미발생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존의 방법에 의해 설치된 산기장치의 기포 발생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설치된 산기장치의 기포 미발생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설치된 산기장치의 기포 발생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의 일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의 또다른 일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기둥 형태의 산기장치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기둥 형태의 산기장치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방법에 의해 설치된 산기장치의 기포 미발생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존의 방법에 의해 설치된 산기장치의 기포 발생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설치된 산기장치의 기포 미발생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설치된 산기장치의 기포 발생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의 일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의 또다른 일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기둥 형태의 산기장치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기둥 형태의 산기장치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 처리조(21)의 수면(22)과 30 내지 75도인 경사각(14)을 갖는 하부지지면(11); 상기 하부지지면(11)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기공(12)을 포함하는 탄성재질면(10); 상기 하부 지지면(11)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재질면과 하부지지면 사이의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20);을 포함하는 산기장치 본체, 상기 탄성재질면(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앵커삽입구멍(15)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결부(30); 상기 하부 지지면(11)의 하면에 위치하고, 커삽입구멍(15)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체결부(31); 일단은 상기 상부 및 하부체결부(30, 31)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처리조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재질면(10) 및 상기 하부지지면(11)을 처리조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25, 26);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면(11)의 경사각은 상기 앵커의 길이에 의해서 조절되는 산기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탄성재질면(10), 하부지지면(11), 공기공급관(20)을 포함하는 산기장치 본체(24), 상부 및 하부 체결부(30, 31)를 포함하는 산기장치 체결부(27), 앵커(25)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기공(12)을 포함하는 탄성재질면(10)이 처리조(21)의 수면(22)과 30 내지 75도인 경사각(14)을 갖는 하부지지면(11)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공(10)의 크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 예를 들면 수십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십 미리미터의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탄성재질면(10)은 종래에는 EPDM을 주로 사용해 왔으나, EPDM은 운전이 반복되면서 기공의 피로도가 높아져서, 기공이 열린 후에 닫히는 복원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서, 인장강도 400kg/cm2 이상이고, 두께가 0.3mm ~ 1.0mm인 폴리우레탄과 실리콘 고무시트를 사용하며, 레이저, 마이크로 드릴, needle에 의한 방식을 사용하여 멤브레인에 기공을 형성한다.
하부지지면(11)의 주변에 탄성재질면(10)이 고정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재질면(10)을 하부지지면(11)의 주변에 고정한 후에, 탄성재질면(10)의 크기에 따라서 탄성재질면(10) 내부를 지그재그 형식 혹은 미세기포를 효율적으로 탄성재질면(10) 전체에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부지지면(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지지면(11)의 형상은 디스크 형태 혹은 판형 타입을 갖게 되나, 이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처리조 하부의 구조가 허락하는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면(11)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공급관(20)이 상기 탄성재질면과 하부지지면 사이로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공급관(20)은 외부공기공급관(29)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재질면(10), 하부지지면(11), 공기공급관(20)을 포함하는 산기장치 본체(24)는 경사각을 갖고 처리조의 바닥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체결부(30, 31)가 하부지지면(11) 및 탄성재질면(10)에 각각 위치한다. 상부체결부(30)는 탄성재질면(10)의 상면에 위치되고, 하부체결부(31)는 하부지지면(11)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앵커(25, 26)는 일단이 탄성재질면(10) 및 하부지지면(11)에 괸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처리조 바닥에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28)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앵커는 산기장치 본체를 처리조의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재질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체결부(30, 31)은 한쌍을 이루며, 이들은 탄성재질면(10) 및 하부지지면(11)이 이루는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일면을 가지며, 각각의 그 일면에서 마주보고 탄성재질면(10) 및 하부지지면(11)에 접촉되어 위치하고, 상부 및 하부 체결부(30, 31)에 포함되어 있는 앵커 삽입 구멍(15)으로 앵커가 관통하여 탄성재질면(10) 및 하부지지면(11)에 결합되게 된다. 상부 및 하부 체결부(30, 31)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나, 도 8에서 보여주는 상부 및 하부체결부(30, 31)가 결합되어 직육면체 혹은 정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 9에서 예시되어 있는, 원통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주어진 현장 상황에 따라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산기장치 체결부(27)는 산기장치가 앵커에 고정되도록 하고 산기장치 본체에 일정한 경사각(14)이 형성되도록 하는 재질로서, 이에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산기장치의 표면을 보호하고 산기장치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고무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조의 바닥은 도 1과 같이 균일한 면을 가질 수 있으나, 경사면을 가질 수도 있고, 불규칙한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산기장치 이외의 다른 목적을 갖는 장치가 설치되어 질 수도 있다. 현장에서, 산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열거한 경우 외에도 처리조 바닥에 산기장치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많은 변수가 포함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는 산기장치 본체의 경사각을 원하는 정도로 얻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앵커(25, 26)를 사용하여 산기장치 본체를 처리조 바닥에 고정한다. 상기 하부지지면(11)의 경사각은 상기 앵커(25, 26)의 길이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앵커(25)를 하부지지면의 전방에 연결하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앵커(26)을 하부지지면의 후방에 연결하여, 하부지지면에 경사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조에 설치되는 산기장치의 상기 하부지지면(11) 혹은 상부 및 하부체결부(30, 31)가 이루는 경사각(26)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각의 앵커 길이를 변화시켜줄 수 있다.
