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379Y1 - 경사판 침전설비 - Google Patents

경사판 침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379Y1
KR200358379Y1 KR20-2004-0012425U KR20040012425U KR200358379Y1 KR 200358379 Y1 KR200358379 Y1 KR 200358379Y1 KR 20040012425 U KR20040012425 U KR 20040012425U KR 200358379 Y1 KR200358379 Y1 KR 200358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sludge
diffuser
inclined plate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관일
Original Assignee
뮤러아시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뮤러아시아(주) filed Critical 뮤러아시아(주)
Priority to KR20-2004-0012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5Plurality of essentially parallel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지의 누적에 따른 폐색, 슬러지의 무게에 의한 파손, 및/또는 청소시에 수압에 의해 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침전설비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정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경사판 침전설비를 제공한다.
그 경사판 침전설비는, 정수처리 또는 하수처리를 위해 다수의 경사판(12)이 중첩되게 설치되고, 그 각 경사판(12)사이로 원수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유동하면서 정수되고 고형분들이 슬러지로 하부로 유동하여 하부의 슬러지 제거장치(17)에 의해 제거되는 경사판 침전설비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12)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여 그 경사판(12)상에 부착되는 슬러지들이 경사판(12)에 부착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그 경사판(12)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도록 상기 경사판(12)의 하단아래이면서 슬러지 제거장치(17)의 상부에 다수의 산기공(22)이 형성된 산기관(2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판 침전설비{sediment equipment with inclined plates}
본 고안은, 일반적인 경사판 침전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찰스 로니 뮤러로부터 뮤러 인더스트리즈사(Meurer Industries, Inc.)로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6,245,243호(각각의 유동통로를 위한 일체형 출구들을 지니는 침전지판(경사판) 지지대와 그 각 유동통로로부터 액체(정화액)를 수집하는 방법)와 같은 발명을 개선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슬러지의 누적에 따른 폐색, 슬러지의 무게에 의한 파손, 및/또는 청소시에 수압에 의해 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침전설비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정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경사판 침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수처리 또는 하수처리 설비에 있어, 넓은 침전지의 면적 및 이에 따른 경비절감의 방안으로 경사판을 중첩되게 침전지내에 설치한 구조의 침전지가 개발되어 일부 채용되어 시용되고 있으나, 경사판내 이물질의 잦은 막힘으로 폐쇄에 의한 성능저하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으로 이론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성능발휘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경사판으로는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성수지판이나 금속판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경사판내장 침전지는 침전지내에 설치된 경사판을 따라 물 등의 경사판상에서의 상향 유동과 함께 고형분의 침전을 신속하게 함과 동시에 침전면적을 증가시켜 침전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환경기초시설에서 사용중인 경사판 침전설비는 높은 슬러지 제거효율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슬러지가 경사판으로부터 쉽게 침강하지 못하고 누적됨에 따라 경사판사이의 유동통로가 폐색되거나 슬러지의 무게에 의하여 경사판이 변형 내지 파손되게 되며, 나아가, 청소시에 수압에 의해 소손 등이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판 침전설비에 있어서, 슬러지의 누적에 따른 폐색, 슬러지의 무게에 의한 파손, 및/또는 청소시에 수압에 의해 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침전설비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정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경사판 침전설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경사판 침전설비의 높은 슬러지 제거효율을 그대로 지니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판 침전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2은 침전지 바닥으로부터 유동통로에서 상향하여 1차 통로인 중공지지대의 각각의 유입구 및 1차 통로로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 1의 경사판 평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길이방향 축을 따라 간격진 중공지지대(1차 통로)의 유입구를 나타내는 정화섹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유동통로로부터 2차통로로 정화액(정화액)를 공급시키는 2차 통로로의 각 유입구에 연결된 중공지지대를 나타내는 도 3의 선 4-4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정화액의 높이와 중공지지대의 상단사이의 관계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략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2차 통로에 중공지지대들을 제거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연결된 중공지지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중공지지대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8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 침전설비의 일부 생략 측면도이다.
도 9은 도 8의 저면도이다.
