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111B1 -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111B1
KR101320111B1 KR1020110087202A KR20110087202A KR101320111B1 KR 101320111 B1 KR101320111 B1 KR 101320111B1 KR 1020110087202 A KR1020110087202 A KR 1020110087202A KR 20110087202 A KR20110087202 A KR 20110087202A KR 101320111 B1 KR101320111 B1 KR 10132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controller
control
control unit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026A (ko
Inventor
김남재
박선심
김태갑
주재황
박준열
Original Assignee
한동특장(주)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특장(주),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동특장(주)
Priority to KR102011008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1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널을 통해 입출력함으로써 프로그램 수정만으로 별도의 장치를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포량을 수 단계로 변량 살포 제어함으로써 표류약제를 감소시켜 약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부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터의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가 구비된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에 의해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 전달하는 터치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INTEGRATED CONTROLL SYSTEM OF EPIDEMIC SPEED SPRAYER}
본 발명은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널을 통해 입출력함으로써 프로그램 수정만으로 별도의 장치를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포량을 수 단계로 변량 살포 제어함으로써 표류약제를 감소시켜 약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약 방제기는 과수원, 농장, 골프장 등 면적이 넓은 장소에 농약을 살포하기 위한 장치이다. 농지 등에서의 병충해 예방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농약을 살포하는데 있어 규모가 작은 농지의 경우는 호스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약액 살포용 노즐대를 들고 다니면서 살포할 수가 있으므로 농약 방제에 어려움이 없으나, 농지가 대규모인 경우에는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기도 하고, 작업 시간의 지연이 초래되기도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약액 살포시 발생되는 폐단을 해결하고 대규모의 농지에 자동 방제를 위하여 캐빈형 방제차량이나, 대형 상용 차량에 방제기를 탑재한 방제차량이 이용되고 있다.
캐빈형 방제차량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2)의 후면에 분무장치(103)가 설치되며, 동력장치로 사용되는 엔진(104)에 의해 약액이 담겨진 저장탱크(105)로부터 고압의 약액이 분사노즐(106)을 통해 분무되도록 이루어지며, 분무장치(103)가 설치된 부위에는 송풍휀(110)이 장착되어 약액이 분무되는 과정에서 풍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약 방제기(220)가 후미에 탑재된 농약방제 차량(200)은 통상의 차량과 마찬가지로, 중앙 상단에 운전석(214)이 구비된 차체(212)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하단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구동바퀴(216)가 구성되어져 있고, 그 차량의 후미에는 차체(212)의 후단 적재함에는 별도의 프레임을 통해 결합된 농약방제기(220)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농약 방제기(220)는 크게 송풍부(240)의 높이 및 각도 조절과, 약제 살포를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제구동부(250)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운전석(214)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농약방제기(220)의 구동 및 좌우 살포 각도 및 상하 살포 높이를 조절하고, 후술하는 송풍관에 구비된 살포노즐을 통해 약제를 살포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박스(221)가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농약 방제기(220)는 약액을 수장하기 위한 약액탱크부(230)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약액탱크부(23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하 살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송풍부(24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약액탱크부(23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약액탱크부(230)로부터 송풍부(240)로 약액을 압송하고, 송풍부(240)의 살포 각도 및 살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제 구동부(250)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방제 차량의 방제기의 작동은 운전석에 구비된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이 컨트롤러에 유선으로 연결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차량에 가까운 위치에서 작업자가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방제기에서 펌프와 엔진 및 송풍장치로부터는 대단히 심한 구동 소음이 유발되면서 작업자의 청각을 손상시키기도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농약 방제기의 조작 시 인근에서 조작을 하게 되므로 이들 농약에 그대로 노출되어 유독성의 약액 입자가 공기와 함께 작업자의 호흡기로 흡입되어 약액 중독으로 인한 인명 사상 등의 사고가 많다.