하폐수처리장 처리조의 일반적인 슬러지는 일정한 경사각(14) 이상의 판위에서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미끌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사각(14)은 탄성재질면의 재질이나 슬러지의 성상에 따라 다르나 30도 정도이다. 경사각이 클수록 슬러지가 미끌어지는 속도는 커지게 되며, 바람직한 경사각(14)은 45도 내지 60도이다. 경사각(14)이 75도가 넘을 경우, 처리조 바닥면에 투영된 탄성재질면(10)의 투사 면적이 작아 미세 기공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승할 때 서로 부딪혀 합체되는 현상이 급격히 증가한다. 기포가 합체되면 기포의 크기가 커져 공기의 체적당 표면적이 줄어들고, 상승속도가 커져 산소전달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는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설치방법으로, 하폐수의 처리조의 하부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관(29)을 설치하는 단계, 기공(12)을 포함하는 탄성재질면(10)이 하부지지면(11)의 상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고정되고, 처리조(21)의 수면(22)과 30 내지 75도인 경사각(14)을 갖는 하부지지면(11)에 공기공급관(26)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외부공기공급관(29)에 연결하는 단계, 앵커의 일단은 상기 하부지지면(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처리조 하부의 체결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폐수 처리조에서 유기물 및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정량의 공기를 도입함에 있어, 산기장치 가동 시 및 미가동시 산기장치 표면에 슬러지 등의 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재질면(10)의 기공(12)을 통하여 슬러지가 탄성재질면(10)과 산기장치 하부지지면(11) 사이로 침투하거나 기공(12)을 막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일실시 양태로서, 도 6과 같이 산기장치의 경사면이 같은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 7과 같이 마주보는 형태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도 6 또는 도 7에서는 하나 혹은 두 개의 산기장치를 설치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수면(22)과의 경사각이 30 내지 75도가 되도록 설치할 경우에는 도 6이나 도 7이외에도 처리조의 형태나 사용 환경에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산기장치를 다양한 형태로 배열하여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의 산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삼각형 형태의 하부지지판(11)을 사용하여 삼각형 배열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갖는 하부지지판(11)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배열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도면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 탄성재질면 11 : 하부지지면
12 : 기공 13 : 공기 버블
14 : 경사각 15 : 앵커 삽입 구멍
16 : 산기장치 체결부 경사각 20 : 공기공급관
21 : 처리조 22 : 수면
24 : 산기장치 25 : 짧은 길이의 앵커
26 : 긴 길이의 앵커 27 : 산기장치 체결부
28 : 기초 콘크리트 29 : 외부공기공급관
30 : 상부체결부 31 : 하부체결부
12 : 기공 13 : 공기 버블
14 : 경사각 15 : 앵커 삽입 구멍
16 : 산기장치 체결부 경사각 20 : 공기공급관
21 : 처리조 22 : 수면
24 : 산기장치 25 : 짧은 길이의 앵커
26 : 긴 길이의 앵커 27 : 산기장치 체결부
28 : 기초 콘크리트 29 : 외부공기공급관
30 : 상부체결부 31 : 하부체결부
Claims (5)
- 하폐수의 처리조에 산소 공급을 위해 구비된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에 있어서,
처리조(21)의 수면(22)과 30 내지 75도인 경사각(14)을 갖는 하부지지면(11),
상기 하부지지면(11)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기공(12)을 포함하는 탄성재질면(10),
상기 하부 지지면(11)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재질면과 하부지지면 사이의 상기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20)을 포함하는 산기장치 본체;
상기 탄성재질면(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앵커삽입구멍(15)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결부(30),
상기 하부 지지면(11)의 하면에 위치하고, 앵커삽입구멍(15)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체결부(31)를 포함하는 산기장치 체결부(27);
일단은 상기 상부 및 하부체결부(30, 31)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처리조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재질면(10) 및 하부지지면(11)을 처리조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25, 26);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재질면(10) 및 하부지지면(11)이 이루는 경사각에 의해서 앵커(25, 26)의 길이가 조절되는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장치 체결부(27)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중의 하나 이상의 재질로 되어있는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결부(30) 및 하부체결부(31)는 상기 산기장치 본체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일면을 포함하며, 상부체결부(30)의 상기 일면은 탄성재질면(10)의 상면과 하부체결부(31)의 상기 일면은 하부지지면(11)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앵커(25, 26)가 상부체결부(30), 탄성재질면(10), 하부지지면(11), 하부체결부(3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결부(30) 및 하부체결부(31)는 상기 산기장치 본체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일면을 포함하며, 상부체결부(30)의 상기 일면은 탄성재질면(10)의 상면과 하부체결부(31)의 상기 일면은 하부지지면(11)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앵커(25, 26)가 상부체결부(30), 탄성재질면(10), 하부지지면(11), 하부체결부(3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하폐수의 처리조의 하부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관(29)을 설치하는 단계;