도 10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10: 침전지 11: 입구
12: 경사판 13: 1차 통로
14: 유입구 15: 2차 통로
16: 출구 17: 슬러지 제거장치
20: 에어공급장치 21: 산기관
21a: 연결관 22: 산기공
23: 설치빔 24: 프레임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판 침전설비는, 정수처리 또는 하수처리를 위해 다수의 경사판이 중첩되게 설치되고, 그 각 경사판사이로 원수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유동하면서 정수되고 고형분들이 슬러지로 하부로 유동하여 하부의 슬러지 제거장치에 의해 제거되는 경사판 침전설비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여 그 경사판상에 부착되는 슬러지들이 경사판에 부착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그 경사판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도록 상기 경사판의 하단아래이면서 슬러지 제거장치의 상부에 다수의 산기공이 형성된 산기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기관은, 다수의 경사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밑에 설치되어 그 경사판들의 처짐을 방지하는 가대를 활용하여 구성되거나, 산기공이, 상부로부터 침강되는 슬러지에 의해 막힘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산기관의 하부에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판 침전설비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1에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경사판 침전설비는, 정수처리 또는 하수처리를 위해다수의 경사판(12)이 중첩되게 설치되고, 입구(11)로 유입된 원수가 각 경사판(12)사이로 하부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유동하면서 정수되어 정수(CW)만이 상부로 유입구(14)를 통해 1차 통로(13) 및 2차 통로(15)를 거쳐 출구(16)로 유출되고, 고형분들인 슬러지는 경사판(12)상에서 하부로 유동하여 하부의 슬러지 제거장치(17)에 의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사판 침전설비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12)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여 그 경사판(12)상에 부착된 슬러지(AS)들이 에어(PA)의 부력이나 진동력에 의해 탈리되도록 상기 경사판(12)의 하단아래이면서 슬러지 제거장치(17)의 상부에 다수의 산기공(22)이 형성된 산기관(2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경사판 침전설비에 의하면, 에어공급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산기관(21)의 산기공(22)으로부터 분출되고, 분산되어 다수의 경사판(12)사이로 공급되는 에어(PA)는, 그 에어(PA)가 경사판(12)에 충돌하는 진동력과 그 경사판(12)사이에서 상향하여 유동하는 부력에 의해 경사판(12)상에 부착된 슬러지(AS)들이 탈리되어 침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러지의 누적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폐색을 제거하게 되며, 슬러지의 무게에 의한 경사판(12)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높은 고유의 슬러지 제거효율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종래와 같이 수압으로 청소하는 경우에 비해 소손 등이 일어나지 아니하게 될 뿐만 아니라, 더욱, 정수처리를 정지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상술한 본 고안이 적용되는 미합중국 특허 제6,245,243호의 발명을 도 2 내지 도 7b와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경사판(44)의 평면의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그 중공지지대(42)의 상부 평면도가 도시는 바, 그 경사판(44)의 상부에 1차통로인 중공지지대(42)가 2차 통로인 홈통(36)사이에 설치되고, 이물질 고형분을 함유하는 액체가 침전조(29)의 바닥(31)근처로부터 경사판(44)사이의 유동통로를 따라 화살표 "26" 및 "2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상향하여 유동하다가, 고형분은 하향하여 바닥을 향해 침강하며, 정화액은 화살표 "27C"를 따라 유동통로의 상단부영역(46Z)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 상단부 영역에서는 중공지지대(42)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구(51)를 통해 정화액이 유입되어 1차 통로인 중공지지대(42) 내부를 통과한 후, 홈통(36)의 입구부(53)를 통해 2차 통로를 형성하는 출구 홈통(36)으로 정화액이 유입되고, 그 뒤 홈통(36)을 따라 유동하여 출구로 유출되고, 경사판(44) 사이의 유동통로상의 정화액의 액면 높이(48-1)는 중공지지대(42)의 상단(49)보다 약간 낮게 유지되게 되고, 인접한 경사판(44)사이의 유동통로로 정화액이 넘치지는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54"는 둑이다. 도 3에서 중공지지대(42)의 중심축(52)상의 유입구(51)들사이의 간격은 유입되는 원수의 예상 유량에 따라 정해진다.
도 3 및 도 4에서 둑(54)은 홈통(36)의 양측(56,56)에 설치되며, 도 5a 내지 도 5c에서의 다양한 실시예의 액면높이(48-1,48-2,48-3)에 따라 둑(54)의 높이가조절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서로 상이한 액면 높이(48-1, 48-2, 48-3)에 따른 구성이 도시된다. 도 5c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면높이(48-1)가 중공지지대(42)의 상단(49)보다 낮기 때문에 경사판(44-1, 44-1)사이의 인접한 유동통로(34-1, 34-1)들로 넘치지 아니하게 되고, 정화액이 4중의 화살표(27C-P)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 중공지지대(42)내로 각 유동통로(34-1, 34-1)로부터 그 상부(47) 및 유입구(51)를 통해 유입된다. 도 5a 및 도 4에서는 액면높이(48-3)가 중공지지대(42)의 상단(49)보다 상당히 대략 12.7mm이상 높기 때문에 이중의 화살표(27C-P)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액이 유입구(51)를 통해 중공지지대(42)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화살표(27C-3)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판(44-3, 44-3)사이의 인접한 유동통로(34-3, 34-3)로 넘쳐 그 유동통로상의 정화액과 혼합되게 된다. 도 5b는 도 5a와 도 5c사이의 중간정도의 액면높이(48-2)를 도시한 것으로, 각각 경사판(44-2, 44-2)사이로 구성되는 인접 유동통로(34-2, 34-2)사이로 넘치는 양은, 화살표(27C-2)로 도시한 바, 도 5a에서보다는 적게 된다.