또한, 종래의 방제기의 제어는 입력을 위한 스위치와 표시를 위한 램프 등이 구비된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조작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방제기에 센서와 같은 다른 장치를 추가하는 경우 기존의 컨트롤러를 이용할 수 없고 추가된 장치에 대한 컨트롤러를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널을 통해 입출력함으로써 프로그램 수정만으로 별도의 장치를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포량을 수단계로 변량 살포 제어함으로써 표류약제를 감소시켜 약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의성을 도모한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제기에 의해 살포가 이루어진 위치 및 살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방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제기의 송풍덕트의 출구에 방제를 위한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나 물체가 감지되는 위치로만 살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불필요한 약제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부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터의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가 구비된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에 의해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 전달하는 터치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입출력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방제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GPS부로부터 획득한 방제 위치 정보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에 의해 작동된 방제기의 살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 전달하는 스마트 기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기기는 그 내부에 구비된 위치파악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살포 위치 정보와 상기 메인컨트롤러부로부터 전달된 방제기의 살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방제기에는 노즐이 구비된 분무덕트 출구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는 물체감지부에 의해 물체가 분무덕트 출구로부터 일정 거리내에서 감지된 경우에 약제가 살포되도록 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방제기의 분무덕트 출구에 구비된 노즐은 인접한 것끼리 복수개씩 노즐모듈로 분할되고, 상기 물체감지부는 상기 노즐모듈마다 대응되게 구비되어 각 물체감지부는 그 대응된 노즐모듈에 전방에 위치된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는 물체가 감지된 물체감지부에 대응되는 노즐모듈을 통해 약제가 살포되도록 상기 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는 약제기로부터 살포되는 약제의 량을 수단계로 조절하여 변량 살포 제어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널을 통해 입출력함으로써 프로그램 수정만으로 별도의 장치를 편리하게 추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방제기에 의해 살포가 이루어진 위치 및 살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방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방제기의 송풍덕트의 출구에 방제를 위한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나 물체가 감지되는 위치로만 살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제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방제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에 송풍덕트의 출구의 일부로 물체가 위치한 경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방제기(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컨트롤러부(20), 입출력부(30,30'), GPS부(40), 저장부(50), 스마트 기기(60), 물체감지부(7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방제기(10)는 약제탱크(11)와 펌프(12)와 엔진(13)과 송풍장치(14)와 출구(16)를 갖는 송풍덕트(15)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는 상기 방제기의 펌프(12)와 유량밸브(도면에 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고, 엔진(13)을 구동을 제어하여 풍량을 조절한다. 상기 상기 펌프(12)의 구동에 의해서 약제탱크(11)로부터 약액을 펌핑시켜 출구(16)측에 구비된 노즐(16a)들을 통해서 분무시키게 되고, 엔진(13)의 구동에 의해서는 송풍장치(14)를 작동시켜 송풍덕트(15)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바람을 일으켜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농약이 이 바람을 타고 원거리로 분사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는 약액의 펌핑 제어와 송풍장치(14)에 의한 풍력 조절 및 송풍 방향의 전환 등과 같은 다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는 약제기(10)로부터 살포되는 약제의 량을 1~5 단계로 조절하여 변량 살포 제어 기능을 가짐으로써 표류 약제를 감소시켜 약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부(30,30')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로터의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방제기(1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담은 신호는 입출력부(30,30')로 전달되어 표시되며, 사용자가 방제기(10)의 작동을 위해 명령이나 수치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부(30,30')로 입력하면 이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로 전달되어 방제기(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입출력부(30,30')가 터치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입출력부(30,30')로 구성된 터치패널의 스크린 상에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로부터 전달된 신호나 데이터가 화면으로 구성되어 다양하게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스크린 터치에 의해 명령 및 데이터를 입출력부(30,30')로 편리하게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해진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는 도면부호 30과 같이 유선에 의한 방법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에 연결되어 질 수 있으며, 도면부호 30'와 같이 무선 통신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방제기(1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무선 통신은 RF, WiFi, 불루투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되어 질 수 있다.
상기 GPS부(40)는 상기 방제기(2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방제가 이루어진 위치에 관한 정보, 방제 위치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50)는 상기 GPS부(40)로부터 획득한 방제가 이루어진 위치에 관한 정보, 즉 방제 위치 정보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에 의해 작동된 방제기(10)의 살포 정보, 즉, 살포량, 살포시간, 살포시기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가 방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가 된다.