기공(12)을 포함하는 탄성재질면(10)이 하부지지면(11)의 상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고정되고, 처리조(21)의 수면(22)과 30 내지 75도인 경사각(14)을 갖는 하부지지면(11)에 공기공급관(26)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외부공기공급관(29)에 연결하는 단계; 및
앵커의 일단은 상기 하부지지면(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처리조 하부의 체결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설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8418A KR101320376B1 (ko) | 2013-08-20 | 2013-08-20 |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PCT/KR2013/010223 WO2015026007A1 (ko) | 2013-08-20 | 2013-11-12 |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8418A KR101320376B1 (ko) | 2013-08-20 | 2013-08-20 |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0376B1 true KR101320376B1 (ko) | 2013-10-23 |
Family
ID=4963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8418A KR101320376B1 (ko) | 2013-08-20 | 2013-08-20 |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0376B1 (ko) |
WO (1) | WO201502600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62628B2 (en) * | 2013-10-04 | 2018-01-09 | Ovivo Inc. | Adjustable variable bubble size aeration for submerged membrane air scour |
KR101971427B1 (ko) * | 2018-08-07 | 2019-08-27 | 주식회사 에네트 |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37492A (ja) * | 1992-02-25 | 1993-09-17 | Ngk Insulators Ltd | 回分式活性汚泥法 |
KR200358379Y1 (ko) * | 2004-05-04 | 2004-08-06 | 뮤러아시아(주) | 경사판 침전설비 |
KR20110058977A (ko) * | 2009-11-27 | 2011-06-02 | 주식회사 에코니티 | 산기관 |
KR101060247B1 (ko) * | 2010-11-23 | 2011-08-29 | 주식회사 에네트 | 산기장치 |
-
2013
- 2013-08-20 KR KR1020130098418A patent/KR10132037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11-12 WO PCT/KR2013/010223 patent/WO201502600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37492A (ja) * | 1992-02-25 | 1993-09-17 | Ngk Insulators Ltd | 回分式活性汚泥法 |
KR200358379Y1 (ko) * | 2004-05-04 | 2004-08-06 | 뮤러아시아(주) | 경사판 침전설비 |
KR20110058977A (ko) * | 2009-11-27 | 2011-06-02 | 주식회사 에코니티 | 산기관 |
KR101060247B1 (ko) * | 2010-11-23 | 2011-08-29 | 주식회사 에네트 | 산기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62628B2 (en) * | 2013-10-04 | 2018-01-09 | Ovivo Inc. | Adjustable variable bubble size aeration for submerged membrane air scour |
KR101971427B1 (ko) * | 2018-08-07 | 2019-08-27 | 주식회사 에네트 |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26007A1 (ko) | 2015-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52447B1 (en) | Adjustable variable bubble size aeration for submerged membrane air scour | |
KR100836814B1 (ko) |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 |
KR101320376B1 (ko) |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
KR20120068803A (ko) |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 |
CN101501165A (zh) | 柔韧通气板及其使用方法 | |
KR101841958B1 (ko) | 수처리를 위한 경사형 급속 공기용해 및 미세기포 발생장치 | |
CA2909759C (en) | Aerator/digester for water treatment | |
US11325079B2 (en) | Combined coarse and fine bubble diffuser | |
JP2004313938A (ja) | 散気装置の目詰まり防止運転方法 | |
KR101971427B1 (ko) |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시스템 | |
JP2015110195A (ja) | 浸漬型膜分離装置 | |
KR101060247B1 (ko) | 산기장치 | |
KR101009747B1 (ko) | 무동력 와류 혼화장치 | |
KR101789994B1 (ko) | 수처리를 위한 급속 공기용해 및 미세기포 발생장치 | |
CN113697973A (zh) | 一种多功能微纳米曝气设备 | |
JP2600079Y2 (ja) | 散気装置 | |
CN205710071U (zh) | 一种高塔好氧反应器及其专用曝气器 | |
RU2522336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эрации и перемешивания сточных вод | |
JP6448177B2 (ja) | 好気嫌気兼用反応槽およびその運転方法 | |
JP2013226525A (ja) | 散気装置用メンブレン | |
CN219489755U (zh) | 一种用于污水处理的柔性曝气装置 | |
JP2012045510A (ja) |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その膜面洗浄方法 | |
DE10004077C1 (de) | Vorrichtung zum Belüften von natürlichen und künstlichen Gewässern, Behältern, Tanks und Becken | |
WO2021060417A1 (ja) | 散気装置 | |
CN211170087U (zh) | 流体分布装置及包括其的射流曝气系统和污水处理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