도 6에는 2차 통로인 홈통(36)에 중공지지대(42)들을 제거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분리구조의 상부부재(76)와 하부부재(75)가 사시도로 도시된다. 그 상부부재(76)와 하부부재(75)는 홈통(36)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둑(54)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 중공지지대(42)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이 다수 좁은 간격으로 상부부재(76)와 하부부재(75)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원하는 간격으로 조정하여 중공지지대(42)를 설치할 수 있으며, 중공지지대(42)가 설치되지 아니한 설치 홈에는 플러그를 삽입하여 상부부재(76)와 하부부재(75)를 고정시킴으로써 통로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중공지지대(42)에 유입구(51)를 형성하는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7a에서는 유입구(51)이 중공지지대인 파이프의 수평축(72)과 수직축(73)의 상부 우측(71)에 형성되어 화살표 "27C-P"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유동통로로부터만 정화액이 유입되게 되고, 도 7b에서는 유입구(51)가 수직축(73)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화살표 "27C-E"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유동통로로부터 유입구(51)를 통해 정화액이 유입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액면높이(48-3)가 높은 때에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판 침전설비가 도시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상기 산기관(21)의 적어도 일부로 다수의 경사판(12)을 지지하는 프레임(24)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또는 그 산기관(21)을 연결관(21a)과 함께 프레임(24) 밑에 설치하어 그 경사판(12)들의 처짐을 방지하는 가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더욱 별도의 비용이 덜 들게 되고, 공간도 적게 차지하게 되며, 침전설비에 하등의 영향을 미침이 없이 오히려 침전설비를 보강시킬 수 있어 더욱 무리를 줌이 없이 안정적인 구조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또,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산기공(22)이, 상부로부터 침강되는 슬러지에 의해 막힘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산기관(21)의 하부에 하방을 향하여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경사판 침전설비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산기관(21)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경사판(12,44)들을 세척함으로써 원수의 처리에 하등의 지장을 줌이 없이 경사판(12,44)사이의 유동통로의 폐색 내지 좁아짐을 방지하여 충분한 효율을 발휘하게 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누적에 따른 폐색과 슬러지의 무게에 의한 파손 그리고 청소시에 수압에 의해 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수처리 또는 하수처리를 위해 다수의 경사판(12)이 중첩되게 설치되고, 그 각 경사판(12)사이로 원수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유동하면서 정수되고 고형분들이 슬러지로 하부로 유동하여 하부의 슬러지 제거장치(17)에 의해 제거되는 경사판 침전설비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12)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여 그 경사판(12)상에 부착되는 슬러지들이 경사판(12)에 부착되지 아니함과 동시에 그 경사판(12)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도록 상기 경사판(12)의 하단아래이면서 슬러지 제거장치(17)의 상부에 다수의 산기공(22)이 형성된 산기관(2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21)은, 적어도 그 일부로 다수의 경사판(12)을 지지하는 프레임(24)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거나 그 프레임(24) 밑에 설치되어 그 경사판(12)들의 처짐을 방지하는 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공(22)은, 상부로부터 침강되는 슬러지에 의해 막힘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산기관(21)의 하부에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판 침전설비.
KR20-2004-0012425U 2004-05-04 2004-05-04 경사판 침전설비 KR200358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425U KR200358379Y1 (ko) 2004-05-04 2004-05-04 경사판 침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425U KR200358379Y1 (ko) 2004-05-04 2004-05-04 경사판 침전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379Y1 true KR200358379Y1 (ko) 2004-08-06

Family

ID=4943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425U KR200358379Y1 (ko) 2004-05-04 2004-05-04 경사판 침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3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44B1 (ko) 2005-06-22 2006-12-15 최대일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KR101320376B1 (ko) * 2013-08-20 2013-10-23 주식회사 에네트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44B1 (ko) 2005-06-22 2006-12-15 최대일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KR101320376B1 (ko) * 2013-08-20 2013-10-23 주식회사 에네트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WO2015026007A1 (ko) * 2013-08-20 2015-02-26 주식회사 에네트 산기장치 및 그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7476B2 (en) Water clarification system
CA2495381C (en) Lamellar clarifier with adjustable weir height
US201203127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water of wastewater
JP2009039698A (ja) 集砂装置
KR101170572B1 (ko) 침전조
KR100712962B1 (ko) 경사판 침전설비
KR200358379Y1 (ko) 경사판 침전설비
KR0133191Y1 (ko) 정수장용 침전장치
KR100904214B1 (ko) 개량된 생물학적 하, 폐수처리장의 2차침전지
KR200421719Y1 (ko) 고효율 멀티 침전조
KR100717429B1 (ko) 고효율 멀티 침전조
KR102173185B1 (ko) 경사판 침전장치
KR100869312B1 (ko) 오수 부상분리처리조
CN211215552U (zh) 一种沉淀池斜管的清洗装置
JPH0760016A (ja) 浄水装置
JP2021087924A (ja) 下水用傾斜板システム、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下水用傾斜板システムの洗浄方法
KR200225088Y1 (ko) 경사판침전조
KR100425380B1 (ko) 폐수처리장치
KR200327011Y1 (ko) 상,하수 및 폐수 처리장의 무동력 침사 세정 및 분리시스템
KR200190730Y1 (ko) 여과기공기 역세척 산기장치
KR100316968B1 (ko) 약품침전지의부유물질제거장치
JP4158058B2 (ja) 越流堰装置
JP2001321609A (ja) 沈殿槽
KR920000936Y1 (ko) 횡류식 침전지의 슬러지 제거장치
JP3818550B2 (ja) スカム沈降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