상기 스마트 기기(60)는 현재 상용되고 있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가 용이하고 화면으로 출력이 가능한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으며,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스크린이나 키가 구비된 장치로서, 통상 이에는 다양한 방식(3G, WiFi, LTE 등)의 통신 모듈과,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기지국에 의한 위치정보 확인 장치, GPS 칩)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로부터 전달된 신호나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기기(60)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스마트 기기(6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명령 및 데이터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60)의 내부에는 위치파악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마트 기기(60)는 그 위치파악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살포 위치 정보와 상기 메인컨트롤러부(20)로부터 전달된 방제기의 살포 정보를 저장하여 방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물체감지부(70,70')는 노즐(16a)이 구비된 분무덕트 출구(16)에 근접한 물체(P)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는 물체감지부(70,70')에 의해 물체(P)가 분무덕트 출구(16)로부터 일정 거리(d)내에서 감지된 경우에 약제가 살포되도록 방제기(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무 덕트 출구(16)는 그 크기가 커 도 3에서와 같이 일부 영역에 물체(P)가 위치되는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은 그 물체(P)가 위치되는 위치로만 약제가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방제기의 분무덕트 출구(16)에 구비된 노즐(16a)을 인접한 것끼리 복수개씩 노즐모듈(N1,N2)로 분할하고, 상기 물체감지부(70,70')는 상기 노즐 모듈(N1,N2)마다 대응되게 구비되어 각 물체감지부(70,70')은 그 대응된 노즐모듈(N1,N2)에 전방에 위치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송풍덕트의 출구(16)의 일부로 물체(P)가 위치한 경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 3은 위에서 보아 상기 노즐모듈(N1,N2)이 각각 송풍덕트 출구(16)의 좌우로 분할되고, 각 노즐모듈 N1 및 N2 각각에 물체감지부 70 및 70'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우측 노즐모듈(N2)에 대응된 물체감지부(70')에 물체(P)가 감지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20)는 물체가 감지된 물체감지부(도 3에서는 우측에 위치된 70')에 대응되는 노즐모듈(N2)을 통해 약제가 살포되도록 상기 방제기(1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물체가 없는 위치인 좌측 노즐모듈(N1) 부분에서는 살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불필요하게 살포되는 약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방제기
20 메인 컨트롤러부
30,30' 입출력부
40 GPS부
50 저장부
60 스마트 기기
70,70' 물체감지부

Claims (8)

  1. 방제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부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터의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가 구비된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에 의해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 전달하는 터치패널이고,
    상기 방제기에는 노즐이 구비된 분무덕트 출구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물체감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는 물체감지부에 의해 물체가 분무덕트 출구로부터 일정 거리내에서 감지된 경우에 약제가 살포되도록 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GPS부로부터 획득한 방제 위치 정보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에 의해 작동된 방제기의 살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부터 전달된 신호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로 전달하는 스마트 기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그 내부에 구비된 위치파악수단으로부터 획득한 살포 위치 정보와 상기 메인컨트롤러부로부터 전달된 방제기의 살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기의 분무덕트 출구에 구비된 노즐은 인접한 것끼리 복수개씩 노즐모듈로 분할되고,
    상기 물체감지부는 상기 노즐모듈마다 대응되게 구비되어 각 물체감지부는 그 대응된 노즐모듈에 전방에 위치된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는 물체가 감지된 물체감지부에 대응되는 노즐모듈을 통해 약제가 살포되도록 상기 방제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부는 약제기로부터 살포되는 약제의 량을 수단계로 조절하여 변량 살포 제어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110087202A 2011-08-30 2011-08-30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32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202A KR101320111B1 (ko) 2011-08-30 2011-08-30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202A KR101320111B1 (ko) 2011-08-30 2011-08-30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026A KR20130024026A (ko) 2013-03-08
KR101320111B1 true KR101320111B1 (ko) 2013-10-18

Family

ID=4817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202A KR101320111B1 (ko) 2011-08-30 2011-08-30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1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151A (ja) * 1999-10-27 2001-05-08 Nec Corp Gpsを用いたラジコンヘリコプタによる自動農薬散布装置
KR100644431B1 (ko) * 2005-09-27 2006-11-23 대한민국 농자재 살포량 제어 장치
KR100804437B1 (ko) * 2000-10-14 2008-02-20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살충제 살포 시스템
KR100976090B1 (ko) * 2008-02-05 2010-08-17 대한민국 농자재 살포량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151A (ja) * 1999-10-27 2001-05-08 Nec Corp Gpsを用いたラジコンヘリコプタによる自動農薬散布装置
KR100804437B1 (ko) * 2000-10-14 2008-02-20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살충제 살포 시스템
KR100644431B1 (ko) * 2005-09-27 2006-11-23 대한민국 농자재 살포량 제어 장치
KR100976090B1 (ko) * 2008-02-05 2010-08-17 대한민국 농자재 살포량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026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0700B1 (en) Shovel and shovel management system
KR101794609B1 (ko) 무인 농약 공급 시스템
KR101200551B1 (ko) 작업영역 인식이 가능한 원격 제어 로봇 시스템
CN105532623B (zh) 一种智能自走式风送静电式对靶喷雾机
CN104067906B (zh) 一种多用途智能伸缩喷灌车及其工作方法
CN105941379B (zh) 一种风送智能喷雾机器人喷雾协调控制系统及施药方法
JP2012120481A (ja) 防除作業機
CN102487921A (zh) 自动喷药机及喷药方法
CN105518546A (zh) 喷灌控制系统
KR101320111B1 (ko) 방제기의 살포 통합 제어 시스템
KR20100092199A (ko) 무인항공기의 약제, 종자 또는 비료 살포에 대한 비용산출시스템
KR101753829B1 (ko) 자동운항 방제장치
KR100833721B1 (ko) 약제 살포수단의 오동작 판단이 가능한 무인항공기
KR20150145015A (ko) 수륙 양용 약액살포기
KR20170134044A (ko) 농작물 방제용 로봇 및 이를 구비한 방제용 로봇 제어 시스템
CN108190018A (zh) 一种无人机夜间护航方法及无人机
KR101570200B1 (ko) 유압구동방식의 동력분무기
JP4633566B2 (ja) 乗用管理機用潅水装置及び乗用管理機
KR20150134606A (ko) 이동식 고압충전 분무기
CN206715094U (zh) 一种基于移动式机器人的灭火系统
CN108157324A (zh) 一种农用机的施药均匀化喷洒系统及施药流程
CN213490841U (zh) 一种移动消杀机器人
KR200459438Y1 (ko) 약제 분무장치
KR101927882B1 (ko) 차량 탑재형 연막소독기의 원격 제어장치
JP2018139519A (ja) 散布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